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취두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취두부는 소금에 절인 두부를 발효시켜 만든 음식으로, 독특하고 강렬한 냄새가 특징이다. 중국에서 유래되어 다양한 지역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조리되며, 튀기거나 찌거나 끓여 먹는 등 여러 형태로 즐겨 먹는다. 냄새는 썩은 쓰레기, 발 냄새에 비유될 정도로 강하지만, 냄새와는 달리 맛은 두부와 유사하며, 냄새가 강할수록 맛이 좋다고 여기는 사람들도 있다. 취두부의 냄새는 다양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에 의해 발생하며, 안전성 문제와 냄새 성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식 중국 요리 - 춘권
    중국에서 유래한 춘권은 얇은 반죽에 채소나 고기 등을 넣어 튀기거나 굽는 음식으로, 봄철 명절 음식으로 유명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재료, 조리법으로 세계 각지에서 즐겨 먹는다.
  • 인도네시아식 중국 요리 - 미고렝
    미고렝은 인도네시아에서 유래된 볶음면 요리로, 달콤한 간장, 튀긴 샬롯, 매운 삼발 소스를 사용하여 다양한 재료와 함께 볶아 만들며 여러 변형과 인스턴트 라면 형태로도 존재한다.
  • 두부 요리 - 순두부찌개
    순두부찌개는 부드러운 순두부를 주재료로 하여 고추장과 참기름 양념으로 간을 맞추고 날달걀을 넣어 먹는 한국의 대표적인 찌개 요리이며, 전라북도 완주군과 경상남도 함양군의 향토 음식으로, 해외에서도 인기가 많고 조선시대 기록에도 등장하는 오랜 역사를 지닌 음식이다.
  • 두부 요리 - 유도후
    유도후는 간장 등으로 간을 한 국물에 데운 두부를 약재와 함께 먹는 일본 요리이며, 가정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넣어 끓이거나 스모(相撲)部屋에서는 전골 형태로 먹기도 한다.
  • 대만 요리 - 팥죽
    팥죽은 팥을 주재료로 하여 붉은색이 악귀를 물리친다는 믿음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동지에 먹는 한국의 전통 음식이다.
  • 대만 요리 - 땅콩 수프
    땅콩 수프는 땅콩을 주재료로 하여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조리되며, "은카텐콴"이라고 불리는 아칸식 수프를 포함해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변형으로 즐겨 먹는 음식이다.
취두부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취두부 모습
취두부
중국어臭豆腐 (chòu dòufu)
광동어chau3dau6fu2
상해어해당 정보 없음
대만어Chhàu-tāu-hū
일본어 (가타카나)チョウドウフ
일본어 (히라가나)しゅうどうふ
한국어 (음차)취두부
개요
종류두부
주재료발효된 두부
특징강한 냄새가 나는 중국식 발효 두부
상세 정보
기원중국
관련 지역동아시아
조리 및 섭취
섭취 방법튀기거나 찌거나 끓여서 섭취함
톡 쏘는 맛과 짠맛

2. 역사

취두부는 소금에 절인 두부를 발효시켜 만든 음식으로, 매우 강한 향이 특징이다. 이 냄새 때문에 호불호가 갈리지만, 좋아하는 사람들은 "냄새는 역겨워도 먹으면 고소하다"고 말한다.

취두부의 유래에 대해서는 청나라 강희제안후이성 출신의 왕치허(王致和)가 처음 만들었다는 설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원래 취두부는 후난성향토 음식이었으나, 근대에 중국 각지로 퍼져나갔다. 중국 남부, 타이완, 홍콩 등에서 즐겨 먹지만, 특유의 냄새 때문에 현지인 중에서도 못 먹는 사람이 있을 정도다.

과거에는 채소 등과 함께 두부를 일주일 정도 절여 만들었지만, 발효를 조절하기 어려워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요즘은 식물 즙과 석회 등을 섞고, 낫토균과 낙산균으로 발효시킨 절임물에 두부를 하룻밤 정도 담가 만든다. 두부 자체는 거의 발효되지 않지만, 표면의 식물성 단백질이 절임물의 작용으로 일부 아미노산으로 변하면서 독특한 풍미와 강한 냄새를 낸다.

2. 1. 왕치허와 취두부

왕치허(王致和)는 청나라 강희제안후이성에서 과거 시험을 보러 북경으로 올라왔으나 낙방하였다. 그는 고향으로 돌아가는 대신 북경에서 두부 장사를 시작했다.[5][6]

장사가 잘 안 되어 며칠이 지나자 두부에 곰팡이가 피었다. 왕치허는 곰팡이가 핀 두부를 소금물에 절였는데, 두부가 푸른색으로 변하면서 독특한 맛이 났다. 그는 이 두부에 '처우더우푸(臭豆腐)'라는 간판을 걸고 팔기 시작했고, 손님이 끊이지 않을 정도로 인기를 얻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취두부는 황제의 식단에까지 오르게 되었다.[7]

검게 변한 후난 스타일 취두부

2. 2. 청나라 황실 음식

왕치허가 발명한 취두부는 큰 인기를 얻어 이후 청나라 황궁에서 제공되었다.[7] 이 음식은 황제의 식단에까지 오르게 되었다.[5]

2. 3. 대만으로의 전파

1949년 중국 국민당이 국공 내전에서 패배하면서 중국 대륙에서 타이완으로 건너온 외성인들 중에, 허난성 출신의 노병 이명전(李明全)이 있었다.[36] 그는 자신이 알고 있던 취두부 조리법을 대만 사람들에게 전파했고, 이것이 대만식 취두부의 시초가 되었다.[36] 이후 대만 현지인들은 취두부를 끊임없이 개량하여 현재의 대만식 취두부 형태를 만들었다.[36] 대만식 취두부는 표면이 바삭바삭하고 부스러지기 쉬우며, 내부에는 많은 구멍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36] 대륙 북방의 취두부와는 달리, 처음 맡을 때부터 구린내가 강하게 나고 먹을 때도 그 냄새가 계속된다.[36]

3. 제조 방법

취두부는 지역별, 제조 방식별로 다양한 제조법이 존재한다.

재료로는 황두, 고추기름, 차기름, 마기름, 간장, 염분이 섞인 지하수, 굵은 소금, 구운 석고 등을 이용한다. 황두는 두부를 만들 때 사용하며 이 두부를 기름에 튀겨 취두부를 만든다. 그 후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기다린 다음 기름을 이용해 볶는다. 그 후 두부 가운데에 구멍을 뚫고 고추기름, 간장, 마기름 등을 넣어 보관한다.[37][38]

창사와 사오싱에서 만들어지는 마른 취두부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그 결과 맛도 매우 다르다.[12] 톈진에서 판매되는 취두부는 대부분 난징 스타일로 만들어지며, 향이 약하다. 상하이에서는 취두부가 튀겨져 길거리에서 판매되며, 일반적으로 매운 소스나 달콤한 소스와 함께 제공된다. 의 반찬으로, 또는 일반적인 아침 식사의 일부로 제공된다. 충칭의 길거리 취두부는 보통 튀겨지며 일반적으로 고수 잎, 파, 고춧가루, 사천 후추 및 기름의 혼합물에 찍어 먹는다. 때때로 사천 매운 훠궈에 찍어 먹기도 한다. 베이징에는 항아리에 응고된 형태로 판매되는 종류가 있다.

창사 스타일 취두부


사천 스타일 (Málà chòu dòufu) 얼얼한 매운 취두부


취두부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첫 번째는 중국 대륙, 타이완, 홍콩 등 주로 화남 지방에서 먹으며, 두부를 주로 식물성 발효액에 담가 풍미를 더한 것이다. 주로 인돌 등에 의한 변취가 난다. 대부분 튀겨서 소스를 뿌리는 등 조리한 간식으로 포장마차에서 판다. 두 번째는 베이징 등 화북에서 예로부터 먹어온 부루(豆腐乳)의 일종으로, "청부루", "청방" 등으로도 불린다. 두부에 푸른곰팡이를 피운 다음 소금물에 절여 만들기 때문에 푸른곰팡이의 효소 작용으로 다이메틸 다이설파이드 등의 자극적인 냄새가 강하고 짭짤하기 때문에 소량을 에 얹어 먹거나 조미료로 사용한다.

3. 1. 전통 방식

전통적인 취두부 제조 방식은 발효된 우유, 채소, 육류로 만든 소금물을 준비하는 것이다. 이 소금물에는 말린 새우, 비름, , 죽순, 한약재가 포함될 수도 있다.[1] 소금물 발효는 몇 달이나 걸릴 수 있다.

3. 2. 현대식 대량 생산

현대식 공장에서는 취두부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 더 빠른 방법을 사용한다. 신선한 두부를 준비된 소금물에 단 하루나 이틀 정도만 절인다. 특히 튀기거나 삶는 요리에 사용된다.[2] 이 과정은 완전히 발효되는 대신 절인 두부에 냄새만 더하는 것이다.

3. 3. 화학적 분석

2012년 화학 분석 결과, 발효된 취두부의 독특한 냄새와 맛에 기여하는 39가지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발견되었다. 주요 휘발성 화합물은 강렬한 배설물 냄새를 가진 인돌이었으며,[8] 그 뒤를 디메틸 트리스파이드, 페놀, 디메틸 디설파이드 및 디메틸 테트라설파이드가 따랐다.[9]

후난 농업 대학의 창사 취두부 분석 사례[29]에서는 발효액 성분을 약간 바꿔도 공통적으로 변취를 갖는 인돌, 양파마늘에 포함된 이황화 메틸, 삼황화 메틸, 달콤한 로스트향을 갖는 2,3,5,6-테트라메틸피라진 등이 다량 검출되었다.

4. 지역별 취두부

취두부는 중국 각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와 맛으로 발전해왔다. 지역에 따라 사용하는 절임액과 제조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모양과 먹는 방법도 크게 다르다.


  • '''후난성 창사시''': 검은색 절임액을 사용하며, 튀겨서 매운 고추 소스를 곁들인다. '흑피두부'라고도 불린다.
  • '''장쑤성 난징시''': 회색의 말린 두부 형태이며, 튀겨서 꼬치에 꽂아 제공한다.
  • '''대만과 홍콩''': 옅은 회녹색의 취두부를 튀겨 두반장 소스를 곁들인다. 꼬치구이 형태로도 제공되며, 튀긴 후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 '''저장성 사오싱시''': 채소 계열 절임액에 압착 두부를 절여 튀긴 후 매운 소스를 곁들인다.
  • '''베이징과 동북 지방''': 푸른곰팡이를 붙인 두부를 염분 높은 액체에 절인 '청부유', '청방' 등이 있다. 젓갈과 비슷한 풍미로 등에 곁들여 먹는다. 청나라 서태후도 즐겨 먹었다고 한다.[27][28]


대만에서는 매운 양념에 끓여 먹는 '취취궈'도 있으며, 저장성 등에서는 으깬 취두부에 채소를 넣고 찌거나 튀긴 요리도 있다.

4. 1. 중국

취두부는 긴 역사만큼 중국 대륙에서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샤오츠(길거리 음식)이다. 중국 각 지방별로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는데, 창사와 사오싱의 취두부는 제조 방법이 달라 맛도 매우 다르다.[12] 창사 취두부는 조미료에 절인 노란 콩을 사용하며, 톈진의 취두부는 난징 스타일로 향이 약하다. 상하이에서는 튀긴 취두부를 매운 소스나 달콤한 소스와 함께 길거리에서 판매하며, 의 반찬으로도 제공된다. 충칭의 취두부는 튀겨서 고수, 파, 고춧가루, 쓰촨 후추, 기름 등을 찍어 먹거나, 훠궈에 찍어 먹기도 한다. 베이징에는 응고된 형태의 취두부가 있다.

지룽의 취두부 노점


화롄현 신청 야시장에서 취두부를 만드는 노점상


4. 1. 1. 후난성 창사 취두부

창사 취두부는 창사 사람들에게 초우깐즈(臭干子)라고 불린다. 바삭바삭하고 물컹거리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처음에는 냄새가 코를 찌르는 듯하지만, 세심히 냄새를 맡으면 특유의 농도 짙은 향이 느껴진다. 흰 두부의 상큼한 맛과 튀긴 두부의 향긋하고 바삭바삭함이 공존한다. 색은 누르스름하고 겉은 바삭하지만 속은 부드럽다. 선명하고 매운 향이 난다.[34]

창사 취두부는 창사 길거리 음식의 상징이며, 현지인들은 "취간쯔"(臭干子, 냄새 나는 육포)라고 부르기도 한다.[16] 창사 취두부는 매운 맛으로 유명하다. 쓰촨 취두부와 달리 창사 스타일은 검은색의 바삭한 겉면을 가지고 있다. 창사 취두부는 겨울 죽순, 코지, 표고버섯으로 구성된 소금물로 만들어진다. 표면에 흰색 털 모양의 섬유가 생기고, 회색으로 변하면 취두부는 튀길 준비가 된 것이다. 다진 겨자, 고추, 파는 창사 취두부의 일반적인 토핑이다.[17] 샹탄 연자육 및 영풍 고추 소스와 함께 창사 취두부는 "후난성 삼보" 또는 후난의 3대 보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18]

후난성 창사시의 검은 취두부 노점

4. 1. 2. 난징 취두부

난징 취두부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회백색의 옅은(단단하지 않은) 두부이고, 다른 하나는 짙은 회색의 말린 두부이다.[35] 전자는 기름을 부어 튀기면 황금색으로 변하고, 맛을 보면 고추장, 깨장 등의 맛에 젖어들게 되며 겉은 부드럽고 속은 녹아내리는 듯한 맛을 풍긴다. 맛이 매우 강하다. 후자는 기름에 튀겨 먹는다면 조금 오래 튀겨야 맛이 우수하다. 표면은 작은 기포들이 있고 색깔은 검은 회색으로 변하면 먹을 수 있다.[35] 장쑤 성 난징 시의 취두부에는 회색의 말린 두부 타입도 있다. 딱딱하고 단단하기 때문에 네모나게 잘라서 튀기는 시간을 길게 하여 꼬치에 꽂아 제공된다.

4. 1. 3. 쓰촨 취두부



쓰촨에서는 취두부에 매운 고추화자오로 만든 얼얼한 향신료인 ''마라''를 넣는 경우가 많다.[19] 쓰촨식 취두부는 기름에 튀길 필요가 없어 검은색 튀김 찌꺼기가 없다. 다양한 종류의 향신료와 함께 볶고 끓여서 만든다.

4. 1. 4. 안후이 취두부

안후이성에서 취두부의 맛은 주로 매운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매울수록 현지인의 입맛에 더 잘 맞는다고 한다.[14] 중국 전설에 따르면 취두부는 안후이성 출신의 한 사람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실제로 안후이는 두부 요리의 발상지로 여겨지기에, 일반적으로 두부 요리의 기원을 안후이 요리에 귀속시킨다.[15]

4. 1. 5. 베이징 취두부

베이징 등 화북에서 예로부터 먹어온 부루(豆腐乳)의 일종으로, '청부루', '청방' 등으로도 불린다. 두부에 푸른곰팡이를 피운 다음 소금물에 절여 만들기 때문에 푸른곰팡이의 효소 작용으로 다이메틸 다이설파이드 등의 자극적인 냄새가 강하고 짭짤하기 때문에 소량을 에 얹어 먹거나 조미료로 사용한다.[12] 베이징이나 동북 지방에는 두부에 푸른곰팡이를 붙인 후 염분이 높은 액체에 비교적 장기간 담가둔 취두부가 있으며, 곰팡이의 색깔 때문에 "청부유", "청방" 등으로도 불린다. 부유의 일종으로, 인돌, 페놀, 디메틸디설파이드, 디메틸트리설파이드, 트리메틸아민 등에[27][28] 의한 자극적인 냄새가 있지만, 풍미는 젓갈과 비슷하며, 등에 소량 올려 반찬으로 먹는다. 청나라서태후도 즐겨 먹었다고 한다. 현재는 유명한 왕치허 브랜드의 것 등, 일반적으로 병에 담겨 판매된다.

4. 2. 홍콩

홍콩에서 취두부는 길거리 음식이다. 노점상과 다이파이동에서 즉석으로 튀겨서 봉지에 담아 판매한다. 홍콩식 취두부는 보통 튀겨서 해선장과 함께 먹는다.[13]

4. 3. 대만

대만의 취두부는 1949년 허난성 출신의 노병 이명전이 대만으로 가져온 것이 시초이다. 이후 대만 사람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개량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36] 대만 취두부는 중국 본토의 취두부와 달리 표면은 바삭하고 부스러지기 쉬우며, 내부에는 많은 구멍이 있다. 또한, 처음 맡을 때와 먹을 때 모두 구린내가 강하게 나는 것이 특징이다.[36]

타이완에서 취두부는 흔히 야시장 노점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튀김, 찜, 탕, 구이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그중에서도 튀긴 취두부가 가장 일반적이다.[23] 신베이시 선컹 구의 셴컹 라오지에(Shenkeng Old Street)는 타이완식 취두부 전문 식당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24]

대만에서는 옅은 회녹색의 취두부를 기름에 노릇하게 튀겨 두반장 소스를 찍어 먹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노점에서는 꼬치구이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 튀기는 과정에서 특유의 냄새가 퍼지지만, 튀긴 후에는 고소한 맛이 더해져 먹기 쉬워진다. 대만에서는 매운 양념을 넣고 끓여 먹는 '취취궈'라는 음식도 있다.

5. 조리 방법

취두부는 튀기거나, 찌거나, 삶거나, 굽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한다.

튀긴 취두부는 대만 야시장에서 가장 흔하게 판매되는 종류이며, 다른 조리법에 비해 덜 자극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보통 절인 배추와 마늘 소스를 곁들여 먹는다.[20] 대만과 홍콩에서는 옅은 회녹색 취두부를 기름에 튀겨 두반장 소스를 찍어 먹거나, 꼬치구이로 만들어 팔기도 한다. 저장성 사오싱시에서는 채소 절임액에 하룻밤 절인 두부를 튀겨 매운 소스와 함께 먹는다.

찜 취두부는 시판되는 취두부 중 가장 톡 쏘는 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20] 주로 절인 양배추, 고추 소스, 마늘 소스와 곁들여 먹는다.

삶은 취두부는 걸쭉한 국물에 담겨 제공되며, 마라를 기본으로 한 국물을 사용하지만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20] 대만에서는 매운 양념을 넣고 끓인 전골 요리인 "취취궈"로 즐겨 먹는다.

구운 취두부는 타이베이 신커우 구에서 유래된 것으로, 속은 부드럽고 고소하며 겉은 스펀지 같은 것이 특징이다.[21] 대나무 꼬치에 꽂아 숯불에 구워 고기 소스를 곁들이는데, 양념 덕분에 냄새가 덜해 취두부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추천된다.[22]

5. 1. 튀긴 취두부

튀긴 취두부는 대만 야시장에서 가장 흔하게 판매되는 종류이며, 다른 종류보다 덜 자극적인 것으로 여겨진다.[20] 튀긴 취두부는 절인 배추와 마늘 소스를 곁들여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20]

대만과 홍콩에서는 옅은 회녹색으로 물든 정도의 것을 기름에 노릇하게 튀겨 두반장 소스를 찍어 먹는다. 노점에서는 취두부를 꼬치구이로 제공하기도 한다. 튀기는 과정에서 악취가 주변에 퍼지기 때문에, 가게의 존재를 금방 알 수 있을 정도이지만, 튀긴 후에는 고소한 맛이 더해져 먹기 쉬워진다.

저장성사오싱시에서는 채소 계열의 절임액에 3cm 정도 크기로 자른 압착 두부를 하룻밤 절여 기름에 튀겨 매운 소스를 곁들여 먹는다.

5. 2. 찜 취두부

대만식 찜 취두부는 시판되는 취두부 중 가장 톡 쏘는 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절인 양배추, 고추 소스, 마늘 소스와 함께 먹는다.[20]

5. 3. 삶은 취두부 (취취궈)

삶은 취두부는 걸쭉한 국물에 담겨 제공된다. 마라 베이스가 자주 사용되지만,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마라 베이스의 매운 국물은 두부의 냄새와 맛을 가릴 수 있다고 한다.[20] 대만에서는 매운 양념의 전골 요리처럼 끓여 먹는 "취취궈"라고 불리는 음식이 있다.

5. 4. 구운 취두부

숯불 취두부는 타이베이 신커우 구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는 인기 있는 취두부의 한 종류이며, 대만의 많은 야시장에서 판매된다. 속은 부드럽고 고소하며 겉은 스펀지처럼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다.[21] 취두부 큐브를 대나무 꼬치에 꽂아 숯불에 구우며, 구운 고기 소스를 곁들인다. 양념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숯불 취두부의 불쾌한 냄새는 비교적 약하다. 따라서 숯불 취두부는 취두부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항상 권장된다.[22]

타이베이 난지창 야시장의 꼬치구이 취두부

6. 냄새

취두부 냄새는 썩은 쓰레기나 발 냄새, 썩은 고기 등에 비유될 정도로 강렬하다.[4][7] 하지만 냄새가 강할수록 맛이 좋다고 여기는 사람들도 있다.[1][7] 처음 취두부를 접하는 사람들은 특유의 냄새 때문에 거부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지만, 막상 먹어보면 냄새는 거의 느껴지지 않고 두부와 비슷한 맛이 난다.

6. 1. 냄새 성분

2012년 화학 분석에 따르면, 발효된 취두부의 냄새는 주로 인돌, 디메틸 트리스파이드, 페놀, 디메틸 디설파이드, 디메틸 테트라설파이드와 같은 39가지 휘발성 유기 화합물에 의해 발생한다.[8][9] 후난 농업 대학의 창사 취두부 분석 사례에서는 발효액 성분을 약간 변경해도 공통적으로 인돌, 이황화 메틸, 삼황화 메틸, 2,3,5,6-테트라메틸피라진 등이 다량 검출되었다.[29]

6. 2. 냄새와 맛의 관계

취두부의 냄새는 멀리서 맡으면 썩은 쓰레기나 발 냄새와 비슷하다고 한다.[4][7] 어떤 사람들은 블루 치즈에 비유하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은 썩은 고기에 비유하기도 한다. 냄새가 심할수록 맛이 더 좋다고 한다.[1][7]

취두부를 처음 접하는 외국인은 공중화장실을 연상시키는 강렬한 냄새에 심리적인 거부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냄새는 입 안에서 맛으로 거의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용기를 내어 입에 넣어보면 그 맛은 두부와 같아서 의외로 먹기 쉽다. 튀긴 취두부는 냄새가 약하며, 다양한 양념과 고추가 들어간 소스를 뿌리면 냄새가 더욱 억제되므로, 튀김 두부와 비슷하게 먹을 수 있다. 하지만 구토를 일으키는 사람도 적지 않으므로, 먹을 때는 주의와 주변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7. 안전성 문제

일부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제조되는 취두부는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특히 전통 방식으로 제조된 취두부의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중국에서는 취두부의 냄새를 강화하기 위해 죽은 달팽이, 배설물 및 상한 고기를 사용한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이를 섭취한 사람들이 아프거나 입원해야 했다고 보고되었다.[10]

중국 핑야오에서는 관광객들의 불만과 취두부의 불쾌한 냄새, 그리고 부실하게 준비된 취두부 섭취로 인한 식중독 가능성 때문에 당국이 취두부 판매 및 섭취에 대해 엄격한 단속 조치를 취했다.[11]

8. 기타

취두부는 세계적으로 냄새가 강한 음식 중 하나로 꼽힌다.[32] 알라바스터 단위(Au)로 420 Au인데, 이는 슈르스트뢰밍(8070 Au)이나 홍어회(6230 Au)보다는 낮지만, 낫토(452 Au)보다는 높은 수치이다.[32]

악취가 나는 음식 (냄새 순위는 아님)[32]
음식Au
슈르스트뢰밍8070
홍어회6230
에피큐어 치즈 (통조림 치즈)1870
두리안1650
키비악1370
구사야 (구운 것)1267
붕어 초밥486
낫토452
구사야 (가열 전 말린 생선)447
절인 단무지 (묵은 것)430
취두부420



알라바스터 단위(Au)는 냄새 성분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냄새의 강도는 각 냄새 성분과 사람의 감각 역치를 곱한 값으로 평가하므로, Au는 순수한 "냄새 단위"는 아니다.

중국 후난성 창사시에서는 튀겨서 소스를 입힌 뒤 진공 포장한 취두부 상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상온에서 수개월간 보존이 가능하다.[1] 홍콩에서는 T for Candy라는 회사에서 '홍콩 무인 미식 제4장 길거리 간식'이라는 피겨 중 하나로 취두부를 발매했다. 튀김 냄비나 꼬치에 꽂은 것을 세트로 한 수지제 미니어처이며, 물론 먹을 수는 없다.[1]

8. 1. 상품

중국 후난성 창사시에서는 튀겨서 소스를 입힌 뒤 진공 포장한 취두부 상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상온에서 수개월간 보존이 가능하다.[1]

8. 2. 문화

홍콩에서는 T for Candy라는 회사에서 '홍콩 무인 미식 제4장 길거리 간식'이라는 피겨 중 하나로 취두부를 발매했다. 튀김 냄비나 꼬치에 꽂은 것을 세트로 한 수지제 미니어처이며, 물론 먹을 수는 없다.[1]

8. 3. 냄새 나는 음식 비교

취두부는 세계적으로 냄새가 강한 음식 중 하나로 꼽힌다.[32] 알라바스터 단위(Au)로 측정한 냄새 강도는 420 Au이다. 이는 슈르스트뢰밍(8070 Au)이나 홍어회(6230 Au)보다는 낮지만, 낫토(452 Au)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악취가 나는 음식 (냄새 순위는 아님)[32]
음식Au
슈르스트뢰밍8070
홍어회6230
에피큐어 치즈 (통조림 치즈)1870
두리안1650
키비악1370
구사야 (구운 것)1267
붕어 초밥486
낫토452
구사야 (가열 전 말린 생선)447
절인 단무지 (묵은 것)430
취두부420



알라바스터 단위(Au)는 냄새 성분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냄새의 강도는 각 냄새 성분과 사람의 감각 역치를 곱한 값으로 평가하므로, Au는 순수한 "냄새 단위"는 아니다.

참조

[1] 뉴스 Stand back! Stinky tofu chain stores arrive in Shenzhen http://paper.sznews.[...] Shenzhen Daily 2006-06-02
[2] 뉴스 臭豆腐秘密基地 直擊製作過程! http://news.cts.com.[...] 2009-10-08
[3] 뉴스 Stinky Tofu is unsafe for consumption https://www.food-saf[...]
[4] 뉴스 The Find: Stinky tofu restaurant may find converts https://www.latimes.[...] 2018-09-15
[5] 웹사이트 This Wonder, This Miracle, This Stinky Tofu https://www.haaretz.[...] 2012-10-23
[6] 웹사이트 Kaleidoscope: Food Culture: Wang Zhihe Fermented Bean Curd http://kaleidoscope.[...] 2018-09-14
[7] 웹사이트 Stinky Tofu in Seattle: Why You Should Try This Strange Snack {{!}} Henry's Taiwan Kitchen http://www.henrystai[...] 2019-04-17
[8] 논문 Analysis of Organic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Fermented Stinky Tofu Using SPME with Different Fiber Coatings 2012-03-26
[9] 논문 Analysis of Organic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Fermented Stinky Tofu Using SPME with Different Fiber Coatings 2012-03-26
[10] 뉴스 Stinky tofu contains fecal matter and causes food poisoning https://roadsandking[...]
[11] 웹사이트 Chinese town dwellers ban smelly tofu, warn eateries. https://www.thestand[...]
[12] 웹사이트 Stinky Tofu- The Healthy and Easy Way https://www.yumofchi[...] 2020-04-16
[13] 웹사이트 Stinky tofu is a celebration of the beautiful stank https://thetakeout.c[...] 2020-05-02
[14] 웹사이트 Yahoo雅虎香港 http://hk.myblog.yah[...] 2015-03-01
[15] 웹사이트 Stinky Tofu in Chinese Food Wiki https://www.chinesef[...] 2020-04-04
[16] 웹사이트 Netizens selected top ten local cultural specialties http://www.chinanews[...] 2017-04-12
[17] 웹사이트 The difference between Changsha stinky tofu and Shaoxing stinky tofu https://www.zhifure.[...] 2020-04-24
[18] 웹사이트 Yongfeng hot sauce (China Protected Geographical Indication Products) http://www.cgi.gov.c[...] Government of China 6 2019-04-20
[19] 웹사이트 Stinky tofu is a celebration of the beautiful stank https://thetakeout.c[...] 2020-04-27
[20] 웹사이트 Taiwanese Stinky Tofu - Taiwan's Most Iconic Street Food Dish https://biglittleisl[...] 2020-05-02
[21] 웹사이트 A Taiwanese stinky tofu tour http://www.bbc.com/t[...] 2020-05-02
[22] 웹사이트 A Stinky Tofu Tour in Taipei, Taiwan https://www.lonelypl[...] 2020-05-02
[23] 웹사이트 Where Stinky Tofu Is at Its Malodorous Best https://www.nytimes.[...] 2020-05-01
[24] 웹사이트 Taipei's tasty 'House of Stink' http://www.bbc.com/t[...] 2020-05-02
[25] 뉴스 Tofu King Opens in Irvine https://www.ocweekly[...] 2018-09-15
[26] 문서 1949年]]に湖南省の李名が広めたという説がある。
[27] 간행물 青方腐乳關鍵揮發性風味物質研究 http://www.xdspkj.cn[...]
[28] 간행물 臭豆腐中揮發性香成分提取与分析
[29] 간행물 臭豆腐鹵水發酵過程中微生物變化及風味成分研究
[30] 뉴스 JR関西線で異臭騒ぎ 原因は中国などで食べられる「臭豆腐」か http://www.fnn-news.[...] Fuji News Network 2016-02-09
[31] 웹사이트 異臭の原因は臭豆腐と断定 JR関西線 https://web.archive.[...] 2016-02-18
[32] 서적 昭文社-なるほど知図帳2009「世界」51ページ。上記データを監修した東京農業大学教授小泉武夫の使用済み靴下は 120 Au であった。
[33] 웹사이트 중국 바이두 백과사전 http://baike.baidu.c[...]
[34] 문서 원문 : 长沙人称臭干子,特点:焦脆而不糊、细嫩而不腻、初闻臭气扑鼻,细嗅浓香诱人,具有白豆腐的新鲜爽口,油炸豆腐的芳香松脆。
[35] 문서 원문 : 南京臭豆腐分为两种,一种是灰白的嫩豆腐,一种是瓦灰的豆腐干。嫩臭豆腐下到油锅里炸至金黄色,就可以起锅,吃的时候浇上一些辣椒酱、芝麻酱、蒜汁、香菜、小葱、姜末,吃起来外脆内酥软,味道香浓;灰色的臭豆腐干子,在油里炸的时间需稍久一些,才能炸得透,随着诱人的臭味弥漫开来,豆腐干的表面就会起小泡泡,待色转变成灰黑色,就可以吃了。
[36] 인용
[37] 인용
[38] 백과사전 중국 바이두 백과사전 http://baike.baidu.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