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족제비상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족제비상과는 개아목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레서판다과, 스컹크과, 아메리카너구리과, 족제비과를 포함한다. 식육목은 고양이아목과 개아목으로 나뉘며,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계통 분류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족제비상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마다라스컹크, 레서판다, 쿠즈리, 아라이군; 각각 스컹크과, 레서판다과, 이타치과, 아라이군과를 나타냄.
학명Musteloidea
명명자Fischer, 1817
화석 범위올리고세 - 현세
분류군 계급
하위 분류레서판다과
스컹크과
이타치과 (모식과)
아라이군과
분류 불확실
Peignictis
계통 분류
개과 (개 및 기타 개 종류)
곰과 (곰)
기각류 (물개)
스컹크과 (스컹크)
레서판다과 (레서판다)
아라이군과 (아라이군, 코아티, 킨카주)
이타치과 (족제비, 수달, 오소리)

2. 하위 분류

식육목은 크게 고양이아목과 개아목으로 나뉘며, 개아목에는 다음과 같은 과들이 속한다.[1]


  • 레서판다과 (애기판다과)
  • 스컹크과
  • 아메리카너구리과
  • 족제비과

2. 1. 개아목 (Caniformia)

개아목은 개과 동물을 중심으로, 곰, 물개, 족제비 등 다양한 종류의 동물들을 포함한다.

  • 레서판다과 (애기판다과)
  • 스컹크과
  • 아메리카너구리과
  • 족제비과

3. 계통 분류

다음은 식육목의 계통 분류이다.[12]

{| class="wikitable"

|-

! 식육목

|-

|

{| class="wikitable"

|-

! 고양이아목

|-

|

{| class="wikitable"

|-

| † 님라부스과

Hoplophoneus mentalis


|-

|

† Stenoplesictidae
† Percrocutidae
Dinocrocuta



|-

| 아프리카사향고양이과

Two-spotted palm civet


|-

|

{| class="wikitable"

|-

! 고양이상과

|-

|

{| class="wikitable"

|-

| 아시아린상과
Spotted linsang


|-

|

† 바르보우로펠리스과
고양이과
Tiger



|}

|-

! 사향고양이하목

|-

|

{| class="wikitable"

|-

| 사향고양이과

Malay civet


|-

! 몽구스상과

|-

|

{| class="wikitable"

|-

| 하이에나과
Striped hyena


|-

|

몽구스과
Small asian mongoose
마다가스카르식육과
Grandidier's mongoose



|}

|}

|}

|}

|-

! 개아목

|-

|

{| class="wikitable"

|-

| † 암피키온과

Amphicyon ingens


|-

| 개과
African golden wolf


|-

! 곰하목

|-

|

{| class="wikitable"

|-

! 곰상과

|-

|

† 헤미키온과
Hemicyon sansaniensis
곰과
Asian black bear



|-

|

{| class="wikitable"

|-

! 기각류

|-

|

{| class="wikitable"

|-

| † 에날리아르크토스과

Enaliarctos mealsi


|-

|

{| class="wikitable"

|-

| 물범과
Common seal


|-

|

물개과
California sea lion
바다코끼리과
Pacific walrus



|}

|}

|-

! 족제비상과

|-

|

{| class="wikitable"

|-

| 레서판다과

Red panda


|-

|

{| class="wikitable"

|-

| 스컹크과
Striped skunk


|-

|

아메리카너구리과
Common raccoon
족제비과
European polecat



|}

|}

|}

|}

|}

참조

[1] 논문 Phylogeny of the Carnivora: basal relationships among the Carnivoramorphans, and assessment of the position of 'Miacoidea' relative to Carnivora
[2]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Carnivora (Mammalia): Assessing the impact of increased sampling on resolving enigmatic relationships
[3] 논문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4] 논문 Relationship of Pinnipeds to Other Carnivores (Mammalia) https://doi.org/10.2[...]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1976
[5] 서적 Classification of Mammals: Above the Species Level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7
[6] 서적 Mammals of Africa Bloomsbury 2013
[7] 논문 Phylogeny of the Carnivora: basal relationships among the Carnivoramorphans, and assessment of the position of 'Miacoidea' relative to Carnivora
[8]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Carnivora (Mammalia): Assessing the impact of increased sampling on resolving enigmatic relationships
[9] 논문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10] 간행물 レッサーパンダ(''Ailurus fulgens'')の進化的由来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2
[11] 논문 Phylogeny of the Carnivora: basal relationships among the Carnivoramorphans, and assessment of the position of ‘Miacoidea’ relative to Carnivora
[12] 논문 Pattern and timing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mmalian order Carnivora inferred from multiple nuclear gene sequen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