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동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동식은 일본과 한국에서 선수와 지도자로 활동한 야구인이다. 일본 프로 야구에서는 닛폰햄 파이터스와 한신 타이거스에서 투수로 뛰었으며, 1979년에는 9승을 기록하며 선발 투수로 활약했다. 1983년에는 한국 프로 야구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한국 이름 '주동식'으로 등록,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은퇴 후에는 일본에서 해설가와 투수 코치로 활동했으며, 2012년 풍속영업법 위반 혐의로 체포된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닛타쿠홈 플라이어스 선수 - 장훈
장훈은 일본 히로시마 출신의 재일 한국인 야구 선수이자 해설가로, 일본 프로야구에서 최다 안타 기록과 3,000안타-500홈런-300도루라는 이례적인 기록을 보유했으며, 은퇴 후에는 해설가로 활동하며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지만 대한민국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상했다. - 닛타쿠홈 플라이어스 선수 - 백인천
백인천은 중화민국 출신의 대한민국 야구 선수 및 감독으로, 일본과 한국에서 선수와 지도자로 활동하며, KBO 리그에서 1982년 최고 타율을 기록하고, LG 트윈스를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해설위원으로도 활동했다. - 재일 한국인 출신 KBO 리그 선수 - 송재박
송재박은 일본과 한국 프로 야구에서 선수와 코치로 활동하며, 일본에서는 세이부 라이온스와 요코하마 다이요 훼일스에서, 한국에서는 OB 베어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은퇴 후 두산 베어스 코치로 활동하며 우수 코치상을 수상했다. - 재일 한국인 출신 KBO 리그 선수 - 후쿠시 히로아키
후쿠시 히로아키는 일본 프로 야구와 KBO 리그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1980년 일본 최고 승률, 1983년 KBO 리그 30승 및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으나, 은퇴 후 마약 투약 혐의로 구속되는 불운을 겪은 일본 돗토리현 출신 야구 선수이자 코치이다. - 1983년 스포츠 - 김일권 (야구인)
김일권은 군산남초등학교에서 야구를 시작하여 프로 선수로 해태 타이거즈, 태평양 돌핀스, LG 트윈스에서 활동하며 통산 363개의 도루를 기록했고, 은퇴 후에는 여러 팀에서 주루코치로 활동했다. - 1983년 스포츠 - 이상윤 (야구인)
이상윤은 8시즌 동안 해태 타이거즈 투수로 활약하며 175경기 65승 46패 14세이브, 평균 자책점 3.13을 기록했고, 1983년 20승을 달성했으며, 1990년 해태 타이거즈 코치로 활동했다.
주동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선수명 | 우다 동식 |
원어명 | Joo Dong-Sik |
국적 | 대한민국 |
출신지 | 일본 도쿄도 스기나미구 |
생년월일 | 1948년 8월 23일 () |
신장 | 177 cm |
체중 | 71 kg |
포지션 | 투수 |
투구 | 우 |
타석 | 우 |
프로 입단 연도 | 1972년 일본 프로 야구 (도에이 플라이어스) 1983년 한국 프로 야구 (해태 타이거즈) |
드래프트 순위 | 1971년 4차 지명 (도에이 플라이어스) |
첫 출장 | NPB / 1972년 4월 28일 KBO / 1983년 4월 3일 |
마지막 경기 | NPB / 1982년 10월 11일 KBO / 1984년 9월 23일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 타쿠쇼쿠대학제일고등학교 주오대학 혼다경식야구부 |
프로 | 도에이 플라이어스 (1972년 ~ 1981년) 닛타쿠홈 플라이어스 닛폰햄 파이터스 롯데 자이언트 (1975년) 한신 타이거스 (1982년) 해태 타이거즈 (1983년 ~ 1984년) |
코치 경력 | |
코치 | KIA 타이거즈 (2002년 ~ 2003년) |
2. 선수 경력
초등학교 때는 음악부 부장을 맡아 NHK 어린이 음악 콩쿠르에 출전하는 등 음악 활동을 했다[2]。 스기나미 중학교 입학 후 야구를 시작했으며, 포지션은 3루수였다[2]。
타쿠쇼쿠 대학 제1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투수로 전향했다[2]。 이노우에 요이치와 동기이며, 1964년에는 여름 동도쿄 대회 3회전에서 노히트노런을 달성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1967년에 주오 대학에 진학하여, 동기인 스기타 히사오의 백업 선수였다[2]。 도토 대학 야구 리그에서 통산 35경기 등판, 9승 3패를 기록했다. 4학년 가을의 메이지 진구 대회에서는 준준결승에서 스기타의 뒤를 이어 등판했다. 대학 1년 선배로는 스에나가 마사아키, 1년 후배로는 사카키바라 요시유키, 스기타 외 동기로는 이시와타 시게루가 있다.
대학 졸업 후 1971년에 혼다 기연에 입사, 팀은 도시 대항 야구 대회에 출전했지만, 우다의 출전 기회는 없었다[2]。
1971년 드래프트 4순위로 도에이 플라이어스에 입단했다. 1년차인 1972년에는 자율 훈련 첫날에 "저렇게 빠른 공, 받을 수 없어..."라며 베테랑 포수인 오카무라 고지를 놀라게 했지만, 우다는 "우리 신인은 하루라도 빨리 인정받아야 합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휙휙 던져서 눈에 띄게 하고 있습니다"라고 계산하고 속구를 던졌다. 우다의 신인답지 않은 강심장을 보고, 야마네 토시히데 1군 투수 코치는 "신인 중 즉시 전력으로는 넘버원이다. 게다가 근성도 좋다. 정말 기대되는 루키"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타미야 겐지로 감독도 "한눈에 보고, 이건 횡재라고 느꼈다"라며 기뻐했지만 시즌 개막 후에는 주로 패전 처리가 중심이 되었고, 2군에서는 이스턴 리그 최우수 방어율 타이틀을 획득했다.
1975년 8월 27일 태평양전(헤이와다이)에 조지 컬버의 구원 등판으로 첫 승을 거두었으며[3], 9월 6일 롯데전(미야기)에서 첫 선발·첫 완투 승리로 2승을 기록했다.
1976년에는 단 1경기 등판으로 0승, 1977년에는 13경기에 등판했지만 2년 연속 0승으로 끝났지만, 계약 갱신에서는 끈질기게 연봉을 320만 엔으로 전년보다 20만 엔이나 올렸다[4]。
1978년에는 5월 4일 크라운전(헤이와다이)에 선발로 등판하여, 야마무라 요시노리에게 2호 솔로 홈런을 맞았지만, 3년 반 만에 승리를 거두었다. 24일 한큐전(니시노미야)에서는 3년 반 만에 완투 승리로 2승을 거두었지만, 7월에는 3연패를 기록했다.
1979년에는 신야마 타카시 1군 투수 코치와 맨투맨으로 허리 회전을 연구하여, 지금까지 언더스로이면서 허리 회전이 오버스로에 가까웠지만, 언더스로에 맞는 허리 회전으로 교정했다. 에이스인 다카하시 나오키와 헷갈릴 정도로 폼이 비슷했지만, 스트레이트와 두 종류의 커브에 떨어지는 슈트·싱커를 무기로, 선발 7경기를 포함한 자기 최다 39경기에 등판하여 규정 이닝도 클리어했다. 전년까지 7년간 통산 2승[5]이었지만, 단숨에 자기 최고의 9승을 거두었고, 방어율 3.47은 리그 7위에 올랐다. 대전 성적에서는 9승 중 4승이 세이부, 나머지 4승이 롯데·난카이에서 각각 1승씩 거둔 것이었다. 월간 성적에서는 8월에 4승, 5월과 9월에 2승씩 거두었다.
5월 24일 난카이전(고라쿠엔)에서 승리하여 2년 연속 아버지의 생일에 승리했으며, 자신의 생일인 8월 23일 롯데전(고라쿠엔)에서는 롯데가 동점을 만들고 4회부터 등판, 마운드에 오를 때 "오늘은 우다 투수의 생일입니다. 여러분 응원해주세요"라는 아나운스가 흘러나와, 스탠드는 환호했다[5]。2개의 홈런을 맞았지만, 끝까지 던져 5승을 기록했다[5]。
1980년 5월 13일 세이부전(고라쿠엔)에서는 0-0의 6회말, 여기까지 타율 .211로 부진했던 카시와바라 준이치가 팀 첫 안타가 되는 4호 3점 홈런을 쳐서 득점을 지원한 덕분에, 9년차 첫 완봉 승리를 기록했다. 한편 세이부 선발 시바타 야스미츠는 아슬아슬하게 노히트노런을 놓치는 호투를 펼쳤지만, 1구에 울었고, 경기 후에는 "두 번 다시 이런 경험은 하고 싶지 않다"라며 분해했다[6]。
리그 우승을 차지한 1981년은 5월 18일 한큐전(고라쿠엔)에서 선발 등판했지만, 아웃 카운트를 하나도 잡지 못하고 타구를 맞고 강판[7]하는 등 8경기 등판으로 끝났지만, 롯데와의 플레이오프에서는 5경기 중 2경기에 등판하여, 10월 12일 제4전(가와사키)에서 미즈카미 요시오에게 쐐기 3점 홈런을 맞았다. 모든 경기가 고라쿠엔에서 열린 요미우리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21일 제4전에서 4번째 투수로 등판했다. 1점 뒤진 6회부터 마운드에 올라 호투했지만, 7회에 선두 타자 카와노 카즈마사에게 볼넷을 내주었다. 우다는 카와노를 견제로 아웃시키려 했지만, 1, 2루에 낀 카와노는 카시와바라의 서투른 대응으로 살았고, 2루로 진루했으며, 도루가 기록되었다. 카와노가 다시 나카하타 키요시의 유격수 땅볼로 3루를 노린 것이 다카다 노부히로의 야수 선택을 유도하여 1사 1, 3루의 기회를 만들었다. 우다는 강판했고, 결국 이 회에 요미우리는 5번째 투수인 스기야마 토모타카로부터 아와구치 켄지의 적시 2루타, 하라 타츠노리의 3점 홈런과 야마쿠라 카즈히로의 연속 홈런으로 승부를 결정지었다[8]。
1982년 1월, 사카키바라 요시유키와의 트레이드로 한신 타이거스로 이적[9]。 구원 투수로 29경기에 등판했으며, 같은 해 시즌 오프에는 잔류 예정이었지만, 1년 만에 퇴단했다.
1983년에는 한국 프로 야구의 해태 타이거즈로 이적하여, 한국 이름 "주동식"으로 등록하여 선수 생활을 했다. 김응룡 감독 밑에서 김무종(기모토 시게미)와 배터리를 이루었고, 같은 해 30경기 등판·7승 3세이브를 거두어 한국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시리즈에서는 2승을 기록했고, 시상식에서는 우다와 기모토 두 사람에게 삼미의 복사경(장명부)가 다가가 "잘했다", "온 보람이 있다"라고 말을 걸어 그대로 셋이서 울었다[10]。 한국 시대에는 구단의 배려로 아파트에 들어갔지만, 전등 끈을 잡아당기자 전등과 함께 떨어졌고, 전기 밥솥과 텔레비전을 켰더니 차단기가 떨어졌다. 우다는 견딜 수 없는 기분이 되어, 어둠 속에서 잠시 멍하니 있었다[10]。 입단의 계기는 장훈으로부터 "이쪽(한국)에서 지도자를 찾고 있다"라는 말을 듣고, 우다 자신도 일본 프로의 기술과 경험 등을 가르치고 싶다는 마음이 있었기 때문이며, 계약금 때문은 아니었다[10]。 시리즈 전에는 시리즈가 끝난 다음 날 일본으로 돌아가겠다고 결정했고, 시리즈 도중에는 코치가 호텔의 우다와 기모토가 숙박하는 방에 와서, 일본어로 "두 사람 모두 잘 해줬다. 당신들 덕분에 팀이 좋아졌다"라는 감사의 말을 들어 감동했다[10]。 1984년에는 시즌 중이면서 일본으로 귀국했고, 그 해를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2. 1. 일본 프로야구 시절
1971년 닛폰햄 파이터스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1972년 4월 28일, 고라쿠엔 구장에서 열린 롯데 오리온스와의 4차전에 9회말에 여섯 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하여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데뷔전을 치렀다. 같은 해, 2군 리그에서 최우수 방어율 타이틀을 획득하며 가능성을 보였다. 1979년에는 투구 폼을 교정하고 선발 투수로 자리 잡으며 리그 정상급 성적을 기록했다.1982년 한신 타이거스로 이적하여 중간 계투로 활약했다. 1년 만에 팀을 떠나게 되면서 일본 프로 야구 경력을 마무리했다.
연도 | 소속 | 방어율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4구 | 승 | 패 | 세 | 이닝 | 타자 | 피안타 | 피홈런 | 4구 | 고의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승률 | WHIP | 비고 |
---|---|---|---|---|---|---|---|---|---|---|---|---|---|---|---|---|---|---|---|---|---|---|---|---|---|
1972 | 도에이 닛타쿠 니혼햄 | 4.86 | 12 | 0 | 0 | 0 | 0 | 0 | 0 | - | 16.2 | 70 | 20 | 4 | 4 | 1 | 1 | 10 | 0 | 0 | 11 | 9 | --- | 1.44 | |
1973 | 6.04 | 12 | 0 | 0 | 0 | 0 | 0 | 0 | - | 22.1 | 104 | 27 | 5 | 8 | 1 | 2 | 9 | 0 | 3 | 19 | 15 | --- | 1.57 | ||
1974 | 0.00 | 2 | 0 | 0 | 0 | 0 | 0 | 0 | 0 | 2.0 | 7 | 2 | 0 | 0 | 0 | 0 | 2 | 0 | 0 | 1 | 0 | --- | 1.00 | ||
1975 | 3.88 | 18 | 2 | 1 | 0 | 0 | 2 | 2 | 0 | 51 | 223 | 61 | 5 | 9 | 0 | 6 | 13 | 0 | 0 | 29 | 22 | 0.500 | 1.37 | ||
1976 | 0.00 | 1 | 0 | 0 | 0 | 0 | 0 | 0 | 0 | 3.1 | 17 | 4 | 0 | 1 | 0 | 0 | 0 | 0 | 0 | 1 | 0 | --- | 1.50 | ||
1977 | 4.54 | 13 | 4 | 0 | 0 | 0 | 0 | 1 | 0 | 37.2 | 157 | 38 | 4 | 7 | 0 | 2 | 9 | 1 | 0 | 19 | 19 | 0.000 | 1.19 | ||
1978 | 5.00 | 15 | 9 | 2 | 0 | 1 | 2 | 3 | 0 | 54 | 232 | 68 | 7 | 8 | 0 | 4 | 16 | 0 | 0 | 35 | 30 | 0.400 | 1.41 | ||
1979 | 3.47 | 39 | 7 | 2 | 0 | 0 | 9 | 3 | 0 | 135 | 555 | 151 | 15 | 20 | 3 | 7 | 34 | 0 | 0 | 61 | 52 | 0.750 | 1.27 | ||
1980 | 3.54 | 22 | 12 | 2 | 1 | 0 | 3 | 6 | 0 | 84 | 348 | 89 | 11 | 14 | 2 | 1 | 37 | 0 | 0 | 35 | 33 | 0.333 | 1.23 | ||
1981 | 6.08 | 8 | 5 | 1 | 0 | 0 | 0 | 3 | 0 | 23.2 | 114 | 37 | 3 | 3 | 1 | 3 | 9 | 0 | 0 | 21 | 16 | 0.000 | 1.69 | ||
1982 | 한신 | 29 | 0 | 0 | 0 | 0 | 0 | 0 | 1 | 0 | 42 | 173 | 35 | 5 | 11 | 1 | 4 | 16 | 0 | 0 | 15 | 12 | 0.000 | 1.10 | |
통산 | 11시즌 | 3.97 | 171 | 39 | 8 | 1 | 1 | 16 | 19 | 0 | 471.2 | 2000 | 532 | 59 | 85 | 9 | 30 | 155 | 1 | 3 | 247 | 208 | 0.457 | 1.31 |
- 첫 등판: 1972년 4월 28일, 롯데 오리온즈 4차전 (고라쿠엔 구장), 9회초 6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하여 1이닝 무실점
- 첫 탈삼진: 상동, 9회초 아리토시 미치요로부터
- 첫 승리: 1975년 8월 27일, 태평양 클럽 라이온즈 후기 11차전 (헤이와다이 야구장), 4회말 2사에서 2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하여 5⅓이닝 1실점
- 첫 선발·첫 선발 승리·첫 완투 승리: 1975년 9월 6일, 롯데 오리온즈 후기 7차전 (미야기 구장), 9이닝 1실점
- 첫 완봉 승리: 1980년 5월 13일, 서부 라이온즈 전기 8차전 (고라쿠엔 구장)
2. 1. 1. 닛폰햄 파이터스 시절
1971년 닛폰햄 파이터스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1972년 4월 28일, 고라쿠엔 구장에서 열린 롯데 오리온스와의 4차전에 9회말에 여섯 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하여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데뷔전을 치렀다. 같은 해, 2군 리그에서 최우수 방어율 타이틀을 획득하며 가능성을 보였다. 1979년에는 투구 폼을 교정하고 선발 투수로 자리 잡으며 리그 정상급 성적을 기록했다.2. 1. 2. 한신 타이거스 시절
1982년 한신 타이거스로 이적하여 중간 계투로 활약했다. 1년 만에 팀을 떠나게 되면서 일본 프로 야구 경력을 마무리했다.2. 2. KBO 리그 시절
1983년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한국 프로 야구와 인연을 맺었다. 해태 타이거즈에서 선발 투수로 활약하며 팀의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연도 | 소속 | 방어율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이닝 | 타자 | 피안타 | 피홈런 | 4구 | 고의사구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승률 | WHIP | 비고 |
---|---|---|---|---|---|---|---|---|---|---|---|---|---|---|---|---|---|---|---|---|---|---|
1983 | 해태 | 3.35 | 30 | 21 | 3 | 2 | 7 | 7 | 3 | 134.1 | 599 | 133 | 14 | 38 | 0 | 9 | 56 | 60 | 50 | 0.500 | 1.27 | |
1984 | 2.27 | 18 | 10 | 4 | 2 | 6 | 5 | 0 | 83.1 | 333 | 74 | 4 | 21 | 4 | 3 | 27 | 23 | 21 | 0.545 | 2.27 | ||
통산 | 2시즌 | 2.94 | 48 | 31 | 7 | 4 | 13 | 12 | 3 | 217.2 | 932 | 207 | 18 | 59 | 4 | 12 | 83 | 83 | 71 | 0.520 | 1.22 |
2. 2. 1. 해태 타이거즈 시절
1983년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주동식'이라는 한국 이름으로 등록했다. 김응용 감독의 지도 아래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팀의 핵심 투수로 자리 잡았다.1983년 한국시리즈 우승에 크게 기여하며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1984년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하고 한국을 떠났다.
3. 은퇴 이후
주동식은 은퇴 후 일본에서 야구 해설가로 활동하며 TCN 제작 닛폰햄 경기 중계 해설을 맡았다[12].[13].[14] 또한, TV 사이타마, 지바 TV, GAORA, 스포츠 아이 ESPN 등에서 해설을 했다. 마쓰자카 다이스케가 프로 첫 등판에서 첫 승을 거둔 경기의 해설을 맡기도 했다.[11]
부터 까지는 친정팀 해태 타이거즈에서 투수 코치를 맡았다.[10]
귀국 후에는 TV 사이타마 해설자( - )를 맡았다.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고치 파이팅 독스에 민기환을 소개했고, 이승엽이 일본에 올 때 상담을 받는 등, 일본에서 활약하는 한국인 선수들의 좋은 상담 상대였다.
3. 1. 해설가 활동
3. 2. 코치 활동
4. 평가
주동식은 선수 시절 뛰어난 실력과 성실한 태도로 팀에 헌신했던 선수로 평가받는다. 특히 KBO 리그 초창기 해태 타이거즈의 우승을 이끌며 한국 야구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1983년 해태 타이거즈로 이적하여 30경기에 등판, 7승 7패 3세이브를 기록하며 한국 시리즈 우승에 공헌하였다.
일본 프로 야구 닛폰햄 파이터스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1979년에는 선발 투수로 39경기에 등판하여 9승 3패, 방어율 3.47을 기록하며 리그 7위에 올랐다. 1982년에는 한신 타이거스로 이적하여 중견 투수로 활약했다. 은퇴 후에는 일본에서 야구 해설가로 활동했으며, 2002년부터 2003년까지 KIA 타이거즈 투수 코치를 맡기도 했다.
진보적인 관점에서 볼 때, 주동식은 국적을 넘어 스포츠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교류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는 일본과 한국 양국 리그에서 모두 선수 생활을 했으며, 은퇴 후에도 양국 야구 교류에 힘썼다. 특히 일본에서 활동할 당시 이승엽을 비롯한 한국 선수들의 좋은 상담 상대가 되어 주었다.
다만, 2012년에는 풍속영업법 위반 혐의로 체포된 사건[16]은 그의 경력에 오점으로 남아있다.
5. 논란
6. 통산 기록
연도 | 소속 | 방어율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4구 | 승 | 패 | 세 | 이닝 | 타자 | 피안타 | 피홈런 | 4구 | 고의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승률 | WHIP | 비고 |
---|---|---|---|---|---|---|---|---|---|---|---|---|---|---|---|---|---|---|---|---|---|---|---|---|---|
1972 | 도에이 닛타쿠 니혼햄 | 4.86 | 12 | 0 | 0 | 0 | 0 | 0 | 0 | - | 16.2 | 70 | 20 | 4 | 4 | 1 | 1 | 10 | 0 | 0 | 11 | 9 | --- | 1.44 | |
1973 | 6.04 | 12 | 0 | 0 | 0 | 0 | 0 | 0 | - | 22.1 | 104 | 27 | 5 | 8 | 1 | 2 | 9 | 0 | 3 | 19 | 15 | --- | 1.57 | ||
1974 | 0.00 | 2 | 0 | 0 | 0 | 0 | 0 | 0 | 0 | 2.0 | 7 | 2 | 0 | 0 | 0 | 0 | 2 | 0 | 0 | 1 | 0 | --- | 1.00 | ||
1975 | 3.88 | 18 | 2 | 1 | 0 | 0 | 2 | 2 | 0 | 51 | 223 | 61 | 5 | 9 | 0 | 6 | 13 | 0 | 0 | 29 | 22 | 0.500 | 1.37 | ||
1976 | 0.00 | 1 | 0 | 0 | 0 | 0 | 0 | 0 | 0 | 3.1 | 17 | 4 | 0 | 1 | 0 | 0 | 0 | 0 | 0 | 1 | 0 | --- | 1.50 | ||
1977 | 4.54 | 13 | 4 | 0 | 0 | 0 | 0 | 1 | 0 | 37.2 | 157 | 38 | 4 | 7 | 0 | 2 | 9 | 1 | 0 | 19 | 19 | 0.000 | 1.19 | ||
1978 | 5.00 | 15 | 9 | 2 | 0 | 1 | 2 | 3 | 0 | 54 | 232 | 68 | 7 | 8 | 0 | 4 | 16 | 0 | 0 | 35 | 30 | 0.400 | 1.41 | ||
1979 | 3.47 | 39 | 7 | 2 | 0 | 0 | 9 | 3 | 0 | 135 | 555 | 151 | 15 | 20 | 3 | 7 | 34 | 0 | 0 | 61 | 52 | 0.750 | 1.27 | ||
1980 | 3.54 | 22 | 12 | 2 | 1 | 0 | 3 | 6 | 0 | 84 | 348 | 89 | 11 | 14 | 2 | 1 | 37 | 0 | 0 | 35 | 33 | 0.333 | 1.23 | ||
1981 | 6.08 | 8 | 5 | 1 | 0 | 0 | 0 | 3 | 0 | 23.2 | 114 | 37 | 3 | 3 | 1 | 3 | 9 | 0 | 0 | 21 | 16 | 0.000 | 1.69 | ||
1982 | 한신 | 29 | 0 | 0 | 0 | 0 | 0 | 1 | 0 | 42 | 173 | 35 | 5 | 11 | 1 | 4 | 16 | 0 | 0 | 15 | 12 | 0.000 | 1.10 | ||
통산 | 11시즌 | 3.97 | 171 | 39 | 8 | 1 | 1 | 16 | 19 | 0 | 471.2 | 2000 | 532 | 59 | 85 | 9 | 30 | 155 | 1 | 3 | 247 | 208 | 0.457 | 1.31 |
도에이(도에이 플라이어스)는 1973년 닛타쿠(닛타쿠 홈 플라이어스)로, 1974년 닛폰햄(닛폰햄 파이터스)으로 구단명을 변경.
연도 | 소속 | 방어율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이닝 | 타자 | 피안타 | 피홈런 | 4구 | 고의사구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승률 | WHIP | 비고 |
---|---|---|---|---|---|---|---|---|---|---|---|---|---|---|---|---|---|---|---|---|---|---|
1983 | 해태 | 3.35 | 30 | 21 | 3 | 2 | 7 | 7 | 3 | 134.1 | 599 | 133 | 14 | 38 | 0 | 9 | 56 | 60 | 50 | 0.500 | 1.27 | |
1984 | 2.27 | 18 | 10 | 4 | 2 | 6 | 5 | 0 | 83.1 | 333 | 74 | 4 | 21 | 4 | 3 | 27 | 23 | 21 | 0.545 | 2.27 | ||
통산 | 2시즌 | 2.94 | 48 | 31 | 7 | 4 | 13 | 12 | 3 | 217.2 | 932 | 207 | 18 | 59 | 4 | 12 | 83 | 83 | 71 | 0.520 | 1.22 |
주동식은 KBO 리그에서 2시즌 동안 활동하며 통산 48경기에 등판해 31경기 선발, 7번의 완투와 4번의 완봉을 기록했다. 13승 12패 3세이브, 평균자책점 2.94를 기록했다.
6. 1. 일본 프로야구 통산 기록
연도 | 소속 | 방어율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4구 | 승 | 패 | 세 | 이닝 | 타자 | 피안타 | 피홈런 | 4구 | 고의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승률 | WHIP | 비고 |
---|---|---|---|---|---|---|---|---|---|---|---|---|---|---|---|---|---|---|---|---|---|---|---|---|---|
1972 | 도에이 닛타쿠 니혼햄 | 4.86 | 12 | 0 | 0 | 0 | 0 | 0 | 0 | - | 16.2 | 70 | 20 | 4 | 4 | 1 | 1 | 10 | 0 | 0 | 11 | 9 | --- | 1.44 | |
1973 | 6.04 | 12 | 0 | 0 | 0 | 0 | 0 | 0 | - | 22.1 | 104 | 27 | 5 | 8 | 1 | 2 | 9 | 0 | 3 | 19 | 15 | --- | 1.57 | ||
1974 | 0.00 | 2 | 0 | 0 | 0 | 0 | 0 | 0 | 0 | 2.0 | 7 | 2 | 0 | 0 | 0 | 0 | 2 | 0 | 0 | 1 | 0 | --- | 1.00 | ||
1975 | 3.88 | 18 | 2 | 1 | 0 | 0 | 2 | 2 | 0 | 51 | 223 | 61 | 5 | 9 | 0 | 6 | 13 | 0 | 0 | 29 | 22 | 0.500 | 1.37 | ||
1976 | 0.00 | 1 | 0 | 0 | 0 | 0 | 0 | 0 | 0 | 3.1 | 17 | 4 | 0 | 1 | 0 | 0 | 0 | 0 | 0 | 1 | 0 | --- | 1.50 | ||
1977 | 4.54 | 13 | 4 | 0 | 0 | 0 | 0 | 1 | 0 | 37.2 | 157 | 38 | 4 | 7 | 0 | 2 | 9 | 1 | 0 | 19 | 19 | 0.000 | 1.19 | ||
1978 | 5.00 | 15 | 9 | 2 | 0 | 1 | 2 | 3 | 0 | 54 | 232 | 68 | 7 | 8 | 0 | 4 | 16 | 0 | 0 | 35 | 30 | 0.400 | 1.41 | ||
1979 | 3.47 | 39 | 7 | 2 | 0 | 0 | 9 | 3 | 0 | 135 | 555 | 151 | 15 | 20 | 3 | 7 | 34 | 0 | 0 | 61 | 52 | 0.750 | 1.27 | ||
1980 | 3.54 | 22 | 12 | 2 | 1 | 0 | 3 | 6 | 0 | 84 | 348 | 89 | 11 | 14 | 2 | 1 | 37 | 0 | 0 | 35 | 33 | 0.333 | 1.23 | ||
1981 | 6.08 | 8 | 5 | 1 | 0 | 0 | 0 | 3 | 0 | 23.2 | 114 | 37 | 3 | 3 | 1 | 3 | 9 | 0 | 0 | 21 | 16 | 0.000 | 1.69 | ||
1982 | 한신 | 29 | 0 | 0 | 0 | 0 | 0 | 1 | 0 | 42 | 173 | 35 | 5 | 11 | 1 | 4 | 16 | 0 | 0 | 15 | 12 | 0.000 | 1.10 | ||
통산 | 11시즌 | 3.97 | 171 | 39 | 8 | 1 | 1 | 16 | 19 | 0 | 471.2 | 2000 | 532 | 59 | 85 | 9 | 30 | 155 | 1 | 3 | 247 | 208 | 0.457 | 1.31 |
도에이(도에이 플라이어스)는 1973년 닛타쿠(닛타쿠 홈 플라이어스)로, 1974년 닛폰햄(닛폰햄 파이터스)으로 구단명을 변경.
6. 2. KBO 리그 통산 기록
연도 | 소속 | 방어율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이닝 | 타자 | 피안타 | 피홈런 | 4구 | 고의사구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승률 | WHIP | 비고 |
---|---|---|---|---|---|---|---|---|---|---|---|---|---|---|---|---|---|---|---|---|---|---|
1983 | 해태 | 3.35 | 30 | 21 | 3 | 2 | 7 | 7 | 3 | 134.1 | 599 | 133 | 14 | 38 | 0 | 9 | 56 | 60 | 50 | 0.500 | 1.27 | |
1984 | 2.27 | 18 | 10 | 4 | 2 | 6 | 5 | 0 | 83.1 | 333 | 74 | 4 | 21 | 4 | 3 | 27 | 23 | 21 | 0.545 | 2.27 | ||
통산 | 2시즌 | 2.94 | 48 | 31 | 7 | 4 | 13 | 12 | 3 | 217.2 | 932 | 207 | 18 | 59 | 4 | 12 | 83 | 83 | 71 | 0.520 | 1.22 |
주동식은 KBO 리그에서 2시즌 동안 활동하며 통산 48경기에 등판해 31경기 선발, 7번의 완투와 4번의 완봉을 기록했다. 13승 12패 3세이브, 평균자책점 2.94를 기록했다.
7. 출신 학교
- 타쿠쇼쿠대학제일고등학교
- 주오대학
참조
[1]
간행물
12球団全選手カラー百科名鑑2000
日本スポーツ出版社
2000-03
[2]
주간지
宇田東植(北海道日本ハムファイターズ|東映フライヤーズ)に30の質問
週刊ベースボール
1972-08-14
[3]
뉴스
宇田がプロ入り初勝利
毎日新聞
1975-08-28
[4]
웹사이트
逮捕された元日ハム投手 現役時代は契約更改で驚異の粘りも
https://www.news-pos[...]
2022-12-14
[5]
뉴스
この日の顔 好救援で五勝 誕生日を飾る 日本ハム宇田投手
朝日新聞
1979-08-24
[6]
신문
日刊スポーツ
1980-05-14
[7]
웹사이트
岡部憲章 81年最優秀防御率に輝いた原辰徳の同級生/プロ野球1980年代の名選手
http://column.sp.bas[...]
[8]
신문
読売新聞
1981-10-22
[9]
뉴스
宇田(日ハム)と榊原(阪神)交換トレード
読売新聞
1982-01-24
[10]
서적
海峡を越えたホームラン―祖国という名の異文化
双葉社
1997-01-01
[11]
기타
1999年頃まで。TCN配給の他、テレビ埼玉自社制作の西武ライオンズビジターゲームにも出演。
[12]
웹사이트
逮捕された元プロ野球選手 韓国で投手コーチし人生狂ったか
https://news.livedoo[...]
[13]
웹사이트
☆Strike Zone☆ 韓国プロ野球応援! 韓国プロ野球トークライブ!
https://www.strike-z[...]
2022-12-14
[14]
웹사이트
日本ハム球団の歴史に泥塗った! OB投手が風営法違反で逮捕される (2012年11月10日) - エキサイト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2-12-14
[15]
기타
1975년 팀 창단 멤버로 입단했으나 정식 경기 출전이 무산되고 일본에서 선수 생활을 계속했다.
[16]
웹인용
逮捕された元プロ野球選手 韓国で投手コーチし人生狂ったか NEWS 포스트 세븐 2012-11-17
http://www.news-post[...]
2015-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