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오카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쿠오카번은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구로다 나가마사가 지쿠젠국에 봉해지면서 성립된 번이다. 도쿠가와 막부로부터 구로다 가문은 우대를 받았으며, 2대 번주부터는 마쓰다이라 성과 쇼군의 이름 한 글자를 하사받았다. 1784년에는 번교인 슈유칸과 간토칸을 설립하였고, 막말에는 존왕양이 운동을 지지했으나, 1865년의 제1차 조슈 정벌에 반대하기도 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위조지폐 사건으로 인해 1871년 폐번되었고, 후쿠오카현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쿠오카번 - 니텐이치류
미야모토 무사시가 창시한 니텐이치류는 이도류 검술을 중심으로 다양한 무기술을 포함하며, 에도 시대에 여러 계통으로 나뉘어 현재는 노다파와 산토파를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는 일본 검술 유파이다. - 지쿠젠국의 번 - 나카쓰번
나카쓰번은 에도 시대 부젠국 나카쓰 지역을 다스린 번으로, 구로다 씨가 처음 다스렸으나 이후 호소카와 씨, 오가사와라 씨를 거쳐 오쿠다이라 씨가 155년간 통치하며 후쿠자와 유키치와 같은 인재를 배출하여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다. - 지쿠젠국의 번 - 쓰시마 후추번
쓰시마 후추번은 에도 시대 쓰시마섬을 다스린 소 씨가 다이묘로서 조선과의 외교와 무역을 독점하며 존속한 번으로, 막부 외교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폐번치현되었다. - 후쿠오카 구로다가 - 구로다 나가마사
구로다 나가마사는 일본 전국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활동한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 인질 생활과 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 참전을 거쳐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워 후쿠오카 번 초대 번주가 되었으며, 임진왜란 참전과 잔혹 행위에 대한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 후쿠오카 구로다가 - 후쿠오카성
후쿠오카성은 구로다 나가마사에 의해 축성되어 마이즈루 공원과 오호리 공원으로 조성되었으며, 일부 건물과 성벽이 남아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일본 100대 명성에 선정되었다.
| 후쿠오카번 | |
|---|---|
| 지도 | |
![]() | |
| 기본 정보 | |
| 일본어 이름 | 福岡藩 |
| 로마자 표기 | Fukuoka han |
| 다른 이름 | 지쿠젠 번 구로다 씨 구로다 번 |
| 지위 | 번 |
| 국가 | 일본 |
| 정치 체제 | 다이묘 |
| 다이묘 | 구로다 나가마사 (초대) |
| 마지막 다이묘 | 구로다 나가토모 (마지막) |
| 수도 | 후쿠오카 성 |
| 오늘날의 위치 | 후쿠오카현 |
| 역사 | |
| 설립 | 1600년 |
| 폐지 | 1871년 |
| 시대 | 에도 시대 메이지 시대 |
| 문장 | |
| 문장 종류 | 몬 |
| 가문 | 구로다 가문 |
![]() | |
2. 번의 역사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구로다 나가마사는 큰 공을 세워 지쿠젠국 52만 3천여 석을 받으며 오카야마번으로 영전하고, 나카쓰번 번주였던 구로다 나가마사가 지쿠젠국의 새로운 번주가 되었다. 이로써 후쿠오카번이 성립되었다. 2대 구로다 다다유키 이후 역대 번주에게는 마쓰다이라 성과 쇼군의 이름 한 글자를 수여받았다. 에도성 내의 좌석은 대광간 마쓰노마였고, 9대 구로다 나리타카 이후에는 대랑가 조에야였다. 마쓰다이라 지쿠젠을 유지하며 구로다 가문은 막말까지 번을 다스렸다.
1641년 도쿠가와 막부는 참근교대의 에도 재부 기간을 2년 중 1년에서 2년 중 약 3개월로 단축하는 대신, 사가번과 1년 교대로 나가사키 경비를 명령받아 번 재정에 큰 부담을 주었다. 이 나가사키 경비는 막말까지 계속되었다.
후쿠오카번은 초기에 나지마성을 거점으로 삼았지만, 협소하고 교통이 불편하여 1601년부터 1606년까지 후쿠오카성을 축성했다. 동시에 영내에 호소카와씨를 경계하여 마스마스성, 다카토리성, 소라성, 구로사키성, 와카마쓰성, 고이시와라성을 포함한 "지쿠젠 6번성"을 축성하고 가신들에게 맡겼다. 구로다 나가마사는 아버지 구로다 요시타카의 가르침에 따라 번내에 호화로운 별저나 다이묘 정원 등을 짓지 않았다. 6대 번주 구로다 쓰구타카가 유센테이 공원을 건립한 정도였다.
2대 번주 구로다 다다유키는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동생 구로다 나가오키에게 아키즈키번 5만 석, 구로다 다카마사에게 노가타번 4만 석을 분할했다. 이로써 번의 공식 석고는 43만 3천여 석으로 줄었다. 다다유키 시대에는 "구로다 소동"이라는 오이에 소동이 일어났다. 3대 번주 구로다 미쓰유키는 가이바라 에키켄에게 『구로다가보』를 편찬하게 했다. 그는 신참들을 등용하여 번의 정치 체제를 정비했다.
4대 번주 구로다 쓰나마사 치하에서는 "제2차 구로다 소동"이 일어났다. 5대 번주 구로다 노부마사는 병약하여 삼촌 구로다 나가키요가 번정을 도왔다. 6대 번주 구로다 쓰구타카는 노가타번에서 양자로 들어왔고, 노가타번은 본번에 흡수되어 석고가 47만 3천 석으로 증가했다. 그는 번조 구로다 요시타카의 혈통을 잇는 마지막 번주였다.
7대 번주 구로다 하루유키는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손자였다. 8대 번주 구로다 하루타카는 다도쓰번 교고쿠씨에서, 9대 구로다 나리타카는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동생이었다. 1784년 그는 번교인 슈유칸과 간토칸을 설립했다. 슈유칸은 현대 후쿠오카현립 슈유칸 고등학교로 이어졌다.
10대 번주 구로다 나리키요는 란학 연구로 유명했다. 11대 번주 구로다 나가히사는 시마즈씨에서 양자로 들어왔고, 란학 학자였다. 12대 번주 구로다 나가토모는 쓰번 도도씨에서 양자로 들어왔고, 능악 후원자였다.
2. 1. 번의 성립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구로다 나가마사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편에 서서 큰 공을 세웠다. 고바야카와 히데아키가 오카야마번으로 옮겨가고, 구로다 나가마사가 지쿠젠국 52만 3천 석을 받아 후쿠오카번이 성립되었다.[9] 도쿠가와 막부는 구로다 가문을 우대하여, 2대 번주 구로다 다다유키 이후 역대 번주에게 마쓰다이라 성과 쇼군의 이름 한 글자를 하사했다. 구로다 가문은 에도 막부 말기까지 번을 통치했다.[9]2. 2. 초기 발전과 안정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운 구로다 나가마사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筑前 지역을 하사받아 후쿠오카번을 세웠다. 1601년부터 1606년까지 약 6년에 걸쳐 후쿠오카성을 축성했다.[10] 이 과정에서 나가마사는 검소함을 중시했던 아버지 구로다 요시타카의 가르침에 따라, 호화로운 건물 건축을 자제했다. 그의 후계자들도 대부분 이러한 검소한 전통을 따랐으나, 6대 번주 쓰구타카는 예외적으로 유센테이 공원이라는 은퇴 후 거처와 정원을 건설했다.1641년, 도쿠가와 막부는 산킨코타이 제도를 변경하여 번주들의 에도 체류 기간을 줄였다. 대신 후쿠오카번은 사가번과 번갈아 가며 나가사키 경비를 담당하게 되었는데, 이는 번 재정에 큰 부담을 주었다.[9]
2. 3. 내부 갈등과 개혁
2대 번주 구로다 다다유키는 아버지 구로다 나가마사의 유언에 따라 동생 구로다 나가오키에게 아키즈키번 5만 석, 구로다 다카마사에게 노가타번 4만 석을 분할해 주었다. 이로 인해 번의 공식 석고는 43만 3천여 석으로 줄었다. 다다유키의 재임 기간 중에는 개혁을 둘러싼 갈등으로 "구로다 소동"이 발생했다.[12]3대 번주 구로다 미쓰유키는 번의 학자 가이바라 에키켄에게 명하여 구로다 가문의 역사서인 『구로다가보』를 편찬하게 했다. 또한, 이전의 보수적인 중신들을 멀리하고 신참인 가마다 마사카쓰와 다치바나 미쓰야마를 가로(家老)로 등용하여 번사들의 서열을 통제하고, 이후 후쿠오카번의 정치 체제를 정비했다.
4대 번주 구로다 쓰나마사는 노가타번주에서 후쿠오카번주가 되었다. 그의 재임 기간에는 두 번째 구로다 소동이라고 불리는 가문 내 분쟁이 일어났다.
5대 번주 구로다 노부마사는 병약하여 영지인 지쿠젠국에 잘 들어갈 수 없었기 때문에, 그의 삼촌인 노가타번주 구로다 나가키요가 번정을 대신 পরিচালনা했다.
6대 번주 구로다 쓰구타카는 노가타번에서 본가의 양자로 들어왔기 때문에 노가타번은 폐지되었다. 이로 인해 소령 4만 석이 후쿠오카번에 환원되어 석고는 47만 3천여 석이 되었고, 폐번치현 때까지 이 석고가 유지되었다. 쓰구타카는 번조 구로다 요시타카의 혈통을 잇는 마지막 번주였다.
2. 4. 번교 설립과 교육 진흥
덴메이 4년(1784년), 9대 번주 나리타카는 번교인 슈유칸과 간토칸 두 곳을 설립했다.[9] 이 중 슈유칸은 현재 후쿠오카현립 슈유칸 고등학교로 이어져 후쿠오카현 교육의 주도적인 지위를 자랑하고 있다.[9]2. 5. 막말과 메이지 유신
막말 시기, 후쿠오카번은 존왕양이 운동을 지지했고, 1865년 제1차 조슈 정벌에 강력히 반대했다. 동시에 조슈번을 지지하는 산조 사네토미 등 5명의 공가 귀족들을 다자이후로 이주하도록 설득했다. 이로 인해 막부의 분노를 사, 구로다 나가히사가 반역 혐의로 체포될 수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13]막부가 제2차 조슈 정벌을 결정하자 막부에 대한 지지가 약해졌고, 수많은 존왕양이파 구성원들이 체포되었다. 번의 가로를 포함한 7명이 할복했고, 14명이 참수되었으며, 15명이 유배되었다. 그러나 1868년 메이지 유신과 함께 존왕양이파가 부활하여 번정을 다시 장악했다.[13]
1870년, 마쓰카타 마사요시는 대장성 지폐 위조 혐의로 후쿠오카 번 가신들을 고발했다. 조사 결과 혐의가 사실로 확인되었고, 후쿠오카 가문 지도부의 연루 사실도 드러났다. 그 결과 1871년 7월 2일, 구로다 나가토모는 지한사에서 해임되었고, 아리스가와노미야 다루히토 친왕이 지한사로 임명되었다. 12일 후 폐번치현으로 후쿠오카현이 설치되었다.
3. 역대 번주
黒田長政|구로다 나가마사일본어

黒田忠之|구로다 다다유키일본어

黒田光之|구로다 미쓰유키일본어

黒田綱政|구로다 쓰나마사일본어

黒田宣政|구로다 노부마사일본어

黒田継高|구로다 쓰구타카일본어

黒田治之|구로다 하루유키일본어

黒田治高|구로다 하루타카일본어

黒田斉隆|구로다 나리타카일본어

黒田斉清|구로다 나리키요일본어

黒田長溥|구로다 나가히로일본어

黒田長知|구로다 나가토모일본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