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캉유웨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캉유웨이는 청나라 말기의 사상가이자 정치가로, 금문 공양학을 바탕으로 유교 경전을 재해석하고 서구 사상을 수용하여 변법 자강 운동을 주도했다. 그는 광서제의 지지를 얻어 개혁을 추진했으나, 서태후를 비롯한 수구파의 반대로 실패하고 망명했다. 망명 후에도 입헌군주제 수립을 위해 노력했으며, 대표 저서로는 『대동서』, 『일본변정고』 등이 있다. 그는 서예에도 능하여 캉체를 창안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군주주의자 - 장쉰
    장쉰은 청나라 말기 및 중화민국 초기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청나라 복벽을 시도했으나 실패 후 은퇴하여 사업가로 활동했다.
  • 중국의 군주주의자 - 옌푸
    옌푸는 청나라 말기 서양 학문과 사상을 중국에 소개하는 데 기여한 학자이자 번역가였으나, 만년에는 보수적인 행보를 보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
캉유웨이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강유위
강유위
출생일1858년 3월 19일
출생지난하이, 광둥성, 청나라
사망일1927년 3월 31일
사망지칭다오, 산둥성, 중화민국
배우자장윈주
량쉬자오
허잔리
랴오딩전
장광
자녀15명 (강퉁비 포함)
친척강유푸 (형제)
주요 작품《메이지 천황의 변법》 (日本明治變政考)
《표트르 대제의 변법》 (俄大彼得變政記)
알려진 업적공거상서 운동 지도자
무술변법 지도자
교육진사 학위 (과거 제도)
이름
본명 (한자)康有爲
본명 (간체)康有为
병음Kāng Yǒuwéi
웨이드-자일스 표기법K'ang¹ Yu³-wei²
표준중국어 발음 (IPA)/kʰɑ́ŋ joʊ̯wěɪ̯/
광둥어 (예일)Hong¹ Jau⁵-wai⁴
광둥어 (IPA)/hɔːŋ⁵⁵ tɐu̯³⁵ wai̯²²/
자(字)
광샤 (廣廈)
자 (병음)Guǎngshà
자 (예일)Gwóng-hah
호(號)
창쑤 (長素)
호 (병음)Chángsù
호 (예일)Chèuhng-sou
밍이 (明夷)
호 (병음)Míngyí
호 (예일)Mìhng-yìh
겅성 (更生 or 更甡)
호 (병음)Gēngshēng
호 (예일)Gāng-sāng
시차오 산인 (西樵山人)
호 (병음)Xīqiáo Shānrén
호 (예일)Sāi-chīu Sāan-yàhn
유춘수 (游存叟)
호 (병음)Yóucúnsǒu
호 (예일)Yàuh-chyùhn-sáu
톈유 화런 (天游化人)
호 (병음)Tiānyóu Huàrén
호 (예일)Tīn-yàuh Fa-yàhn
기타 정보
직업정치가, 학자
국적청나라 -> 중화민국
정당보구대청황제회 (保救大淸皇帝會, 1899년 ~ 1907년)
중화제국헌정회 (中華帝國憲政會, 1907년 ~ ?)
종교유교(성리학)
부모아버지: 강달초(康達初), 어머니: 노씨(勞氏)

2. 가계

광동성(廣東省) 광주부(廣州府) 남해현(南海縣) 강포사(江浦司) 은당향(銀塘鄕) 돈인리(敦仁里)에서 태어났다. 이곳은 오늘날 광동성 불산시(佛山市) 남해구(南海區) 단조진(丹灶鎭) 소촌(蘇村)에 해당한다. 캉유웨이의 가문은 대대로 학문과 관직에 종사한 명문가였다.

관계이름자(字)호(號)주요 이력
고조부강휘(康煇)문휘(文耀)병당(炳堂)가경(嘉慶) 신유과(辛酉科) 부방(副榜), 갑자과(甲子科) 거인(擧人) 흠사(欽賜)[31]
증조부강식붕(康式鵬)운구(雲衢)안찰사(按察使) 추증
증조모양씨(梁氏)
조부강찬수(康贊修)이건(以乾)술지(述之)도광(道光) 병오과(丙午科) 거인, 흠주(欽州) 학정(學正), 합포(合浦) 및 영산(靈山) 훈도(訓導) 역임
조모진씨(陳氏)
부친강달초(康達初)식모(植謀)소농(少農)강서(江西) 보용지현(補用知縣) 역임
모친노씨(勞氏)


3. 학문

캉유웨이는 어린 시절부터 학문에 재능을 보였으며, 가족의 기대를 받아 어린 나이부터 과거 시험을 준비하며 유교 경전을 익혔다.[31] 그는 광둥의 유명한 유학자 주치치(朱次琦)에게 한학과 송학을 아우르는 유학을 배웠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양명학불교까지 독학으로 섭렵하며 학문의 폭을 넓혔다. 그러나 10대 시절, 당시 학문의 주류였던 팔고문 작성 준비와 같은 형식적인 시험 준비 과정에 불만을 느끼기도 했다. 그는 엄격한 수험 생활 중 불교 명상을 통해 휴식을 취했으며, 이 과정에서 경험한 신비로운 체험은 그의 지적 탐구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는 모든 책을 읽으면 성인이 될 수 있다는 믿음 아래 인류 구원을 위한 사명감을 갖게 되었다.

1879년 홍콩 방문과 1882년 과거 응시차 베이징 방문 후 돌아오는 길에 들른 상하이에서의 경험은 그의 사상 형성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서구 문물의 번영을 목격하고 충격을 받은 그는 서양 서적을 탐독하며 서구 사상에 대한 이해를 넓혔고, 이는 개신교의 영향과 함께 그의 개혁 사상의 바탕이 되었다.[2][3][4][5]

캉유웨이 학문의 핵심 특징은 유교 내 비주류였던 금문 공양학(公羊學)에 기반을 두었다는 점과 초기 저작부터 서구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다. 그는 1890년대 초 랴오핑(廖平)의 저서를 접한 후 금문 공양학의 입장을 확립했다. 그는 한나라 시대에 널리 통용된 금문 경전이야말로 공자의 참뜻을 담고 있으며, 진나라 이전 문자로 쓰인 고문 경전은 전한 말의 학자 유흠(劉歆)이 위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신학위경고』'''(新學僞經考, 1891)에 자세히 담겨 있다. 또한 '''『춘추동씨학』'''(春秋董氏學, 1897)에서는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이 공자의 숨겨진 뜻("미언대의", 微言大義)을 올바르게 전한다고 보았다.

나아가 캉유웨이는 '''『공자개제고』'''(孔子改制考, 1898)를 통해 공자를 단순히 과거의 제도를 기술한 술자(述者)가 아니라, 시대를 개혁하기 위해 새로운 제도를 창안한 작자(作者)로 재해석했다. 이는 주공단(周公旦)의 제도를 이상으로 삼던 전통적인 공자상을 뒤엎는 혁신적인 관점이었다. 그는 이러한 새로운 공자상을 내세워 기존의 보수적인 학자들을 "구법에 얽매인 이단"으로 규정하고 자신의 개혁 사상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삼았다. 그는 공자를 반동주의자가 아닌 개혁가로 제시하며, 이상적인 미래 사회를 위해 재산과 가족 제도의 폐지까지 주장하는 급진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1]

서구 사상의 영향은 그의 초기 저작인 '''『실리공법전서』'''(實理公法全書)에서 "인류 평등은 기하학의 공리와 같다"고 언급한 데서도 드러난다. 그는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이 발행한 간행물을 통해 새로운 지식과 사상을 접했으며, 이를 유교 경전과 비교하여 일치점을 찾음으로써 자신의 주장에 정당성을 부여하고자 했다. 청일 전쟁 패배 이후에는 개혁의 모델로서 일본메이지 유신에 주목했고, 일본 서적과 번역서를 통해 입헌군주제 등 정치 개혁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본변정고』'''(日本變政考)와 '''『일본서목지』'''(日本書目志)로 정리되어 광서제에게 헌정되었고, 이는 무술 변법 추진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

1890년 광저우에 사숙(私塾)인 만목초당(萬木草堂)을 열어 량치차오 등 후일 변법 운동의 주역이 될 제자들을 양성했으며, 1895년에는 과거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캉유웨이 사상의 정수는 '''대동삼세설'''(大同三世說)이다. 이는 인류 역사가 혼란스러운 '거란세'(據亂世)를 거쳐 점차 발전하여 '승평세'(升平世)에 이르고, 최종적으로 이상 사회인 '태평세'(太平世)에 도달한다는 역사 발전 이론이다. 이 사상은 『예기』(禮記) 예운편(禮運篇)의 소강(小康)·대동(大同) 사상에 한나라동중서(董仲舒)와 청대 금문공양학자들의 삼세설(三世說)을 결합하고, 서구의 사회 진화론과 유토피아 사상을 융합하여 만들어졌다. 이는 과거를 이상향으로 보는 전통적인 순환사관이나 복고사관에서 벗어나, 시대가 진보할수록 이상 사회에 가까워진다는 새로운 역사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가 구상한 이상 사회 '대동'은 인류가 성별, 민족, 인종에 관계없이 자유롭고 평등하며, 정치는 전 세계가 통일된 후 민주적 선거에 의한 합의제로 운영되고, 경제적으로는 풍요로우며, 가족이나 국가 같은 경계가 사라지는 사회이다. 그러나 그의 사상에는 사회 진화론의 영향으로 인종 차별적인 요소도 포함되어 있어, 예를 들어 흑인을 열등한 인종으로 간주하기도 했다. 캉유웨이는 자신이 살던 청나라 말기를 '거란세'로 진단하고, 다음 단계인 '승평세'로 나아가기 위해 입헌군주제 도입이 시급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역사 발전 단계론은 그가 신해 혁명 이후에도 공화제에 반대하고 입헌군주제를 고수한 이유이기도 하다.

대동삼세설을 상세히 기술한 책이 '''『대동서』'''(大同書)이지만, 내용의 급진성 때문에 생전에는 일부만 공개되었고 사후인 1935년에야 완간되었다. 자서전에는 1884년에 저술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내용과 용어로 볼 때 1901년에서 1902년 사이에 완성된 것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주요 저서
저서명저술 연도(추정)내용
신학위경고(新學僞經考)1891년고문 경전이 유흠의 위작임을 주장하며 금문 경전의 정통성을 강조.
춘추동씨학(春秋董氏學)1897년춘추공양전』이 공자의 진의("미언대의")를 올바르게 전했다고 주장.
공자개제고(孔子改制考)1898년공자를 단순한 술자(述者)가 아닌, 개혁을 위한 제도를 만든 작자(作者)로 재해석.
일본변정고(日本變政考)청일 전쟁 이후메이지 유신의 과정을 소개하며 청나라가 나아갈 입헌 군주제 개혁 방향 제시.
일본서목지(日本書目志)청일 전쟁 이후『일본변정고』 편찬 과정에서 참고한 일본 서적 목록.
대동서(大同書)1901년~1902년 (완성 추정)인류 사회가 거란세-승평세-태평세의 3단계를 거쳐 발전한다는 대동삼세설을 상세히 기술. (사후 1935년 완간)


4. 무술변법

1895년 청일 전쟁 패배 이후 시모노세키 조약 체결에 반대하며 공거 상서 운동을 주도하여 개혁 요구의 목소리를 높였다. 같은 해 진사가 된 캉유웨이는 이후 여러 차례 청나라 개혁을 주장하는 상소를 올렸다. 대신들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그의 상소는 마침내 광서제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특히 1898년에 올린 '변법자강책(變法自彊策)'은 본격적인 개혁안을 담고 있었다.

당시 서태후의 영향력 아래 있던 광서제는 상황을 타개하고 개혁 정치를 펴기 위해 캉유웨이의 정책을 지지하였다. 캉유웨이는 언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상소를 신문에 게재하여 여론을 형성하고 지지 세력을 확보하고자 했다. 또한 『일본변정고(日本變政考)』, 『아라사대피득변정기(俄羅斯大彼得變政記)』 등을 출판하여 메이지 유신과 표트르 대제의 개혁을 청나라 개혁의 모델로 제시하였다. 개혁 지지 세력을 결집하기 위해 보국회(保國會)를 조직하였으며, 이를 장차 서구식 의회 민주주의의 기반으로 삼으려 하였다. 그러나 보국회가 정치 개혁을 바라는 이들의 지지를 얻자 서태후는 이를 강제로 해산시켰다.

1898년 광서제의 지지 아래 무술변법이 시작되었다. 캉유웨이가 추진한 개혁안에는 과거 제도 개혁, 탐관오리 숙청, 각종 경제 개혁 등이 포함되었다. 하지만 개혁은 서태후를 중심으로 한 보수파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캉유웨이의 개혁은 광서제의 권위에만 의존하는 한계가 있었으며, 결국 원세개의 밀고로 쿠데타 음모가 발각되면서 무술정변으로 실패하고 만다. 이 정변으로 캉유웨이의 동생을 포함한 개혁파 인사들이 처형되었고(무술 육군자), 그를 지지하던 관리들도 처벌받았다. 캉유웨이 자신은 량치차오와 함께 일본으로 망명해야 했다. 이 개혁은 약 100일 만에 끝나 '백일천하(百日天下)' 또는 '100일 변법'이라고도 불린다.

5. 망명 이후

보구대청황제회(保救大淸皇帝會) 캐나다 회원. 상단 중앙은 광서제, 우측은 캉유웨이, 좌측은 량치차오.


무술정변 이후, 1898년 9월 20일 캉유웨이는 베이징을 탈출하여 톈진으로 이동했다. 목사 티모시 리차드의 도움으로 배를 타고 상하이로 갔으나, 그곳에서도 수배령이 내려져 위험한 상황이었다. 영국 영사관 직원 존 오트웨이 퍼시 블랜드의 도움으로 영국 배를 타고 홍콩을 거쳐 캐나다로 망명했다. 캉유웨이는 자신이 광서제의 비밀 지령(의대조, 衣帶詔)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1899년 7월 20일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서 보황회(保皇會, 중국유신회)를 조직했다.[7] 보황회는 입헌군주제 수립을 목표로 삼고 쑨원 등이 이끄는 공화제 혁명 운동에 반대했다. 북미, 동남아시아, 홍콩, 일본 등지에 지부를 설립했으며, 마카오의 『지신보(知新報)』와 요코하마의 『청의보(淸議報)』를 기관지로 발행했다. 그는 보황회의 군사 부문을 이끌기 위해 미국인 군사 고문 호머 리 장군에게 의존하기도 했다.

1900년, 캉유웨이는 자립군기의(自立軍起義)에 참여하였다. 1902년 겨울에는 캐나다 빅토리아에서 보황회 회원들과 회의를 열어 자금 마련을 위한 당영(黨營) 사업 설립을 결정하고, 이를 위해 세계 각지의 화교 사회를 돌며 유세했다. 1901년부터 1909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인도를 방문하여 식민지 상황과 사회 분열을 관찰하기도 했다.[8] 1904년에는 스웨덴 스톡홀름 근교 살트셰바덴(Saltsjöbaden)에 작은 섬을 구입하여 1907년까지 머물렀다.

1906년, 청나라 정부가 예비입헌(預備立憲)을 선포하자 캉유웨이는 보황회의 임무가 완수되었다고 선언했다. 1907년 보황회는 제국헌정회(帝國憲政會)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 시기부터 그는 제자 량치차오와 점차 다른 정치적 노선을 걷게 되었다.

1911년 신해혁명이 성공하여 중화민국이 수립되자 캉유웨이의 정치적 입지는 크게 좁아졌다. 그는 공화제 수립에 반대하며 끝까지 입헌군주제를 고수했다.[9] 일부에서는 공자의 후손인 연성공이나 명나라 황실 후손인 연은후를 황제로 추대하자는 주장도 있었으나, 캉유웨이는 청나라 황실을 통한 입헌군주제를 지지했다.[10][11][12][13][14][15][16]

1914년 중국으로 돌아온 캉유웨이는 위안스카이의 제정(帝政) 움직임에 반대했다. 1917년에는 군벌 장쉰 등과 손잡고 선통제 푸이를 복위시키려는 복벽운동을 일으켰다. 입헌군주제 국가를 세우려 했으나, 당시 중국 내 반군주주의 정서가 강했고 내부 호응 세력도 적었다. 캉유웨이 자신도 장쉰이 입헌군주제를 명분으로 내세워 실권을 잡으려 한다고 의심하여 미국 공사관으로 피신했다. 결국 복벽운동은 쑨원과 군벌 돤치루이 등의 반발에 부딪혀 반역으로 규정되었고, 돤치루이 군대에 의해 쉽게 진압되어 실패로 끝났다. 이 사건 이후 캉유웨이는 정치 무대에서 점차 멀어졌다.

싱가포르에서 캉유웨이와 그의 시크 경비병 사진


말년의 캉유웨이는 중국 전통문화 보존 활동과 철학 연구에 몰두했다. 그는 공자를 반동주의자가 아닌 개혁가로 제시하며 자신의 사상을 펼쳤고, 이는 그의 저서 『개혁가로서의 공자 연구』[1]와 『신(新) 시대 위조 고전 연구』 등에 나타난다. 또한 그는 뛰어난 서예가로서 독창적인 서체인 캉체(康體, 파체破體)를 창안했으며, 비석 서예를 중시하는 내용을 담은 『광예주쌍집(廣藝舟雙楫)』을 저술했다. 만년에는 서예 작품 판매가 그의 주요 수입원이었다.[24][25][26] 1927년 칭다오에서 7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6. 사상

캉유웨이 사상의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유교 내에서 비주류에 속하는 금문(今文) 공양학(公羊學)에 기초했다는 점이며, 둘째는 서구 사상의 영향이 그의 초기 저작부터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 두 요소가 결합하여 캉유웨이만의 독특한 사상 체계를 형성했다.

캉유웨이는 처음에는 스승 주차기(朱次琦)에게 한학(漢學)과 송학(宋學)을 함께 배웠으나, 1890년대 초 랴오핑(廖平)의 저서를 접한 후 금문 공양학으로 전향했다. 그는 전통적으로 인정받던 고문(古文) 경전들을 전한 말 학자 유흠(劉歆)이 위조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금문 경전이야말로 공자의 참된 뜻을 담고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그는 유흠의 위작설을 제기한 '''『신학위경고(新學僞經考)'''(1891년), 공자의 진의가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의 "미언대의(微言大義)"를 통해 올바르게 전해졌다고 주장한 '''『춘추동씨학(春秋董氏學)'''(1897년), 그리고 공자가 단순히 과거의 것을 기술한 '술자(述者)'가 아니라, 옛것에 의탁하여 자신이 행하고자 하는 정치 개혁을 설계한 '작자(作者)'라고 주장한 '''『공자개제고(孔子改制考)'''(1898년)를 차례로 저술했다.[1] 이를 통해 캉유웨이는 전통적인 공자상을 뒤엎고, 공자를 적극적인 개혁가로 재해석함으로써 자신의 변법론에 정당성을 부여하고자 했다.

동시에 캉유웨이는 서구 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1879년 홍콩 방문을 통해 서구 문물의 번영에 충격을 받은 그는 서양 문화와 사상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후 상하이에서 서양 서적들을 구입하며 자신의 사상을 발전시켜 나갔다. 그의 초기 저작인 '''『실리공법전서(實理公法全書)'''에는 "인류 평등은 기하학의 공리와 같다"는 구절이 등장할 정도로 일찍부터 서구 사상에 개방적이었다. 그는 개신교 선교사들이 발행하는 간행물 등을 통해 새로운 지식과 사상을 습득했으며, 이를 유교 경전과 비교하며 일치점을 찾아 경전으로부터 정당성을 부여받으려 했다. 청일 전쟁 패배 이후에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저작과 번역물에도 주목하여 정치 개혁에 필요한 지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그 결과물인 '''『일본변정고(日本變政考)'''는 메이지 유신의 과정을 소개하며 입헌 군주제가 청나라가 나아가야 할 길임을 시사했고, 함께 편찬된 '''『일본서목지(日本書目志)'''는 참고한 일본 서적 목록을 담아 광서제에게 헌정되어 황제의 개혁 의지를 다지는 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사상적 배경 속에서 캉유웨이는 입헌 군주제를 강력히 신봉했으며,[1] 메이지 시대일본을 모델로 삼아 중국을 개혁하고자 했다. 그는 역사가 '거란세(據亂世, 혼란의 시대)'에서 '승평세(昇平世, 점진적 평화의 시대)'를 거쳐 궁극적인 이상 사회인 '태평세(太平世, 완전한 평화의 시대)'로 발전한다는 '''대동삼세설(大同三世說)'''을 제시했다. 이는 예기(禮記) 예운편의 소강(小康)·대동(大同) 사상에 동중서(董仲舒) 등의 삼세설(三世說)을 결합하고, 서구의 사회 진화론과 유토피아 사상을 접목한 독특한 역사 발전 이론이었다. 캉유웨이는 자신이 살던 청나라 말기를 아직 '거란세'로 진단하고, 다음 단계인 '승평세'로 나아가기 위해 입헌 군주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역사관은 신해 혁명 이후 공화정이 수립된 뒤에도 그가 입헌 군주제를 고집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9] 그의 이상적인 '대동' 세계에 대한 구체적인 구상은 대표 저작인 '''『대동서(大同書)'''**에서 상세히 다루어진다.

한편, 캉유웨이는 불교의 영향도 받아 인간이 겪는 다양한 고통의 원인을 분석하기도 했다.[22] 또한 그는 뛰어난 서예가로서, 기존의 첩학(帖學)을 비판하고 비학(碑學)을 옹호하는 '''비학파'''(碑學派)의 입장에서 서예 이론서 '''『광예주쌍집(廣藝舟雙楫)'''을 저술했으며, '캉체(康體)' 또는 '파체(破體)'라 불리는 독자적인 서체를 창안하기도 했다.[24][25][26]

6. 1. 대동사상과 『대동서』

캉유웨이 사상의 핵심은 그의 대표작 '''대동서(大同書)'''에 집약되어 있다. 이 책의 구상은 1884년 그의 강의 노트에서 시작되었으며, 제자들의 격려 속에서 20여 년간 집필하여 인도 망명 시기에 초고를 완성했다. 『대동서』는 1900년대 일본에서 처음 두 장이 출판되었고, 그가 세상을 떠난 지 약 7년 후인 1935년에야 비로소 전체 내용이 출간되었다.[18] 책의 제목 '대동(大同)'은 공자가 이상적으로 생각했던 유토피아 사회를 의미한다.

캉유웨이(Kang Youwei), 1920년경


캉유웨이는 『대동서』를 통해 국경 없는 하나의 세계를 구상했다. 이 세계는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중앙 정부 아래 여러 개의 직사각형 행정 구역으로 나뉘며, 각 구역은 자치권을 가지면서도 중앙 정부에 충성하는 형태이다. 그는 이러한 이상 사회에서는 인종적 경계 역시 사라질 것이라고 보았다. 하지만 동시에 그는 당시 서구에서 유행하던 사회 진화론의 영향을 받아 상당히 논란이 될 만한 우생학적 계획을 제시하기도 했다. 약 천 년에 걸쳐 소위 "갈색과 검은색" 인종을 점진적으로 제거하고, 최종적으로는 "같은 색, 같은 외모, 같은 크기, 같은 지능"을 가진 흰 피부의 동질적인 인류를 만들고자 한 것이다.[19] 이를 위해 특정 인종의 강제 이주나 불임 시술 같은 비인도적인 방법을 구상했으며, 백인이나 황인이 다른 인종과 결혼하여 "인류를 개선"하는 경우 특별한 명예를 부여하자는 제안도 포함되었다. 캉유웨이는 백인과 황인이 공존할 수 있다고 보면서도, 궁극적으로는 백인이 더 우월하며 황인 역시 '대동' 사회 도래 이전에 사라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는 점에서 그의 인종관은 심각한 한계를 드러낸다.[19]

가족 제도에 있어서 캉유웨이는 급진적인 변화를 주장했다. 그는 전통적인 가족 구조가 사회 갈등의 주요 원인이라고 보고, 이를 폐지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대신 국가가 운영하는 자궁 교육 기관, 보육원, 학교 등이 가족의 역할을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혼 역시 남녀 간의 1년 단위 계약으로 대체되어야 하며, 여성이 평생 한 남성에게 얽매이는 기존의 결혼 제도는 억압적이라고 비판했다.[21] 이러한 주장은 그가 남녀 평등을 지지하고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사회적 활동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신념을 가졌음을 보여준다. 그는 중국 여성의 독립을 초기부터 옹호한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20]

경제적으로 캉유웨이는 자본주의를 본질적으로 부정적인 시스템으로 간주했다. 그는 정부가 개인의 복지를 책임지는 사회주의 제도를 수립해야 한다고 믿었으며, 심지어 정부가 "공산주의"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다만 그가 사용한 '공산주의'라는 용어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했는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이견이 있다. 그는 국영 보육 시설과 학교 외에도 노인을 위한 국영 양로원 설립을 구상하는 등 국가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이러한 그의 사회주의적 사상이 서구 사상의 영향인지, 아니면 '인(仁)'과 같은 전통적인 유교 이상에 뿌리를 둔 것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진행 중이다. 로렌스 G. 톰슨(Laurence G. Thompsom)은 그의 사회주의가 전통적인 중국적 이상에 기초했다고 보지만, 캉유웨이가 푸리에를 언급했다는 점을 들어 서구 지식인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는 학자들도 있다.

기술 발전에 대한 캉유웨이의 낙관적인 시각 역시 『대동서』의 중요한 특징이다. 당시 많은 학자들이 서구 기술을 단지 국방력 강화 수단으로만 여겼던 것과 달리, 캉유웨이는 기술 진보가 인류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 핵심 동력이라고 확신했다. 그는 전 세계를 연결하는 전신 및 전화 네트워크의 등장을 예견했으며, 기술 발전 덕분에 미래에는 사람들이 하루에 3~4시간만 일해도 될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다. 이는 20세기 미래학자들의 예측과도 맞닿아 있는 부분이다.

『대동서』가 처음 출판되었을 때 평가는 엇갈렸다. 광서제에 대한 캉유웨이의 지지는 많은 중국 지식인들에게 반동적으로 비춰졌고, 일부는 이 책이 청 왕조 유지를 위한 정교한 변명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다른 이들은 그를 현대 서구 사회주의공산주의를 옹호한 대담하고 선구적인 사상가로 평가했다. 후자 중에는 마오쩌둥이 있었는데, 그는 캉유웨이와 그의 『대동서』의 사회주의적 이상을 존경했다. 현대 중국 학자들은 이제 종종 캉유웨이가 중국 사회주의의 중요한 옹호자였다는 견해를 취한다. 논란에도 불구하고, 『대동서』는 여전히 인기가 있다. 베이징의 한 출판사는 이를 중국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100권의 책 목록에 포함시켰다.

7. 평가

캉유웨이는 청나라 말기 백일 천하와 같은 개혁 운동을 이끈 핵심 인물이었으나, 서태후의 쿠데타 등으로 개혁은 좌절되었다. 그는 입헌 군주제를 강력히 신봉했으며,[1] 메이지 시대 일본을 모델로 삼아 국가 개조를 원했다. 이러한 생각은 당시 학계 동료들 사이에서 이단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신해 혁명으로 중화민국이 수립된 이후에도 공화제 수립에 반대하고[9] 입헌군주제를 고수하여 정치적, 사상적 입지가 점차 좁아졌다.

그는 공자를 반동주의자가 아닌 개혁가의 본보기로 제시했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개혁가로서의 공자 연구''[1] 와 ''신(新) 시대 위조 고전 연구'' 등의 저서를 통해 중국 고전의 고문(古文) 버전이 위조되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인간의 고통의 근원을 불교와 유사한 방식으로 분석하기도 했다.[22]

캉유웨이는 개혁을 위한 실천에도 적극적이어서, 1883년 광저우 근처에서 전족 금지 사회를 설립했으며, 베이징에서는 중국 개혁가들이 설립한 최초의 정치 단체인 강학회(强學會)를 발족했다.[6] 1895년 청일 전쟁 패배 후 시모노세키 조약에 항의하여 량치차오 등과 함께 공거 상서 운동을 주도했으며, 이는 개혁파의 등장과 중국 대중 정치 운동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으로 평가받는다.[7]

그러나 망명 이후 그의 행보는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1917년에는 장쉰 등과 함께 선통제 복위를 시도하는 복벽운동을 일으켰으나, 당시 반군주주의적 분위기 속에서 실패로 돌아갔다. 이 사건은 큰 실책으로 평가받으며, 캉유웨이 자신도 장쉰의 진정성을 의심하여 미국 공사관으로 피신했다. 그의 평판은 시대 변화에 따라 극적으로 변하여, 한때 급진 개혁가로 여겨졌으나 20년도 안 되어 시대에 뒤떨어진 인물로 평가받게 되었다. 중국계 영국인 작가 정창은 캉유웨이가 서태후에 대한 여러 부정적인 이야기를 퍼뜨린 '선전의 대가'였으며, 한때 자신이 공자의 환생이라 주장하며 황제가 되려 했다고 비판했다.[17]

정치 활동 외에도 캉유웨이는 뛰어난 서예가로, 독자적인 캉체(破体, 파체)를 창안했다. 그는 비학(碑學)을 옹호하며 첩학(帖學)을 비판했다. 그의 저서 《광예주쌍집(广艺舟双楫)》은 비석 서예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이며,[24][25][26] 왕희지와 동시대인 육조 시대 비문의 가치를 강조하고 등석여의 서예를 높이 평가했다. 말년에는 서예 판매가 그의 주요 수입원이었다.[24][25][26]

8. 저서


  • 『신학위경고(新學僞經考)』
  • 『공자개제고(孔子改制考)』
  • 대동서(大同書)』
  • 『일본변정고(日本變政考)』: 이 책은 광서제가 항상 옆구리에 끼고 다닐 정도로 애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2]
  • 『아대피득변정기(俄大彼得變政記)』
  • 『실리공법전서』[33]

참조

[1] 서적 China's Revolution and the Quest for a Socialist Future 1804 Books
[2] 서적 Confucianism in Cross-cultural Dialogue https://books.google[...] Shanghai Education Publishing House
[3] 서적 Taoism and the Arts of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01
[4] 서적 Journey to the West: The Monkey King's Amazing Adventures https://books.google[...] Tuttle 2008-09-15
[5] 서적 Religious Dynamics under the Impact of Imperialism and Colonialism: A Sourcebook https://books.google[...] BRILL 2016-10-11
[6] 간행물 Revisionism Reconsidered: Kang Youwei and the Reform Movement of 1898 https://www.cambridg[...]
[7] 간행물 Chapter Two. The Language Question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http://dx.doi.org/10[...] BRILL 2020-12-17
[8] 뉴스 Kang Youwei’s Journey to India: Chinese Discourse on India During the Late Qing and Republican Periods, Liu Xi, CHINA REPORT 48 : 1&2 (2012): 171–185 http://journals.sage[...]
[9] 서적 China's Revolution and the Quest for a Socialist Future 1804 Books
[10] 서적 The Chinese Hsinhai Revolution: G. E. Morrison and Anglo-Japanese Relations, 1897-192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08-02
[11] 서적 The Gate of Heavenly Peace: The Chinese and Their Revolution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1982-10-28
[12] 서적 The 1911 Revolution: A Retrospective After 70 Years https://books.google[...] New World Press
[13] 서적 The National Review, China https://books.google[...]
[14] 서적 Monumenta Serica https://books.google[...] H. Vetch
[15] 서적 The Passing of the Manchus https://archive.org/[...] E. Arnold
[16] 서적 The Search for a Vanishing Beijing: A Guide to China's Capital Through the Ages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8-03-01
[17] 서적 Empress Dowager Cixi: the concubine who launched modern China 2013
[18] 간행물 Edward Bellamy and Kang Youwei's utopian society: Comparative analyses.
[19] 서적 Chinese Visions of World Order: Tianxia, Culture, and World Politics https://books.google[...] Duke UP
[20] 웹사이트 'Atria | Kennisinstituut voor Emancipatie en Vrouwengeschiedenis' http://www.iiav.nl/e[...]
[21] 문서 Kang Youwei 2010, Datong Shu, Beijing: Renmin chubanshe, p.310.
[22] 간행물 Edward Bellamy and Kang Youwei's utopian society: Comparative analyses.
[23] 웹사이트 "The One-World Philosophy of K'ang Yu-Wei" http://www.theos-wor[...]
[24] 간행물 The Other Kang Youwei: Calligrapher, Art Activist, and Aesthetic Reformer in Modern China by Aida Yuen Wong http://dx.doi.org/10[...] 2014
[25] 간행물 The Study of Calligraphy of Kang Youwei
[26] 간행물 A Study in Comparative Utopias - K'ang Yu-Wei and Plato http://dx.doi.org/10[...] 2003
[27] 간행물 Two or three things about Mao, Godard and Kang Youwei http://dx.doi.org/10[...] 2013-04-01
[28] 서적 Evidence in Civil Law - Sweden http://dx.doi.org/10[...] Institute for Local Self-Government and Public Procurement Maribor 2015
[29] 문서 日本外交文書 外務省編
[30] 문서 日本外交年表竝主要文書 外務省編
[31] 문서 '「康煇,字文耀,號炳堂,江浦司丹桂堡銀塘鄉人。嘉慶辛酉科欽賜副榜,甲子科欽賜舉人。先世自高曾以來,代爲公府掾,至煇乃抗志爲儒,以孝友居家,以誠恕待物。家極貧,以敎讀爲生,而脩行窮經,氣不少挫。乾隆癸未始進庠,年將彊仕,俟値歲凶,父恐食指繁多,煇難獨任,命其異母弟二人與析箸。煇聞之,泣請復合,恐其弟不能自食,貽父母憂也。母病在牀,雖假館於外,夜半必徒步歸俟,俟母安寢,乃返館睡。睡覺,聞人語犬吠聲,又披衣起,疑病或不測,遣使召之也。念始遷祖至,已十七傳,族姓單微,宗祠未立,乃蓄脩脯卒成之。歲時率子弟享祀,諄然以立身揚名,無忝先人爲訓。有不率敎者,訶譴勸誡,至於涕泣。外間無知之人,有侮慢之者,置不與校,其仁恕如此。生平嚴於課徒,篤於友誼。有馮姓友將没,託以後事,煇每事爲之經紀,力任不辤。有梁姓友,一家病疫,死數人矣。俗謂疫疫有鬼病,易傳染,無敢過唁者。煇獨頻頻往來,爲之商酌飮子。其授徒於課文外,尤以修士行、守禮法相督責。有不肖,必譙讓之,不改,則驅逐之,畧不假貸。人亦樂其眞摯,負笈相從者,户外之屨恆滿。然數奇,先後設帳五十年,門弟子綴巍科、登仕版者,指不勝屈。己尙困於場屋,旁人代爲扼腕。煇進取之志,不懈益堅。會欽州馮敏昌主講粤秀書院,煇仰其學行,移住院中,親往受業,時年將七十矣。敏昌一見深重之,謂人曰:吾門下不乏英才,若剛毅樸誠,守聖賢之規,嚴義利之辨,如炳堂者,吾見亦罕。此非吾弟子,乃畏友也。卽親書帖子,表其寓齋曰:門無俗客,户有清風。其爲名流佩服多類此。向來以欽賜登第者,多年高才盡,不復北行。煇年老,尙健於文,伸紙毫濡,滔滔不竭。適其門人多計偕者,勸之同行,欣然就道,抵涿州,抱微恙而卒。喪南返,會葬者數十百人。贈之文詞,皆曰:科名仕宦,天以報施善人。先生以明德重望,訓後學,表鄉閭,不得於其身,必償於其後無疑也。厥後子姓繁衍。孫贊脩,道光丙午舉人,官欽州學正;國禧,候選知縣;國器,廣西布政使司布政使。曾孫熊飛,浙江候補道」,(同治)《南海縣志》卷十五'
[32] 서적 《상식밖의 세계사》-여론정치의 천재 강유위의 싱거운 종말 새길
[33] 웹사이트 송인재 : 캉유웨이, 『실리공법전서』 http://has.hallym.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