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천주교 서울대교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천주교 서울대교구는 1831년 조선 사도좌대목구로 시작하여,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 천주교의 핵심 교구이다. 1962년 대교구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서울특별시와 황해도 지역을 관할한다. 서울대교구는 한국 천주교의 역사와 함께 성장해 왔으며, 1984년과 1989년, 2014년에 교황의 공식 방문을 주최하기도 했다. 서울대교구는 17개 지구가 있으며,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등 교육 및 의료기관을 운영하고, 가톨릭출판사, 가톨릭평화방송 등 언론 매체를 통해 선교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1년 설립된 종교 단체 - 트리니테리안 성서 공회
    트리니테리안 성서 공회는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성경과 기독교 서적을 전 세계에 제공하며, 킹 제임스 성경을 영어 외 다른 언어로 번역하고 판매하며 관련 기독교 서적을 배포하는 단체이다.
  •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 염수정
    염수정은 1943년 안성에서 태어나 5대째 가톨릭 신앙을 이어온 가정에서 성장하여 사제가 되었고, 서울대교구장 겸 평양교구장 대행 대주교를 거쳐 2014년 추기경으로 서임되어 생명 존중, 사회 정의, 남북 화해를 위해 활동하다 2021년 서울대교구장직에서 사임한 대한민국의 천주교 추기경이다.
  •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 김수환
    김수환은 한국 천주교 최초의 추기경이자 서울대교구장으로, 민주화 운동 참여와 사회 정의 구현에 헌신하며 '시대의 양심'으로 불렸으나, 일부 정치적 행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천주교 서울대교구
지도
서울대교구
천주교 서울대교구의 관할 구역
기본 정보
관할 구역서울특별시황해도
관할 면적17,349 km²
인구9,765,869명 (2021년)
가톨릭 신자 수1,534,887명
가톨릭 신자 비율15.7%
본당 수232개
교구가톨릭
교회법라틴 교회
전례로마 전례
설립1831년 9월 9일 (교황 대리구), 1962년 3월 10일 (대교구)
주교좌 성당서울 주교좌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마리아 대성당
주보성인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마리아
사제 수954명
교회 정보
교구명(한국어)천주교 서울대교구
교구명(라틴어)Archidioecesis Metropolitae Seulensis
관구서울관구
설정일1831년 9월 9일 (대목구 설정), 1962년 3월 12일 (주교구 설정)
웹사이트천주교 서울대교구
교구장
교구장정순택 (베드로) 대주교
보좌주교유경촌 (티모테오) 주교
손희송 (베네딕토) 주교
구요비 (욥) 주교
이경상 (바오로) 주교
은퇴 주교염수정 (안드레아)

2. 역사

1779년 경기도 광주 천진암에서 이벽, 권일신, 정약전남인파 젊은이들이 모여 기독교 서적 학습회를 열었다. 1784년에는 이승훈이 베이징 북천주당에서 프랑스인 사제 그라몽 신부에게 세례를 받고, 교리서, 성서, 십자가, 성상, 묵주 등을 조선으로 가져왔다. 1785년 한성(현재의 서울) 명례방(현재의 명동)에 있는 역관 김범우의 집을 교회당으로 삼아 예배를 시작했다.

1788년 조선 신자들은 베이징 주교에게 신부 파견을 요청하여 승인을 받았다. 1795년 청나라 주문모 신부가 조선에 잠입하여 선교 활동을 하면서 양반층과 서민층에 기독교가 퍼져나갔다. 그러나 당시의 반기독교 정서와 박해로 인해 레오 13세 교황의 파리 외방전교회 사제 파견은 실행되지 못했다.

1942년 파리 외방전교회를 떠나 한국인 교구가 되었다.

2. 1. 조선대목구 시대 (1831년 ~ 1911년)

1831년 9월 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는 교황령 「Ex debito pastoralis」를 발표하여, 당시 청나라의 일부였던 베이징 교구에서 분리된 지역에 조선 왕국 사도좌대목구를 설립했다.[3] 파리 외방전교회에 선교와 사목을 위탁하였다.

1911년 4월 8일, 조선 사도좌대목구는 서울 사도좌대목구와 대구 사도좌대목구로 분할되었다. 서울 대리구는 충청도 이북 지역을 관할 구역으로 하였다.

2. 2. 서울대목구 시대 (1911년 ~ 1962년)

1831년 9월 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는 교황령 「Ex debito pastoralis」를 발표하여, 당시 청나라의 일부였던 베이징 교구에서 분리된 지역에 조선 사도대목구를 설립했다.[3] 1911년 4월 8일, 조선 사도대목구는 서울 사도대목구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대구 사도대목구 설립을 위해 일부 지역을 할양했다.

1920년 5월 8일 원산 사도대목구, 1927년 3월 17일 평양 사도관구, 1939년 4월 25일 순천 사도관구 설립을 위해 추가로 지역을 할양했다.

1950년 7월 12일, 서울 사도대목구는 공식 명칭을 교구 위치에 따라 서울 사도대목구로 변경했다. 1958년 6월 23일 청주 사도대목구대전 사도대목구, 1961년 6월 6일 인천 사도대목구 설립을 위해 다시 지역을 할양했으며, 이 세 곳은 모두 보좌주교를 두게 되었다.

1962년 3월 10일, 교황청은 한국 전역에 교계제도(히에라르키)를 실시하면서 서울 사도대목구를 대교구로 승격시켰다.[4]

2. 3. 서울대교구 시대 (1962년 ~ 현재)

1962년 3월 10일, 교황청은 한국 전역에 교계제도(히에라르키)를 실시하면서 서울 사도좌대리구를 서울대교구로 승격시켰다.[4] 당시 서울대교구의 관할 범위는 서울, 춘천, 인천, 대전, 평양, 함흥 및 육흥 일대를 포함하고 있었다.

1963년 10월 7일 수원 교구가, 2004년 6월 24일 의정부 교구가 서울대교구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으며, 이 두 교구는 현재 서울대교구의 보좌교구이다.

서울대교구는 1984년 5월과 1989년 10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방문, 그리고 2014년 8월 교황 프란치스코의 공식 방문을 주최했다.

3. 관할 구역 및 지구

서울특별시황해도 지역을 관할한다. 그러나 외교, 정치적 문제로 인해 실질적으로 관할하는 지역은 서울특별시뿐이다.

지구관할 구역성당
제1 중구-용산지구중구, 용산구국제(준), 남대문시장(준), 당고개순교성지(준), 명동(주교좌), 삼각지, 새남터, 신당동, 용산, 이태원, 중림동 약현, 청구, 청파동, 한강, 한남동, 해방촌, 후암동
제2 서대문-마포지구서대문구, 마포구가재울, 공덕동, 대흥동, 무악동(선교), 무악재, 상암동, 서교동, 서대문, 성산2동, 성산동, 신수동, 아현동, 연희동, 염리동, 홍은2동, 홍은동, 홍제동
제3 은평지구은평구갈현동, 구파발, 녹번동, 불광동, 수색, 신사동, 역촌동, 연신내, 응암동
제4 종로지구종로구가회동, 동대문, 동대문시장(준), 세검정, 세종로, 종로, 청계시장(준), 혜화동
제4 성북지구성북구길음동, 돈암동, 보문동, 석관동, 성북동, 월곡동, 장위1동(선교), 장위동, 정릉4동, 정릉동, 종암동
제5 노원지구노원구공릉동, 노원, 상계2동, 상계동, 수락산, 월계동, 중계동, 중계양업, 태릉, 하계동
제6 도봉-강북지구도봉구, 강북구도봉동, 도봉산, 미아동, 방학동, 번동, 삼양동(선교), 송천동, 수유1동, 수유동, 쌍문동, 우이, 창4동, 창5동, 창동
제7 동대문-중랑지구동대문구, 중랑구답십리, 망우동, 면목4동, 면목동, 묵동, 상봉동, 신내동, 양원, 이문동, 장안동, 장한평, 전농동, 제기동, 중화동, 청량리
제8 성동-광진지구성동구, 광진구광장동, 구의동, 금호1가동(선교), 금호동, 마장동, 성수동, 아차산, 에파타(구 서울가톨릭농아선교회), 옥수동, 왕십리, 자양2동, 자양동, 중곡동, 행당동, 화양동
제9 강동지구강동구, 송파구 풍납동강일동, 고덕동, 길동, 둔촌동, 명일동, 성내동, 암사동, 중앙보훈병원(준), 천호동, 풍납동
제10 송파지구송파구(풍납동 제외)가락2동, 가락동, 가락시장(준), 거여동, 마천동, 문정2동, 문정동, 방이동, 석촌동, 송파동, 신천동, 오금동, 오금성요셉, 위례성모승천, 잠실, 잠실3동, 잠실7동
제11 강남지구강남구, 서초구 양재동개포동, 논현2동, 논현동, 대치2동, 대치3(성모탄신), 대치4동, 대치동, 삼성동, 성 라파엘 사랑결(준), 세곡동, 수서동, 압구정1동, 압구정동, 양재동, 역삼동, 일원동, 청담동
제12 서초지구서초구(양재동 제외)반포, 반포1동, 반포4동, 방배4동, 방배동, 서울고속터미널(준), 서초3동, 서초동, 우면동, 잠원동, 포이동
제13 관악지구관악구낙성대동, 난곡동, 봉천3동(선교), 삼성산, 서원동, 성현동, 신림성모, 신사동 성 베드로, 쑥고개, 인헌동, 중앙동, 행운동
제14 동작지구동작구(대방동 제외)노량진동, 노량진수산시장(준), 동작동, 사당5동, 사당동, 상도4동, 상도동, 신대방동, 흑석동
제15 영등포-금천지구영등포구, 금천구, 동작구 대방동당산동, 대림3동, 대림동, 대방동, 도림동, 독산1동, 독산동, 문래동, 시흥4동, 시흥5동, 시흥동, 여의도동, 영등포동
제16 구로지구구로구개봉동, 고척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수궁동, 신도림동, 오류동, 항동
제17 강서지구강서구가양동, 공항동, 등촌1동, 등촌3동, 마곡수명산, 발산동, 방화3동, 우장산, 화곡2동, 화곡본동
제18 양천지구양천구목3동, 목4동, 목5동, 목동, 신월1동, 신월동, 신정3동, 신정동, 양천


4. 교구청 부서

부서
사무처
사목국
청소년국
홍보국
성소국
특수사목부
해외선교봉사국
사회사목국
기획조정실
생명위원회


5. 역대 교구장

천주교 서울대교구의 역대 교구장은 다음과 같다.

역대이름세례명임명일선종(사임*)비고
1대바르텔르미 브뤼기에르바르톨로메오1831년 9월 9일1835년 10월 20일카프사의 명의주교
2대로랑마리조제프 앵베르라우렌시오1836년 4월 26일1839년 9월 21일카프사의 명의주교
3대장 페레올요한1843년 8월 14일1853년 2월 3일벨리네의 명의주교
4대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시메온1854년 8월 5일1866년 3월 8일카프사의 명의주교
5대앙투안 다블뤼안토니오1866년 3월 8일1866년 3월 30일악카의 명의주교
6대펠릭스 클레르 리델펠릭스1869년 4월 27일1884년 6월 20일필리포폴리스의 명의주교
7대마리장구스타브 블랑요한1884년 6월 20일1890년 2월 21일안티고네아의 명의주교
8대구스타브 뮈텔아우구스티노1890년 9월 2일1933년 1월 22일밀로스의 명의주교, 라티아리아의 명의 대주교
9대아드리앙 조셉 라리보하드리아노1933년 1월 23일1942년 1월 5일*[9]두사의 명의주교
10대노기남바오로1942년 11월 10일1967년 3월 23일콜바사의 명의주교, 초대 서울대교구장
서리윤공희빅토리노수원교구장 주교로 서울대교구 교구장 서리 겸직
11대김수환스테파노1968년 4월 9일1998년 4월 3일최장 기간, 사제급 추기경 겸직
12대정진석니콜라오1998년 4월 3일2012년 6월 15일사제급 추기경 겸직
13대염수정안드레아2012년 6월 25일2021년 11월 30일사제급 추기경 겸직
14대정순택베드로2021년 12월 8일



대목구장은 자신의 담당 교구가 없이 교황 명의로 대리 통치하는 것이므로 착좌식이 없다.

5. 1. 조선대목구장 (명의주교)

역대이름세례명국적임명일선종(사임*)명의주교명
1대바르텔르미 브뤼기에르바르톨로메오프랑스1831년 9월 9일1835년 10월 20일카프사의 명의주교
2대로랑마리조제프 앵베르라우렌시오프랑스1836년 4월 26일1839년 9월 21일카프사의 명의주교
3대장 페레올요한프랑스1843년 8월 14일1853년 2월 3일벨리네의 명의주교
4대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시메온프랑스1854년 8월 5일1866년 3월 8일카프사의 명의주교
5대앙투안 다블뤼안토니오프랑스1866년 3월 8일1866년 3월 30일악카의 명의주교
6대펠릭스 클레르 리델펠릭스프랑스1869년 4월 27일1884년 6월 20일필리포폴리스의 명의주교
7대마리장구스타브 블랑요한프랑스1884년 6월 20일1890년 2월 21일안티고네아의 명의주교
8대구스타브 뮈텔아우구스티노프랑스1890년 9월 2일1933년 1월 22일밀로스의 명의주교, 라티아리아의 명의 대주교
9대아드리앙 조셉 라리보하드리아노프랑스1933년 1월 23일1942년 1월 5일*두사의 명의주교
10대노기남바오로대한민국1942년 11월 10일1962년 3월 12일콜바사의 명의주교



대목구장은 자신의 담당 교구가 없이 교황 명의로 대리 통치하는 것이므로 착좌식이 없다.[9]

5. 2. 서울대목구장 (명의주교)

라티아리아의 명의 대주교9대아드리앙 조셉 라리보원형근하드리아노1933년 1월 23일1942년 1월 5일*[9]두사의 명의주교10대노기남바오로1942년 11월 10일1962년 3월 12일콜바사의 명의주교



대목구장은 자신의 담당 교구가 없이 교황 명의로 대리 통치하는 것이므로 착좌식이 없다.

5. 3. 서울대교구장 (대주교)

역대이름세례명착좌사임선종비고
1대노기남바오로1962년 3월 10일1967년 3월 23일1984년 6월 25일1948년 6월 ~12월 천주교 대구 대목구장 겸직
서리윤공희빅토리노수원교구장 주교로 서울대교구 교구장 서리 겸직
2대김수환스테파노1968년 4월 9일1998년 4월 3일2009년 2월 16일최장 기간
사제급 추기경 겸직
3대정진석니콜라오1998년 4월 3일2012년 6월 15일2021년 4월 27일사제급 추기경 겸직
4대염수정안드레아2012년 6월 25일2021년 11월 30일사제급 추기경 겸직
5대정순택베드로2021년 12월 8일


6. 교회 관구

서울대교구의 교회 관구는 서울대교구 자신과 대한민국에 위치한 다음 보좌 교구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위치한 다음 교구들을 포함한다.

7. 통계

2020년 기준으로, 천주교 서울대교구는 17349km2 면적에 232개의 본당과 954명의 사제를 두고 총 9,765,869명 중 1,534,887명(15.7%)의 가톨릭 신자를 담당했다.[1]

번호항목수치 (2017년 기준)
1신도 수1,534,899명
2주교 및 사제891명
3교구231곳


8. 교육 기관

천주교 서울대교구는 다음과 같은 교육 기관들을 운영하고 있다.

학교명운영 주체
가톨릭대학교학교법인 가톨릭학원
계성고등학교학교법인 가톨릭학원
동성고등학교학교법인 가톨릭학원
성심여자고등학교학교법인 성심학원
동성중학교학교법인 가톨릭학원
성심여자중학교학교법인 성심학원
계성초등학교학교법인 가톨릭학원
서울애화학교포교 성 베네딕도 수녀회


9. 의료 기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1]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2]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3]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4]

라파엘클리닉[5]

마리아수녀회 도티기념병원[6]

모현호스피스[7]

서울특별시립 은혜로운집 (서울특별시와 협약관계)[8]

성가복지병원[9]

요셉의원

전진상의원

한국가톨릭레드리본

10. 보도 및 출판

대한민국에서 천주교 선교 및 신자들의 영성 생활을 돕는 목적으로 출판방송 사업을 하고 있다.

11. 황해도 감목대리구

1928년 1월 21일 설치되어 1942년 1월 18일 폐지되고, 다시 2007년 12월 11일 설치된 감목대리구이다.[1] 일제 강점기 때 황해도 감목대리구는 서해 5도도 관할이었으나, 현재 서해 5도는 인천교구 소속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천주교 서울대교구>교구현황 https://aos.catholic[...]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Seoul 2022-09-15
[2] 웹사이트 Next World Youth Day to be in South Korea in 2027 https://www.catholic[...] 2023-08-06
[3] 웹사이트 Breve Ex debito pastoralis https://www.vatican.[...] 2024-08-24
[4] 웹사이트 Archdiocese of Seoul http://www.catholic-[...]
[5] 뉴스 서울대교구장 내려놓는 염수정 "과분한 은총의 시간이었다" https://www.yna.co.k[...] Yonhapnews 2021-10-28
[6] 뉴스 프란치스코 교황 서울대교구장에 정순택 주교 임명 https://www.khan.co.[...] Kyunghyang Shinmun 2021-10-28
[7] 뉴스 서울대교구 보좌주교에 유경촌·정순택 신부 임명 https://www.hani.co.[...] The Hankyoreh 2013-12-30
[8] 뉴스 교황, 천주교 서울대교구 신임 보좌 주교에 이경상 신부 임명 https://www.yna.co.k[...] Yonhapnews 2024-02-24
[9] 문서 1974년에 선종하였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