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은 1945년 재건된 체코슬로바키아군의 임시 조직으로 시작되었다.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집권 이후 소련의 영향을 받아 군대가 재조직되었고, 1950년에는 공산당의 통제하에 들어갔다. 1950년대부터 1960년대 동안 군사력 강화에 힘썼으며, 1955년 이집트 공화국과 무기 판매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1968년 프라하의 봄 당시 소련 중심의 국방 정책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바르샤바 조약군의 침공으로 좌절되었다. 이후 소련의 영향력 아래에 놓였으며, 1989년 벨벳 혁명으로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정권이 붕괴될 때까지 공산당의 통제 하에 있었다. 육군, 공군, 방공군, 국경수비대로 구성되었으며, T-72, MiG-29 등 다양한 장비를 운용했다. 소련 중부 군집단과 함께 서독 바이에른을 공격하는 임무를 맡을 예정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르샤바 조약기구 - 바르샤바 조약 기구 통합군 최고사령관
    바르샤바 조약 기구 통합군 최고사령관은 바르샤바 조약 기구 통합군을 지휘한 최고위직으로, 5명의 소련군인이 역임했으며 냉전 시대 군사 전략 수립 및 실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고, 마지막 사령관은 기구 해체 과정을 지휘했다.
  • 바르샤바 조약기구 - 바르샤바 조약 기구
    바르샤바 조약 기구는 1955년 소련 주도로 창설되어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대응하고 동구권 내 반소 운동을 진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1991년 소련 해체로 공식 해체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군대 정보
명칭
공식 명칭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체코어 명칭Československá lidová armáda
슬로바키아어 명칭Československá ľudová armáda
표어
표어조국을 위해 - 사회주의를 위해
체코어 표어Za vlast – za socialismus
슬로바키아어 표어Za vlasť – za socializmus
군대 현황
창설
창설일1954년 6월 1일
해체일1990년 3월 14일
분리1993년 체코군과 슬로바키아군으로 분리
조직
군 종류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육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공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방공군
지휘부
최고 사령관클레멘트 고트발트
안토닌 자포토츠키
안토닌 노보트니
루드비크 스ভো보다
구스타프 후사크
바츨라프 하벨
국방부 장관알렉세이 체피치카
보후미르 롬스키
마르틴 주르
밀란 바츨라비크
미로슬라프 바체크
총참모장



미로슬라프 바체크
안톤 슬리마크
병력 규모
현역201,000명 (1987년)
국경 수비대100,000명
준군사 조직200,000명
예비군1,000,000명
재정
국방 예산GDP의 2.26% (1989년)
깃발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깃발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깃발 (1960–1990)

2. 역사

1954년부터 1960년대까지 체코슬로바키아군의 질은 비약적으로 상승하였다. 기계화가 진행되어 병사당 이동 속도가 증가하였고, 장교단의 교육 수준도 높아졌다.[38] 또한 공군에서는 국산 무기로 무장하려는 계획도 추진되었다. 이러한 성과는 1948년 쿠데타와 장교단 숙청으로 저하되었던 장교단의 질을 다시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은 바르샤바 조약기구 차원의 군사적 협력으로 이어지지 못했고, 꾸준한 향상으로 연결되지 못했다.[38] 오히려 많은 경제 자원이 군비 팽창에 투입되면서 체코슬로바키아를 비롯한 소련과 동유럽, 제3세계 위성국들이 경제적 문제에 직면하는 원인이 되었다.

1960년대 초중반,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군사 훈련은 표면적으로는 우호적인 군사 개입 상황에서 소련-체코슬로바키아 합동 작전 능력을 확인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1966년 블타바 기동 훈련에서 소련군이 체코 지역/중앙 당국과 연락 체계를 구축한 것은 체코슬로바키아의 저항을 사전에 방지하려는 의도로 의심받았다.[38]

1970년부터 소련의 크라스나야 즈베즈다 지는 체코슬로바키아와 소련의 합동 군사 훈련에 대해 보도하기 시작했다. 1970년 소련 중부 군집단과 서부 체코슬로바키아군이 시행한 '타란' 훈련은 첫 합동 훈련이었고, 이후에도 다양한 합동 훈련이 실시되었다. 이러한 훈련에는 헝가리, 폴란드, 동독 등 다른 바르샤바 조약 국가들도 참여했다. 특히 1972년 '쉴드-72' 훈련은 체코슬로바키아가 주최했으며, 1984년 '쉴드-84' 훈련에는 6만 명이 참가하는 등 대규모로 진행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 공군 역시 중부 군집단 소속 항공 전력과 긴밀하게 합동 작전 훈련을 하였다.[38]

2. 1. 창설과 초기 발전 (1945-1948)

1945년 5월 25일 체코슬로바키아군의 조직 재건에 따라 체코슬로바키아군 임시조직이 구성되었다. 나치 독일에 대항해서 싸웠던 병사들이 서서히 돌아왔다. 체코슬로바키아 영토에는 16개 사단(전차군단, 포병사단 포함)으로 구성된 4개 군구가 설치되었다. 소련군 지휘하에 있었던 체코슬로바키아 제1군단은 제1군이 되었고, 이후 제1군구를 구성했다.[37] 군 재건 계획에 대한 초기의 낙관적 분위기는 붕괴된 전후 경제와 인적, 물적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머지않아 환멸로 바뀌었다. 전후 체코슬로바키아군은 쫓아냈던 독일 국방군과 헝가리 왕국군의 무기로 무장했으며, 전후 복구 사업에도 참가했다. 그리고 국가보안군 부대들은 루테니아의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기구 토벌에 참가했다.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이 집권하면서 군사 분야에서 중대한 변화가 일어났다. 공산당은 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체코슬로바키아군을 확실히 장악하려고 했다. 절반 이상의 장교들이 병사들과 마찬가지로 공산당에게 압박을 받았고, 많은 수가 제대해야만 했다. 사상 통제와 같은 사병에 대한 정치적인 공작은 주로 서부 전선에서 싸웠던 병사들에게 행해졌지만, 역설적으로 피해자 중에는 동부 전선 참전자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군은 마침내 완전히 공산당에게 통제되었고, 1950년에는 소련식으로 군이 재조직되고 군구가 해산되었다. 1951년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 간 군수 협상이 체결되어 소련제 장비와 물자를 수입하고, 항공기, 레이더 같은 첨단 장비의 구입 대금을 지불하기 위해 소련에게 차관 을 빌렸다. 이러한 노력으로 체코슬로바키아군의 수는 1953년경에는 30만 명으로 급증하였다.

2. 2. 공산화와 소련의 영향 (1948-1968)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이 집권하면서 군사 분야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공산당은 권력을 확고히 하기 위해 체코슬로바키아군을 장악하려 했다. 절반 이상의 장교들이 병사들과 마찬가지로 공산당의 압력을 받았고, 많은 수가 제대해야 했다. 주로 서부전선에서 싸웠던 병사들을 대상으로 사상 통제와 같은 정치공작이 이루어졌지만, 동부전선 참전자들도 피해를 입었다. 군은 완전히 공산당의 통제하에 놓였고, 1950년에는 소련식으로 재편되어 군구가 해산되었다. 1951년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 간 군수 협상이 체결되어 소련제 장비와 물자를 수입하고, 항공기, 레이더 같은 첨단 장비 구입 대금을 지불하기 위해 소련에 4,400만 루블의 차관을 빌렸다. 이러한 노력으로 체코슬로바키아군의 수는 1953년경 30만 명으로 급증하였다. 1955년에는 가말 압델 나세르이집트 공화국과 무기 판매 계약을 체결하였다.

1954년부터 1960년대 동안 체코슬로바키아군의 질은 크게 향상되었다. 기계화가 진행되어 1954년 병사당 이동 속도가 18hp였던 것이 1962년에는 42hp로 증가하였고, 1954년 3%만의 장교단이 고급 교육을 받았지만 1961년에는 14.6%로 증가했다.[38] 또한 최소한 공군에서는, 소련제 무기가 아닌 국산 무기로 무장하려는 계획도 이루어졌다. 이러한 성과는 1948년 쿠데타와 뒤따른 장교단 숙청으로 저하된 장교단의 질을 다시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는 조약 차원의 군사적 협력으로 연결되지 못하였고, 꾸준한 향상으로 이어지지 못했다.[38] 많은 경제 자원이 체코슬로바키아군의 팽창에 투입되었고, 이는 체코슬로바키아(소련과 그 동유럽, 제3세계 위성국)가 겪었던 경제적 문제의 원인이 되었다.

1960년대에 소련은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었다. 바르샤바 조약기구 내에서는 알바니아가 탈퇴하고 동독이 서베를린으로의 탈출 행렬을 막기 위해 고심하고 있었다. 또한 핵전력에서도 미국에 크게 뒤처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르샤바 조약군 사령관 안드레이 안토노비치 그레츠코는 위성국들에 대해 몇 가지 계획을 세웠다. 그레츠코 장군에 따르면 소련은 핵전쟁 상황에서 체코슬로바키아군의 역량을 높이고, 그러면서도 체코슬로바키아가 소련에 적대하지 못하도록 강한 영향력을 행사해야 했다. 이에 따라 몇 가지 조치가 취해졌는데, 첫째로 공군의 질과 양이 향상되고 방공군이 창설되었으며, 소련군이 체코슬로바키아 영내에 다시 들어올 수 있게 되었고(소련은 이 시기에 체코슬로바키아에 상시 주둔군을 신설할 생각까지 있었음), 체코슬로바키아군의 훈련 중점이 방어가 아닌 타 조약군과 협동해 타국을 침공하는 것으로 옮겨졌다. 지상군도 개혁되었는데, 기존의 보병사단과 기계화사단은 해체되고 소련식 차량화소총병사단(MRD)으로 개편되었으며, 전차사단도 소련식 표준에 맞춰졌다. 공수부대도 신설되었고, 체코슬로바키아의 군수 지원 체계는 현대적인 소련 무기 체계에 맞춰 개혁되었으며, 체코슬로바키아군은 조약군과 합동해 작전을 수행할 능력을 키우게 되었다.[38]

1960년대 초중반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군사 훈련은 겉으로는 우호적인 군사 개입에서의 소련-체코슬로바키아 합동 작전 능력을 확인하는 방향으로 흘러갔지만, 1966년 블타바 기동 훈련에서 소련군이 체코 지역/중앙 당국과 연락 체계를 구축한 것은 있을지 모를 체코슬로바키아의 저항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의심받았다.

몇몇 서방 학자들은 1961년부터 1968년까지 소련군이 체코슬로바키아군을 '중부 전선'의 남쪽 측면을 방호하고 바이에른으로 진격할 주도적인 능력이 있는 군대로 만들려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소련은 동독 국가인민군을 불신하고 대규모 육군을 동부 독일에 주둔시켰고, 체코슬로바키아에도 비슷한 주둔군 배치를 계획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냉전 초기 소련은 알바니아,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와 같은 사례로 인하여 체코슬로바키아뿐만 아니라 동유럽 위성국 군대들의 신뢰도와 능력을 심각하게 불신했다.[38]

1968년 프라하의 봄이 찾아오자, 체코슬로바키아의 장교단은 소련 위주의 국방 정책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보이치에흐 멘치 대령과 보리보예 스바르치 중령은 4월 중순 그들의 개혁인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실행계획'을 중앙위원회에서 승인받았다. 이 계획의 골자는 소련 중심의 바르샤바 조약을 탈퇴하고 체코슬로바키아를 중립화하거나 바르샤바 조약을 동등한 집단 안보 체제로 바꾸는 것, 대규모 군축 등을 포함하고 있었다.(고트발트 제안서) 계획은 1968년 7월 2일경에 제14차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대회의 표결을 앞두고 있었다. 바츨라프 프리츨리크 중장은 급진적 장교단이 주장했던 체코슬로바키아군의 개혁을 옹호하고, 이를 추진하려고 했다. 소련에서 중장의 개혁을 비판하자, 알렉산데르 둡체크는 그를 해임했지만 여전히 당에서 중요한 정치적 직위를 차지하게 했다. 그러나 1968년 8월 20일, 바르샤바 조약군은 프라하의 봄을 뒤집기 위해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했다. 결국 이듬해 알렉산드르 둡체크는 사임했고, 모든 개혁은 무효화되었다. 이 급변사태는 체코슬로바키아의 조약 이탈 가능성에 대한 소련의 우려를 증폭시켰고, 이전까지 체코슬로바키아 영내에 소련군을 주둔시키지 않았던 방침을 바꾸어 상당한 중부 군집단 병력을 체코와 슬로바키아에 주둔시켰다.

프라하의 봄은 실패했지만,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구조적 개편의 촉매가 되었다. 고트발트 제안서에서 나타났던 불만 사항은 다음과 같이 개편되었다.

  • 조약 내에 국방장관회의 신설
  • 모든 군사 훈련을 조율하기 위한 군사 회의 신설
  • 신형 장비와 기술의 공유를 위해 군사 과학 위원회 신설
  • 외무상 회의와 외무 사무관 회의 신설
  • 비 소련 바르샤바 조약국의 입지 대폭 강화; 이전보다 더 수준 높은 협동 지휘가 가능하게 됨.


1970년 소련-체코슬로바키아 조약이 체결되었고, 이는 중부 군집단의 주둔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이 조약은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의 서독에 대한 적대 감정을 확인하고, 나토에 대한 압박을 지속적으로 가하며, 유사시 독일로 진격할 능력을 갖추기 위함이었다. 프라하의 봄 이후, 중부 군집단은 체코슬로바키아에 주둔하면서 '그림자 참모'라는 별명이 생길 정도로 군에 깊숙이 개입했다.[38] 또한 프라하의 봄 이후 19,000명에 달하는 체코슬로바키아군 장교들이 군에서 축출되어 장교단이 다시 심각하게 저하되었다.

1969년 '정상화'를 표방한 보수적인 구스타우 후사크 정권이 집권한 이래로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소련에 성실하게 충성했지만, 한편으로는 충성을 대가로 (미국의 퍼싱 II 중거리 핵전력 배치에 대한 응답으로 배치된) SS-22 스케일보드 전구 탄도 유도탄의 철수와 같은 현안을 유리하게 끌어내려고 시도하였다. 체코슬로바키아에 배치된 핵전력은 갈수록 국내적으로 심각한 사안이 되어갔다. 소련의 핵무기에 체코슬로바키아인들은 심각한 우려를 느꼈고, 억압적인 공산당의 정상화 통치에 대한 불만까지 합쳐져 위험해지고 있었다. 1983년 바츨라프 하벨을 비롯한 체코슬로바키아 지식인들은 77 헌장을 발표하였고, 프라하 카렐 대학교에서는 반핵 시위가 1984년까지 이어졌다. 공산당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는 와중에 미하일 고르바초프브레즈네프 독트린을 폐기했고, 마침내 벨벳 혁명으로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정권은 무너졌다.

2. 3. 프라하의 봄과 바르샤바 조약군의 침공 (1968)

1968년 프라하의 봄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장교단은 소련 중심의 국방 정책에 강한 불만을 품고 있었다. 보이치에흐 멘치 대령과 보리보예 스바르치 중령은 4월 중순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실행계획'(고트발트 제안서)을 중앙위원회에서 승인받았다. 이 계획은 소련 중심의 바르샤바 조약 탈퇴 및 체코슬로바키아 중립화, 또는 바르샤바 조약을 동등한 집단 안보 체제로 전환, 대규모 군축 등을 포함했다.[38] 이 계획은 1968년 7월 2일경 제14차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대회에서 표결될 예정이었다.

바츨라프 프리츨리크 중장은 급진적 장교단의 체코슬로바키아군 개혁 요구를 지지하고 추진했다. 소련이 중장의 개혁을 비판하자, 알렉산데르 둡체크는 그를 해임했지만, 그는 여전히 당에서 중요한 정치적 직위를 유지했다. 그러나 1968년 8월 20일, 바르샤바 조약군은 프라하의 봄을 진압하기 위해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했다.[38] 이듬해 둡체크는 사임했고, 모든 개혁은 무효화되었다.

이 사건은 체코슬로바키아가 바르샤바 조약에서 이탈할 가능성에 대한 소련의 우려를 증폭시켰다. 이전까지 소련은 체코슬로바키아 영내에 소련군을 주둔시키지 않았으나, 침공 이후 상당한 중부 군집단 병력을 체코와 슬로바키아에 주둔시켰다.[38]

프라하의 봄은 실패했지만,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구조적 개편을 촉진했다. 고트발트 제안서에서 제기된 불만 사항은 다음과 같이 반영되었다.[38]

  • 조약 내 국방장관회의 신설
  • 모든 군사훈련 조율을 위한 군사회의 신설
  • 신형 장비 및 기술 공유를 위한 군사과학위원회 신설
  • 외무상회의와 외무사무관회의 신설
  • 비(非)소련 바르샤바 조약국의 입지 대폭 강화 (이전보다 수준 높은 협동 지휘 가능)


1970년 소련-체코슬로바키아 조약이 체결되어 중부 군집단의 주둔이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 이 조약은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가 서독에 대한 적대감을 확인하고, NATO에 대한 압박을 지속하며, 유사시 독일로 진격할 능력을 갖추기 위한 것이었다. 프라하의 봄 이후, 중부 군집단은 체코슬로바키아에 주둔하면서 군에 깊숙이 개입하여 '그림자 참모'라는 별명을 얻었다.[38] 또한 프라하의 봄 이후 19,000명에 달하는 체코슬로바키아군 장교들이 군에서 축출되어 장교단의 질이 다시 심각하게 저하되었다.

2. 4. 정상화와 벨벳 혁명 (1969-1990)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이 1948년 권력을 장악한 후 군대에는 큰 변화가 있었다. 장교의 절반 이상이 병사들과 마찬가지로 박해를 받기 시작했고, 많은 수가 강제로 군을 떠나야 했다. 정치적인 억압은 주로 서유럽에서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병사들에게 집중되었지만, 동부 전선 참전자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군대는 공산당의 완전한 통제하에 놓이게 되었고, 1950년에는 소련식으로 재편성되어 군사 지역이 해체되었다. 1951년 체코슬로바키아와 소련은 군사 장비, 특히 항공기와 레이더 구매를 위해 약 4400만러시아 루블의 차관을 제공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체코슬로바키아군의 수는 1953년경 30만 명 이상으로 급증하였다.

1989년 11월 17일 사건의 해명을 위한 체코슬로바키아 연방 의회 조사 위원회의 최종 보고서는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체코슬로바키아 육군은 SNB (국민 경찰) 및 LM (준군사 노동자 민병대)와 함께 사회 통제 및 내부 정치 문제의 즉각적인 관리를 위해 설계된 직접적인 권력 도구 중 하나로 이해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은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의 주요 정치 행정부(HPS)의 광범위한 인력을 통해 최하위 부대까지 침투하여 군대에 대한 절대적인 영향력을 사실상 확보했다."[3] 벨벳 혁명 동안 공산당 국방부 장관 밀란 바클라비크는 시위대에 대항하여 군대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지만, 그의 제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3]

2. 5. 합동 군사 훈련

1960년대 초중반,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군사훈련은 표면적으로는 우호적인 군사개입 상황에서 소련-체코슬로바키아 합동 작전 능력을 확인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1966년 블타바 기동훈련에서 소련군이 체코 지역/중앙 당국과 연락 체계를 구축한 것은 체코슬로바키아의 저항을 사전에 방지하려는 의도로 의심받았다.[38]

1970년부터 소련의 크라스나야 즈베즈다 지는 체코슬로바키아와 소련의 합동 군사훈련에 대해 보도하기 시작했다. 1970년 소련 중부 군집단과 서부 체코슬로바키아군이 시행한 '타란' 훈련은 첫 합동 훈련이었고, 1974년 소련의 바르샤바 조약 보고서에는 '조직적' 합동훈련에서의 양군 부대와 편제가 공개되었다. 비(非) 소련 바르샤바 조약군과도 훈련이 시행되었는데, 1969년 폴란드에서 열린 '오데르-나이세' 훈련에서는 소련군/체코군 차량화소총부대와 폴란드 전차부대, 체코 전차부대와 동독군 기계화부대, 체코군 공수부대와 소련 수송기/폴란드 공군의 합동훈련이 시행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군은 1970년 동독에서 열린 'Brotherhood in arms 1970' 훈련에서도 비슷한 임무를 수행했다. 체코슬로바키아군은 1972년 '쉴드-72' 훈련을 주재했고, 여기에는 헝가리, 소련, 동독,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가 참가했다. <For Eternity 1975>에 따르면, 이 훈련에서 소련군의 지원을 받으며 폴란드군과 체코슬로바키아군은 '어깨와 어깨를 맞대고' 싸웠다. 1979년 중부 군집단과 체코군 사이에 열린 '우애-79' 훈련에서는 26,000명이 참가했고, 1982년 '우애-82' 훈련에서는 25,000명이 참가했으며, 1984년 '쉴드-84' 훈련에서는 60,000명이 참가했다. 이 훈련에서 각국 부대들은 지상군뿐만 아니라 다양한 병과들까지 참가시켰다. 체코슬로바키아 공군 역시 중부 군집단 소속 항공 전력과 '마치 단일한 지휘 체계를 이룬 듯이' 합동 작전 훈련을 하였다.[38]

3. 조직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육군
  •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공군
  •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방공군
  • 국가보안군
  • 체코슬로바키아 국경수비대
  • 체코슬로바키아 인민민병대


이외에도 민방위 부대, 청소년 조직과 같은 준군사조직이 있었다.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은 육군, 공군, 방공군 및 참모총장의 지휘를 받는 국경 수비대로 구성되었다.

3. 1. 육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육군(Pozemní vojsko)은 1987년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ČSLA) 현역 군인 약 201,000명 중 약 145,000명(약 72%)을 차지했으며, 이 중 약 100,000명이 징집병이었다.[4] 육군은 서부와 동부의 두 개 군관구로 나뉘었다. 1989년 서부 군관구에는 프지브람에 위치한 제1군(1개 전차 사단, 3개 기계화 보병 사단)과 피세크에 위치한 제4군(2개 전차 사단, 2개 기계화 보병 사단)이 있었다. 동부 군관구에는 트렌친에 본부를 둔 제13전차사단과 제14전차사단 등 2개의 전차 사단이 있었다.[5]

체코슬로바키아 군사 교리는 대규모 전차 부대가 보병 공격을 이끄는 형태였다. 장갑 부대가 목표를 확보하는 동안 보병은 박격포, 저격수, 대전차포 및 중형 포병으로 근접 지원을 제공했다. 육군 병력의 대다수는 18세에서 27세 사이의 모든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24개월 징병제로 모집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육군 청동 명예 훈장

3. 2. 공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공군은 1944년 9월 17일을 창설일로 기념했다.[6] 이날 체코슬로바키아 인력으로 구성된 전투기 연대인 제1 체코슬로바키아 독립 전투 항공 연대가 슬로바키아 영토로 출격하여 슬로바키아 민족 봉기에 참여했다.[6] 이 연대는 제1 체코슬로바키아 혼성 항공 사단으로 성장하여 소련군과 함께 싸웠다. 그러나 체코슬로바키아 부대가 전투 능력을 갖추기 위해 제트 전투기를 받기 시작한 것은 전쟁 후 6년 뒤인 1951년이었다.

체코슬로바키아 공군은 초음속 제트 전투기, 공격 헬리콥터, 방공 시스템 및 전자 추적 장비로 완전히 무장했다.

3. 3. 방공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방공군(Protivzdušná obrana státu, PVOS)은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육군 소속으로, 대공 미사일 부대, 요격 전투기 부대, 그리고 레이더 및 방향 탐지 부대(소련 용어로는 전파 기술 부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3. 4. 국경수비대

''포흐라니치니 스트라주, 포흐라니치나 스트라주''(Border Guard영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0년대에 창설되었다. 1977년 연방 내무부에 소속되기 전까지는 군의 일부였다. 1951년까지 약 17,000명의 병력과 직원을 보유한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의 가장 작은 부대였다.[7] 주요 임무는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모든 국경을 경비하고 순찰하는 것이었다. 가장 경계가 삼엄했던 국경은 오스트리아서독 국경이었다.[8]

4. 장비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은 소련제 장비와 자체 생산한 장비를 혼용하여 사용했다.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주요 장비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
분류장비명원산지종류수량비고
전차T-72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 /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주력전차700~900대M, M1. 국내 생산.
T-55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 /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주력전차1,908~1,927대A, AM1, AM2. 국내 생산. 1,277대 치장물자.
T-34-85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 /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중형 전차373대
ISU-152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중자주포2대 이상TSU-152. 1970년대 체코 노동자 사용.[21]
장갑차/BVP-2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보병전투차280~310대1991년 53대 창고 보관
BVP-1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보병전투차1,250~1,390대1991년 109대 창고 보관
OT-90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장갑 수송차620대BVP-1 차체, BTR-70 포탑 장착.
OT-64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장갑 수송차1,600대A/C
OT-62 TOPAS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장갑 수송차불명BTR-50 체코슬로바키아 버전. A, B.
OT-810Nazi-Deutschland|나치 독일de /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장갑 수송차불명Sd.Kfz. 251 체코슬로바키아 버전.
OT-65Magyar Népköztársaság|헝가리 인민 공화국hu /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장갑 수송차불명D-442 FUG 체코슬로바키아 명칭.
정찰/BRDM-2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정찰/순찰 차량불명
OT-65Magyar Népköztársaság|헝가리 인민 공화국hu /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정찰/순찰 차량300대D-442 FUG 체코슬로바키아 명칭. A.
자주포/152mm SPGH DANA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자주포408대
2S1 그보즈디카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자주포448~600대
2S7 피온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자주포4~12대
ShM vz.85 PRÁM-S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자주박격포12대
견인포PRAM-L 120mm불명견인포불명
vz. 52 82mm불명견인포불명
100mm BS-3 견인포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견인포250문
122mm M1931/37 견인포 (A-19)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견인포100문
122mm M1938 곡사포 (M-30)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곡사포250문
130mm M1954 견인포 (M-46)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견인포70~75문제71포병여단 운용.
152mm 견인포-곡사포 M1955 (D-20)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견인포90문
다연장 로켓포RM-70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다연장 로켓포100~200대RM-70M. BM-21 그라드 발사기, 타트라 813 탑재.
RM-51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다연장 로켓포120대
대공 무기S-75 드비나(SA-2)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지대공 미사일23기
S-125 (SA-3)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지대공 미사일불명
S-200 (SA-5)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지대공 미사일5개 대대분발사대 250기, 6개 연대, 40개 발사 기지
S-300 (SA-10)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지대공 미사일1개 대대분PMU, 프라하 방어용 4기
SA-6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지대공 미사일불명
2K11 크루그(Krug, SA-4 Ganef)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지대공 미사일불명
지대지 미사일스커드-B 미사일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지대지 미사일30기해체 후 대부분 체코로.[24]
9K52 루나-M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지대지 미사일10기
9K52 루나-M 탄도 미사일, 1985년 프라하 군사 퍼레이드.
OTR-21 토치카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지대지 미사일8기1980년대 소련 구매. 18기 배치.
기타OTR-23 오카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지대지 미사일4기1980년대 소련 구매. 1995년 퇴역.
자주포2S4 튤판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자주포4문1980년대 사용
100mm vz. 53불명자주포600문
122mm 곡사포 2A18 (D-30)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곡사포210문
대전차 무기RPG-7불명로켓 추진 유탄불명후계 국가에 넘겨짐.
P-27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로켓 추진 유탄불명P-27. 국내 생산.[18]
RPG-75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경대전차 무기불명M72 LAW 체코슬로바키아판.
9K31 스트렐라-1, 9K33 오사, 9K35 스트렐라-10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대전차 미사일불명
항공기MiG-29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전투기20대단좌 18대, 훈련 2대[19]
MiG-23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전투기70대BN, MF, ML, U
MiG-21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 /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전투기/공격기180~195대 이상
MiG-15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전투기1,473대[22][23]
Su-25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공격기38대K, UBK, 단좌 36대, 훈련 2대[19]
Su-22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공격기57~60대M, UM, 단좌 49~52대, 훈련 8대
Mi-24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공격헬기60~62대Mi-24D 28~29대, Mi-24UD 2대, Mi-24V 30~31대
Mi-17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수송헬기83대
훈련기L-39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훈련기57대 이상C, ZA, V, L-39C 24대, L-39ZA 27대, L-39V 6대
개인화기Vz. 52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반자동 권총불명1980년대 vz. 82로 대체.
Vz,. 82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반자동 권총불명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전까지 제식.
Vz. 52 소총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자동 장전 소총불명단기간 사용. Vz. 58로 대체.
Vz. 58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돌격소총불명제식 소총.
Škorpion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기관단총불명
PPSh-41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기관단총불명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후 vz. 58 대체.[15]
Sa 23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기관단총불명Škorpion 대체.
UK vz. 59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다목적 기관총불명구형 Vz. 52 기관총 대체. UK vz. 59 L, UK vz. 59 T.[16]
Vz. 52 기관총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경기관총불명단기간 사용.
저격총SVD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지정 사수 소총불명
볼트액션 소총Mosin–Nagant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볼트 액션 소총불명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마우저 소총 사용 전,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모델 1891 소총 사용. 1950년대 후반 M91/38 카빈총 개조. Vz.54 저격 소총 개발.[17]
Vz. 24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볼트 액션 소총불명Vz. 52 도입 전까지 제식.

[39]

4. 1. 지상군 장비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의 지상군은 1987년 기준 약 145,000명의 병력을 보유했으며, 이 중 약 100,000명이 징집병이었다.[4] 징병제는 18세에서 27세 사이의 모든 남성을 대상으로 24개월간 실시되었다. 지상군은 크게 서부 군관구와 동부 군관구로 나뉘었다. 프지브람에 위치한 제1군과 피세크에 위치한 제4군은 서부 군관구에, 트렌친에 본부를 둔 제13사단과 제14사단은 동부 군관구에 속했다.[5]

체코슬로바키아 군사 교리는 전차 부대를 중심으로 보병 부대가 협력하는 형태였다. 전차 부대가 주 목표를 확보하는 동안, 보병은 박격포, 저격수, 대전차포, 중형 포병 등으로 근접 지원을 제공했다.
전차

전차원산지형식파생형운용 수량비고
T-72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 /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주력전차M, M1900[19]국내 생산
T-55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 /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주력전차A, AM1, AM2[20]1,927[19]국내 생산, 1,277대가 치장물자
T-34-85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 /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중형 전차373[19]
ISU-152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중자주포>2TSU-152라고도 불림. 1970년대에 체코 노동자들이 사용.[21]


장갑차/보병전투차

APC/AFC원산지형식파생형운용 수량비고
BVP-2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보병전투차310[19]1991년에 53대가 창고에 보관
BVP-1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보병전투차1,250[19]1991년에 109대가 창고에 보관
OT-810Nazi-Deutschland|나치 독일de /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장갑 수송차1,900 (760대 창고 보관)[19]Sd.Kfz. 251의 체코슬로바키아 버전
OT-90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장갑 수송차BVP-1 차체에 BTR-70 포탑 장착
OT-65Magyar Népköztársaság|헝가리 인민 공화국hu장갑 수송차D-442 FUG에 대한 체코슬로바키아 명칭
OT-64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장갑 수송차A/C
OT-62 TOPAS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장갑 수송차A, BBTR-50의 체코슬로바키아 버전
BRDM-2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정찰/순찰 차량480 (422대 창고 보관)[19]
OT-65Magyar Népköztársaság|헝가리 인민 공화국hu /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정찰/순찰 차량A300[19]D-442 FUG에 대한 체코슬로바키아 명칭


자주포/자주박격포

자주포/자주박격포원산지종류파생형운용 수량비고
152mm SPGH DANA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자주포408
2S1 그보즈디카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자주포600
2S7 피온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자주포12
ShM vz.85 PRÁM-S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자주박격포12
RM-70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다연장 로켓포RM-70M200
RM-51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다연장 로켓포120


견인포

견인포원산지종류파생형운용 수량비고
100mm BS-3 견인포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250
122mm M1931/37 견인포 (A-19)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100
122mm M1938 곡사포 (M-30)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250
130mm M1954 견인포 (M-46)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75
152mm 견인포-곡사포 M1955 (D-20)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90


대공무기

대공무기원산지종류파생형운용 수량비고
S-75 드비나(SA-2)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23
S-125 (SA-3)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
S-200 (SA-5)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5개 대대분
S-300 (SA-10)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1개 대대분
SA-6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


4. 2. 공군/방공군 장비

기종개발/생산국종류개량형대수비고
MiG-29전투기20[19]단좌형 18대, 훈련용 2대
MiG-23전투기BN, MF, ML, U70
MiG-21전투기/공격기195 이상
Su-25공격기K, UBK38[19]단좌형 36대, 훈련용 2대
Su-22공격기M, UM57단좌형 49대, 훈련용 8대
Mi-24공격헬기D, V62Mi-24D 29대, Mi-24UD 2대, Mi-24V 31대
Mi-17수송헬기83
L-39훈련기C, ZA, V57+L-39C 24대, L-39ZA 27대, L-39V 6대

[39]

기종원산지종류형식운용 수량비고
S-300이동식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PMU4프라하 방어를 위한 1개 포대
S-200고정식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발사대 250기[19]6개 연대, 40개 발사 기지
S-125
S-75


5. 군사 교육

6. 문화


  • '''국가 방위''' (Národní Obrana) 신문
  • '''인민군''' (Lidová Armáda) 잡지
  • '''체코슬로바키아 전사''' (Czechoslovak Warrior) 잡지
  • '''노트''' (Zápisník) 잡지
  • 반스카비스트리차에 있는 전문 스포츠 육군 센터 "두클라"
  • 육군 예술 앙상블 "비트 네예들리"
  •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중앙 군악대
  • 군 예술 앙상블 "야안 나레프카"
  • 체코슬로바키아 전쟁 영화 스튜디오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중앙 군악대는 1950년대부터 1989년 11월까지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의 이념적 도구 중 하나로 활동했다.[12]

7. 기념일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은 다음과 같은 기념일들을 가졌다.

날짜기념일비고
1월 15일로켓군 및 포병의 날제1 체코슬로바키아 군단과 제38군이 1945년 1월 15일 폴란드 도시 야슬로 근처 전투에서 활동한 것을 기념한다.
10월 6일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창설일두클라 고개 전투 1944년 10월 6일 기념일.
9월 17일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항공의 날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시대 동안,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은 레트나에서 정기적인 전승 기념 열병식을 개최했다. 첫 번째 열병식은 1951년에 열렸고, 그 이후 1990년까지 매 5년마다 5월 9일에 열렸다. 열병식은 또한 프라하 봉기를 기념했다. 이러한 열병식의 마지막은 1985년에 열렸다.[13][14] ''나의 조국은 어디인가''와 ''타트라 산에 번개 친다''(체코슬로바키아 국가)가 열병식에서 연합 군악대에 의해 연주된 후 ''소련 국가''가 연주되었다. 브라티슬라바에서도 열병식이 열렸다.

8. 대 나토 전쟁 임무

동유럽에서 가장 기계화된 전력 중 하나였던 체코슬로바키아군은 소련 중부 군집단과 함께 국경을 맞대고 있는 서독 바이에른을 공격할 예정이었다. 체코슬로바키아군의 5개 전차사단과 5개 차량화사단은 전선의 남서부를 맡았고, 동쪽 슬로바키아의 2개 사단은 제2전략제대 역할을 맡았다.[40] 이들 중 카테고리 1에 속하는 4개 정예사단은 전시에 중부 군집단에 편입되어 전투할 것이었다.

참조

[1] 서적 Historie spojovacího vojska Ministerstvo obrany – Agentura vojenských informací a služeb 2007
[2] 웹사이트 Vojenska-oblast-1 1945–1950 http://forum.valka.c[...] 2013-07
[3] 문서 Final report of the inquiry commission of the Federal Assembly to clarify the events of 17 November 1989, Part IV. – Czechoslovak People's Army http://www.psp.cz/ek[...] 2009-10-28
[4] 간행물 Ground Forces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y: Czechoslovakia 1987
[5] 웹사이트 Warsaw Pact Order of Battle 1989 http://www.orbat.com[...] 2010-06-02
[6] 서적 První doma ("First at home") Naše vojsko 1980
[7] 서적 Pohraniční stráž a pokusy o přechd státní hranice v letech 1951-1955 Ústav pro studium totalitních režimů 2008
[8] 웹사이트 Železná opona - RetroMánia https://www.retroman[...] 2024-07-04
[9] 웹사이트 History of Faculty - Information about Faculty https://web.archive.[...] 2021-06-06
[10] 웹사이트 Polní stejnokroj vz. 60 : Československo / ČR (CZK/CZE) https://www.valka.cz[...] 2024-07-04
[11] 웹사이트 05 Pohraniční stráž https://www.vhu.cz/e[...] 2000-10-10
[12] 웹사이트 Ústřední hudba slaví 70. Její hudba rozechvívá lidská srdce i opravdové mosty https://web.archive.[...] 2021-06-06
[13] 웹사이트 Praha Experienced a Military Parade After 23 Years https://www.lidovky.[...] 2019-08-10
[14] 웹사이트 A Spectacular Military Parade Should Roar Through Prague https://www.novinky.[...] 2019-08-10
[15] 논문 Introduction http://dx.doi.org/10[...] Cornell University Press 2021-10-15
[16] 웹사이트 UK vz. 59 : Czech Republic / Czechoslovakia (CZE) https://www.armedcon[...] 2024-07-03
[17] 웹사이트 Mosin Nagant Master Model Reference http://7.62x54r.net/[...] 2024-07-03
[18] 웹사이트 SADJ Identification Series: The RPG ID Guide – Small Arms Defense Journal http://www.sadefense[...]
[19] 서적 The military balance. 1991-1992. Brassey's 1991
[20] 웹사이트 Stredný tank T-55AM2K Vojenský historický ústav (VHÚ) https://www.vhu.sk/s[...] 2024-07-03
[21] 웹사이트 TSD-152 – ISU-152 in Czechoslovak Service For the Record http://ftr.wot-news.[...] 2014-03-19
[22] 웹사이트 What was the yearly number of MiG-15's produced? https://aviation.sta[...] 2024-07-18
[23] 웹사이트 The MiG-15: The Plane that Made MiG https://pickledwings[...] 2024-07-18
[24] 웹사이트 Taktické rakety Scud-B na přehlídce na Letenské pláni https://www.vhu.cz/e[...] 2013-12-22
[25] 웹사이트 9K52 LUNA-M :: Modely vojenskej techniky povojnovej čs. armády a ČSĽA od roku 1945 do roku 1990 https://modelycsla.w[...] 2024-07-03
[26] 웹사이트 D-30 (2A18) https://avtoexport.c[...] 2024-07-03
[27] 웹사이트 https://ebadatelnavh[...] 2024-08
[28] 서적 Jane's Armour and Artillery 1997-98
[29] 웹사이트 Balkánska Gvozdika Vojenský historický ústav (VHÚ) https://www.vhu.sk/b[...] 2024-07-03
[30] 웹사이트 Mortar 120 mm PRAM L, type 82 Ministry of Defence & Armed Forces of the Czech Republic https://www.army.cz/[...] 2024-07-03
[31] 웹사이트 CZK - vz. 52 (82mm minomet) : Československo / ČR / SR (CZK/CZE/SVK) https://www.valka.cz[...] 2024-07-03
[32] 서적 The military balance. 1991-1992. Brassey's 1991
[33] 서적 Jane's Land-based Air Defence 1992-93 Jane's Information Group 1992-03-01
[34] 웹사이트 Praga M53/59 https://old-forum.wa[...] 2024-07-03
[35] 논문 An Integrated Approach to On-line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 Includ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with Local Basis-Functions http://dx.doi.org/10[...] 1992-04
[36] 서적 Historie spojovacího vojska Ministerstvo obrany – Agentura vojenských informací a služeb 2007
[37] 웹사이트 Vojenska-oblast-1 1945–1950 http://forum.valka.c[...] 2012-04-11
[38] 서적 NATO WARSAW PACT FORCE MOBILIZATION 1987
[39] 서적 Czechoslovakia : a country study http://www.marines.m[...] Federal Research Division 1989
[40] 서적 Warsaw Pact Force Modernization: a closer lo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