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 체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킬 체인은 적의 핵 공격 징후를 탐지하여 선제적으로 파괴하는 군사 전략을 의미한다. 냉전 시대 미국과 소련의 핵무기 정책에서 비롯되었으며, 미사일 기술 발전에 따라 재래식 무기로도 핵 선제 타격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게 되면서 킬 체인 개념이 발전했다. 대한민국은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킬 체인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정찰위성, 미사일 개발 등을 통해 탐지, 식별, 결심, 타격의 단계를 거쳐 북한의 핵 공격을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킬 체인은 막대한 비용, 미국 의존성, 이동식 미사일 대응의 어려움, 고체연료 미사일 위협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완 및 대안으로 핵무장론이 제기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미사일 - 현무 4-4
대한민국이 북한의 SLBM 개발에 대응하여 현무-2B 탄도미사일을 개조해 개발한 현무 4-4는 사거리 500km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로, 도산안창호함에 탑재될 예정이며 한국을 세계 7번째 SLBM 보유국으로 만들었다. - 대한민국의 미사일 - 한국형 수직발사장치
한국형 수직발사장치(KVLS)는 대한민국 함선 및 잠수함에 탑재되는 수직 발사 시스템으로, 미국의 Mk.41 VLS와 유사한 핫 론칭 방식을 사용하며,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천왕봉급 상륙함,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등에 탑재된다. - 데이터 보안 - 정보 보안
정보 보안은 정보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장하고 허가되지 않은 접근으로부터 정보와 정보 시스템을 보호하며, 심층 방어 전략, 리스크 관리, 암호학, 표준 준수 등을 통해 정보 자산을 보호하는 활동이다. - 데이터 보안 - 백업
백업은 데이터 손실 위험에 대비하여 자료를 다른 저장 장치에 복사하는 작업으로, 전체 백업, 증분 백업, 차등 백업 등의 방식을 사용하며, 효과적인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복구 시점 및 시간 목표, 데이터 보안 등을 고려해야 한다. - 미사일 방어 - 전략방위구상
전략방위구상(SDI)은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발표한 소련의 핵미사일 공격으로부터 미국을 방어하기 위한 다층 미사일 방어 시스템 구축 계획이었으나, 기술적·재정적 문제, 윤리적 문제 등으로 비판받으며 냉전 종식과 함께 사실상 종료되었지만 미사일 방어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미사일 방어 - 미사일 발사대
미사일 발사대는 고정식, 지하식, 이동식 등 다양한 형태로 미사일을 발사하는 설비이며, 이동식 발사대는 기동성과 은폐성을 제공하고, 함정 및 육상 배치 발사대는 다양한 시스템을 포함하며, 포와 미사일 복합 체계도 존재한다.
킬 체인 | |
---|---|
개요 | |
![]() | |
유형 | 군사 전략 개념 |
설명 | 공격 단계를 식별하고 무력화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
목표 | 공격의 단계별 분석 공격 차단 및 예방 |
적용 분야 | 사이버 보안 군사 작전 |
록히드 마틴의 킬 체인 모델 | |
단계 | 정찰 무기화 전달 악용 설치 명령 및 제어 목표 실행 |
설명 | 공격자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거치는 일련의 단계 |
활용 | 공격 단계별 분석 및 대응 전략 수립 보안 시스템 강화 및 취약점 개선 공격 예측 및 예방 |
사이버 킬 체인 | |
정의 | 사이버 공격의 각 단계를 식별하고 방어하기 위한 모델 |
목적 | 사이버 공격의 진행을 방해하고, 공격자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 |
중요성 | 사이버 공격의 효과적인 방어 조직의 정보 자산 보호 사이버 보안 위협 감소 |
군사적 킬 체인 | |
정의 | 목표물을 탐지, 식별, 추적, 교전, 평가하는 과정 |
단계 | 표적 식별 파견 의사 결정 교전 |
목표 | 적의 군사 자산 또는 인프라를 파괴하거나 무력화하는 것 |
킬 웹 (Kill Web) | |
정의 | 킬 체인의 진화된 형태로, 더욱 복잡하고 역동적인 위협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개념 |
특징 | 다양한 센서와 사격 플랫폼 간의 네트워크화된 협업 인공지능 및 자동화 기술 활용 실시간 위협 분석 및 대응 |
목표 | 적응력 있는 위협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 전장 상황 인식 능력 향상 의사 결정 속도 향상 |
2. 역사적 배경 및 개념
킬 체인은 적의 공격 징후를 감지해 선제 타격하는 개념으로, 1991년 걸프전에서 처음 등장했다. 당시 미국을 비롯한 다국적군은 이라크군의 스커드 미사일 이동식 발사대를 공격하기 위해 특수부대, 인공위성, 정찰기 등을 동원하여 발사대를 탐지하고 격파했다.[18] 스커드 미사일은 액체 연료 주입 및 발사 준비에 약 1시간이 소요된다.[19]
북한은 액체 연료 스커드 미사일을 폐기하고 5분 만에 발사가 가능한 고체 연료 스캐럽 미사일을 실전 배치하여 전문가들의 우려를 사고 있다. 북한은 김정일 사망일에도 스캐럽 미사일 2발을 발사해 한국을 위협했다.
2. 1. 핵무기 정책과 킬 체인
냉전 시절 미국과 소련은 핵 선제공격인 제1격 핵무기 정책을 유지했다. 핵 공격 징후가 보이면 핵무기로 적의 핵 시설을 선제 타격하는 개념이다.이보다 완화된 핵무기 정책은 경보즉시발사이다. 페이브 포스 등의 조기경보레이다에서 적의 핵미사일 발사를 탐지해 경보를 발령하면 즉시 지상 배치 ICBM을 발사한다는 개념이다. 제1격과 경보즉시발사는 핵 선제공격의 양대 핵심 전략이다.
그런데 1950년대 레굴루스 미사일이 1980년대 토마호크 미사일로 발전하며 쪽집게 정밀 타격이 가능해지는 등 성능이 매우 좋아지면서, 1996년 미국에서 충격과 공포라는 새로운 군사전략이 주장되어 채택되었다. 핵무기가 아닌 재래식 토마호크 미사일 수백 발을 적의 핵심 군사 시설에 발사하면 핵 공격을 한 것과 마찬가지 효과가 발생하여, 수분 내에 적이 원시시대로 바뀌어 군사적 공격 능력을 완전히 상실한다는 개념이다.
충격과 공포 전략은 1989년 미국의 파나마 침공과 1990년 걸프 전쟁에서 그 가능성이 입증되었고, 2003년 이라크 전쟁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21]
과거에는 미사일 정확도가 낮아 쪽집게 정밀 타격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적 핵 시설에 핵무기로 선제 타격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현재는 미사일 정확도가 매우 좋아져서 적 핵 시설에 대한 재래식 탄두 공격으로도 과거 핵 선제 타격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미국의 군사 전략이 킬 체인의 밑바탕에 깔려 있다.
2. 2. 대한민국의 킬 체인 구축
대한민국 국방부는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킬 체인 구축을 추진해 왔다. 2023년까지 17조 원을 투입하여 킬 체인과 KAMD(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를 구축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이를 위해 군사정찰위성 5기 확보, 글로벌 호크 4대 도입, 사거리 800km 현무-2C 지대지 탄도미사일 개발, 미국 패트리어트 PAC-3 구매, M-SAM과 L-SAM의 국내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16]대한민국 정부는 선제타격과 KAMD로 북한의 핵 공격을 차단하겠다고 한다. 킬 체인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 정찰위성, 통신위성, GPS 위성과 공중조기경보통제기(피스아이) 등을 이용해 북한의 미사일 표적을 탐지한다.
- 지상 작전통제소로 전송 및 분석 판단한다.
- 군함, 전투기, 현무3 미사일과 탱크를 동원하여 표적 타격한다.
잠수함을 이용한 핵무기 발사, 소형 핵탄두를 탑재한 미사일 공격, 그리고 항공기를 이용한 핵무기 투하 등 각각의 시나리오에 맞춘 억제 전략을 2014년까지 만들기로 했다.[16]
2020년까지 해상도 30cm인 정찰위성을 초기에 5기를 발사해 완벽한 킬 체인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17]
새로운 미국의 군사적 비상 계획인 "킬 체인"은 위성 사진을 사용하여 북한의 발사 기지, 핵 시설 및 제조 능력을 식별하고, 분쟁이 임박한 것으로 보일 경우 선제적으로 파괴하는 새로운 전략의 첫 단계라고 한다. 이 계획은 미국과 대한민국 간의 공동 성명에서 언급되었다.[7][8]
3. 킬 체인의 단계
킬 체인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4단계로 구성된다.
- 탐지(Find): 표적을 식별한다.
- 식별(Fix): 표적의 위치를 고정한다.
- 결심(Decision): 식별된 표적에 대해 공격 여부, 공격 수단, 공격 시기 등을 결정한다.
- 타격(Engage): 결정된 공격 수단을 이용하여 표적을 파괴한다.
이는 모든 단계에서 중단이 전체 프로세스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체인"으로 묘사되는 통합된 종단 간 프로세스이다.
군사 킬 체인 모델 중 하나는 "F2T2EA"이며,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 탐지(Find): 감시, 정찰 데이터 또는 정보 수단을 통해 표적을 찾는다.
- 고정(Fix): 기존 데이터에서 또는 추가 데이터를 수집하여 표적의 특정 좌표를 획득한다.
- 추적(Track): 표적의 움직임을 감시한다. 표적을 교전하지 않기로 결정하거나, 표적과 성공적으로 교전할 때까지 추적한다.
- 타격(Target): 원하는 효과를 내기 위해 표적에 사용할 적절한 무기 또는 자산을 선택한다. 지휘 통제 능력을 적용하여 표적의 가치와 표적 교전에 적합한 무기 가용성을 평가한다.
- 교전(Engage): 표적에 무기를 사용한다.
- 평가(Assess): 공격의 효과를 평가하며, 해당 위치에서 수집된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미국 공군과 미국 해병대에서 복무한 F-15E 스트라이크 이글 무기 시스템 장교인 마이크 "파코" 베니테즈 소령은 킬 체인을 업데이트하여 자율 및 반자율 무기 시스템을 반영하도록 설계된 "5F" 킬 체인 모델을 제시했다.[5] "5F"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 탐지(Find): 작전 환경의 합동 정보 준비 노력의 통일을 포함하며, 수집 자산을 지휘관의 의도 및 관심 대상 영역에 맞춘다. 이는 탐지로 이어지며, 의도에 부합하는 경우 새로운 표적으로 추가 분류될 수 있다.
- 고정(Fix): "새로운 표적을 교전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식별하고, 교전을 허용할 만큼 충분한 정확도로 위치 및 기타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 발사(Fire): 전력 또는 자원 투입을 포함한다(예: 탄약, 탑재물 또는 소모품 투하).
- 마무리(Finish): 공격 승인 권한을 가진 운용을 포함한다(예: 표적 타격/지향성 에너지 발사/파괴적 전자 공격). 이는 지상 부대가 접촉 기동을 수행한 다음 마찰 지점에 도달하면 규정된 교전 규칙을 준수하는 것과 유사하다.
- 피드백(Feedback): 평가 단계를 통해 운용 OODA 루프[6]를 닫으며, 어떤 경우에는 "폭탄 피해 평가"라고 한다.
3. 1. 탐지(Find)
킬 체인의 탐지(Find) 단계는 감시 및 정찰 자산을 이용하여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징후 및 핵 시설 등을 탐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91년 걸프전에서 스커드 미사일 이동식 발사대를 공격하기 위해 미국을 비롯한 다국적군이 특수부대, 인공위성, 정찰기 등을 동원해 발사대를 탐지한 것이 킬 체인의 시초이다.[18]미국의 군사 킬 체인 모델 중 하나인 "F2T2EA"에서 탐지(Find)는 감시, 정찰 데이터, 정보 수단을 통해 표적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
"5F" 킬 체인에서 탐지(Find) 단계는 작전 환경의 합동 정보 준비 노력의 통일을 포함하며, 수집 자산을 지휘관의 의도 및 관심 대상 영역에 맞춘다. 이를 통해 탐지가 이루어지고, 의도에 부합하는 경우 새로운 표적으로 추가 분류될 수 있다.
미국의 새로운 군사 비상 계획인 "킬 체인"은 위성 사진을 사용하여 북한의 발사 기지, 핵 시설, 제조 능력을 식별하는 것을 첫 단계로 한다.[7][8]
3. 2. 식별(Fix)
탐지된 표적의 종류, 위치, 좌표 등을 정확하게 식별한다. 걸프전 당시 스커드 미사일 이동식 발사대 공격을 위해 다국적군은 특수부대, 인공위성, 정찰기 등을 동원해 발사대를 탐지하고 격파했다.[18] 킬 체인에서 표적 좌표 식별은 1분 안에 완료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20] 군사 킬 체인 모델 "F2T2EA"에서 고정(Fix) 단계는 기존 데이터 또는 추가 데이터 수집을 통해 표적의 특정 좌표를 획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의 새로운 군사 비상 계획 "킬 체인"은 위성 사진을 이용하여 북한의 발사 기지, 핵 시설, 제조 능력을 식별한다.[7][8]3. 3. 결심(Decision)
식별된 표적에 대해 공격 여부, 공격 수단, 공격 시기 등을 결정한다. 대한민국은 미국의 정보 자산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인 결심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20]군사 킬 체인 모델 중 하나인 "F2T2EA"에서 결심(Decision) 단계는 타격(Target) 단계에 해당하며, 원하는 효과를 내기 위해 표적에 사용할 적절한 무기 또는 자산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지휘 통제 능력을 적용하여 표적의 가치와 표적 교전에 적합한 무기 가용성을 평가한다.[5]
미국 공군과 미국 해병대에서 복무한 F-15E 스트라이크 이글 무기 시스템 장교인 마이크 "파코" 베니테즈 소령이 설명하는 "5F" 킬 체인 모델에서는 발사(Fire) 단계에서 전력 또는 자원 투입(예: 탄약, 탑재물 또는 소모품 투하)이 이루어지며, 마무리(Finish) 단계에서 공격 승인 권한을 가진 운용(예: 표적 타격/지향성 에너지 발사/파괴적 전자 공격)이 포함된다. 이는 지상 부대가 접촉 기동을 수행한 다음 마찰 지점에 도달하면 규정된 교전 규칙을 준수하는 것과 유사하다.[5]
3. 4. 타격(Engage)
결정된 공격 수단(전투기, 미사일, 함정 등)을 이용하여 표적을 파괴한다. 군사 킬 체인 모델 "F2T2EA"에서 "교전(Engage)" 단계는 표적에 무기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5] 1991년 걸프전에서 미국을 비롯한 다국적군은 스커드 미사일 이동식 발사대를 공격하기 위해 특수부대와 인공위성, 정찰기 등을 동원해 발사대를 탐지해 격파했다.[18] 북한의 핵무기에 대한 선제타격 체계 개념인 킬체인은 탐지, 식별, 결심 단계를 거쳐 25분 안에 타격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0]4. 킬 체인 모델
킬 체인은 원래 군사적 개념으로, 공격 구조를 단계별로 나눈 것이다. 통합된 프로세스로서 킬 체인은 각 단계에서 중단되면 전체 프로세스가 방해될 수 있기 때문에 '체인'으로 묘사된다. 킬 체인 모델에는 군사적 모델과 사이버 보안 모델이 있다.
4. 1. 군사적 모델
군사적 킬 체인 모델 중 하나는 "F2T2EA"로,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5]단계 | 설명 |
---|---|
탐지(Find) | 표적을 식별한다. 감시, 정찰 데이터 또는 정보 수단을 통해 표적을 찾는다. |
고정(Fix) | 표적의 위치를 고정한다. 기존 데이터에서 또는 추가 데이터를 수집하여 표적의 특정 좌표를 획득한다. |
추적(Track) | 표적의 움직임을 감시한다. 표적을 교전하지 않기로 결정하거나, 표적과 성공적으로 교전할 때까지 추적한다. |
타격(Target) | 원하는 효과를 내기 위해 표적에 사용할 적절한 무기 또는 자산을 선택한다. 지휘 통제 능력을 적용하여 표적의 가치와 표적 교전에 적합한 무기 가용성을 평가한다. |
교전(Engage) | 표적에 무기를 사용한다. |
평가(Assess) | 공격의 효과를 평가하며, 해당 위치에서 수집된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
이것은 모든 단계에서 중단이 전체 프로세스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체인"으로 묘사되는 통합된 종단 간 프로세스이다.
"5F"는 미국 공군과 미국 해병대에서 복무한 F-15E 스트라이크 이글 무기 시스템 장교인 마이크 "파코" 베니테즈 소령이 설명하는 군사 용어이다. 킬 체인을 업데이트하여 업데이트된 자율 및 반자율 무기 시스템을 반영하도록 설계된 "5F"는 다음과 같다.[5]
"5F"는 다음의 추가적인 단계들을 포함한다.
- 목표 식별(Target identification)
- 목표에 대한 무력 투사(Force dispatch to target)
- 목표 공격 여부 결정 및 명령(Decision and order to attack the target)
- 목표 파괴(Destruction of the target)
4. 2. 사이버 보안 모델
사이버 공격에 대한 킬 체인 모델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14]- 정찰 (Reconnaissance)
- 무기화 (Weaponization)
- 전달 (Delivery)
- 공격 (Exploitation)
- 설치 (Installation)
- 원격 제어 (Command and Control)
- 목표 실행 (Actions on Objective)
모든 위협이 모든 단계를 거치는 것은 아니며, 각 단계에서 사용 가능한 행동은 다양하여 공격 방식은 매우 다양하다.[14]
5. 대한민국의 킬 체인 핵심 전력
대한민국은 킬 체인의 핵심 전력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23년까지 17조 원을 투입해 킬 체인과 KAMD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군사정찰위성 5기 확보, 글로벌 호크 4대 도입, 사거리 800km 현무-2C 지대지 탄도 미사일 개발, 미국 패트리어트 PAC-3 구매, M-SAM과 L-SAM의 국내 개발 등을 추진 중이다.[16]
킬 체인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 정찰위성, 통신위성, GPS 위성과 공중조기경보통제기(피스아이) 등을 이용해 북한의 미사일 표적을 탐지한다.
- 지상 작전 통제소로 전송 및 분석, 판단한다.
- 군함, 전투기, 현무3 미사일과 탱크를 동원하여 표적을 타격한다.
대한민국 정부는 잠수함을 이용한 핵무기 발사, 소형 핵탄두를 탑재한 미사일 공격, 항공기를 이용한 핵무기 투하 등 각각의 시나리오에 맞춘 억제 전략을 2014년까지 만들기로 했다.[16]
2020년까지 해상도 30cm인 정찰위성을 초기에 5기를 발사해 완벽한 킬 체인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17]
6. 비판 및 문제점
킬 체인 모델은 방어 네트워크 외부에서 많은 단계가 발생하여, 이러한 단계에서의 행위를 식별하거나 대응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위협 평가 및 방지 도구로서 비판받는다. 또한, 이 방법론은 "경계 기반" 방어 전략에 집중한다는 비판도 있다.[15]
6. 1. 막대한 비용
2009년 2월 3일 영국의 더 타임스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미국과 러시아의 핵탄두 보유량을 현재의 5천 개 수준에서 각각 1천 개로 줄이는 조약 체결을 추진한다고 보도했다.[22]2014년 기준으로, 미국의 최신형 수소폭탄 W88 핵탄두 14발을 탑재한 트라이던트 미사일 가격은 37320070USD(4300억원)이다. W88 핵탄두는 대당 300억원이며, 1000발은 3조원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핵탄두 1천 개면 전 세계 어느 나라에 대해서도 100% 확실한 핵 억지력이 있다고 주장하는데, 그 비용은 3조원에 불과하다. 반면 킬 체인과 KAMD 구축 비용은 17조원으로, 5배의 비용을 들이고도 100% 확실하게 북한 핵무기를 방어하지는 못한다.
6. 2. 미국 의존성
대한민국 킬 체인의 초기 단계인 탐지 및 식별 과정에서 미국의 정보 자산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지적이 있다. 킬 체인은 위성 사진을 이용하여 북한의 발사 기지, 핵 시설 및 제조 능력을 식별한다.[7][8] 이러한 미국의 군사 자원에 대한 의존성은 대한민국이 독자적인 결심 및 타격을 하는 데 제약이 될 수 있으며, 미국의 눈치를 봐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23] 국방부는 이러한 의존성을 줄이기 위해 국산화율을 점차 높이겠다고 밝혔다.[23]6. 3. 이동식 미사일 대응의 어려움
북한의 이동식 미사일 발사대(TEL)는 은밀하게 이동하며 발사 준비를 하기 때문에 탐지 및 추적이 어려워 킬 체인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24][25]북한은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스커드 미사일 대신 5분 만에 발사가 가능한 고체연료 스캐럽 미사일을 실전 배치하여 한미 연합군의 정찰 능력을 무력화시키고 있다. 김정일 사망일에도 스캐럽 미사일 2발을 발사해 한국을 위협했다. 한미 연합군의 정찰 능력은 주로 북한의 고정 시설에 대한 것이어서, 이동식 핵미사일을 선제 타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주장이 있다.[24][25]
전문가들은 이동식 핵미사일에 대한 선제 타격은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으며,[24][25] 대표적인 보수 논객이자 핵 보유론자인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도 킬 체인이 완벽하지 않고 오히려 핵 공격만 유발한다며 반대하고 있다.[26] 윌리엄 페리 전 미국 국방장관도 선제 타격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27]
일각에서는 북한의 이동식 미사일 100여 기를 24시간 추적하는 것은 불가능함에도 한미 당국이 이러한 주장을 하는 이유는 대국민 안보 불안을 불식시키기 위한 립서비스라고 평가하기도 한다.[28][29] 조갑제는 정부가 주장하는 킬 체인과 미사일 방어는 실효성은 없고 비용만 엄청나므로, 보복 핵 공격 능력을 독자 보유하는 것만이 대안이라고 주장한다.
6. 4. 고체연료 미사일
북한은 액체연료 미사일 대신 발사 준비 시간이 짧은 고체연료 미사일 개발 및 배치에 주력하고 있다. 스커드 미사일은 액체연료 주입과 발사 준비에 1시간 정도 소요되지만,[19] 고체연료 미사일은 5분 만에 발사가 가능하다. 북한은 액체연료 SS-1 스커드를 퇴역시키고 고체연료 SS-21 스캐럽을 주력 미사일로 교체 중이다.[30]이는 킬 체인의 탐지 및 대응 시간을 단축시켜 킬 체인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액체연료 스커드 미사일을 폐기하고, 5분 만에 발사가 가능한 고체연료 스캐럽 미사일을 실전 배치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미사일 노출 시간이 액체연료는 1시간 정도이며, 고체연료는 4분 정도만 노출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액체연료 미사일이 고체연료 미사일이 된다고 해도 킬 체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31]
7. 보완 및 대안
더불어민주당 등 진보 진영에서는 킬 체인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KAMD)와 함께 킬 체인을 보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7. 1. 핵무장론
일부 보수 진영에서는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의 독자적인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대표적인 보수 논객이자 핵 보유론자인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는 킬 체인과 미사일 방어는 실효성이 없고 비용만 많이 들기 때문에, 보복 핵 공격 능력을 독자적으로 보유하는 것만이 유일한 대안이라고 주장한다.[26] 조갑제 대표는 MBC 100분 토론에서 선제 타격은 완벽하지 않고 오히려 핵 공격만 유발한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26]참조
[1]
웹사이트
Kill Chain Approach
http://cno.navylive.[...]
Chief of Naval Operations
2013-04-23
[2]
웹사이트
Breaking the Kill Chain
https://foreignpolic[...]
2013-05-17
[3]
웹사이트
Lockheed-Martin Corporation-Hutchins, Cloppert, and Amin-Intelligence-Driven Computer Network Defense Informed by Analysis of Adversary Campaigns and Intrusion Kill Chains-2011
https://www.lockheed[...]
[4]
웹사이트
Find, Fix, Track, Target, Engage, Assess
http://www.airforcem[...]
2000-07-01
[5]
뉴스
It's About Time: The Pressing Need to Evolve the Kill Chain
https://warontherock[...]
2017-05-17
[6]
뉴스
The OODA Loop: How Fighter Pilots Make Fast and Accurate Decisions
https://fs.blog/ooda[...]
2021-03-15
[7]
뉴스
Tiny Satellites From Silicon Valley May Help Track North Korea Missiles
https://www.nytimes.[...]
2017-07-06
[8]
뉴스
06/30/17 - Joint Statemen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U.S. Embassy & Consulate in Korea
https://kr.usembassy[...]
2017-06-30
[9]
웹사이트
Kill Chain Approach
http://cno.navylive.[...]
2013-04-23
[10]
웹사이트
Breaking the Kill Chain
https://foreignpolic[...]
2013-05-17
[11]
웹사이트
How Lockheed Martin's 'Kill Chain' Stopped SecurID Attack
https://www.darkread[...]
2013-02-12
[12]
웹사이트
Leveraging The Kill Chain For Awesome
https://www.darkread[...]
2014-12-02
[13]
웹사이트
What is the cyber kill chain? A model for tracing cyberattacks
https://www.csoonlin[...]
2022-04-14
[14]
웹사이트
http://www.websense.[...]
[15]
웹사이트
Deconstructing The Cyber Kill Chain
https://www.darkread[...]
2014-11-18
[16]
뉴스
https://news.naver.c[...]
[17]
뉴스
https://news.naver.c[...]
[18]
뉴스
남한 '킬 체인'에 '고체연료 로켓' 카드 꺼낸 북한
세계일보
2016-03-26
[19]
뉴스
남한 '킬 체인'에 '고체연료 로켓' 카드 꺼낸 북한
세계일보
2016-03-26
[20]
뉴스
<북핵 무력화 3단계 대응>北 핵도발땐 ‘표적탐지→무기선정→선제타격’ 30분내 제압
문화일보
2013-04-01
[21]
웹인용
Shock and Awe
http://www.globalsec[...]
[22]
뉴스
美, 러와 핵무기 80% 감축 논의
매일경제
2009-02-04
[23]
뉴스
https://news.naver.c[...]
[24]
뉴스
https://news.naver.c[...]
[25]
뉴스
https://news.naver.c[...]
[26]
뉴스
http://www.newdaily.[...]
[27]
뉴스
https://news.naver.c[...]
[28]
뉴스
https://news.naver.c[...]
[29]
뉴스
https://news.naver.c[...]
[30]
뉴스
[기획] ‘눈 가리고 주먹질’ 하는 킬 체인...반쪽짜리 논란
서울신문
2014-10-14
[31]
뉴스
[국방장관 인터뷰④] 한민구 국방 "고체연료 미사일 기술 진전..킬체인엔 영향 없어"
헤럴드경제
2016-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