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창 (기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창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존재했던 조세를 보관하고 운송하는 기관이다. 고려 시대에는 해룡창이 전라도 남동지역의 조세를 경창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했고, 조선 시대에는 경창, 가흥창, 흥원창 등 9개의 조창이 설치되었다. 이후 임진왜란 이후 조창의 기능이 약화되면서 사선에 의한 세곡 임운이 행해지고, 경강상인과 훈련도감의 선박이 운송을 담당하면서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조세 - 조운 (제도)
    조운은 전근대 사회에서 세곡을 효율적으로 수송하기 위해 활용된 제도로, 국가가 징수한 조세를 수도로 운송하고 수도와 변경 지역에 필요한 물자를 공급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시대에 따라 경로와 방식이 변화했다.
  • 조선의 조세 - 선혜청
    선혜청은 조선 후기 대동법 시행으로 설립되어 점차 규모가 커진 국가 재정 기관으로, 세금 징수 외에 물가 조절, 구휼 사업, 군량미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했으나 갑오개혁으로 폐지되어 그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조선의 조세 - 조운 (제도)
    조운은 전근대 사회에서 세곡을 효율적으로 수송하기 위해 활용된 제도로, 국가가 징수한 조세를 수도로 운송하고 수도와 변경 지역에 필요한 물자를 공급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시대에 따라 경로와 방식이 변화했다.
  • 조세 - 지방세
    지방세는 대한민국과 일본의 지방 자치 단체가 부과하는 세금으로, 일반 경비 충당을 위한 보통세와 특정 목적 사용을 위한 목적세로 구분되며, 한국은 취득세, 재산세, 지방소득세 등이 있고, 일본은 도도부현세와 시정촌세로 나뉜다.
  • 조세 - 연말정산
    연말정산은 납세자가 1년간의 소득에 대해 세금을 정산하는 절차로,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를 통해 환급 또는 추가 납부할 수 있으며, 국세청 홈택스 또는 일본의 신고납세제도 등을 통해 진행된다.
조창 (기관)
조창 (기관)
기본 정보
유형조세 운송 및 보관 기관
존속 기간고려 시대 ~ 조선 시대
상세 정보
설치 목적각 지역의 조세를 모아 경창으로 운송
주요 기능세곡 보관, 운송, 감독
역사
고려 시대처음 설치
조선 시대전국 각지에 설치, 운영
갑오개혁폐지
조직
책임자판관, 찰방
구성원조군, 창군, 사공
운영
재원둔전 운영 수익, 염전 운영 수익 등
주요 운송 경로수운, 육운
영향
경제세곡 운송을 통한 국가 재정 확보
사회지역 경제 활성화, 조운 관련 산업 발달
정치중앙 정부의 지방 통제 강화

2. 고려 시대의 조창

전라남도 남원에 있던 조창인 해룡창(海龍倉)은 조창이 생기기 전부터 조세를 거두던 곳이었다. 전라도 남동지역의 조세를 경창으로 운반하였으며, 1,000여 석을 운반할 수 있는 초마선 6척이 배치되었다.

2. 1. 해룡창

해룡창(海龍倉)은 전라남도 남원에 있던 조창이다. 조창이 생기기 전부터 조세를 거두던 곳으로 전라도 남동지역의 조세를 경창으로 운반하였다. 1,000여 석을 운반할 수 있는 초마선 6척이 배치되었다.

3. 조선 시대의 조창

경국대전,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조선 초기 전국에 조창은 한양의 경창을 제외하면 충주의 가흥창, 원주의 흥원창, 춘천의 소양강창, 배천의 금곡포창, 강음의 조읍포창, 아산의 공진창, 용안의 덕성창, 영광의 법성창, 나주의 영산창 등 9개 조창이 있었고, 조선 후기 영조 때 진주의 가산창, 밀양의 삼랑창, 창원의 마산창 등 3개 조창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16세기 임진왜란 이래로 조창의 기능이 약해지면서 사선에 의한 세곡의 임운이 행해지기 시작했고, 운송은 경강상인의 경강선과 훈련도감의 도감선이 주로 담당하였다.

가흥창, 흥원창, 소양강창은 수참선으로 세곡을 운반하는 참운의 좌수참에 속하여 좌수참창이라고도 한다. 또한 금곡포창, 조읍포창은 우수참에 속해 우수참창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공진창, 덕성창, 법성창, 영산창은 해운을 이용했다.

좌수참은 51척의 선박을 가지고 있었고, 우수참은 20척의 선박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공세곶창은 60척, 덕성창은 63척, 법성창은 39척, 영산창은 53척의 선박을 가지고 있었다.

3. 1. 경창

경창(京倉)은 한강의 남쪽 강변에 있던 조창이다. 경기도와 강원도 평강과 철원에서 거둔 세곡과 더불어 전국 각지의 세곡을 관리했다. 경창은 1392년 태조 원년에 설치되었다. 이어서 광통교 부근에는 군자감, 풍저창, 광흥창 등의 본창이 설치됐고, 광흥창에서 관리의 녹봉을, 풍저창에서는 정부의 제반 경비를, 그리고 군자감에서는 군량미로 충당했다.

3. 2. 가흥창

가흥창(可興倉)은 충청북도 충주에 있던 조창이다. 경상도와 충청도 음성, 영동 등지에서 거둔 세곡을 관리했다. 고려시대에는 덕흥창(德興倉)이라 하다가 조선 초에는 경원창(慶源倉)이라 했고, 세종 때에는 다시 덕흥창이라 불렀다. 이후 세조 때 가흥역 근처로 조창의 자리를 이전하여 가흥창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3. 3. 흥원창

흥원창(興元倉)은 강원도 원주에 있던 조창이다. 고려시대부터 이어져 오던 조창이다. 강원도 평창영월 등지에서 거둔 세곡을 관리했다. 조선 후기에 폐지되었다.

3. 4. 소양강창

소양강창(昭陽江倉)은 강원도 춘천에 있던 조창이다. 홍천, 양구 등지에서 북한강의 수로를 이용하여 세곡을 거두고 관리했다. 조선 후기에 폐지되었다.

3. 5. 금곡포창

1655년 효종 때 황해도 배천(白川) 금곡포에 설치되어 황해도 해주와 풍천 등지에서 거둔 세곡을 관리했던 조창이다. 예성강에서 한강으로 세곡을 운송할 때 조운선의 침몰이 자주 발생하여 1713년 숙종 때 폐지되었다.

3. 6. 조읍포창

조읍포창(助邑浦倉)은 황해도 강음에 있던 조창이다. 황해도 황주, 평산 등지의 세곡을 관리했다. 조선 후기에 폐지되었다.

3. 7. 공진창

세조 때 설치되어 충청남도 아산에 있던 조창이다. 충청도 서산, 한산 등 40여 고을의 세곡을 관리했다. 처음에는 공세곶창(貢稅串倉)으로 불렸는데, 이때에는 창고가 없어 연해안 포구에 세곡을 쌓아두었다. 1523년 중종 때에야 비로소 80칸의 창고를 마련하고 그 이름을 공진창이라 하였다.

3. 8. 덕성창

덕성창(德成倉)은 전라북도 용안 금두포에 있던 조창이다. 전라도 전주, 김제를 비롯한 전라북도 지역의 세곡을 관리했다. 1428년 세종 때에는 물길이 막혀서 전라북도 함열 피포로 옮겼으며, 뒤에 성당창(聖堂倉)으로 이름을 고쳤다. 1472년 성종 때에는 다시 용안으로 옮겨서 덕성창 또는 득성창(得成倉)이라 불렀고, 1512년 중종 때에는 옥구 군산포로 옮겨 군산창(群山倉)이라 하였다.

3. 9. 법성창

법성창(法聖倉)은 전라남도 영광군에 있던 조창이다. 전라도 부안군, 곡산군 등지의 세곡을 관리했다.

3. 10. 영산창

영산창(榮山倉)은 전라남도 나주에 있던 조창이다. 전라도 순천, 광양 등지의 세곡을 관리했다. 1512년 중종 때에는 조운선의 침몰이 자주 발생하여 영산창을 혁파하고 법성창으로 이관하였다.

3. 11. 마산창

마산창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조세를 운반하던 조창 중 하나였다.

3. 12. 삼랑창

삼랑창에 대한 내용은 현재 비어 있다. 내용을 추가하여 문서를 풍부하게 만들 수 있다.

3. 13. 가산창

가산창에 대한 내용은 현재 비어 있다. 내용을 추가하여 문서를 보강할 수 있다.

4. 조운 제도

4. 1. 참운

4. 1. 1. 좌수참창

어떤 내용을 요약하시거나 원본 소스를 제공하지 않으셨습니다. 좌수참창에 대한 요약이나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4. 1. 2. 우수참창

어떠한 요약과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2. 해운

5. 조창의 쇠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