맨위로가기

제병 연합 부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병 연합 부대는 다양한 병과를 조합하여 전투 효율성을 높이는 군사 전술이다. 고대부터 사용되었으며, 그리스, 로마, 한나라 등 다양한 문명에서 다양한 병과를 조합하여 운용했다. 중세에는 기사와 궁병, 보병의 협력이 중요했으며, 근대에는 15~18세기 유럽에서 혼성 창검 부대가 개발되었다. 20세기 이후에는 1, 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전차, 항공기, 보병의 상호 지원을 포함하는 전 병과 전투가 발전했다. 현대에는 미국 해병대의 해병 항공-지상 임무 부대, 걸프 전쟁에서의 항공력과 기갑 전력의 결합 등이 대표적이며, 이스라엘 방위군은 보병, 기갑, 항공기를 통합한 다차원 부대를 시험 운용하고 있다. 한국군 역시 연대, 여단, 대대 규모의 제병 연합 부대를 운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갑전 - 기계화
    기계화는 산업 혁명 시기부터 기계 도입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및 사회 현상으로, 도시화, 노동 계급 형성, 자본주의 발달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며, 4차 산업 혁명 시대에는 자동화, 로봇 기술과 융합하여 미래 사회에 영향을 줄 것이다.
  • 기갑전 - 전격전
    전격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사용한 기동전술로, 전차, 항공기, 무선 통신 등 신기술을 활용하여 기동성, 화력 집중 등을 통해 적을 빠르게 제압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 근세의 전쟁 - 러시아-튀르크 전쟁 (1787년~1792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1787년~1792년)은 러시아 제국과 오스만 제국 간의 전쟁으로, 러시아의 승리로 끝나 아이시 조약을 통해 오스만 제국이 크림 칸국의 러시아 병합을 인정하고 오데사 등을 러시아에 할양했다.
  • 근세의 전쟁 - 제1차 러시아-스웨덴 전쟁
    제1차 러시아-스웨덴 전쟁은 스웨덴의 구스타프 3세가 러시아와의 외교 관계 단절을 시도하며 발발하여 해전을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덴마크의 참전 등 어려움 속에서 바랄라 조약으로 종결되어 스웨덴은 영토 변화 없이 평화를 이루었다.
  • 고대의 전쟁 - 전투 코끼리
    전투 코끼리는 고대 인도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문화권에서 군사적으로 활용된 코끼리로, 알렉산드로스 대왕, 피로스 왕, 한니발 등의 지휘관들이 활용했으며 화약 무기 발달 후에도 사용되어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이어졌다.
  • 고대의 전쟁 - 힐포트
    힐포트는 신석기 시대부터 켈트족이 철기 시대에 언덕 위에 요새화하여 방어 및 거주 공간으로 사용한 다양한 형태의 방어 시설이며, 로마 제국 시대 이후 앵글로색슨족에 의해 재사용되기도 했다.
제병 연합 부대
개요
훈련 중 포병 사격 지원을 받으며 전진하는 보병들
훈련 중 포병 사격 지원을 받으며 전진하는 보병들
유형군사 전술
설명여러 병과를 통합하여 운용하는 군사 전술
각 병과의 장점을 활용하고 단점을 상호 보완하여 전투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목표
주요 목표각 병과의 장점을 활용하고 단점을 상호 보완하여 전투 효율을 극대화
핵심제대 규모에 따라 전투 자산을 배분
각 전투 자산의 임무와 역할을 명확히 설정
상호 협조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
역사
기원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참호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발전
보병, 포병, 기갑, 공군 등 다양한 병과를 통합하여 운용하는 개념 등장
발전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더욱 발전
기갑 부대의 등장과 함께 보병과 기갑 부대의 협동 작전 중요성 부각
현대전
중요성현대전에서 더욱 중요해짐
이유전장의 복잡성 증가
다양한 위협에 대한 대응 필요성 증대
각 병과의 전문성 강화
발전 방향정보통신기술 (ICT) 발전과 함께 더욱 고도화
인공지능 (AI) 기반의 지능형 제병협동전투체계 개발 추진
주요 구성 요소
주요 병과보병
기갑
포병
공병
항공
통신
정보
군수
지휘 통제각 병과의 작전을 통합적으로 지휘하고 통제하는 능력
효율적인 의사소통 체계 구축 중요
전술적 고려 사항
정보 우위정확하고 시의적절한 정보 확보 중요
정찰, 감시, 첩보 활동 강화
기동성신속하고 유연한 기동 능력 확보 중요
항공 수송, 기계화 보병, 기갑 부대 등 활용
화력 지원적절한 화력 지원 제공 중요
포병, 항공 지원, 함포 지원 등 활용
생존성아군의 생존성 확보 중요
방호, 기만, 분산 등 활용
참고 자료
관련 문서전투, 전쟁, 군사 작전, 전략, 전술

2. 고대

고대 카르타고사산 제국과 같은 문명 또한 강력한 기병의 지원을 받는 보병을 조합하여 운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1. 고대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제병 연합 작전은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 군대는 접근 시 창병을 보호하기 위해 보통 산병 부대를 배치했다. 특히 고대 그리스의 중장보병의 경우, 군사적 사고의 초점은 거의 전적으로 중장보병에 맞춰져 있었다. 더 정교한 상황에서는 경보병, 중보병, 또는 중장보병, 경 기병 또는 중기병 등 다양한 병과를 조합하여 운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병 연합은 측면 무기, 창 또는 투사 무기로 무장한 협력 부대를 가장 잘 사용하여 공격을 조정하여 적을 붕괴시킨 다음 파괴하는 방법이었다.

마케도니아필리포스 2세는 그리스 도시 국가의 제한적인 제병 연합 전술을 크게 개선했으며, 새로 창설된 마케도니아 팔랑크스를 중기병 및 기타 병력과 결합했다. 팔랑크스는 중기병이 국지적인 우위를 확보하여 적의 전선을 무너뜨릴 수 있을 때까지 적의 전선을 고정시켰다.

2. 2. 고대 로마

초기 공화정 시대의 로마 군단은 제병 연합 부대였으며, 다섯 계급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경무장한 벨리테스는 가벼운 투창으로 무장한 산병 역할을 했다. 하스타티프린키페스글라디우스와 필룸으로 군단의 주요 공격력을 형성했으며, 트리아리는 긴 창과 큰 방패를 가진 창병(초기에는 더 조밀한 그리스 팔랑크스로, 나중에는 더 느슨한 창벽 대형으로)으로 싸우면서 군단의 방어적인 중추를 형성했다. 다섯 번째 계급의 병력은 에퀴테스(기병)였으며, 정찰, 추격, 그리고 측면 방어에 사용되었다.

이후 군단은 단지 검과 필룸으로 무장한 중장보병 부대로 변모했으며, 소규모의 보조 산병 및 미사일 병력과 소규모의 기병 부대를 배치했다. 군단은 때때로 더 상위 계층의 제병 연합 부대에 통합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한 시대에는 장군이 두 개의 군단과 두 개의 유사한 규모의 보조 부대(스크린이나 험한 지형에서의 전투에 유용한 더 가벼운 부대)를 지휘하는 것이 관례였다. 나중에 로마 제국 시대에는 보조 병력이 핵심 군단병보다 더 많아졌다.

2. 3. 동아시아

한나라의 군대 역시 제병 연합 부대의 한 예시로 들 수 있다. 한나라 군대는 검, 창, 도끼와 유사한 무기 등 다양한 무기로 무장한 백병전 보병, 궁수, 쇠뇌병, 그리고 궁기병부터 중기병에 이르는 다양한 기병을 운용했다. 기록에 따르면, 한나라 시대의 전술 대형 중 하나는 할버드병, 검병, 창병으로 이루어진 세 줄의 보병진을 쇠뇌가 지원하고, 측면에는 기병을 배치하는 형태였다.

3. 중세

헤이스팅스 전투(1066년)에서는 방패벽 뒤에서 싸우던 잉글랜드 보병이 궁수, 보병, 기병(기사)으로 구성된 노르만 군대에게 패배했다. 노르만 군대는 후퇴하는 척하며 잉글랜드 군대를 유인한 뒤, 평야에서 기병으로 섬멸하는 전술을 사용하기도 했다. 이와 비슷하게, 스코틀랜드의 셸트론 대형은 스털링 다리 전투(1297년)에서 잉글랜드 중기병의 돌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냈지만, 팔커크 전투(1298년)에서는 잉글랜드의 궁병과 기병의 협력 공격에 의해 무너졌다. 헤이스팅스와 팔커크 전투는 단일 병과에 의존하는 군대를 상대로 여러 병과를 조합한 전술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4]

크레시 전투, 푸아티에 전투, 아쟁쿠르 전투에서 잉글랜드 군대가 거둔 승리 역시 합동 전술의 초기 형태를 보여준다. 이 전투들에서 말에서 내린 기사들은 강력한 장궁병 부대를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 방어력이 약한 장궁병들은 멀리서 프랑스 군대를 공격했고, 중무장한 병사들은 잉글랜드 진영까지 도달한 프랑스 군을 상대했다. 이것이 바로 합동 전술의 핵심으로, 여러 병과의 조합을 통해 단일 병과만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목표를 이루는 것이다.

중세 시대 군대는 전투에서 승리하고 군주나 지도자의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합동 전술을 활용했다. 일부 역사가들은 중세 시대에는 체계적인 군사 전략이나 전술이 부족했다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켈리 드브리스(Kelly DeVries)는 전투를 "일반적인 군사 교전"으로 정의하며[5], 중세 지휘관들이 목표 달성과 개인적 이익을 위해 지형과 날씨를 고려하여 전투 시기와 장소를 선택하는 등 전술적, 전략적 사고를 활용했다고 본다. 가장 기본적인 합동 전술은 궁수, 보병, 기병(기사 또는 충격 부대), 때로는 농민 민병대까지 다양한 병과를 조합하는 것이었다. 때로는 각 부대가 개별적으로 싸우기도 했지만, 숙련된 병력과 비숙련 병력을 효과적으로 조합하여 전투에서 승리하는 경우가 많았다. 여러 종류의 병력을 가진 군대는 한두 종류의 병력으로만 구성된 더 큰 규모의 군대와 싸워 이길 수도 있었다.

보병, 궁수, 기병, 농민 등 각 병과는 고유한 장점을 가졌다. 보병은 특정 지역을 점령하고 지키는 데 유리하며, 불리할 경우 기병이 활동하기 어려운 지형으로 후퇴하여 방어할 수 있었다. 궁수는 활이나 석궁을 이용해 원거리에서 적을 공격했다. 기병은 빠른 속도로 이동하며 적이 방어 태세를 갖추기 전에 기습 공격을 가할 수 있었다. 농민 병력은 많은 수를 동원할 수 있고 비용이 적게 들었다. 군대는 장기적으로 병사들에게 여러 기술을 훈련시켜 전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는데, 이는 오늘날의 '전투력 승수'(combat multiplier) 개념과 유사하다. 다양한 병과의 조합은 지휘관에게 전투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선택지를 제공했으며, 군대의 전반적인 목표는 전투에서 승리하는 동시에 최대한 많은 병력을 보존하여 더 큰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모습은 중세 시대의 여러 교전에서 확인된다.

4. 15~18세기

일반적으로 서아프리카의 사바나 기병대는 혼성 부대 전술을 사용했으며, 지원 보병 없이 작전을 수행하는 경우는 드물었다.[6]

초기 근대 프랑스의 발루아 왕가 군대는 중장갑을 착용한 ''장다르메''(중세 기사의 전문적인 형태), 스위스 용병, 란츠크네히트 용병 창병, 그리고 중(重)포병으로 구성되었으며, 중세 전쟁 방식에서 초기 근대로의 전환기에 형성되었다.

15세기 후반에는 유럽에서 혼성 창검 부대가 개발되었는데,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 장군의 스페인 부대인 ''colunelas''에서 시작하여 16세기 합스부르크 스페인의 ''테르시오''와 신성 로마 제국군으로 발전했다.

일본에서는 1575년 나가시노 전투에서 오다 씨 군대가 기병대에 크게 의존했던 다케다 씨를 상대로 혼성 부대를 성공적으로 운용했다. 오다 군은 말뚝 울타리를 세워 아시가루 조총 사수들을 보호하여 다케다 기병대를 사살했고, 사무라이는 근접전 범위까지 접근하는 적을 베어 넘겼다.

17세기에는 하위 (연대) 수준에서 혼성 부대의 사용이 증가했다. 스웨덴의 국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가 이 아이디어를 옹호했다. 그는 화력 지원을 위해 "사령관의 조총병" 팀을 기병대에 배속시키고, 보병 부대에 자체 포병을 제공하기 위해 3파운드 경(輕)포를 배치했다.

18세기에는 군단(legion) 개념이 부활했다. 군단은 이제 머스킷티어, 경보병, 용기병포병으로 구성되어 여단 규모의 병력이 되었다. 이러한 군단은 종종 전문 군인과 민병대를 결합했다. 아마도 가장 주목할 만한 예는 나폴레옹 전쟁 동안 프랑스 그랑 다르메의 전위 부대에서 경기병, 경보병 및 경기마 포병을 사용한 것이다.

5. 나폴레옹 전쟁

1815년 워털루 전투에서 격돌한 군대는 25년간의 거의 끊임없는 전쟁을 거치면서 비슷한 방식으로 편제되었다. 즉, 보병, 기병, 포병으로 구성된 군단으로 편성되었고, 비슷한 합동 전술을 사용했다. 각 군단 내에는 여단과 포병 부대로 구성된 보병 또는 기병 사단이 있었다. 군대는 보통 군단장 직속으로 세 병과 모두의 예비대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군 사령관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병과를 증강하기 위해 어떤 군단이나 군단 사단에도 투입될 수 있었다.

전투 중 미셸 네 원수가 지휘한 프랑스 기병의 대규모 돌격은 웰링턴의 보병 사각형 대형을 뚫지 못했고, 네가 사각형 대형을 깨뜨릴 충분한 기병 포병을 투입하지 못한 것이 실패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는 장군들이 한 병과의 공격을 좌절시키려는 적 지휘관의 전술을 극복하기 위해 왜 합동 전술을 사용해야 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7]

대조적으로, 제27 (인니스킬링) 연대는 750명에서 시작하여 프랑스 합동 전술 공격에 노출되어 478명의 사상자를 냈다. 그들은 웰링턴의 전선 중앙 근처에 위치했지만, 웰링턴 군대의 대부분과 달리 몽생장 절벽의 노출된 쪽에 있는 경사지에 위치해 있었다. 노출된 상태에서 그들은 기병의 공격을 두려워하여 하루 종일 사각형 대형으로 서 있어야 했고, 나폴레옹의 집중 포격의 쉬운 표적이 되었다.[8]

6. 20세기 이후

20세기에 들어 전쟁의 양상이 크게 변화하면서, 다양한 병과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운용하는 제병 연합 부대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참호전 극복 시도에서부터 제2차 세계 대전의 기동전, 냉전 시기의 대규모 군사 작전 및 공중 강습, 그리고 현대전의 정보 중심 작전에 이르기까지 제병 연합 전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기술의 발전은 특히 항공력, 기갑 부대, 포병, 보병 간의 협력을 더욱 긴밀하고 효과적으로 만들었으며, 이는 전쟁 수행 방식의 근간을 이루게 되었다.

미국 항공기, 보병 및 장갑차 부대가 베트남 전쟁 중 함께 작전 수행

6. 1.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제병 연합 전술은 중요한 발전을 이루었다. 전쟁 초기 서부 전선에서는 전투가 고착된 참호전 양상으로 흘러갔다. 당시 지휘관들은 새로운 무기와 전장 상황에 기존의 군사적 사고방식을 적용하려 했다. 이 시기의 전술은 강력한 포격으로 시작하여 방어가 견고한 적진에 대규모 정면 공격을 가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대부분 성공하지 못했고 막대한 인명 피해만 낳았다.

전쟁이 진행되면서 새로운 제병 연합 전술이 개발되었는데, 당시에는 "전 병과 전투"라고 불렸다. 이 전술은 공격하는 보병을 위한 직접적인 근접 포병 화력 지원(이동 포격), 항공 지원, 그리고 전차와 보병의 상호 지원을 포함했다. 제병 연합 전술이 효과적으로 사용된 초기 사례 중 하나는 1917년 캉브레 전투이다. 이 전투에서 영국군은 전차, 포병, 보병, 소화기, 항공력을 유기적으로 운용하여 독일군의 견고한 방어선을 돌파하는 데 성공했다.[9] 이전의 전투 방식으로는 수개월이 걸리고 수십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을 법한 성과였다.

이러한 새로운 전술에서는 각 병과의 유기적인 조정과 면밀한 계획이 핵심 요소였다. 1918년 백일 공세에서 연합군은 제병 연합 전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독일군 참호선에 돌파구를 만들고 이를 확장함으로써 중앙 열강의 항복을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6.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제병 연합은 하인츠 구데리안이 주창한 전격전과 같은 작전 교리의 기본 원칙이었다.[15] 독일군은 전차, 기동 부대(기계화 보병 또는 기병), 보병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전격전을 수행했다. 또한, 소련의 깊은 전투 교리 역시 전차, 기동 부대, 보병을 결합하고 포병의 지원을 받는 제병 연합의 중요한 사례였다.[10]

6. 3. 냉전 시기



1963년, 미국 해병대는 해병 항공대와 지상 부대를 원정 임무를 위해 통합하는 해병 항공-지상 임무 부대(MAGTF) 개념을 공식화했다.[11]

베트남 전쟁은 미 육군의 제병 연합 전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쟁 지역의 험난한 지형은 종종 지상 접근을 어렵게 만들었기 때문에, 병력은 헬리콥터를 이용한 공중 강습을 통해 배치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통해 물류 지연 시간이 줄어들어, 미군은 이전 전쟁보다 6배 더 많은 전투를 수행할 수 있었다. 특히 헬리콥터를 통한 탄약, 식량, 연료 보급은 보병 부대의 작전 효율성을 4배나 증가시켰다.[12] 시간이 지나면서 미 육군은 헬리콥터 작전과 공중 기동 보병을 화력 지원 기지에서 작전하는 기갑 부대 및 포병 부대, 그리고 이들을 지원하는 미국 해군의 갈색 수역 해군 및 미국 공군 (USAF)의 근접 항공 지원과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전술을 발전시켰다.[13]

에어랜드 전투(AirLand Battle)는 1982년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미국 육군의 유럽 전장 교리의 핵심 개념이었다. 이 교리는 기동 방어를 펼치는 지상군과 적 후방의 보급선을 공격하는 공군 간의 긴밀한 협력을 강조했다.[10]

이러한 제병 연합 교리는 1991년 걸프 전쟁에서 실질적으로 운용되었다. 당시 노먼 슈워츠코프 장군은 융단 폭격과 정밀 폭격을 포함한 고정익 항공기 공격과 다수의 공격 헬리콥터를 활용한 공중 공격을 조화롭게 사용했다. 이후 이어진 지상전 단계에서는 공격 항공기의 지원을 받는 전차 및 기타 장갑 전투 차량이 이라크군을 격파하며 신속하게 진격했다. 전선은 미 육군 궤도 차량의 최대 속도인 시속 40km에서 50km 이상으로 빠르게 이동했다.[14][15][16][17]

6. 4. 냉전 이후

1991년 걸프 전쟁에서 미군슈워츠코프 장군의 지휘 아래 항공력과 기갑 전력을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이라크군을 압도했다. 융단 폭격과 정밀 폭격을 포함한 고정익 항공기의 공격과 다수의 공격 헬리콥터 공격이 조화를 이루었다. 이후 지상 공격 단계에서는 공격 항공기의 지원을 받는 전차 및 기타 장갑 전투 차량이 남은 이라크 병력을 소탕했다. 전선은 미 육군 궤도 차량의 최대 속도인 시속 40km에서 50km 이상으로 빠르게 전진했다.[14][15][16][17]

2000년대 들어 미 육군은 정보 우위를 바탕으로 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교리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이 교리의 핵심은 AWACS(공중 조기 경보 및 통제), JSTARS(공중 지상 감시), GPS, VHF SINCGARS(지상 및 공중 통신용), 그리고 강화형 컴퓨터 등 6가지 장비의 활용이었다. 이러한 기술은 위성 사진, 적 무선 통신 감청, 디지털 표적 지정을 갖춘 전방 관측병, 특수 정찰기, 대포병 레이더, 포병용 사격 통제 소프트웨어 등으로 보완되었다.

이 새로운 교리에 따라 미군 지상 차량은 종종 단독으로 기동했다. 적 병력이나 차량 밀집 지역을 만나면 방어 태세를 갖추고 최대한의 엄호 사격을 제공하며, 동시에 요청된 항공 및 포병 자산에 대한 표적 지정을 수행했다. 몇 분 안에 대기 중이던 항공기가 임무를 받아 지상 차량을 지원했으며, 30분 이내에는 중무장 공격 부대가 집중 투입되어 고립된 차량을 구출했다. 교전 후 한 시간 반 안에는 해당 차량에 대한 보급이 이루어졌다.

2020년, 이스라엘 방위군(IDF)은 보병, 기갑, 항공기를 단일 대대 지휘 구조 아래 완전히 통합하는 개념의 타당성을 시험하기 위해 전담 통합 제병 연합 대대를 창설하여 시험 운용에 들어갔다. 이 부대는 메르카바 Mk. 4 주력 전차, F-16D 다목적 전투기, IAI 헤론 및 엘빗 헤르메스 450 드론, 그리고 보잉 AH-64 아파치 공격 헬리콥터 등을 운용한다.[18]

7. 현대 한국군의 제병 연합

--
--
기계화 보병 팀[20]기갑 팀[21]보병 · 기갑 연합 팀[22]


8. 규모별 제병 연합 부대

--
--
기계화 보병[20]기갑[21]보병 · 기갑 연합 팀[22]


참조

[1] 서적 ADRP 3-0: Unified Land Operations http://armypubs.army[...] Department of the Army 2012-05-16
[2] 서적 Maneuver Warfare Handbook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1985
[3] AV media Combined Arms Breach https://www.youtube.[...] OEC G&V
[4] 서적 Knights and Heroes, Fantasy and Folklore https://books.google[...] ABDO Publishing Company
[5] 서적 Infantry Warfare in the early Fourteenth Century Boydell Press
[6] 문서 Thornton
[7] 서적 The Waterloo Armies: Men, organization and tactics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8] 서적 Wellington at Waterloo https://books.google[...] Frontline Books
[9] 웹사이트 Cambrai 1917: The myth of the great tank battle http://www.westernfr[...] 2009-05-31
[10] 간행물 A History of Operational Art https://www.armyupre[...] Military Review 2018-11
[11] 웹사이트 What is a Marine expeditionary unit? http://www.usmc.mil/[...] United States Marine Corps 2007
[12] 서적 The 1st Cav[elry] in Vietnam: Anatomy of a division Presidio Press
[13] 서적 Help from Above: Air Force close air support of the Army 1946–1973 Air Force History and Museums Program
[14] 서적 Certain Victory: The U.S. Army in the Gulf War Potomac Books, Inc.
[15] 서적 Combined Arms in Battle Since 1939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Press
[16] 서적 War in the Persian Gulf: Operations Desert Shield and Desert Storm : August 1990-March 1991 Government Printing Office
[17] 서적 The Whirlwind War: The United States Army in Operations Desert Shield and Desert Storm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18] 뉴스 In 1st drill, IDF’s Ghost Unit tests out new tactics with jets, tanks and robots https://www.timesofi[...]
[19] 웹사이트 "「統合戦闘力演習」を終えて" http://www.mod.go.jp[...]
[20] 서적 B-GL-321-006/FP-001 Combat Team Operations (Interim) https://www.scribd.c[...] Canadian Armed Forces 2003-10-28
[21] 서적 B-GL-321-006/FP-001 Combat Team Operations (Interim) https://www.scribd.c[...] Canadian Armed Forces 2003-10-28
[22] 서적 APP-6C Joint Military Symbology http://armawiki.zumo[...] NATO 20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