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탁발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탁발씨는 중국어 '拓跋'를 음차한 명칭으로, 선비족의 일족을 가리킨다. 몽골 북동부에서 중국 북부로 이동하며 몽골어, 튀르크어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했다. 탁발씨는 310년부터 376년까지 대(代)를, 386년부터 536년까지 북위를 건국했으며, 북위는 한화 정책의 일환으로 황실과 한족 엘리트 간의 혼인을 장려했다. 'Tabgach'는 튀르크어에서 중국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몽골, 카라한 왕조 등 유라시아 지역에서 탁발씨의 영향을 보여주는 유산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탁발씨 - 이사공
    이사공은 당나라 말기 황소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워 이씨 성을 하사받고 하국공에 봉해진 군벌로, 후일 서하 건국의 기반을 마련했다.
  • 탁발씨 - 탁발여
    탁발여는 북위 태무제의 아들로, 환관 종애의 옹립으로 황제가 되었으나 종애에게 살해당하고 사후 문성제에 의해 왕의 예로 장례가 치러졌다.
  • 탁발선비 - 묵기씨
    묵기씨는 백제 왕실과 혼인 관계를 통해 권세를 누린 귀족 씨족의 이름으로, 역사적 인물인 묵기마나와 묵기사문 외에 만기추노, 만기영, 만기설, 만기덕, 만사기 언 등 다양한 인물과 관련되어 있다.
  • 탁발선비 - 장손씨
    장손씨는 선비족에서 유래했거나 한나라 시대에 기원한 성씨로, 북위와 당나라 시기에 군인, 정치가, 황후 등이 존재했다.
탁발씨
개요
선비족의 위치
선비족의 위치
존속 기간기원전 2세기 ~ 5세기
언어선비어
민족선비족
종교샤머니즘, 불교
명칭
한국어탁발 (Takbal)
중국어拓跋 (Tuòbá)
과거 표기拓拔 (Tuòbá), 托跋 (Tuōbá), 托拔 (Tuōbá), 㩉拔 (Yàbá)
튀르크어𐱃𐰉𐰍𐰲 (Tabγač)
역사
기원동호의 후예
주요 활동오호십육국시대 북위 건국
남북조시대
멸망북위 효무제 분열 후 소멸
문화
특징유목 생활, 군사 중심 사회
영향한화 정책을 통한 중국 문화 융합
수나라, 당나라 귀족층 형성
성씨
주요 성씨원 (元)
이 (李)
조 (趙)
외명 (嵬名)

2. 명칭

탁발(拓跋)은 중국어 발음 'Tuòbá'를 로마자 표기한 것이다. 8세기경 튀르크어로는 'Tabγač'( 타브가치)로 표기되었으며, 중앙아시아 기록에는 'Tabghāj'과 'Taugash'로, 비잔티움 제국의 그리스어 자료에는 'Taugas'(Ταυγάςgrc)와 'Taugast'(Ταυγάστgrc)로 나타난다.[21][22] 이 이름은 '대칸'(大漢)을 튀르크어로 음역한 것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다.

탁발(Tuoba)은 중국어 (''Tuòbá'')의 표준관화 발음을 무성조 병음으로 로마자 표기한 것이다. 같은 이름은 첫 번째 중국 글자를 또는 로 음역하거나,[1] 두 번째 글자를 로 음역한 것에서도 나타난다. 또한 '''T'o-pa'''[2]와 '''Toba'''로 영어식 표기되기도 했으며,[21][22] '''두발(Tufa)''' (, ''Tūfà'' 또는 ''Tūfǎ'')로도 나타난다.[3] 때로는 '''탁발 선비(Tuoba Xianbei)'''(拓跋, ''Tuòbá Xiānbēi'')로 명확히 언급되기도 한다.[22]

3. 민족 및 언어

19세기 초 학자 히아킨트는 탁발족과 돌궐이 공통 조상을 가졌다고 보았다.[4] 위서는 돌궐이 동호계였다고 기록하고 있으며,[5][6] 탁발족은 선비족[7][8]에서 기원했는데, 선비족 또한 동호의 후손이었다.[9][10] 탁발족과 돌궐의 동호 조상은 대부분 원시 몽골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11]

알렉산더 보빈탁발어몽골어족으로 분류한다.[13][14] 반면, 유하 야누넨은 탁발족이 오구르 튀르크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15] 르네 그루세는 탁발족을 튀르크 부족으로 분류했다.[16] 피터 부드버그는 탁발어가 본질적으로 몽골어와 튀르크어가 혼합된 언어였다고 보았다.[17]

4. 역사

3세기경 투바족과 이웃 부족들


330~555년 루란 카간국, 토욕혼, 북위


알샤盟에 남은 투바족의 흔적


알샤盟에 남은 투바족의 흔적


탁발(투바)는 선비족의 일족이었다.[21][22] 선비족은 오늘날의 동북 중국에서 몽골까지 넓게 분포했으며, 탁발은 서쪽 선비족 중 가장 큰 부족 중 하나로 오늘날의 산시성과 그 서쪽, 북서쪽 지역에 걸쳐 있었다. 310년부터 376년까지 대를 건국했고,[23] 386년부터 536년까지 북위를 지배했다. 대와 북위는 중국 오행설에서 토의 기운을 지녔다고 주장했다. 『위서』와 『북사』에서 탁발의 모든 족장들은 황제로 추앙받았다. 서쪽 탁발의 한 분파인 투파(Tufa)는 십육국 시대인 397년부터 414년까지 남량을 지배하기도 했다.

선비족은 처음에 흉노의 지배를 받았으나, 독립하여 점차 흉노를 막북(漠北)으로 몰아내고 세력을 키웠다. 단석괴가 모든 부족을 통합하여 다스렸으나, 그의 사후 부족 간 다툼 속에서 탁발부가 부상하였고, 탁발씨가 화북을 통일하여 북위를 건국하게 되었다.

선비 대인(大人, 부족장)의 계보는 일정하지 않았고 안정적인 세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후한 말엽부터 선비 부족 내에서 수장 지위는 세습되기 시작했다. 탁발씨는 여러 계보로 이루어져 있었고, 유력한 세습 계보가 10성(姓) 존재했으며, 백 세가 지나도 통혼하지 않는다는 규칙으로 반드시 다른 부족과의 혼인인 외족혼(族外婚)을 원칙으로 했다.

탁발씨가 부상한 것은 3세기 후반 선비의 대인으로 등장한 탁발력미 이후이다. 그의 손자 탁발의루는 서진에 협력하여 흉노 유연과 싸운 공으로 대단우(大單于) 칭호를 받고 대공(代公)에 봉해져 음산 지역에 영토를 얻었다. 탁발의루는 만리장성 내성 지역에 더 많은 영토 할양을 요구하여 성공하였다. 그가 아들 탁발육수에게 살해되자, 탁발의루의 조카 탁발울률이 계승하였다.

이후 탁발울률이 숙부 탁발의의 아내 유씨(惟氏)에게 살해당하고, 아들 탁발십익건과 손자(탁발십익건의 적장자) 탁발식이 반란으로 사망하는 등 탁발씨의 단우 지위는 불안정하였다. 이 때문에 탁발씨의 나라 대는 전진 부견에게 공격받아 일시적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탁발식의 아들 도무제 탁발규는 옛 백성들을 모아 대왕(代王)에 즉위하고 성락(盛樂)을 수도로 삼아 독립하였다. 막북의 유연을 무찌르고 흉노 철불부마저 멸망시키며 화북과 산서를 중심으로 북위를 건국하였다. 이후 탁발씨는 북위 제5대 황제 헌문제까지 탁발을 국성으로 하였으나, 제6대 황제 효문제에 이르러 한화(漢化)를 추진하기 위해 원씨로 개성(改姓)하였다.

북위 분열 후, 중국을 재통일한 · 왕조도 탁발부 출신 귀족 양씨·이씨가 세운 것이며, 돌궐 등 중앙아시아 민족으로부터 “탁발”의 음역인 “타브가치(タブガチ)”라고 불렸던 것이 돌궐 문자 비문에 의해 확인된다.

4. 1. 혼인 정책

북위는 480년대부터 중국 엘리트 계층과 선비족 탁발(투바) 왕족의 딸들을 결혼시키는 정책을 추진했다.[24] 북위의 탁발 선비 공주 50% 이상이 남조의 황족과 귀족 출신으로 북위에 귀순하여 북쪽으로 이주한 남중국인들과 결혼했다.[25] 일부 중국 유배 왕족은 남중국에서 도망쳐 선비족에게 귀순하기도 했다.

탁발 문성제의 여러 딸들은 중국 엘리트들과 결혼했다.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 한족 유송의 왕족 유창(劉昶)은 북위의 란릉공주(蘭陵公主 (北魏))와 결혼했다.[26][27][28][29][30]
  • 화양공주(華陽公主 (魏孝文帝之女))는 진(266~420) 왕족의 후손인 사마비(司馬朏)와 결혼했다.
  • 제남공주(濟南公主)는 노도건(盧道虔)과 결혼했다.
  • 남양장공주(南阳长公主)는 남제 왕족인 소보인(蕭宝夤)과 결혼했다.[31]
  • 효장제의 누이인 수양공주는 양나라 무제의 아들 소종(蕭綜)과 결혼했다.[32]


동진이 멸망했을 때, 북위는 한족 진(Jin) 왕족인 사마추지(司馬楚之)를 난민으로 받아들였다. 북위 공주는 사마추지와 결혼하여 사마금룡(司馬金龍)을 낳았다. 북량 흉노왕 주곡목건(沮渠牧犍)의 딸은 사마 금룡과 결혼했다.[34]

5. 탁발씨 지도자 목록 (219년 ~ 376년)

묘호시호[44]이름통치 기간연호와 연호 사용 시기
시조신원(神元)탁발역미(拓跋力微)219년~277년없음
없음장(章)탁발실록(拓跋悉鹿)277년~286년없음
없음평(平)탁발작(拓跋綽)286년~293년없음
없음사(思)탁발불(拓跋弗)293년~294년없음
없음소(昭)탁발녹관(拓跋祿官)294년~307년없음
없음환(桓)탁발의이(拓跋猗㐌)295년~305년없음
없음목(穆)탁발의로(拓跋猗盧)295년~316년없음
없음없음탁발보근(拓跋普根)316년없음
없음없음알 수 없음316년없음
없음평문(平文)탁발울률(拓跋鬱律)316년~321년없음
없음혜(惠)탁발하녹(拓跋賀傉)321년~325년없음
없음양(煬)탁발흘나(拓跋紇那)325년~329년335년~337년없음
없음열(烈)탁발예궤(拓跋翳槐)329년~335년337년~338년없음
없음소성(昭成)탁발십익건(拓跋什翼犍)338년~376년건국(建國) 338년~376년



315년, 오호십육국 시대에 탁발부의 수령 탁발의로서진의 관작을 받고 왕으로 봉해졌으며[43], 탁발부는 이후 북위 건국의 기반을 다졌다.

5. 1. 탁발역미 이전의 계보

탁발모(拓跋毛)부터 탁발힐분(拓跋詰汾)까지의 계보는 다음과 같다.[1]

이름
탁발모
탁발대
탁발관
탁발루
탁발월
탁발추인
탁발리
탁발사
탁발사
탁발기
탁발개
탁발쾌
탁발린
탁발힐분


6. 북위의 역대 황제

묘호시호성명연호사용 기간
헌명제
(獻明帝)
<태조 추숭>
탁발식(拓跋寔)
북위 태조
(北魏 太祖)
본래 묘호는
열조(烈祖)
도무제
(道武帝)
(첫 시호는
선무제(宣武帝))
탁발규(拓跋珪)등국(登國)386년396년
황시(皇始)396년—398년
천흥(天興)398년—404년
천사(天賜)404년—409년
북위 태종
(北魏 太宗)
명원제
(明元帝)
탁발사(拓跋嗣)영흥(永興)409년—413년
신서(神瑞)414년—416년
태상(泰常)416년—423년
북위 세조
(北魏 世祖)
태무제
(太武帝)
탁발도(拓跋燾)시광(始光)424년428년
신가(神麚)428년—431년
연화(延和)432년—434년
태연(太延)435년—440년
태평진군(太平眞君)440년—451년
정평(正平)451년—452년
남안경수왕
(南安敬壽王)
탁발여(拓跋余)승평 혹은 영평(承平, 永平)452년
북위 공종
(北魏 恭宗)
<고종 추숭>
경목제
(景穆帝)
탁발황(拓跋晃)
북위 고종
(北魏 高宗)
문성제
(文成帝)
탁발준(拓跋濬)흥안(興安)452년—454년
흥광(興光)454년—455년
태안(太安)455년—459년
화평(和平)460년—465년
북위 현조
(北魏 顯祖)
헌문제
(献文帝)
탁발홍(拓跋弘)천안(天安)466년467년
황흥(皇興)467년—471년
북위 고조
(北魏 高祖)
효문제
(孝文帝)
원굉(元宏)연흥(延興)471년476년
승명(承明)476년
태화(太和)477년—499년
북위 세종
(北魏世宗)
선무제
(宣武帝)
원각(元恪)경명(景明)500년503년
정시(正始)504년—508년
영평(永平)508년—512년
연창(延昌)512년—515년
북위 숙종
(北魏 肅宗)
효명제
(孝明帝)
원후(元詡)희평(熙平)516년518년
신귀(神龜)518년—520년
정광(正光)520년—525년
효창(孝昌)525년—527년
무태(武泰)528년
경애공주
(敬哀公主)
원씨-528년
소공제
(少恭帝)
원조(元釗)건의(建義)528년
북위 숙조
(北魏 肅祖)
<경종 추숭>
문목제
(文穆帝)
원협(元勰)
효선제
(孝宣帝)
<경종 추숭>
원소(元劭)
북위 경종
(北魏 敬宗)
효장제(孝莊帝)
(첫 시호는
무회제(武懷帝))
원자유(元子攸)건의(建義)528년
영안(永安)528년-530년
현문제
(顯文帝)
원호(元顥)효기(孝基)529년
건무(建武)529년
장광경왕
(長廣敬王)
원엽(元曄)건명(建明)530년-531년
순제
(順帝)
원열(元悅)경흥(更興)530년
절민제
(節閔帝)
원공(元恭)보태(普泰)531년-532년
안정순문왕
(安定順文王)
원랑(元朗)중흥(中興)531년-532년
무목제
(武穆帝)
<효무제 추숭>
원회(元懷)
효무제(孝武帝)
출제(出帝)
원수(元脩)태창(太昌)532년
영흥(永興)532년
영희(永熙)532년-534년



효문제(孝文帝)의 명령에 따라 국성(國姓)이 '''탁발씨'''에서 '''원씨'''로 변경되었다.

7. 유산

북위의 중앙아시아와의 교류 결과, 튀르크어 자료에서는 13세기까지 중국을 '타브가치' 등으로 불렀다.[21][22][2] 이는 몽골 오르혼 계곡의 8세기 오르혼 비문과 11세기 문헌인 『투르크어 사전』 등에서 확인된다.


  • 오르혼 비문: "나는 현명한 토뉴쿠크 자신이 타브가치 지역에서 살았다. (전체) 투르크인들은 타브가치의 지배를 받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 『투르크어 사전』: 마흐무드 알 카시가리는 중국을 세 부분으로 나누면서, 동쪽의 위쪽을 타우자치(Tawjāch)라고 불렀다.


카라한 왕조는 '탐가이 칸'(투르크어: 중국의 칸)이라는 칭호를 사용하고, 이 칭호가 새겨진 주화를 주조하는 등 중국과의 연관성을 강조했다.[39]

'타브가치'는 중국어로 "도화석"(桃花石)으로 번역되기도 했다.[40] 이 이름은 최근 중국에서 민족 통합을 증진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41][42]

8. 탁발씨 정권

탁발부는 선비족의 일파인 탁발씨에서 갈라져 나왔다. 이들은 대나라와 북위를 건국했다. 탁발부는 중국 오행설에서 토의 기운을 지녔다고 주장했다.[23] 3세기경, 탁발부는 오늘날의 산시성과 서쪽, 북서쪽 지역에 걸쳐 있었으며, 서쪽 선비족 중 가장 큰 부족 중 하나였다.[21][22]

탁발씨가 부상한 것은 3세기 후반 탁발력미(拓跋力微) 이후이다. 그의 손자 탁발의루(拓跋猗盧)는 서진에 협력하여 흉노의 유연(劉淵)과 싸운 공으로 대단우(大單于) 칭호를 받고 대공(代公)에 봉해져 음산 지역에 영토를 얻었다. 탁발의루는 만리장성 내성 지역에 더 많은 영토 할양을 요구하여 성공하였다.

이후 탁발십익건(拓跋什翼犍)과 그의 적장자 탁발식(拓跋寔)이 반란으로 사망하는 등 혼란이 있었으나, 탁발식의 아들 탁발규(道武帝)가 대왕(代王)에 즉위하고 성락을 수도로 삼아 독립하였다. 탁발규는 막북(漠北)의 유연을 무찌르고 흉노 철불부(鉄弗部)를 멸망시키는 등 위세를 떨쳐, 화북과 산서를 중심으로 북위를 건국하였다.

북위는 제5대 황제 헌문제까지 탁발(拓跋)을 국성으로 사용했으나, 제6대 황제 효문제는 한화 정책을 추진하며 원씨(元氏)로 성을 바꾸었다.

북위는 이후 동위서위로 분열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资治通鉴大辞典·上编 http://61.134.53.202[...]
[2] 서적 https://books.google[...]
[3] 서적 Linguistic Mysteries of Ethnonyms in Inner Asia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8
[4] 서적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peoples lived in Central Asia in ancient times
[5] 서적 The Steppe Lands and the World beyond Them Iaşi
[6] 서적 Book of Wei https://zh.wikisourc[...]
[7] 서적 Book of Wei
[8] PhD The Making of the Tuoba Northern Wei: Constructing Material Cultural Expressions in the Northern Wei Pingcheng Period (398–494 CE) University of Oxford 2012
[9] 서적 後漢書
[10] 서적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re-Dynastic Khitan https://helda.helsin[...] University of Helsinki
[11] 웹사이트 Ji 姬 and Jiang 姜: The Role of Exogamic Clans in the Organization of the Zhou Polity http://www.dartmouth[...]
[12] 학술지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Term Turk and the Nature of the Turkic Identity of the Chinggisid and Timurid Elites in Post-Mongol Central Asia
[13] 학술지 Once again on the Tabγač language
[14] 서적 The Genesis of East Asia https://books.google[...]
[15] 서적 Manchuria: An Ethnic History
[16] 서적 Turkic vigor-so marked among the first Tabgatch ruler René Grousset
[17] 서적 The Genesis of East Asia https://books.google[...]
[18] 학술지 Turkic or Proto-Mongolian? A Note on the Tuoba Language
[19] 서적 The Genesis of East Asia https://books.google[...]
[20] 서적 Languages of Ancient Southern Mongolia and North China: a Historical-Comparative Study of the Serbi or Xianbei Branch of the Serbi-Mongolic Language Family, with an Analysis of Northeastern Frontier Chinese and Old Tibetan Phonology Harrassowitz Verlag
[21]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22] 서적 The Genesis of East Asia: 221 B.C. - A.D. 907 https://books.google[...]
[23]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24] 서적 Marriage and Inequality in Chinese Socie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 A dissertation presented by Qiaomei Tang to The Department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the subject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Divorce and the Divorced Woman in Early Medieval China (First through Sixth Century) https://dash.harvard[...] Harvard University 2016-05
[26] 서적 Papers on Far Eastern History https://books.googl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Far Eastern History
[27] 서적 Women in Early Medieval Chin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8
[28] 서적 Women in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
[29] 서적 Papers on Far Eastern History, Volumes 27–30 https://books.googl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Far Eastern History 1983
[30] 학술지 Slaves and Other Comparable Social Groups During The Northern Dynasties (386-618) Harvard-Yenching Institute 1953
[31] 서적 China: Dawn of a Golden Age, 200–750 AD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Museum of Art
[32] 서적 Ancient and Early Medieval Chinese Literature (vol. 3 & 4): A Reference Guide, Part Three & Four https://books.google[...] BRILL 2014-09-22
[33] 서적 Good Son is Sad If He Hears the Name of His Father: The Tabooing of Names in China as a Way of Implementing Social Valu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
[34] 서적 China: Dawn of a Golden Age, 200–750 AD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Museum of Art
[35] 학술지 Genetic analysis on Tuoba Xianbei remains excavated from Qilang Mountain Cemetery in Qahar Right Wing Middle Banner of Inner Mongolia 2006-10-20
[36] 논문 Genetic analyses of Xianbei populations about 1,500–1,800 years old 2014-03-00
[37] 문서 No known given name survives.
[38] 서적 Divanü Lügati't Türk Turkish Language Association 2006
[39] 논문 Qarakhanid Studies: A View from the Qara Khitai Edge https://journals.ope[...]
[40] 서적 On the Ancient History of the Silk Road World Scientific 2021
[41] 웹사이트 Tuoba and Xianbei: Turkic and Mongolic elements of the medieval and contemporary Sinitic states https://languagelog.[...] 2022-05-16
[42] 웹사이트 在全国民族团结进步表彰大会上的讲话 https://www.neac.gov[...] 2019-09-27
[43] 문서 탁발규가 창건한 북위의 통치 가문에서 유래하며, 북위의 통치자 목록은 북위의 지도자 조항으로 독립되어 빠졌다.
[44] 문서 《위서》와 《북사》 전부 사실상 그들 모두가 황제의 자리에 오르지 않았는데도 모두 북위 건국 이전의 탁발씨가 황제로 추증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