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쿠젠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쿠젠국은 과거 일본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후쿠오카현 서부 지역에 해당한다. 쓰쿠시 국에서 분할되어 7세기 말에 성립되었으며, 다자이후를 중심으로 사이카이도의 통치와 대외 교섭을 담당했다. 13세기에는 몽골의 침입을 받았고, 에도 시대에는 후쿠오카 번의 구로다 씨가 지배했다. 메이지 시대에 현으로 개편되었지만, 지명으로는 계속 사용되었다. 지쿠젠 국에는 다자이후 정청, 지쿠젠 고쿠분지 등의 주요 시설과 스미요시 신사, 하코자키 신사 등의 신사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쿠젠국 - 원나라의 일본 원정
    원나라의 일본 원정은 13세기 후반 쿠빌라이 칸이 일본을 정복하려 두 차례 시도한 원정으로, 몽골, 고려, 중국 군대가 참여했으나 두 번 모두 태풍으로 인해 실패하고 일본 가마쿠라 막부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 지쿠젠국 - 후쿠오카성
    후쿠오카성은 구로다 나가마사에 의해 축성되어 마이즈루 공원과 오호리 공원으로 조성되었으며, 일부 건물과 성벽이 남아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일본 100대 명성에 선정되었다.
  • 사이카이도 - 사쓰마국
    사쓰마국은 현재의 가고시마현에 해당하는 과거 일본의 행정 구역으로, 702년 설치되어 시마즈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며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어 가고시마현이 되었다.
  • 사이카이도 - 히고국
    히고국은 7세기 중엽 히노쿠니에서 분할되어 성립된 일본의 옛 구니로, 현재의 구마모토현 대부분과 미야자키현 일부를 포함하며, 센고쿠 시대 일본 기독교의 중심지였고, 미야모토 무사시가 『오륜서』를 완성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 후쿠오카현의 역사 - 후쿠오카번
    후쿠오카번은 1600년 구로다 나가마사가 지쿠젠국에 봉해지면서 성립되었으며, 구로다 가문이 도쿠가와 막부로부터 우대를 받고 번교를 설립했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폐번되어 후쿠오카현이 되었다.
  • 후쿠오카현의 역사 - 부젠국
    부젠국은 규슈 북부에 위치했던 옛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후쿠오카현과 오이타현 일부 지역이며, 고분시대에는 豊国造와 宇佐国造가 다스렸고, 에도 시대에는 고쿠라번의 지배를 받았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후쿠오카현과 오이타현에 편입되었다.
지쿠젠국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국명지쿠젠국 (筑前国)
별칭지쿠슈(筑州)
다른 별칭지쿠요(筑陽)
소속사이카이도(西海道)
영역후쿠오카현(福岡県) 서부
국력상국(上国)
거리원국(遠国)
15군 102향
국부(추정) 후쿠오카현 다자이후시(太宰府市)
국분사후쿠오카현 다자이후시 (지쿠젠국분사지)
국분니사후쿠오카현 다자이후시
이치노미야스미요시 신사(住吉神社)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福岡市))
로마자 표기
로마자 표기Chikuzen-no kuni
일본어 표기
일본어 표기筑前国
일본어 (별칭)筑州 (ちくしゅう)
일본어 (다른 별칭)筑陽 (ちくよう)

2. 역사

지쿠젠국은 7세기 말 쓰쿠시국지쿠고국과 함께 분할되면서 성립되었다. 다자이후시에서 출토된 7세기 후반의 것으로 추정되는 목간에는 "竺志前國"이라고 적혀 있다.

1019년에는 도이의 입구 사건이 발생했다.

1567년에는 아키즈키 다네자네와 오토모 소린(다치바나 도세쓰 등) 사이에 야스마쓰 전투가 벌어졌다.

1569년에는 오토모 소린모리 모토나리 사이에 다타라하마 전투가 벌어졌다.

1586년에는 시마즈(시마즈 다다나가)와 다카하시 쇼운 사이에 이와야성 전투가 벌어졌다.

2. 1. 고대

다자이후 정청 터


지쿠젠국에는 다자이후가 설치되어 일본 사이카이도(西海道) 관내 영제국의 통할과 대외 교섭을 맡아 행하였다. 다자이후 정청(政庁) 터는 후쿠오카현 다자이후시(太宰府市)에 소재하며 일본의 특별사적이다. 발굴 조사를 통해 7세기 후반부터 11세기 후반에 걸치는 유구가 확인되었다. 지쿠젠국의 고쿠후는 미카사군(御笠郡)에 위치하였으며, 지금의 다자이후시 다자이후와 가까운 곳으로 추정되나 유구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에키린본(易林本) 《절용집》(節用集)에는 "죠자군(上座郡)에 고쿠후 및 다자이(大宰)"라고 기재되어 있다.

고대 쓰쿠시국야요이 시대의 주요 권력 중심지였으며, 아시아 본토와 교류가 있었다. 1세기와 2세기 한나라이십사사, 3세기 『삼국지』, 6세기 『수서』에 언급된 야마타이국의 위치였을 가능성이 있다. 고분 시대에는 많은 고분이 건설되었고, 이 지역은 "쓰쿠시 국조"라는 칭호를 가진 강력한 씨족이 통치하였다. 일본의 반신화적인 14대 통치자 주아이 천황은 현재 가시이궁인 지쿠젠에 궁궐을 두었다고 전해진다. 이 지역은 진구 황후의 한국 정복(전설) 출발점이자, 중국, 신라, 백제에서 온 많은 도래인 이주민들의 정착 지역이었다. 527년에는 야마토 지배에 반대하는 신라를 지지하는 라이벌 세력 간의 이와이 반란이 발생했다. 531년에는 북위에서 승려 젠쇼가 도착하여 슈겐도를 창시했다. 663년, 백강 전투에서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게 패배한 야마토 정부는 지역 군사 및 행정 중심지로 다자이후를 설치하기로 결정했고, 701년 다이카 개신과 율령 제도 수립 이후 쓰쿠시국은 지쿠젠국과 지쿠고국으로 나뉘었다.

지쿠젠국의 고쿠후는 현재 다자이후시의 일부에 위치했던 것으로 여겨지지만, 정확한 위치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지쿠젠코쿠분지 유적은 같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본 사적이다. 지쿠젠국의 이치노미야는 스미요시 신사 (후쿠오카시)로, 후쿠오카시 하카타구에 위치하지만, 초기 기록에는 하코자키궁이 이치노미야였다고 나와있다.[2]

쓰쿠시국지쿠고국과 함께 7세기 말까지 분할되어 성립되었다. 7세기 후반 것으로 보이는 다자이후시에서 출토된 가장 오래된 「호적」 목간에는 「竺志前國」이라고 적혀 있다.

2. 2. 중세

1274년부터 1281년까지 분에이(文永) ・ 고안(弘安)의 역(여몽연합군의 일본원정)이 있었다. 13세기 말, 지쿠젠은 몽골의 일본 원정 때 몽골군이 상륙한 지점이었으나, 주력 부대는 태풍(후에 가미카제라고 불림)에 의해 괴멸되었다.[2]

1336년 다타라하마 전투(多々良浜の戦い)에서는 북조의 아시카가 다카우지(足利尊氏), 쇼니 요리히사(少弐頼尚)가 남조의 기쿠치 다케토시(菊池武敏), 아소 고레나오(阿蘇惟直)와 전투를 벌였다. 같은 해 4월, 기쿠치 씨(菊池氏)의 기쿠치 다케토시는 쇼니 씨(少弐氏)의 거점인 다자이후시(太宰府)를 공격했으나, 고다이고 천황(後醍醐天皇)에 대항해 아시카가 다카우지와 동맹을 맺고 있던 쇼니 씨는 패배했고, 지도자인 쇼니 사다쓰네를 포함한 여러 씨족 구성원이 자결했다.[3]

2. 3. 근세

에도 시대의 지쿠젠은 메이지 유신까지 후쿠오카 번의 쿠로다 씨가 지배하였다.

막말 번[4]
명칭씨족유형고쿠다카
후쿠오카 번
쿠로다 씨토자마 다이묘523000곡
-- 아키즈키 번쿠로다 씨토자마 다이묘50000곡



메이지 시대 초기, 국가 자원에 대한 공식 정부 평가인 旧高旧領取調帳|규다카 구료토리시라베초일본어에 따르면, 지쿠젠 국에는 총 633434곡의 석고를 가진 862개의 마을이 있었다.

지쿠고 국의 군
고쿠다카마을 수지배자비고
카스야 군62854곡85개 마을후쿠오카
무나카타 군56306곡60개 마을후쿠오카해체
온가 군54956곡85개 마을후쿠오카
쿠라테 군60628곡68개 마을후쿠오카
호나미 군38103곡61개 마을후쿠오카, 아키즈키1896년 2월 26일, 카마 군과 합쳐져 카호 군이 됨
카마 군56306곡60개 마을후쿠오카, 아키즈키1896년 2월 26일, 호나미 군과 합쳐져 카호 군이 됨
죠자 군25596곡34개 마을후쿠오카1896년 2월 26일, 게자 군, 야스 군과 합쳐져 아사쿠라 군이 됨
게자 군21436곡44개 마을후쿠오카, 아키즈키1896년 2월 26일, 죠자 군, 야스 군과 합쳐져 아사쿠라 군이 됨
야스 군40286곡54개 마을후쿠오카, 아키즈키1896년 2월 26일, 게자 군, 죠자 군과 합쳐져 아사쿠라 군이 됨
미카사 군37512곡57개 마을후쿠오카1896년 2월 26일, 무시로다 군, 나카 군과 합쳐져 치쿠시 군이 됨
나카 군42611곡70개 마을후쿠오카1896년 2월 26일, 미카사 군, 무시로다 군과 합쳐져 치쿠시 군이 됨
무시로다 군9899곡9개 마을후쿠오카1896년 2월 26일, 미카사 군, 나카 군과 합쳐져 치쿠시 군이 됨
사와라 군45153곡53개 마을후쿠오카해체
시마 군44058곡48개 마을후쿠오카1896년 2월 26일, 이토 군과 합쳐져 이토시마 군이 됨
이토 군47681곡71개 마을후쿠오카1896년 2월 26일, 시마 군과 합쳐져 이토시마 군이 됨


2. 4. 근대 이후

메이지 시대에 일본의 각국은 현으로 개편되었지만,[4] 국의 명칭은 일부 목적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지쿠젠은 1894년 (a) 일본과 미국 사이, (b) 일본과 영국 사이의 조약에서 명시적으로 인정되었다.[5] 또한 지쿠호 본선(JR 규슈)과 지쿠젠하부역, 지쿠젠우에키역과 같은 지명에도 남아 있다. 인접한 하루다 선에는 지쿠젠우치노역지쿠젠야마에역이 있으며, 이는 철도망이 건설된 당시의 지역을 반영한다.

에도 시대의 지쿠젠은 메이지 유신까지 후쿠오카번의 구로다 씨의 지배하에 있었다.

막말 번
명칭씨족유형고쿠다카
후쿠오카번구로다 씨토자마 다이묘523000곡
-- 아키즈키번구로다 씨토자마 다이묘50000곡



초기 메이지 시대의 旧高旧領取調帳|규다카큐료토리시라베초일본어 (국가 자원에 대한 공식 정부 평가)에 따르면, 지쿠젠 국에는 총 633434곡의 석고를 가진 마을 862개가 있었다. 지쿠젠 국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지쿠고 국의 군
고쿠다카마을 수지배자비고
카스야 군62854곡85개 마을후쿠오카
무나카타 군56306곡60개 마을후쿠오카해체
온가 군54956곡85개 마을후쿠오카
쿠라테 군60628곡68개 마을후쿠오카
호나미 군38103곡61개 마을후쿠오카, 아키즈키1896년 2월 26일, 카마 군과 합쳐져 카호 군이 됨
카마 군56306곡60개 마을후쿠오카, 아키즈키1896년 2월 26일, 호나미 군과 합쳐져 카호 군이 됨
죠자 군25596곡34개 마을후쿠오카1896년 2월 26일, 게자 군, 야스 군과 합쳐져 아사쿠라 군이 됨
게자 군21436곡44개 마을후쿠오카, 아키즈키1896년 2월 26일, 죠자 군, 야스 군과 합쳐져 아사쿠라 군이 됨
야스 군40286곡54개 마을후쿠오카, 아키즈키1896년 2월 26일, 게자 군, 죠자 군과 합쳐져 아사쿠라 군이 됨
미카사 군37512곡57개 마을후쿠오카1896년 2월 26일, 무시로다 군, 나카 군과 합쳐져 치쿠시 군이 됨
나카 군42611곡70개 마을후쿠오카1896년 2월 26일, 미카사 군, 무시로다 군과 합쳐져 치쿠시 군이 됨
무시로다 군9899곡9개 마을후쿠오카1896년 2월 26일, 미카사 군, 나카 군과 합쳐져 치쿠시 군이 됨
사와라 군45153곡53개 마을후쿠오카해체
시마 군44058곡48개 마을후쿠오카1896년 2월 26일, 이토 군과 합쳐져 이토시마 군이 됨
이토 군47681곡71개 마을후쿠오카1896년 2월 26일, 시마 군과 합쳐져 이토시마 군이 됨


3. 주요 시설 및 유적



지쿠젠 국에는 다자이후가 설치되어 일본 서해도(西海道) 관내 영제국의 통할과 대외 교섭을 맡았다. 다자이후 정청(政庁) 터는 후쿠오카현 다자이후시에 있으며 일본의 특별 사적이다. 발굴 조사를 통해 7세기 후반부터 11세기 후반에 걸치는 유구가 확인되었다.

지쿠젠 국의 고쿠후는 미카사 군(御笠郡)에 있었다. 지금의 다자이후시 다자이후와 가까운 곳으로 추정되지만, 유구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에키린본(易林本) 《절용집》(節用集)에는 「조자 군(上座郡)에 고쿠후 및 다자이(大宰)」라고 적혀 있다.

3. 1. 국내 시설

지쿠젠국에는 천황의 궁으로 다음과 같은 시설들이 있었다.

지쿠젠 고쿠분지 터

  • 지쿠젠 고쿠분지터(筑前国分寺跡) (다자이후시 고쿠분): 일본의 국가사적. 추정 사역(寺域)은 사방 약 192미터로 중문(中門), 금당(金堂), 강당(講堂)이 있었고 중문으로 나와서 금당에 딸린 회랑 내부에 7층탑이 있는 가람배치였다. 절터 위의 용두광산 고쿠분지(龍頭光山国分寺)가 절의 명맥을 잇고 있다.[1]

  • 지쿠젠 고쿠분니지(다자이후 시 고쿠분): 승사(僧寺)의 서쪽 약 100미터 위치에 소재. 발굴 조사를 통해 굴립주(掘立柱) 양식의 건물, 동쪽 외곽선이 확인되었으며, 주춧돌 몇 개가 남아 있다.[1]


고쿠분지, 고쿠분니지 주변에서는 기와를 굽던 가마의 흔적이 발견되고 있으며, 절터와 마찬가지로 일본의 국가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1]

3. 2. 신사

延喜式 神名帳에는 대사(大社) 16좌 8사, 소사(小社) 3좌 3사, 총 19좌 10사가 기록되어 있다. 대사 8사는 다음과 같으며, 모두 명신대사이다.

지쿠젠국의 이치노미야는 스미요시 신사(후쿠오카시 하카타구 스미요시)이다.[2] 중세 말기 이후로는 하코자키궁(후쿠오카시 동구 하코자키)을 이치노미야로 보는 자료도 있으며, 현재는 하코자키궁도 전국이치노미야회에 가입해 있다.[7] 에도 시대에는 북두궁도 지쿠젠 15사의 이치노미야로 칭해졌다. 이궁(二宮) 이하는 불명이다. 총사(總社)는 불명이다.

3. 3. 안국사(安国寺)와 이생탑(利生塔)


  • 지쿠젠 국분사터(筑前国分寺跡)
  • : 국가사적. 추정 사찰 영역은 약 192m 사방이다. 중문(中門), 금당(金堂), 강당(講堂)을 배치하고, 중문에서 나와 금당에 이르는 회랑 내부에 칠중탑(七重塔)을 배치한 가람 배치이다. 터 위에 있는 용두광산 국분사(龍頭光山国分寺)가 불법을 계승한다.
  • 지쿠젠 국분니사터(筑前国分尼寺跡)
  • : 사적 지정 없음. 승원의 서쪽 약 100m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에서 굴립주 건물과 동쪽 외곽선이 확인되었고, 초석 몇 개가 남아 있다.
  • 국분사와 국분니사 주변에서는 기와가마 유적도 발견되었다(국분 기와가마터(国分瓦窯跡), 국가사적).
  • 경복안국사(景福安国寺) - 후쿠오카현 가마시 시모야마다.

4. 영역

메이지 유신 직전의 지쿠젠 국의 영역은 현재의 후쿠오카현 내 다음 지역에 해당한다.


5. 인물

지쿠젠국은 역사적으로 여러 인물들과 관련이 깊다.

고분 시대에는 "쓰쿠시 국조"라는 칭호를 가진 강력한 씨족이 이 지역을 통치했다. 일본의 반신화적인 14대 통치자인 주아이 천황은 현재 가시이 신사인 지쿠젠에 궁궐을 두었다고 전해진다.

527년에는 야마토 정권에 반대하는 신라를 지지하는 세력 간의 이와이 반란이 일어났다. 531년에는 북위에서 승려 젠쇼가 도착하여 슈겐도를 창시했다.

1195년 무토 스케요리(武藤資頼)가 지쿠젠 국의 슈고를 처음 맡았다. 이후 슈고는 쇼니 스케요시(少弐資能)(1227년~1273년), 쇼니 쓰네스케(少弐経資)(1273년~), 쇼니 모리쓰네(少弐盛経)(1294년~1304년), 쇼니 사다쓰네(少弐貞経)(1316년~1333년) 등으로 이어졌다.

에도 시대의 지쿠젠은 메이지 유신까지 후쿠오카 번의 구로다 씨가 지배했다.

하위 섹션에서 구니노쓰카사(国司), 슈고(守護) 등에 대해 상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언급만 한다.

5. 1. 구니노쓰카사(国司)

율령제 하에서 지쿠젠국의 행정을 담당하는 최고 관직인 구니노쓰카사에 대해 서술한다. 구니노쓰카사는 중앙 정부에서 파견되어 지방 행정을 총괄하는 역할을 맡았다.

지쿠젠국의 구니노쓰카사 중 최고위직은 지쿠젠노카미(지쿠젠 수, 筑前守)였다. 지쿠젠노카미는 대체로 유력 가문 출신이 임명되었으며, 상당한 권한을 행사했다.

지쿠젠노카미에 임명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아카마쓰 사다노리
  • 미부 이네요시
  • 오다 요시요리
  • 시모마 래이슈
  • 오우치 요시타카
  • 미요시 나가요시
  • 바바 노부미쓰
  • 도요토미 히데요시
  • 마에다 도시이에
  • 구로다 나가마사 (후쿠오카 번 초대 번주)
  • 구로다 다다유키 (후쿠오카 번 제2대 번주)
  • 구로다 쓰구타카 (후쿠오카 번 제6대 번주)
  • 구로다 하루유키 (후쿠오카 번 제7대 번주)
  • 구로다 하루타카 (후쿠오카 번 제8대 번주)
  • 구로다 나리타카 (후쿠오카 번 제9대 번주)
  • 마에다 도시카네 (가가 번 제3대 번주)
  • 마에다 미쓰타카 (가가 번 제4대 번주)
  • 야스코라 마사츠네 (무쓰 아이즈 번 제2대 번주)
  • 도자와 마사나리 (데와 신조 번 제3대 번주의 적자)
  • 오다 나가쓰네 (야마토 야나기모토 번 제9대 번주)
  • 오다 히데와타 (야나기모토 번 제10대 번주)
  • 오다 노부나리 (야나기모토 번 제12대 번주)
  • 아키즈키 타네토모 (히우가 다카나베 번 제9대 번주)
  • 호리타 마사토시 (고즈케 아나카 번 주, 시모우사 후루카와 번, 로쥬(老中), 다이로(大老))
  • 오카베 나가히로 (이즈미 기시와다 번 제12대 번주)
  • 야마구치 히로아키 (히타치 우시쿠 번 제11대 번주)


하위 섹션인 "지쿠젠노카미(筑前守)"에 상세한 내용이 있으므로, 여기서는 주요 인물 목록만 간략하게 제시하고, 구로다 씨 가문처럼 반복되는 경우는 한 번만 언급한다.

5. 1. 1. 지쿠젠노카미(筑前守)


  • 아카마쓰 사다노리
  • 미부 이네요시
  • 오다 요시요리
  • 시모마 래이슈
  • 오우치 요시타카
  • 미요시 나가요시
  • 바바 노부미쓰
  • 도요토미 히데요시
  • 마에다 도시이에
  • 지쿠젠 후쿠오카 번 구로다가
  • * 구로다 나가마사: 초대 번주
  • * 구로다 타다유키: 제2대 번주
  • * 구로다 쓰구타카: 제6대 번주
  • * 구로다 하루유키: 제7대 번주
  • * 구로다 하루타카: 제8대 번주
  • * 구로다 나리타카: 제9대 번주
  • 기타
  • * 마에다 도시카네: 가가 번 제3대 번주
  • * 마에다 미쓰타카: 가가 번 제4대 번주
  • * 야스코라 마사츠네: 무쓰 아이즈 번 제2대 번주
  • * 토자와 마사나리: 데와 신조 번 제3대 번주의 적자
  • * 오다 나가쓰네: 야마토 야나기모토 번 제9대 번주
  • * 오다 히데와타: 야나기모토 번 제10대 번주
  • * 오다 노부나리: 야나기모토 번 제12대 번주
  • * 아키즈키 타네토모: 히우가 다카나베 번 제9대 번주
  • * 호리타 마사토시: 고즈케 아나카 번 주, 시모우사 후루카와 번, 로쥬(老中), 다이로(大老)
  • * 오카베 나가히로: 이즈미 기시와다 번 제12대 번주
  • * 야마구치 히로아키: 히타치 우시쿠 번 제11대 번주

5. 2. 슈고(守護)

1195년 무토 스케요리(武藤資頼)가 지쿠젠 국의 슈고(守護)를 처음 맡았다. 이후 슈고는 쇼니 스케요시(少弐資能)(1227년~1273년), 쇼니 쓰네스케(少弐経資)(1273년~), 쇼니 모리쓰네(少弐盛経)(1294년~1304년), 쇼니 사다쓰네(少弐貞経)(1316년~1333년) 등으로 이어졌다.

5. 2. 1. 가마쿠라 막부

13세기 말, 지쿠젠은 몽골의 일본 원정 당시 몽골군의 상륙 지점이었다. 그러나 몽골군의 주력 부대는 태풍(나중에 가미카제라고 불림)에 의해 괴멸되었다.[2]

1336년 4월, 키쿠치 다케토시는 쇼니 씨의 거점인 다자이후를 공격했다. 당시 쇼니 씨는 고다이고 천황에 대항하는 전투에서 아시카가 다카우지와 동맹을 맺고 있었다. 쇼니 씨는 패배했고, 쇼니 사다쓰네를 포함한 여러 씨족 구성원이 자결했다.[3]

지쿠젠 국의 슈고(守護)는 무토 스케요리(武藤資頼)가 1195년부터 1227년까지 처음 맡았으며, 이후 1227년부터 1273년까지는 쇼니 스케요시(少弐資能)가, 1273년부터는 쇼니 쓰네스케(少弐経資)가, 1294년부터 1304년까지는 쇼니 모리쓰네(少弐盛経)가, 그리고 1316년부터 1333년까지는 쇼니 사다쓰네(少弐貞経)가 맡았다.

5. 2. 2. 무로마치 막부

1336년 4월, 기쿠치 다케토시는 쇼니 씨의 거점인 다자이후를 공격했다. 당시 쇼니 씨는 고다이고 천황에 대항하는 전투에서 아시카가 다카우지와 동맹을 맺고 있었다. 쇼니 씨는 패배했고, 쇼니 사다쓰네를 포함한 여러 씨족 구성원이 자결했다.[3]

지쿠젠 국의 무로마치 막부 슈고는 다음과 같다.

  • ?~1334년 - 쇼니 사다쓰네(少弐貞経)
  • 1334년~1352년 - 쇼니 요리나가(少弐頼尚)
  • 1352년~1355년 - 잇시키 나오우지(一色直氏)
  • 1357년~? - 키쿠치 다케미쓰(菊池武光)
  • 1359년~1361년 - 쇼니 요리나가(少弐頼尚)
  • 1361년~1375년 - 쇼니 후유스케(少弐冬資)
  • 1375년 - 쇼니 요리쓰무(少弐頼澄)
  • 1375년~1387년 - 이마가와 사다요시(今川貞世)
  • 1387년~1404년 - 쇼니 사다요리(少弐貞頼)
  • 1408년~? - 쇼니 마사사다(少弐満貞)
  • ?~1441년 - 오우치 모토요(大内持世)
  • 1441년~1465년 - 오우치 노리히로(大内教弘)
  • 1465년~1495년 - 오우치 마사히로(大内政弘)
  • 1496년~1528년 - 오우치 요시오키(大内義興)
  • 1528년~1551년 - 오우치 요시타카(大内義隆)

5. 3. 센고쿠 시대(戦国時代)

1336년 다타라하마 전투에서 기쿠치 씨는 쇼니 씨의 거점인 다자이후시를 공격했으나, 아시카가 다카우지와 동맹을 맺은 쇼니 씨에게 패배하고 쇼니 사다쓰네 등 여러 씨족 구성원이 자결했다.[3]

13세기 말, 지쿠젠은 몽골의 일본 원정 때 몽골군 상륙 지점이었으나, 주력 부대는 태풍(가미카제)에 의해 괴멸되었다.

헤이안 시대 이래 명문이었던 소니씨(少弐氏)는 센고쿠 시대에 오우치씨(大内氏)의 침공을 받고 히젠국으로 후퇴했다가 1559년 가신이었던 류조지씨(龍造寺氏)에게 공격받아 멸망했다.[3]

분고국의 오토모씨(大友氏)는 오우치씨(大内氏) 멸망 후 쓰쿠시국 내 오우치 씨 영토를 편입하고 1559년 쓰쿠시 슈고가 되었다.

아키즈키씨(秋月氏)는 소니씨(少弐氏), 오우치씨(大内氏), 오토모씨(大友氏)로 주군을 바꾸다 센고쿠 시대 말기 시마즈씨(島津氏)와 연합하여 오토모씨(大友氏)에 대항, 쓰쿠시국·지쿠고국·부젠국에 36만 석의 세력을 확보했다.

5. 3. 1. 센고쿠 다이묘(戦国大名)

헤이안 시대 이래의 명문이었던 소니씨(少弐氏)는 센고쿠 시대에 스오국의 오우치씨(大内氏)의 침공을 받고 히젠국으로 후퇴했다. 1559년, 가신이었던 류조지씨(龍造寺氏)에게 공격받아 멸망했다.[3]

스오국을 근거지로 하고 부젠국도 영토로 하고 있었던 오우치씨(大内氏)는 오닌의 난(応仁の乱) 이후 쓰쿠시국에도 진출하여 분고국의 오토모씨(大友氏)와 싸움을 벌였다.

분고국을 근거지로 하였던 오토모씨(大友氏)는 오우치씨(大内氏) 멸망 후, 쓰쿠시국 내의 오우치 씨 영토를 자기 영토에 편입하고, 1559년에는 쓰쿠시 슈고가 되었다. 류조지씨(龍造寺氏), 시마즈씨(島津氏)에게 패배한 후 쇠퇴하여 쓰쿠시국에 대한 영향력도 잃었다.

아키즈키씨(秋月氏)는 소니씨(少弐氏), 오우치씨(大内氏), 오토모씨(大友氏)로 주군을 바꾸었으나, 센고쿠 시대 말기에는 시마즈씨(島津氏)와 손을 잡고 오토모씨(大友氏)에 대항하여 쓰쿠시국·지쿠고국·부젠국에 추정 36만 석의 세력 범위를 얻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九州征伐)에 패배하여 휴가국 다카나베로 이봉되었다.

무나카타씨(宗像氏)는 무나카타 대사의 다이구지(大宮司)로, 유력한 수군을 가지고 있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九州征伐) 직전에 멸망했다.

5. 3. 2. 도요토미 정권의 다이묘

5. 4. 근세의 다이묘

에도 시대 지쿠젠은 메이지 유신까지 후쿠오카 번의 구로다 씨가 지배했다.

막말 번
명칭씨족유형고쿠다카
후쿠오카 번구로다 씨도자마 다이묘523000곡
-- 아키즈키 번구로다 씨도자마 다이묘50000곡

[4]

6. 지쿠젠국의 전투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Google Books)
[2] 웹사이트 Nationwide List of Ichinomiya http://eos.kokugakui[...] 2012-10-26
[3]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Stan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Provinces and prefectures https://books.google[...]
[5] 서적 A digest of international law as embodied in diplomatic discussions, treaties and other international agreements https://archive.org/[...]
[6] 문서 별칭「筑州」는, 筑後国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의 호칭.
[7] 서적 중세제국일궁제의 기초연구 이와타서원
[8] 서적 일본사총람 2 신인물왕래사 신인물왕래사 1984-01
[9] 서적 일본사총람 2 신인물왕래사 신인물왕래사 198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