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티앙 디오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티앙 디오르는 1905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미술관을 운영하며 예술계에 발을 들였다. 이후 패션 디자이너로 전향하여 로베르 피게와 뤼시앵 르롱의 하우스에서 일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점령 하의 프랑스에서 활동했다. 1946년 자신의 패션 하우스를 설립, 1947년 '뉴 룩' 컬렉션을 발표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뉴 룩'은 여성스러운 실루엣으로 패션계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디오르는 이후 다양한 라인을 선보이며 패션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했다. 1957년 이탈리아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했으며, 이후 여러 수석 디자이너를 거쳐 현재까지도 메종 크리스티앙 디오르는 운영되고 있다. 1953년에는 한국을 방문하여 패션쇼를 개최, 한국 패션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망슈주 출신 - 롤랑 바르트
프랑스의 문학 비평가이자 기호학자, 사상가인 롤랑 바르트는 `글쓰기의 영도`와 `신화론`으로 이름을 알리고 구조주의와 기호학 연구를 거쳐 포스트구조주의적 시도를 보였으며, '작가의 죽음' 개념을 통해 텍스트 해석의 다의성과 독자의 역할을 강조하며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망슈주 출신 - 모리스 드니
모리스 드니는 평면적인 색채와 장식적인 구성을 강조하는 화풍을 발전시킨 프랑스의 화가, 삽화가, 미술 이론가로, 그의 예술 이론은 모더니즘 미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말년에는 종교 미술에 헌신했다. - 성소수자 패션 디자이너 - 다카다 겐조
다카다 겐조는 일본 출신으로 겐조 브랜드를 설립하여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결합한 스타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패션, 향수,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패션 디자이너이다. - 성소수자 패션 디자이너 - 톰 포드
톰 포드는 구찌와 이브 생 로랑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거쳐 자신의 이름을 딴 브랜드를 설립한 미국의 패션 디자이너이자 영화 감독으로, 관능적인 디자인과 영화 연출로 패션계와 영화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 프랑스의 패션 디자이너 - 루이 레아르
프랑스의 자동차 공학자이자 의상 디자이너인 루이 레아르는 여성들이 햇볕을 쬐기 위해 수영복 가장자리를 말아 올리는 모습에서 영감을 받아 1946년 핵 실험 장소인 비키니 환초의 이름을 딴 파격적인 비키니 수영복을 디자인하고 "비키니 – 폭탄보다 더 작지만, 더 파괴적이다!"와 같은 도발적인 광고 문구를 사용하여 대중에게 널리 알렸다. - 프랑스의 패션 디자이너 - 루이 비통 (디자이너)
루이 비통은 19세기 프랑스의 트렁크 제작자이자 디자이너로서, 1854년 독립하여 트렁크 제작 및 포장 작업장을 열고, 혁신적인 디자인과 모노그램을 선보이며 사업을 확장했다.
크리스티앙 디오르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Christian Ernest Dior |
출생일 | 1905년 1월 21일 |
출생지 | 프랑스 노르망디 망슈주 그랑빌 |
사망일 | 1957년 10월 24일 |
사망지 | 이탈리아 토스카나주 몬테카티니테르메 |
국적 | 프랑스 |
직업 | 패션 디자이너 |
레이블 이름 | 크리스티앙 디오르 |
아버지 | 모리스 디오르 |
어머니 | 마들렌 마르탱 |
친척 | 카트린 디오르 (여동생) 프랑수아즈 디오르 (조카) |
학력 | 시앙스 포 |
경력 | |
브랜드 | 디올 |
기타 | |
로마자 표기 | keuriseutian dio-reu |
프랑스어 발음 | kʁistjɑ̃ djɔʁ |
2. 생애
크리스티앙 디오르는 1905년 프랑스 노르망디 그랑빌의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비료 제조업체(가족 회사는 디올 프레르(Dior Frères)였다)인 모리스 디올이었다. 디오르는 어린 시절부터 예술에 대한 관심이 많았으나, 부모의 바람으로 파리정치학교에서 외교학을 공부했다.[81] 그러나 예술에 대한 강한 관심으로 학교를 중퇴했다.[82] 1928년, 아버지의 지원을 받아 갤러리를 열고 파블로 피카소 등 당대 예술가들의 작품을 전시하며 예술계와 교류했다.[6]
1930년대 대공황과 가족의 불행으로 갤러리는 문을 닫게 되었다.[7][8] 디오르는 친구 장 오젠(Jean Ozenne)에게 패션 드로잉을 배우고 막스 케나(Max Kenna)에게는 색칠하는 법을 배워, 오트 쿠튀르(haute couture영어)에 모자와 드레스 크로키를 그려서 팔았다.[101] 1938년부터 로베르 피게의 양장점에서 디자이너로 일했다.[83][84][85] 제2차 세계 대전에 종군하면서 한동안 디자인을 하지 않았고, 제대 후 프로방스 칼리앙(Callian)에서 농장을 운영했다. 그 뒤 뤼시앵 르롱(Lucien Lelong)의 쿠튀르에서 피에르 발맹과 함께 모델리스트로[102] 일했다.
1937년, 디오르는 패션 디자이너 로베르 피게[83]에게 고용되어 컬렉션 디자인을 맡게 되었다.[84][85] 1942년 군 복무를 마친 디오르는 뤼시앵 르롱의 패션 하우스에 합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부터 나치 독일의 프랑스 점령 기간 동안, 프랑스 패션 업계를 유지하기 위한 경제적, 예술적 이유 등으로 르롱과 디오르는 나치 고위 관리나 프랑스 협력자들의 부인들을 위한 드레스를 디자인해야 했다.[89][90] 한편, 그의 여동생 카트린(Catherine, 1917-2008)은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참여했다가 게슈타포에 체포되어 라벤스브뤼크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가 1945년 5월에 석방되었다.[91]
1946년, 섬유 재벌 마르셀 부삭의 후원으로 자신의 패션 하우스 '메종 크리스티앙 디오르'를 설립했다.[20] 1947년 2월 12일, 첫 번째 컬렉션인 "코롤(Corolle)" 라인(식물학 용어로 "꽃잎의 화관"을 의미)을 발표했다.[23] 이 컬렉션은 《하퍼스 바자》의 편집장 카멜 스노우에 의해 "뉴 룩"이라는 용어로 불리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4]
1947년 뉴 룩 발표 이후에도 디오르는 거의 매년 새로운 라인을 발표했다.
연도 | 라인 이름 | 설명 |
---|---|---|
1948년 | 지그재그 라인[1] | |
1950년 | 버티칼 라인[1] | 곧게 뻗은 실루엣으로 좁은 스커트(narrow skirt)의 등장을 의미했다. 보통 시스 실루엣이라고 하지만 디오르 자신이 버티칼 라인으로 이름을 붙였다. |
1951년 | 오벌 라인[1] | 섬세한 실루엣의 변화가 계승되어 나타난 라인이다. |
1952년 | 스쁠 라인[1] | souple프랑스어 line, 프랑스어로 부드럽다는 의미로 실루엣이 매우 조형적이며 각각의 특징이 분명한 것이 특징이다. |
1953년 | 튤립 라인[1] | 투피스의 형태로 바스트를 옆으로 벌려 부풀리고 그것을 소매까지 연장시킨 실루엣이다. |
1954년 | 뮤게 라인[1] | S/S 시즌에 발표, muguet프랑스어 line, 프랑스어로 영란꽃인 이름 그대로 그 꽃이 갖는 애련한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했다. |
1954년 | H 라인[1] | F/W 시즌에 발표, 뉴 룩 이후 디오르의 가장 유명한 디자인으로 알려져 있다. |
1955년 | A 라인[1] | H 라인보다 디자인의 전개가 다양하고 여러 종류 복장에 적용이 가능했다. |
1956년 | 애로우 라인[1] | 1956년에 발표된 디오르의 F 라인을 일반적으로 애로우 라인(arrow line)이라고 부르며 전체적으로 변화의 수단으로써 부드러운 여성스러움을 요구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
1957년 | 리버티 라인[1] | 뚜렷한 실루엣을 표방한 것이 아니라 단지 그 분위기와 경향만 주장한 것이다. |
1957년 | 스핀들 라인[1] | 디오르의 마지막 라인, 여성의 몸매의 선을 감추려고 한 라인으로 세계의 절찬을 받은 라인이다. |
1957년 10월 23일, 이탈리아 투스카니의 스파 몬테카티니에서 52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100] 타임의 사망 기사에서는 카드 게임을 하던 중에 심장 마비로 죽은 것이라고 보도하고 있다.[104] 파리에서 열린 크리스티앙 디오르의 장례식에는 2,500명 이상의 인원이 참석했다.
크리스티앙 디오르가 사망한 후 메종 크리스티앙 디오르는 여러 명의 수석 디자이너에 의해 유지되었다.
기간 | 디자이너 |
---|---|
1957년 ~ 1960년 | 이브 생 로랑 |
1961년 ~ 1989년 | 마크 보한 |
1989년 ~ 1996년 | 지안 프랑코 페레 |
1996년 ~ 2011년 | 존 갈리아노 |
2012년 ~ 현재 | 라프 시몬스 |
2. 1. 초기 생애
크리스티앙 디오르는 1905년 프랑스 노르망디 그랑빌의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비료 제조업체(가족 회사는 디올 프레르(Dior Frères)였다)인 모리스 디올이었다. 어린 시절부터 예술에 대한 관심이 많았으나, 부모의 바람으로 파리정치학교에서 외교학을 공부했다.[81] 하지만 그는 예술에 강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결국 학교를 중퇴했다.[82] 1928년, 아버지의 지원을 받아 갤러리를 열고 파블로 피카소 등 당대 예술가들의 작품을 전시하며 예술계와 교류했다.[6]1930년대 대공황과 가족의 불행으로 갤러리는 문을 닫게 되었다.[7][8] 디올은 친구 장 오젠(Jean Ozenne)에게 패션 드로잉을 배우고 막스 케나(Max Kenna)에겐 색칠하는 법을 배워, 오트 쿠튀르(haute couture영어)에 모자와 드레스의 크로키를 그려서 팔았다.[101] 이후 1938년부터 로베르 피게의 양장점에서 디자이너로 일했다.[83][84][85] 디올은 나중에 "로베르 피게는 진정한 우아함이 나와야 하는 단순함의 미덕을 가르쳐주었다"고 말했다.[12][13] 제2차 세계 대전에 종군하면서 한동안 디자인을 하지 않고, 제대 후 프로방스의 칼리앙(Callian)에서 농장을 운영했다. 그 뒤 뤼시앵 르롱(Lucien Lelong)의 쿠튀르에서 피에르 발맹과 함께 모델리스트로서[102] 일했다.
2. 2. 디자이너로서의 성장
1937년, 디오르는 패션 디자이너 로베르 피게[83]에게 고용되어 컬렉션 디자인을 맡게 되었다.[84][85] 디오르는 훗날 "피게에게서 단순함 속에 진정한 우아함이 드러난다는 것을 배웠다"고 회고했다.[86][87][88] 디오르가 피게를 위해 디자인한 'Cafe Anglais' 등의 의상은 호평을 받았다.[84][85] 당시 피게 밑에는 피에르 발맹도 함께 일하고 있었다. 그러나 디오르는 징집으로 인해 피게를 떠나게 되었다.1942년 군 복무를 마친 디오르는 뤼시앵 르롱의 패션 하우스에 합류했다. 르롱에는 피에르 발맹도 함께 있었고, 디오르와 발맹은 주요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부터 나치 독일의 프랑스 점령 기간 동안, 프랑스 패션 업계를 유지하기 위한 경제적, 예술적 이유 등으로 르롱과 디오르는 나치 고위 관리나 프랑스 협력자들의 부인들을 위한 드레스를 디자인해야 했다. 이는 장 파투, 잔느 랑방, 니나 리치 등 다른 많은 브랜드에서도 마찬가지였으며, 전시 중 쿠튀르 메종(Couture Maison)을 유지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다.[89][90]
디오르가 나치 관련 인물들의 옷을 디자인해야 했던 한편, 그의 여동생 카트린(Catherine, 1917-2008)은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참여했다가 게슈타포에 체포되어 라벤스브뤼크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카트린은 1945년 5월에 석방되었다.[91]
2. 3. 메종 크리스티앙 디오르 설립
1946년, 섬유 재벌 마르셀 부삭의 후원으로 크리스티앙 디오르는 자신의 패션 하우스 '메종 크리스티앙 디오르'를 설립했다.[20] 디올은 부삭의 지원을 통해 회사에 대한 독점적 통제권을 확보하고, 급여 외에 모든 이익의 3분의 1을 보장받았다.[20]1947년 2월 12일, 디올은 첫 번째 컬렉션인 "코롤(Corolle)" 라인(식물학 용어로 "꽃잎의 화관"을 의미)을 발표했다.[23] 이 컬렉션은 90벌의 의류로 구성되었으며,[74] 《하퍼스 바자》의 편집장 카멜 스노우에 의해 "뉴 룩"이라는 용어로 불리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4]
디올의 디자인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전시 배급으로 인해 영향을 받은, 직사각형에 가까운 실용적인 형태의 의류보다 더욱 풍만한 실루엣을 보였다.[24] "뉴 룩"은 여성복에 혁명을 일으켰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파리를 다시 패션 중심지로 만들었으며,[33][34] 디올을 그 후 10년 동안 사실상 패션의 권위자로 만들었다.[35]
디올의 컬렉션은 전후 여성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고, 그들에게 패션에 대한 사랑을 되찾도록 도왔다.[36] 디올은 패션을 예술 형식이자 프랑스 문화 유산의 연장선이라고 생각했고, 패션의 전통을 유지하는 것을 '신앙의 행위'이자 패션이 사회에 가져다주는 신비와 아름다움을 보존하는 방법으로 묘사했다.[37]
2. 4. 전성기와 뉴 룩
1947년 2월 12일 자신의 첫 컬렉션을 열었고 이때 선보인 디자인이 ‘뉴 룩'으로 불리면서 세간의 관심을 받아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103] '뉴 룩'은 둥근 어깨, 잘록한 허리, 풍성한 스커트로 대표되는 여성스러운 실루엣으로, 전쟁 후 패션계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다. 여성미를 극대화한 디자인으로, 전쟁의 영향으로 억눌렸던 여성들의 욕망을 분출시키며 큰 인기를 얻었다. 같은 해 패션계의 오스카상이라고 불리는 니먼마커스상(Neiman Marcus Award)을 수상[103], 세계 각지에 지사를 설립하고 사업을 확장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0년대 전 세계적인 규모의 왕성한 활동을 하는 패션계를 이끄는 디자이너 중 하나였다. 1956년에는 프랑스 최고의 훈장인 레지옹 도뇌르 훈장(Ordre de la Légion d'honneur프랑스어)[103]을 받았다.1947년 S/S 컬렉션으로 파리에 데뷔하여 "8자 라인"(별명: 코롤 라인, 뉴 룩으로도 알려짐)을 선보였다. 이는 페티코트로 부풀린 곡선을 강조하고, 어깨는 느슨하게 떨어뜨리고 허리는 잘록하게 잡아, 발목까지 내려오는 롱 스커트 스타일이었다.
2. 5. 다양한 라인 발표
1947년 뉴 룩 이후에도 디오르는 거의 매년 새로운 라인을 발표했다.- '''1948년 지그재그 라인:'''[1]
- '''1950년 버티칼 라인:''' 버티칼 라인(vertical line)은 곧게 뻗은 실루엣으로 좁은 스커트(narrow skirt)의 등장을 의미했다. 보통 시스 실루엣이라고 하지만 디오르 자신이 버티칼 라인으로 이름을 붙였다.[1]
- '''1951년 오벌 라인:''' 오벌 라인(oval line)은 섬세한 실루엣의 변화가 계승되어 나타난 라인이다. 슬리브만 하더라도 케이프렛 슬리브(capelet sleeve), 멜론 슬리즈(melon sleeve), 티어드 슬리브(tiered sleeve), 벌룬 슬리브(baloon sleeve), 퍼프 슬리브(puff sleeve), 벨 슬리브(bell sleeve), 셔드 슬리브(shirred sleeve), 돌먼 슬리브(dolman sleeve) 등 수많은 변화가 있었다.[1]
- '''1952년 스쁠 라인:''' 스쁠 라인(souple프랑스어 line)은 프랑스어로 부드럽다는 의미로 실루엣이 매우 조형적이며 각각의 특징이 분명한 것이 특징이다.[1]
- '''1953년 튤립 라인:''' 튤립 라인(tulip line)은 투피스의 형태로 바스트를 옆으로 벌려 부풀리고 그것을 소매까지 연장시킨 실루엣이다. 아치같이 둥근 어깨와 가늘게 조인 허리로 인해 가슴부터 아래쪽으로 슬림한 이 실루엣은 마치 튤립과 같다고 이같이 불리었다. 스커트의 라인도 엉덩이 부분을 약간 둥글게 하고 아랫단의 둘레를 좁혀서 섬세함을 강조했다.[1]
- '''1954년 뮤게 라인:''' S/S 시즌에 발표된 뮤게 라인(muguet프랑스어 line)은 프랑스어로 영란꽃인 이름 그대로 그 꽃이 갖는 애련한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했다.[1]
- '''1954년 H 라인:''' F/W 시즌에 발표된 라인으로 뉴 룩 이후 디오르의 가장 유명한 디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H 라인의 발표로 크리스티앙 디오르는 부동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1]
- '''1955년 A 라인:''' A 라인은 H 라인보다 디자인의 전개가 다양하고 여러 종류 복장에 적용이 가능했다. 이 라인은 넓은 라인이 일관되게 퍼져있기 때문에 실제 유행에서 H 라인보다 섬세한 변화는 덜 보인다.[1]
- '''1956년 애로우 라인:''' 1956년에 발표된 디오르의 F 라인을 일반적으로 애로우 라인(arrow line)이라고 부르며 전체적으로 변화의 수단으로써 부드러운 여성스러움을 요구하는 움직임을 보였다.[1]
- '''1957년 리버티 라인:''' 리버티 라인(liberty line)은 뚜렷한 실루엣을 표방한 것이 아니라 단지 그 분위기와 경향만 주장한 것이다. 문자 그대로 특정 라인을 주장하지 않은 자유로운 라인을 뜻한다.[1]
- '''1957년 스핀들 라인:''' 디오르의 마지막 라인인 스핀들 라인 (spindle line)은 여성의 몸매의 선을 감추려고 한 라인으로 세계의 절찬을 받은 라인이다.[1]
2. 6. 갑작스러운 죽음
그는 1957년 10월 23일, 이탈리아 투스카니의 스파 몬테카티니에서 52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100] 타임의 사망 기사에서는 카드 게임을 하던 중에 심장 마비로 죽은 것이라고 보도하고 있다.[104] 디자인 박물관의 인물 소개에 따르면 그의 죽음은 생선뼈가 목에 걸린 후 심장 마비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100] 파리에서 열린 크리스티앙 디오르의 장례식에는 2,500명 이상의 인원이 참석했다고 한다.크리스티앙 디오르가 사망한 후 메종 크리스티앙 디오르는 여러 명의 수석 디자이너에 의해 유지되었다.
기간 | 디자이너 |
---|---|
1957년 ~ 1960년 | 이브 생 로랑 |
1961년 ~ 1989년 | 마크 보한 |
1989년 ~ 1996년 | 지안 프랑코 페레 |
1996년 ~ 2011년 | 존 갈리아노 |
2012년 ~ 현재 | 라프 시몬스 |
3. 뉴 룩 (New Look)
1947년 2월 12일에 발표된 크리스티앙 디오르의 첫 번째 컬렉션은 "코롤(Corolle)"(꽃잎의 화관을 의미하는 식물학 용어)이라고 불렸다.[23] 이 컬렉션은 90벌의 의상으로 구성되었다.[74] "뉴 룩(New Look)"이라는 용어는 《하퍼스 바자》의 편집장 카멜 스노우가 처음 사용했다.[4]
디오르의 디자인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배급제의 영향으로 나타난 실용적인 직사각형 형태의 옷보다 풍만한 실루엣을 강조했다.[24] "뉴 룩"은 에드워드 시대(Edwardian era) 스타일에서 영감을 받았으며,[25][26][27] 1930년대 후반부터 고급 패션계에서 점차 중요해진 스커트 형태와 허리선의 트렌드를 더욱 발전시키고 명확하게 정의했다.[28][29][30]
"뉴 룩"은 여성복에 혁명을 일으켰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파리를 다시 패션의 중심지로 만들었으며,[33][34] 디오르는 이후 10년 동안 패션계의 권위자로 자리매김했다.[35] 디오르는 패션을 단순한 옷이 아닌 예술 형식이자 프랑스 문화유산의 연장으로 여겼고, 패션 전통을 보존하는 것을 '신앙 행위'라고 표현했다.[37]
디오르는 1948년부터 1957년까지 매 시즌 새로운 '라인'을 발표했다. 각 라인의 이름과 발표 연도는 다음과 같다.
1958년 라인은 디오르의 후계자인 이브 생 로랑이 발표했다.
디오르의 마지막 컬렉션인 '리브르'와 '퓌조' 라인은 이전의 구조적인 디자인에서 벗어나 더욱 유연하고 편안한 실루엣으로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는 변화하는 사회적 역동성에 대한 디오르의 반응을 반영하며,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의 대표적인 스타일을 예고했다.[73]
3. 1. 탄생 배경
Christian Dior영어의 '뉴 룩'(New Look)은 본래 '코롤'(Corolle)이라는 이름으로 1947년 S/S 컬렉션에서 발표되었다. 그러나 하파스 바자(Harper's Bazaar)의 편집장 카멜 스노우(Carmel Snow)가 "이것은 확실히 뉴 룩이군요.(“Your dresses have such a new look.”)"라고 말한 후 '뉴 룩'으로 불리게 되었다.[4]
1946년 마르셀 부삭(면직물 재벌)의 후원을 받아 디올은 자신의 쿠튀르 메종을 파리 8구 몽테뉴 가 30번지에 설립한다.[92] 1947년 2월 12일에 첫 번째 컬렉션을 발표한다.[93] 이 컬렉션은 '코롤'(식물학에서 유래한 "꽃관"이라는 뜻)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지만, 『하퍼스 바자』지의 편집장이었던 카멜 스노우가 이 컬렉션을 평한 "뉴룩" ''New Look''이라는 표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94]
'뉴 룩'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천이 배급제였기 때문에 주류였던 박스형(The boxy)보다 여성적이라고 평가받았다.[95] 가늘게 조인 허리와 풍성한 플레어 스커트를 특징으로 하며, 전시 중 자재 부족으로 프랑스 쿠튀리에들이 한 벌의 옷에 사용할 수 있는 천의 양에 엄격한 제한을 받았던 것과 달리, 사치스럽게 천을 사용한 점도 특징이었다.
초기에는 무릎까지 내려오는 디올의 디자인에 반대하는 여성들도 있었다. 그 이전 시대에는 의류용 천이 부족하여 그러한 디자인은 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한 벌의 드레스나 수트를 만드는 데 사치스럽게 천을 사용한 것에 대해서도 반발과 항의가 있었다. 이러한 항의 운동은 전후 물자 부족이 해소됨에 따라 진정되었다.
3. 2. 스타일과 특징
크리스티앙 디오르의 스타일은 '뉴 룩'으로 대표되며, 여성미를 극도로 강조한 디자인이다. 디오르는 형태와 실루엣을 창조하는 데 능숙했으며, 스스로 "나는 꽃 여성을 디자인했다"라고 말하며 곡선미와 관능적인 실루엣을 통해 여성의 몸을 재구성하고자 했다.[101] 이러한 실루엣을 위해 힙 주름 장식, 코르셋, 패티코트 등을 사용했고, 몸에 잘 맞도록 케임브릭, 타피타로 드레스를 제작했다.[101]
'뉴 룩'은 둥글고 완만한 어깨, 가늘게 조인 허리, 아래로 갈수록 넓게 퍼지는 풍성한 플레어 스커트가 특징으로, 전체적으로 8자를 이루는 여성스럽고 우아한 실루엣을 극대화했다. 드레스는 비교적 길이가 길고 플레어가 많아 삼각형을 이루는 피라미드 스타일이었으며, 소매는 여성스러운 라글란 소매, 돌만 소매를, 목 부분은 윙 칼라 등을 사용했다.
1947년 발표된 디오르의 첫 컬렉션 '코롤(Corolle)'은 '뉴 룩'이라는 용어로 불리게 되었는데, 이는 《하퍼스 바자》의 편집장 카멜 스노우가 만든 것이다.[4] 디오르의 디자인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실용적인 형태였던 의류보다 더욱 풍만한 실루엣을 선보였다.[24] '뉴 룩'은 에드워드 시대 스타일에서 영감을 받았으며,[25][26][27] 1930년대 후반부터 고급 패션계에서 나타난 스커트 형태와 허리선의 트렌드를 다듬고 완성했다.[28][29][30]
'뉴 룩'은 여성복에 혁명을 일으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파리를 다시 패션 중심지로 만들었으며,[33][34] 디오르를 10년 동안 패션의 권위자로 만들었다.[35] 디오르는 패션을 단순한 의류가 아닌 예술 형식이자 프랑스 문화 유산의 연장선으로 보았고, 패션 전통을 유지하는 것을 '신앙 행위'로 묘사했다.[37]
1948년부터 1957년까지 디오르는 매 시즌 새로운 '라인'을 발표했다.
1958년 라인은 디오르의 후계자인 이브 생 로랑이 발표했다.
디오르의 마지막 컬렉션인 '리브르'와 '퓌조' 라인은 이전의 구조적인 디자인에서 벗어나 더욱 유동적이고 편안한 실루엣으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변화하는 사회적 역동성에 대한 디올의 반응을 반영하며,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의 상징적인 스타일을 예고했다.[73]
3. 3. 사회적 영향과 의의
크리스티앙 디오르의 '뉴 룩'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억눌렸던 여성들의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며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4] 전쟁의 영향으로 밀리터리 룩과 옷감을 절약하는 형태의 옷이 유행했지만, 디오르는 여성미를 강조하고 비싼 천을 사용한 '뉴 룩'을 통해 패션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왔다. 이는 전쟁에 영향을 받은 1940년대 패션에 대한 반작용의 결과였다.[74]하지만, 일부에서는 '뉴 룩'이 지나치게 사치스럽다는 비판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뉴 룩'은 전후 패션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파리를 다시 패션의 중심지로 만들었다.[33][34] 디오르는 10년 동안 패션의 권위자로 군림했다.[35]
디오르는 패션을 단순한 의류 이상으로, 예술 형식이자 프랑스 문화 유산의 연장선으로 생각했다.[37] 그는 패션의 전통을 유지하는 것을 '신앙의 행위'로 묘사하며, 패션이 사회에 가져다주는 신비와 아름다움을 보존하고자 했다.
또한, 디오르의 '뉴 룩'은 전쟁 후 여성의 사회적 역할 변화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전쟁 동안 공장에서 일했던 여성들에게 가정으로 돌아갈 것을 권장하던 서구 정부의 정책과 잘 맞아떨어지는 여성상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디올은 매 시즌마다 새로운 "라인"을 발표하며 패션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디올의 마지막 컬렉션인 "리브르"와 "퓌조" 라인은 이전의 구조적인 디자인에서 벗어나, 더욱 유동적이고 편안한 실루엣을 보여주었다. 이는 변화하는 사회적 역동성에 대한 디올의 반응을 반영하며,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의 상징적인 스타일을 예고했다.[73]
4. 메종 크리스티앙 디오르
'메종 크리스티앙 디오르'는 1946년에 설립되었으며, 1955년 프랑스 몽테뉴 거리(Avenue Montaigne)에 La Grande Boutique를 개장했다.
현재 디오르 플래그십 스토어는 파리, 밀라노, 로마, 런던, 뉴욕, 버버리 힐즈, 도쿄, 오사카, 홍콩, 보스턴, 호놀룰루, 샌프란시스코, 상파울루, 서울,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뉴델리, 상하이에 있다.
1946년, 마르셀 부삭은 디올에게 패션 하우스 필립 에 가스통(Philippe et Gaston)을 위해 디자인할 것을 제안했지만, 디올은 자신의 이름으로 새롭게 시작하고자 거절했다.[21][22] 부삭의 지원을 받아 1946년 자신의 패션 하우스를 설립, 회사에 대한 독점적 통제권과 이익의 3분의 1을 보장받았다.[20] 1947년 2월 12일에 발표된 그의 첫 번째 컬렉션은 "코롤(Corolle)"(Corolle|꽃잎의 화관프랑스어)이었다.[23] "뉴 룩(New Look)"이라는 용어는 《하퍼스 바자》의 편집장 카멜 스노우에 의해 만들어졌다.[4]
디올은 패션을 예술 형식이자 프랑스 문화 유산의 연장선이라고 생각했고, 패션의 전통을 유지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37] 매 시즌마다 1947년의 "코롤" 라인처럼 새롭게 이름 붙여진 디올 "라인"이 패션 언론에 발표되었다.[38]
이후 발표된 디올의 라인은 다음과 같다.
- 1948년: 앙볼(Envol)[39][40], 사이클론/지그재그(Cyclone/Zigzag)[41]
- 1949년: 트롱프뢰유(Trompe l'Oeil)[42][43], 미드센추리(Mid-Century)[44]
- 1950년: 버티컬(Vertical)[45][46], 오블리크(Oblique)[47][48]
- 1951년: 오발(Oval)[49][50], 롱그/프린세스(Longue/Princesse)[51][52]
- 1952년: 시뉘즈(Sinueuse)[53], 프로필레(Profilėe)[54][55]
- 1953년: 튤립(Tulipe)[56][57], 비방트/쿠폴라(Vivante/Cupola)[58][59]
- 1954년: 뮤게/은방울꽃(Muguet/Lily of the Valley)[60], H라인(H-Line)[61]
- 1955년: A라인(A-Line)[62][63][64], Y라인(Y-Line)[65]
- 1956년: 플레슈/애로우(Flèche/Arrow)[66], 에망/마그넷(Aimant/Magnet)[67]
- 1957년: 리브르/프리(Libre/Free)[68], 퓌조/스핀들(Fuseau/Spindle)[69][70]
- 1958년: (이브 생 로랑) 트라페즈(Trapeze)[71][72]
4. 1. 설립과 확장
1946년 마르셀 부삭(면직물 재벌)의 후원으로 디올은 파리 8구 몽테뉴 가 30번지에 자신의 쿠튀르 메종을 설립한다.[92]1947년 2월 12일,[93] 디올은 첫 번째 컬렉션을 발표한다. 이 컬렉션에는 원래 「코롤」(''Corolle'', 식물학에서 유래한 "꽃관"이라는 뜻)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지만, 『하퍼스 바자』의 편집장이었던 카멜 스노우가 "뉴룩" ''New Look''이라고 표현하면서 더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94]
디올의 "뉴룩"은 아라비아 숫자 8과 비슷한, 가늘게 조인 허리와 풍성한 플레어 스커트가 특징이다. 이는 전시 중 자재 부족으로 프랑스 쿠튀리에들이 한 벌의 옷에 사용할 수 있는 천의 양에 엄격한 제한을 받았던 것과 달리, 사치스럽게 천을 사용한 점이 돋보였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중 천 배급제로 인해 주류였던 박스형(The boxy) 디자인보다 더 여성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95]
하지만 초기에는 무릎까지 내려오는 디올의 디자인에 반대하는 여성들도 있었다. 이전 시대에는 의류용 천이 부족하여 그러한 디자인을 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또한, 한 벌의 드레스나 수트를 만드는 데 많은 천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반발과 항의도 있었다. 이러한 항의 운동은 사진으로 남아 있으며, 피켓을 든 여성들과 심지어 뉴룩을 입은 여성이 거리에서 옷이 찢어지는 모습까지 포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항의는 전후 물자 부족이 해소되면서 점차 사그라들었다.
결과적으로 디올의 "뉴룩"은 여성 복장에 혁명을 일으켰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파리를 다시 패션의 중심지로 부흥시켰다. 디올은 1947년부터 1957년까지 11년간 파리의 오트 쿠튀르계의 정점에 군림하며, 매 시즌 '라인'이라는 주제에 따라 작품을 발표하며 전후 패션의 지침을 제시했다.
4. 2. 역대 수석 디자이너
크리스티앙 디오르(1946-1957)가 1957년 10월 23일 이탈리아 몬테카티니 테르메에서 휴가 중 급사하면서,[96] 당시 21세였던 이브 생 로랑이 수석 디자이너로서 브랜드를 이어받았다. 이브 생 로랑은 디오르 밑에서 경험을 쌓았으며, 갑작스러운 상황에서도 후계자로서 충분한 능력을 보여주었으나, 징병으로 인해 브랜드를 떠나게 되었다.5. 한국과의 관계
1953년, 문화복장학원의 초청으로 크리스티앙 디오르 일행이 방한하여 패션쇼를 개최했다.[99] 이 방한은 한국 전쟁 직후 한국 패션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상류층 여성들 사이에서 디오르 스타일이 유행하는 계기가 되었다.
같은 해, 크리스티앙 디오르가 오사카에서 패션쇼를 개최한 것을 계기로 대구의 대형 백화점이었던 대마루 백화점이 디오르와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1964년까지). 대마루의 디자이너들은 프랑스에 건너가 디오르의 상품을 구매하며 한국에 디오르 스타일을 도입하는데 기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Christian Dior: A Passion for Beauty
https://www.sciences[...]
Sciences Po
2024-02-18
[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House of Dior
https://www.crfashio[...]
2018-11-20
[3]
서적
Christian Dior: The Man Who Made the World Look New
Arcade Publishing
1996
[4]
웹사이트
Biography: Christian Dior
https://www.vogue.co[...]
Vogue
2024-02-28
[5]
서적
Christian Dior: The Man Who Made the World Look New
https://archive.org/[...]
Arcade Pub.
[6]
웹사이트
Christian Dior - The Story of the "Emperor of Fashion"
https://dsfantiqueje[...]
2024-11-02
[7]
잡지
How Christian Dior Pioneered 75 Years of Feminist Fashion
https://www.vanityfa[...]
2022-07-01
[8]
웹사이트
Christian Dior (1905-1957)
https://www.business[...]
2015-11-23
[9]
웹사이트
Christian Dior (1905-1957)
https://www.business[...]
2015-11-23
[10]
서적
Christian Dior
https://books.google[...]
B.T. Batsford
1990
[11]
서적
Christian Dior: The Man Who Made the World Look New
https://archive.org/[...]
Arcade Pub.
1996
[12]
서적
Quintessentially Perfume
https://books.google[...]
Quintessentially Pub. Ltd.
2010
[13]
서적
Dressmakers of France: The Who, How, and why of the French Couture
https://books.google[...]
Harper
1956
[14]
서적
Fashion, Media, Promotion: The New Black Magic
John Wiley & Sons
2010
[15]
서적
The Japanese Revolution in Fashion
Berg Publishers
2004
[16]
서적
The Healing Wound: Experiences and Reflections, Germany, 1938–2001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17]
잡지
An exclusive interview with the nose behind the new Miss Dior perfume
https://www.harpersb[...]
2024-02-18
[18]
웹사이트
Who was the original Miss Dior?
http://fashion.teleg[...]
2024-02-18
[19]
뉴스
How superstition and clairvoyants influenced fashion designers from Christian Dior to Coco Chanel
https://www.telegrap[...]
2021-09-11
[20]
서적
Vogue on Christian Dior
https://archive.org/[...]
London : Quadrille
2012
[21]
웹사이트
Dior's Scandalous New Look
https://www.rom.on.c[...]
Royal Ontario Museum
2010-03-01
[22]
서적
Christian Dior: The Man Who Made the World Look New
https://archive.org/[...]
Arcade Pub.
1996
[23]
웹사이트
Company History at Dior's website
http://www.dior-fina[...]
[24]
뉴스
Light at the end of the tunnel
https://www.theguard[...]
2007-09-22
[25]
학술지
A Revolutionary Saint Laurent Showing
https://www.nytimes.[...]
1976-07-29
[26]
서적
Vogue History of 20th Century Fashion
Viking, the Penguin Group
1988
[27]
학술지
Christian Dior Cuts Skirt Length in Move Disrupting Couture World
https://www.nytimes.[...]
1948-02-10
[28]
서적
Vogue History of 20th Century Fashion
Viking, the Penguin Group
1988
[29]
서적
1948 Britannica Book of the Year: A Record of the March of Events of 1947
Encyclopaedia Britannica, Inc.
1948
[30]
학술지
Fashionating Rhythm
Details Publishing Corp.
1988-03-01
[31]
학술지
Cardin First Struck Gold with Suit Made for Dior
https://www.nytimes.[...]
1958-08-27
[32]
학술지
Cardin First Struck Gold with Suit Made for Dior
https://www.nytimes.[...]
1958-08-27
[33]
학술지
How Paris Kept Position in Fashion
https://www.nytimes.[...]
1981-04-14
[34]
웹사이트
Christian Dior – Fashionsizzle
https://fashionsizzl[...]
2014-01-12
[35]
서적
In Vogue: Sixty Years of Celebrities and Fashion from British Vogue
Penguin Books Ltd.
1978
[36]
웹사이트
Christian Dior (1905-1957)
https://www.business[...]
2015-11-23
[37]
서적
Vogue on Christian Dior
https://archive.org/[...]
London : Quadrille
2012
[38]
학술지
An Investigation of the Silhouettes of Christian Dior
https://www.academia[...]
2019-03-01
[39]
서적
In Vogue: Sixty Years of Celebrities and Fashion from British Vogue
Penguin Books Ltd.
1978
[40]
서적
Vogue History of 20th Century Fashion
Viking, the Penguin Group
1988
[41]
서적
Vogue History of 20th Century Fashion
Viking, the Penguin Group
1988
[42]
서적
Vogue History of 20th Century Fashion
Viking, the Penguin Group
1988
[43]
학술지
An Investigation of the Silhouettes of Christian Dior
https://www.academia[...]
2019-03-02
[44]
학술지
An Investigation of the Silhouettes of Christian Dior
https://www.academia[...]
2019-03-02
[45]
학술지
An Investigation of the Silhouettes of Christian Dior
https://www.academia[...]
2019-03-02
[46]
서적
Vogue History of 20th Century Fashion
Viking, the Penguin Group
1988
[47]
학술지
An Investigation of the Silhouettes of Christian Dior
https://www.academia[...]
2019-03-02
[48]
서적
Vogue History of 20th Century Fashion
Viking, the Penguin Group
1988
[49]
학술지
Dior: Fashion's Ten-Year Wonder Leaves Couture Leadership a Question
https://www.nytimes.[...]
1957-10-25
[50]
학술지
An Investigation of the Silhouettes of Christian Dior
https://www.academia[...]
2019-03-02
[51]
서적
In Vogue: Sixty Years of Celebrities and Fashion from British Vogue
Penguin Books Ltd.
1978
[52]
학술지
An Investigation of the Silhouettes of Christian Dior
https://www.academia[...]
2019-03-02
[53]
학술지
An Investigation of the Silhouettes of Christian Dior
https://www.academia[...]
2019-03-02
[54]
학술지
An Investigation of the Silhouettes of Christian Dior
https://www.academia[...]
2019-03-02
[55]
서적
Vogue History of 20th Century Fashion
Viking, the Penguin Group
1988
[56]
서적
In Vogue: Sixty Years of Celebrities and Fashion from British Vogue
Penguin Books Ltd.
1978
[57]
서적
Vogue History of 20th Century Fashion
Viking, the Penguin Group
1988
[58]
학술지
An Investigation of the Silhouettes of Christian Dior
https://www.academia[...]
2019-03-02
[59]
서적
Vogue History of 20th Century Fashion
Viking, the Penguin Group
1988
[60]
학술지
An Investigation of the Silhouettes of Christian Dior
https://www.academia[...]
2019-03-02
[61]
서적
Vogue History of 20th Century Fashion
Viking, the Penguin Group
1988
[62]
서적
In Vogue: Sixty Years of Celebrities and Fashion from British Vogue
Penguin Books Ltd.
1978
[63]
서적
Vogue History of 20th Century Fashion
Viking, the Penguin Group
1988
[64]
학술지
An Investigation of the Silhouettes of Christian Dior
https://www.academia[...]
2019-03-02
[65]
학술지
An Investigation of the Silhouettes of Christian Dior
https://www.academia[...]
2019-03-02
[66]
학술지
An Investigation of the Silhouettes of Christian Dior
https://www.academia[...]
2019-03-02
[67]
학술지
An Investigation of the Silhouettes of Christian Dior
https://www.academia[...]
2019-03-02
[68]
학술지
An Investigation of the Silhouettes of Christian Dior
https://www.academia[...]
2019-03-02
[69]
서적
In Vogue: Sixty Years of Celebrities and Fashion from British Vogue
Penguin Books Ltd.
1978
[70]
서적
The American Peoples Encyclopedia Yearbook: Events and Personalities of 1957
Spencer Press, Inc.
1958
[71]
서적
In Vogue: Sixty Years of Celebrities and Fashion from British Vogue
Penguin Books Ltd.
1978
[72]
서적
Vogue History of 20th Century Fashion
Viking, The Penguin Group
1988
[73]
서적
Christian Dior
https://archive.org/[...]
New York : Metropolitan Museum of Art : Distributed by H.N. Abrams
1996
[74]
웹사이트
Christian Dior
https://www.vogue.co[...]
2012-04-05
[75]
뉴스
Died. Christian Dior, 52
http://www.time.com/[...]
1957-11-04
[76]
웹사이트
Revolutions in fashion: Christian Dior
http://www.hautecout[...]
Haute Couture News
2015-12-25
[77]
웹사이트
The Last Temptation of Christian
https://www.nytimes.[...]
2002-08-18
[78]
웹사이트
Prophets of Seduction
https://www.newyorke[...]
New Yorker
1996-10-27
[79]
웹사이트
1967 Film British Costume Design – Colour | BAFTA Awards
http://awards.bafta.[...]
Awards.bafta.org
[80]
웹사이트
Awards – Académie des Arts et Techniques du Cinéma
http://www.academie-[...]
Academie-cinema.org
[81]
서적
Christian Dior: The Man Who Made the World Look New
Arcade Publishing
1996
[82]
서적
Christian Dior : the man who made the world look new
https://books.google[...]
Arcade Pub.
[83]
웹사이트
로베르・ピゲ:パリらしいクチェリエ
https://mode21.com/r[...]
[84]
서적
Christian Dior
https://books.google[...]
B.T. Batsford
1990
[85]
서적
Christian Dior : the man who made the world look new
https://books.google[...]
Arcade Pub.
1996
[86]
기타
[87]
서적
Quintessentially perfume.
https://books.google[...]
Quintessentially Pub. Ltd.
2010
[88]
서적
Dressmakers of France: The Who, How, and why of the French Couture
https://books.google[...]
Harper
1956
[89]
서적
Fashion, Media, Promotion: The New Black Magic
John Wiley & Sons
2010
[90]
서적
The Japanese Revolution in Fashion
Berg Publishers
2004
[91]
서적
The Healing Wound: Experiences and Reflections, Germany, 1938–2001
W. W. Norton & Company
[92]
웹사이트
http://www.colognehq[...]
[93]
웹사이트
Company History at Dior's website
http://www.dior-fina[...]
[94]
웹사이트
FASHIONPRESS.NET
https://www.fashion-[...]
[95]
뉴스
Light at the end of the tunnel
http://www.theguardi[...]
2007-09-22
[96]
학술지
Christian Dior
http://www.designmus[...]
1979-11
[97]
뉴스
Time news
http://www.time.com/[...]
1957-11-04
[98]
서적
Alexis: The Memoirs of the Baron de Redé
Estate of the late Baron de Redé
[99]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100]
웹사이트
Christian Dior / - Design/Designer Information
http://www.designmus[...]
[101]
논문
크리스찬 디오르 작품의 조형성에 대한 연구
국민대 디자인대학원
[102]
기타
[103]
기타
[104]
웹인용
HP-Time.com - TIME
http://www.time.com/[...]
2008-05-3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김건희, 5천만원짜리 바슈롱 차고 디올백 받았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