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마 1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리마 1호는 2023년 북한이 개발한 신형 위성 운반 로켓으로, 군사 정찰 위성 '만리경-1'호를 탑재하여 발사되었다. 2023년 5월과 8월에 두 차례 발사에 실패했으나, 11월에 세 번째 발사에서 성공하여 만리경-1을 궤도에 진입시켰다. 천리마 1호는 스커드 미사일의 설계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3단 로켓으로 최대 300kg의 탑재체를 저궤도에 올릴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발사 과정에서 기술적 문제와 국제사회의 제재 위반 논란이 있었으며, 대한민국 해군은 발사체의 잔해를 인양하여 분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우주발사체 - 은하 2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개발한 우주발사체 은하 2호는 백두산 1호 기술을 바탕으로 개량된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3단 로켓으로, 2009년 발사 당시 국제사회로부터 탄도 미사일 개발의 일환으로 간주되어 제재를 받았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우주발사체 - 은하 (로켓)
은하 로켓은 북한에서 개발한 다단 로켓 시리즈로, 위성 발사 시도가 있었으나 국제사회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위반으로 간주하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 202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만리경 1호
만리경 1호는 북한이 개발한 군사 정찰 위성으로, 2023년 11월 세 번째 발사에 성공했으며 궤도 상승 기동을 수행하고 지상 통신국과 통신한다. - 202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코로나19 범유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코로나19 범유행은 2020년 초 전 세계 확산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북한에 미친 영향으로, 초기 강력한 봉쇄 정책에도 불구하고 2022년 5월 확진 사례를 공식 인정 후 전국 봉쇄, 방역 총력, 제한적 백신 접종을 시행하며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통제 강화 등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 2023년 발사한 우주선 - 만리경 1호
만리경 1호는 북한이 개발한 군사 정찰 위성으로, 2023년 11월 세 번째 발사에 성공했으며 궤도 상승 기동을 수행하고 지상 통신국과 통신한다. - 2023년 발사한 우주선 -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uice)은 유럽 우주국(ESA)의 목성 탐사선으로, 목성과 위성들의 대기, 표면, 내부 구조, 자기장을 탐사하며, 특히 가니메데의 해양층과 자기장 상호 작용을 상세히 조사하고, 유로파에서 생명체 관련 화학 물질과 얼음 지각 두께를 측정할 예정이다.
천리마 1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천리마-1호 |
로마자 표기 | Chŏllima 1-ho |
영문 표기 | Chollima-1 |
종류 | 운반 로켓 |
제조사 |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
원산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상태 | 활동 중 |
발사장 | 서해위성발사장, 해안 발사대 |
발사 횟수 | 3 |
성공 횟수 | 1 |
실패 횟수 | 2 |
최초 발사 | 2023년 5월 30일 |
마지막 발사 | 2023년 11월 21일 |
탑재체 | 만리경 |
계열 | 천리마 |
비교 대상 | R-36-O 치클론-2 치클론-3 은하-2 은하-3 |
기술 정보 | |
단수 | 3단 |
연료 | 적연질산 / 비대칭디메틸히드라진 |
2. 역사
2023년 5월 31일,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서해위성발사장에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발사했으나, 2단 엔진 문제로 실패하였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2][3][4][5]
북한은 미사일 시험에 대해 사전에 거의 알리지 않지만, 위성 발사는 자국을 우주 강국으로 보이려는 의도로 알린다.[13] 북한은 5월 31일부터 6월 11일 사이에 우주 발사를 할 것이라고 일본에는 경고했지만, 대한민국에는 경고하지 않았다.[14][15]
이후 2023년 8월 23일에 2차 발사를 시도했으나 3단계 비행 중 비상 폭파 시스템 오류로 실패하였고,[17] 11월 21일에 3차 발사 시도만에 만리경-1을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시켰다.[19]
2. 1. 개발 배경
북한은 2010년대부터 우주 개발에 대한 의지를 표명해왔으며, 이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와도 관련이 있다. 특히, 2016년 김정은 위원장은 10메가톤급 수소폭탄 개발을 지시했으며, 이는 천리마 1호 개발과도 연관될 수 있다.천리마 1호는 3단 로켓으로, 북한이 공개한 이미지를 보면 이전의 은하 계열과는 다른 발사체이다. 이 로켓은 스커드의 유산을 버리고, 최근의 화성-15 및 17 ICBM 설계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의심스러운 경로로 입수한 구소련의 RD-250을 기반으로 한 진보된 로켓 엔진을 사용한다.[20][21]
2. 2. 발사 과정
2023년 5월 31일,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발사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2] '천리마-1'형은 정상 비행 중 1단 분리 후 2단 엔진의 시동 비정상으로 추진력을 상실하여 황해에 추락했다.[3][4][5]대한민국 국방부는 어청도 서쪽 약 200km 해상에서 로켓 잔해로 보이는 물체를 확인하고 인양했다.[5] 이후 36일 동안의 인양 작전을 통해 발사체의 3단계와 만리경-1 위성을 발견, 미국과 함께 분석하여 위성의 성능이 군사용으로 매우 낮은 수준임을 확인했다.[10][11][12]
북한은 2023년 8월 23일에 두 번째 발사를 시도했으나, 3단계 비행 중 비상 폭파 시스템 오류로 실패했다.[17] 이후 11월 21일에 세 번째 발사를 시도하여 만리경-1호를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시켰다.[19]
위성 | 발사 날짜 (UTC) | 발사 장소 | 상태 | 목적 |
---|---|---|---|---|
만리경-1 1호 | 2023년 5월 30일 | 서해 위성 발사장 | 실패 | 군사 정찰 위성 |
만리경-1 2호 | 2023년 8월 23일 | 서해 위성 발사장 | 실패 | 군사 정찰 위성 |
만리경-1 3호 | 2023년 11월 21일 | 서해 위성 발사장 | 성공 | 군사 정찰 위성 |
천리마 1호는 3단 로켓으로, 전체 길이는 38m 이상으로 추정되며, 이는 누리호(47.2m)와 비교될 만하다. 1단은 추력 80톤힘의 백두산 엔진 4개를 묶어 사용하며, 이는 화성-17형 ICBM과 유사하다.[24][25] 2단은 단일 체임버 백두산 엔진(40톤 규모), 3단은 소형 액체엔진 2기(3톤 규모)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1단 엔진의 노즐 수는 4개로 확인된다.
천리마 1호는 북한이 개발한 우주발사체로, 기술적인 특징과 관련하여 여러 논란이 있다. 주요 논란 중 하나는 엔진 기술의 출처이다. 천리마 1호의 1단 추진체에 사용된 백두산 엔진은 구소련의 RD-250 엔진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이는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를 위반했을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20][21]
3. 제원
2023년 6월 16일, 한국군은 인양된 2단부 일부 동체 길이가 12m로 밝혀짐에 따라 북한이 발사한 우주발사체 전체 길이가 38m 또는 40m 이상일 가능성도 있다고 추산했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2단 동체 길이로 볼 때 발사체 전체 길이는 38m 또는 그 이상일 것”이라고 했다.
발사체의 성능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천리마 1호는 최대 300kg의 탑재체를 저 지구 궤도에 올릴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22]
4. 기술적 특징 및 논란
천리마 1호 발사 과정에서 발생한 경보 발령 문제도 논란이 되었다. 발사 직후 서울특별시에 경계경보가 발령되었는데, 이는 북한 미사일 발사 등으로 인한 낙하물 우려에 따른 조치였다.[2]
4. 1. 백두산 엔진
백두산 엔진은 북한이 자체 개발한 액체연료 로켓 엔진으로, 추력 80톤힘의 단일 노즐 엔진이다.[25] 이 엔진은 구소련의 RD-250 엔진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를 위반한 것일 수 있다.[20][21]
2016년 9월 20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서해 위성 발사장에서 백두산 로켓에 사용될 추력 80톤 액체연료 로켓 엔진의 지상 연소실험에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연소시간은 200초였다.[25]
4. 2. 서울 경계경보 발령
천리마 1형 발사 직후, 수도방위사령부는 서울특별시에 경계경보 발령을 요청했고, 서울시는 오전 6시 32분 경계경보를 발령했다.[2]
경계경보는 북한 미사일 발사 등으로 낙하물 우려가 있을 때 발령되며, 공습경보는 실제 미사일 공격이 있을 때 발령된다.
휴전 후 처음 공습경보가 발령된 사건은 이웅평 대위가 미그-19를 몰고 귀순한 사건이다.
5. 국제사회의 반응
국제 사회는 북한의 핵 개발로 인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북한의 평화적 목적의 우주 발사체 발사도 금지했기 때문에, 북한의 천리마 1호 발사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2012년 4월 13일, 북한이 김일성 생일 100주년을 맞아 광명성 3호를 발사하자, 4월 17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의장성명을 채택하여 북한의 로켓 발사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74호를 심각하게 위반했다고 강조했다.[1] 중국과 러시아는 결의에는 반대했지만, 의장성명에는 찬성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의 발사 시도를 강력하게 규탄했다. 대한민국 국방부는 어청도 서쪽 200km 해상에서 로켓 잔해를 확인하고 인양했다.[5] 서울과 오키나와현에서는 미사일 경보(사이렌 및 SMS)가 오경보로 발령되기도 했다.[16]
5. 1.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
다른 국가들은 평화적 우주개발을 할 권리인 우주 발사체를 자유롭게 발사할 권리가 있지만, 북한은 핵개발로 인해 유엔 안보리에서 평화적 목적의 우주발사체 발사도 금지했다.2012년 4월 13일, 북한은 김일성 생일 100주년을 맞아 광명성 3호를 발사했다. 4월 17일, 유엔 안보리는 의장성명을 채택했다. 성명을 통해, 북한의 로켓 발사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74호를 심각하게 위반했다고 강조했다.[1] 중국과 러시아는 결의에는 반대했지만, 의장성명에는 찬성했다.
5. 2.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의 발사 시도를 강력하게 규탄했다. 대한민국 국방부는 어청도 서쪽 200km 해상에서 로켓 잔해를 확인하고 인양했다.[5] 이 잔해는 발사체의 2단계로 확인되었으며, 이후 36일 동안의 인양 작전을 통해 발사체의 3단계와 만리경-1 위성을 발견하여 미국과 함께 분석했다.[10][11][12]서울과 오키나와현에서는 미사일 경보(사이렌 및 SMS)가 오경보로 발령되기도 했다.[16]
6. 발사 실패 책임 및 후속 조치
김대중, 노무현 정부 때 통일부 장관을 지낸 정세현 전 장관은 "이병철부터 시작해서 과학자들은 아마 지금 초죽음이 됐을 거고, 밤을 새워서라도 위원장 동지 자존심을 살리기 위해서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면서 "또 실패하면 몇 사람 간다고 봐야 한다. (빠르면 6월 11일 안에 또는 조금 지나서 발사하지 않으면) 몇 사람은 그야말로 아오지 탄광으로 가든지 생명을 잃을지도 모른다. 죽기 살기로 덤빌 것"이라고 했다.[2]
김정은 위원장이 이번 발사에 직접 참관했는데 실패했고, 발사에 성공한 한국 누리호와 비교되면서 위원장 자존심에 큰 상처가 났으며, 또 실패하면 숙청당할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북한 군부 2인자인 리병철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은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6월에 곧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2] 이 발사 프로젝트의 최고 책임자로 알려져 있다.
2023년 5월 30일, 천리마 1호는 군사 정찰 위성 만리경-1을 탑재하고 서해 위성 발사장에서 첫 번째 궤도 발사를 시도했다.[2] 그러나 발사체 2단계가 임무 초기에 너무 일찍 점화되어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3] 관계자에 따르면 엔진의 신뢰성 부족과 연료 불안정성 때문이었다.[4] 발사체는 황해에 추락했다.[5]
대한민국 국방부는 어청도 서쪽 약 200km 해상에서 로켓 단 또는 중간부로 보이는 물체를 확인하고 인양했다.[5] 이후 36일 동안 인양 작전이 진행되었고, 발사체 3단계와 만리경-1 위성을 발견했다. 이는 구성 요소의 출처(공급 자회사 및 해외 공급업체 식별)를 확인하고, 군사용으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평가된 위성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미국과 함께 분석되었다.[10]
7. 잔해 인양
2023년 5월 30일, 천리마 1호는 군사 정찰 위성 만리경-1(망원경-1)을 싣고 서해 위성 발사장에서 발사되었으나, 2단계 엔진 문제로 궤도 진입에 실패하고 황해에 추락했다.[2][3][4][5]
대한민국 국방부는 어청도 서쪽 200km 해상에서 로켓 2단으로 추정되는 잔해를 발견하여 인양했다.[5][6][7][8][9] 인양된 잔해는 길이 15m, 직경 2~3m로, 누리호 2단(길이 15.6m, 직경 2.6m)과 크기가 유사하다. '점검문-13(기구조립)'이라는 문구가 적힌 이 잔해는 로켓 2단 부분으로 확인되었다.
36일 동안의 인양 작전으로 발사체의 3단계와 만리경-1 위성도 발견되었다. 잔해는 미국과 함께 분석되어 부품 조달 경로를 확인하고 위성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었다.[10][11][12]
참조
[1]
웹사이트
First Flight of North Korea's "Chollima-1" SLV Fails, but More Launches and More New SLVs Are Likely
https://www.38north.[...]
38 North
2023-06-07
[2]
웹사이트
North Korea spy satellite launch fails as rocket falls into the sea
https://indianexpres[...]
2023-05-31
[3]
웹사이트
Why does North Korea want a spy satellite so badly, and what went wrong with its attempt to launch one?
https://www.cbsnews.[...]
2023-05-31
[4]
웹사이트
North Korea's spy satellite launch fails with second-stage malfunction
https://spacenews.co[...]
2023-05-31
[5]
웹사이트
North Korea says satellite launch fails, plans to try again
https://edition.cnn.[...]
2023-05-31
[6]
웹사이트
South Korea recovers rocket debris from North Korea's botched satellite launch
https://www.nknews.o[...]
2023-06-16
[7]
웹사이트
Des débris de la fusée nord-coréenne ont été repêchés durant la nuit
https://fr.yna.co.kr[...]
2023-06-16
[8]
웹사이트
Retrieval of sunken N. Korean space rocket wreckage
https://en.yna.co.kr[...]
2023-06-16
[9]
웹사이트
North Korea calls failed spy satellite launch 'the most serious' shortcoming
https://www.nbcnews.[...]
2023-06-19
[10]
웹사이트
(2nd LD) S. Korea retrieves N. Korean spy satellite wreckage, ends salvage operation: military
https://en.yna.co.kr[...]
2023-07-05
[11]
웹사이트
North Korea's Failed Spy Satellite Wasn't Ready for Military Use, Seoul Analysis Shows
https://www.wsj.com/[...]
2023-07-05
[12]
웹사이트
South Korea reveals damning findings after first-ever capture of North Korean satellite
https://www.independ[...]
2023-07-05
[13]
웹사이트
Panique à Séoul, débris en mer... ce que l'on sait du lancement d'un satellite espion par la Corée du Nord
https://www.tf1info.[...]
2023-05-31
[14]
웹사이트
La Corée du Nord confirme le lancement d'un satellite militaire espion
https://www.lemonde.[...]
2023-05-30
[15]
웹사이트
Corée du Nord : quelles sont les capacités du satellite espion que Kim Jong-un s'apprête à lancer ?
https://www.capital.[...]
2023-05-17
[16]
웹사이트
La Corée du Nord annonce l'échec du lancement d'un satellite espion
https://www.lemonde.[...]
2023-05-31
[17]
웹사이트
KCNA Report on Accident in Second Launch of Military Reconnaissance Satellite
http://kcna.kp/en/ar[...]
2023-08-24
[18]
웹사이트
Defense chief says N. Korea could launch spy satellite in late Nov. with Russian aid
https://en.yna.co.kr[...]
2023-11-03
[19]
웹사이트
"[2보] 북한 “정찰위성 성공적 발사…궤도에 정확히 진입”"
https://www.yna.co.k[...]
2023-11-21
[20]
웹사이트
Photos show new North Korean space rocket likely used ballistic missile engine
https://www.nknews.o[...]
2023-06-01
[21]
웹사이트
Lanzamiento fallido del primer cohete Chollima 1 norcoreano
https://danielmarin.[...]
2023-06-02
[22]
웹사이트
New North Korean space rocket features engine from ICBMs, analysts say
https://www.reuters.[...]
2023-06-01
[23]
웹사이트
Chollima-1
https://space.skyroc[...]
null
[24]
뉴스
항우연, 우주발사체 핵심 엔진 연소시험 성공, 우주개발 가능성 높여
아시아투데이
2016-08-31
[25]
뉴스
北 매체 “신형 위성로켓 엔진시험 대성공”…장거리 미사일 도발 나서나
서울신문
2016-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