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탄소 나노튜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탄소 나노튜브는 탄소 원자로 구성된 나노미터 크기의 튜브로, 1950년대에 처음 관찰되었으나 1991년 이지마 스미오에 의해 아크 방전된 흑연 막대에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발견되면서 연구가 본격화되었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NT)로 나뉘며, 구조에 따라 금속성 또는 반도체 특성을 나타낸다. 탄소 나노튜브는 뛰어난 기계적, 전기적, 열적, 광학적 특성을 지니며, 아크 방전, 레이저 증착, 화학 기상 증착법(CVD) 등의 방법으로 합성된다.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나, 독성 문제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탄소 나노튜브 - 밴타블랙
    밴타블랙은 가시광선을 99.965%까지 흡수하는 탄소 나노튜브로 구성된 가장 어두운 물질 중 하나이며,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예술가 아니쉬 카푸어가 독점적으로 사용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 내화물 - 이산화 규소
    이산화규소(SiO₂)는 규소 원자와 산소 원자가 사면체 구조로 결합된 3차원 네트워크 고체 화합물로, 결정질과 비결정질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지구 지각에서 풍부하게 발견되고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미세 결정질 형태는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내화물 - 탄화 규소
    탄화규소는 탄소와 규소의 화합물로, 다양한 다형체로 존재하며, 연마재, LED, 고성능 전력 반도체, 방탄복, 보석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그래핀 생산과 양자 정보 과학 분야에서도 주목받는 반도체 재료이다.
  • 신기술 - 라이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물체의 거리와 3차원 형상 정보를 측정하는 기술로, 코라이더 시스템에서 유래되어 자율주행차, 지형 측량, 대기 관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레이저 빔을 발사하고 반사된 빛의 비행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원리를 사용한다.
  • 신기술 - 양자 컴퓨터
    양자 컴퓨터는 양자역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로, 큐비트를 통해 0과 1을 동시에 표현하여 특정 연산에서 기존 컴퓨터보다 빠른 속도를 보이며 암호 해독, 신약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탄소 나노튜브
탄소 나노튜브
탄소 나노튜브
탄소 나노튜브
일반 정보
종류단일벽 탄소 나노튜브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이중벽 탄소 나노튜브
구조 및 특성
구조나노 크기의 원통형 구조를 가진 탄소 동소체
특징높은 강도
높은 전기 전도성
높은 열 전도성
화학화학적 성질
생산
합성다양한 합성 방법
제조아크 방전법
레이저 증착법
화학 기상 증착법
응용
분야다양한 분야에 응용
잠재적 응용에너지 저장
전자 기기
복합 재료
바이오 센서
관련 정보
같이 보기풀러렌
탄소 양자점
탄소 동소체
타임라인탄소 나노튜브 연구 역사

2. 역사

1952년, 소련의 과학자 L. V. Radushkevich와 V. M. Lukyanovich는 ''러시아 물리화학 저널''에 지름 50나노미터의 탄소 튜브 이미지를 발표했다.[239] 그러나 이 발견은 러시아어로 발표되었고, 냉전으로 인해 서구 과학자들은 소련 언론에 접근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주목받지 못했다.[2]

1976년, CNRS의 엔도 모리노부(Morinobu Endo) 박사는 화학 기상 증착 기술로 합성된 롤업된 흑연 시트의 속이 빈 튜브를 관찰했다.[243] 이는 후에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SWNT)로 알려지게 되었다.[3] 엔도 박사는 대량 생산되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VPGCF 기술을 개발하여, "Endo 공정"이라고 불리기도 한다.[3][5]

1979년, John Abrahamson은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에서 열린 제14차 탄소 컨퍼런스에서 탄소 나노튜브의 증거를 제시했다. 그는 탄소 나노튜브를 아크 방전 중 탄소 양극에서 생성된 탄소 섬유로 설명하고, 그 특성과 저압 질소 환경에서의 성장 가설을 제시했다.[6]

1981년, 소련 과학자 그룹은 일산화탄소의 열촉매 불균등화로 생성된 탄소 나노입자의 화학적, 구조적 특성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TEM 이미지와 XRD 패턴을 통해 "탄소 다층 관상 결정"이 그래핀 층을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되었다고 제안하며, 원형 배열(암체어 나노튜브)과 나선형 배열(키랄 튜브) 두 가지 가능성을 제시했다.[7]

1987년, Hyperion Catalysis의 Howard G. Tennent는 "약 3.5~70나노미터 사이의 지름, 지름의 102배인 길이, 질서 정연한 탄소 원자의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외부 영역과 뚜렷한 내부 코어"를 가진 "원통형 불연속 탄소 섬유" 생산에 대한 미국 특허를 받았다.[8]

1991년, NEC의 이지마 스미오(Iijima Sumio) 박사가 아크 방전된 흑연 막대의 불용성 물질에서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를 발견하면서 탄소 나노튜브 연구에 큰 진전이 있었다.[240] 또한, Mintmire, Dunlap, White는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의 놀라운 전도 특성을 예측했다.[245] 이후, 이지마 박사와 이치하시(Ichihashi), IBM의 Bethune 등이 아크 방전에서 탄소에 전이 금속 촉매를 추가하여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를 생산하는 방법을 독립적으로 발견하면서 연구가 가속화되었다.[241][242] Thess 등[252]은 고온로에서 탄소/전이 금속 조합을 기화시키는 촉매 방법을 개선하여 SWNT의 수율과 순도를 크게 향상시켰다.

2020년, 인도 타밀나두주 키자디(Keezhadi)의 고고학 발굴 조사 중 발견된 약 2600년 된 토기 코팅에서 탄소 나노튜브가 발견되었다. 과학자들은 나노튜브의 강력한 기계적 특성 덕분에 코팅이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었다고 추정한다.[10]

3. 구조

탄소 나노튜브는 기본적으로 그래핀(흑연) 시트를 말아 올린 형태를 하고 있으며, 양 끝은 풀러렌의 반구와 같은 구조로 닫혀 있는 경우 5원환을 반드시 6개씩 갖는다. 5원환의 수가 적기 때문에 유기 용매 등에는 잘 녹지 않는다. 7원환이 포함되는 경우 내경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두께가 다른 탄소 나노튜브가 형성되고, 8원환에서는 가지 형태의 구조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된다. 튜브는 원통 모양의 구조이기 때문에 캡을 태우는 등의 방법으로 내부에 다양한 물질을 포함시킬 수 있다.[257] 탄소나노버드[258][259]라는 형태도 이론적으로 예측되고 있다.

지그재그 탄소나노튜브, (8, 0) 배열


암체어 탄소나노튜브, (4, 4) 배열


섬유상으로 잘라 펼친 탄소 나노튜브의 모식도


키랄 구조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정의하는 쌍(파란색 점)


탄소 나노튜브는 그래핀 격자 상에서 지그재그 경로와 암체어 경로 외에도, (n, m) 값에 따라 다양한 키랄성을 가질 수 있다.

3. 1.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SWCNT)

탄소나노튜브의 기하학적 구조도. 암체어 튜브, 지그재그 튜브, 카이랄 튜브의 세 종류로 나뉜다.


이상적인(무한히 긴)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SWCNT)는 무한한 원통형 표면에 그려진 규칙적인 육각형 격자로 표현될 수 있으며, 그 꼭짓점은 탄소 원자의 위치를 나타낸다.[11] 탄소-탄소 결합의 길이는 거의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원통의 지름과 그 위에 원자의 배열에는 제약이 따른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는 그래핀 시트를 어떻게 마느냐에 따라 구조가 달라지며, 이에 따라 특성도 달라진다. 그래핀 격자 상에서 지그재그 경로는 각 결합을 통과한 후 60도씩 좌우로 번갈아 회전하는 경로를 의미한다. 암체어 경로는 네 단계마다 60도 왼쪽으로 두 번 회전한 다음 오른쪽으로 두 번 회전하는 경로이다.

튜브를 따라 닫힌 지그재그 경로를 갖는 튜브를 '''지그재그형''' 또는 배열, 간단히 '''지그재그 나노튜브'''라고 한다. 튜브가 닫힌 암체어 경로로 둘러싸여 있다면 '''암체어형''' 또는 '''암체어 나노튜브'''라고 한다.

일반적인 나노튜브의 구조는, 어떤 원자 A를 통과하는 축에 평행한 절단으로 튜브를 열어 평면에 펼쳐서 설명할 수 있다. 이 띠는 그래핀 시트의 무한히 긴 띠와 일치하며, 원자 A의 두 반쪽은 띠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있는 그래핀의 두 원자 A1과 A2 위에 놓인다. A1에서 A2로 이어지는 선은 원자 A를 통과하는 원통의 둘레에 해당하며, 띠의 가장자리에 수직이다.

그래핀 격자에서 A1과 같은 종류의 다른 원자 A2에 대해, A1에서 A2까지의 벡터는 '''n''' '''u''' + '''m''' '''v'''로 쓸 수 있다. 여기서 n과 m은 정수이고, '''u'''와 '''v'''는 그래핀 원자 A1을 결합 방향이 같은 가장 가까운 원자 두 개에 연결하는 일차 독립 벡터이다.[11] 이 정수쌍 (n,m)은 A2의 가능한 위치를 정의하며, 튜브의 '''타입'''이라고 한다.

(n, m) 타입 대신 탄소 나노튜브의 구조는 벡터 '''w'''의 길이(나노튜브의 둘레)와 '''u'''와 '''w'''의 방향 사이의 각도 α로 지정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기본적으로 균일한 평면의 흑연(그래핀 시트)를 말아서 원통형으로 만든 듯한 구조를 하고 있다.[257]

가장 기본적인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의 표면은 그래핀 시트의 표면도와 같으며, 그래핀 시트의 기하학적 구조의 차이에 따라 세 종류의 탄소나노튜브가 존재한다. 그래핀 위의 어떤 6원환의 기준점으로부터의 2차원 격자 벡터를 '''카이랄 벡터'''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C_h=na_1+ma_2=(n,m)

이 벡터를 지수화한 (n,m)을 '''카이랄 지수'''라고 하며, 튜브의 지름과 나선각은 카이랄 지수에 의해 결정된다. 튜브의 지름 d는 다음과 같다.

: d=\frac{a}{\pi} \sqrt{(n^2 + nm + m^2)}

나노튜브의 축에 직각인 경우를 암체어 튜브 (n,n), 축에 평행한 경우를 지그재그 튜브 (n,0), 그 이외의 나노튜브를 카이랄 튜브라고 부른다.

SWNT는 카이랄 지수에 따라 금속형과 반도체형으로 나뉘며, n-m이 3의 배수인 경우 금속형이며, 3의 배수가 아닌 경우 반도체의 특성을 나타낸다.[260][261]

3. 2.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MWNT)

여러 겹의 그래핀 시트가 동심원 형태로 겹쳐진 탄소 나노튜브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금속성 특성을 나타낸다.

4. 종류

둘 이상의 나노튜브 접합은 이론적으로 널리 거론되고 있다.[322][323] 높은 전도성과 큰 표면적(폐쇄 상태에서 1000m2/g, 개방 상태에서 2000m2/g[269]) 때문에 연료전지로의 응용도 진행되고 있다. 탄소 나노튜브(CNT)는 내부에 원통형의 중공 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자를 내포시킬 수 있다. 또한, 얇은 두께로 인해 페이퍼 배터리 형태도 고려되고 있다.

단층 탄소나노튜브는 현저한 비표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표면에 극미량의 가스가 흡착하기만 해도 물성이 크게 변화한다. 이에 따라 고감도 가스 센서 등으로의 응용이 기대된다.[270]

5. 특성

탄소 나노튜브(CNT)는 인장 강도와 탄성률 면에서 현재까지 발견된 물질 중 가장 강하고 단단한 물질이며, 이는 탄소 원자들 사이에 형성된 sp2 공유결합 때문이다.

탄소 나노튜브 다발의 주사 전자 현미경 이미지


세 겹 팔걸이의자형 탄소 나노튜브


지름별로 분리된 CNT


탄소 나노튜브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 전기장을 걸면 5원환에서 전자가 방출되기 때문에 FED[271], 평면형광관, 냉음극관음극 소자로 응용될 수 있다. X선 발생원으로의 응용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 슈퍼그로스 CVD법을 이용하여 이중층 탄소나노튜브를 디스플레이용 전극 기판에 직접 성장시킴으로써 균일한 전자 방출 특성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탄소나노튜브 디스플레이(Carbon Nanotube Display)와 같은 FED의 응용이 기대된다.[272]
  • 나노튜브 섬유를 슈퍼그로스 CVD법을 이용하여 브러시 모양으로 구조화함으로써 반사율 0.045%라는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회색체(검은 물질)를 만들 수 있다. 이 물질은 탄소나노튜브 흑체(Carbon Nanotube Blackbody)라고 불린다.[273]
  • 나노미터 크기의 1차원 물질이기 때문에 원자간력현미경의 탐침이나 나노 핀셋 등에도 응용될 수 있다. CNT 탐침을 이용한 광디스크의 나노핏 형상 측정 등 미래의 100GB 이상의 나노 광디스크 응용도 고려되고 있다.[274]

5. 1. 기계적 특성

탄소 나노튜브는 인장 강도와 탄성률 면에서 현재까지 발견된 물질 중 가장 강하고 단단한 물질이다. 이는 탄소 원자들 사이에 형성된 sp2 공유결합 덕분이다. 2000년,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는 63기가파스칼의 인장 강도를 갖는 것으로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이후 2008년 실험에서는 각각의 탄소 나노튜브 껍질들이 100기가파스칼 이상의 강도를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탄소 나노튜브는 고체 상태에서 1.3~1.4g/cm3의 낮은 밀도를 가지기 때문에, 48,000 kN·m·kg-1의 비강도를 가진다. 이는 154 kN·m·kg-1의 비강도를 갖는 고탄소강보다 훨씬 높은 수치이다.

탄소 나노튜브의 구조는 (n, m) 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며, m > 0 이고 m ≠ n인 경우 키랄성을 가진다. 키랄성이 없는 나노튜브는 (k,0) "지그재그" 튜브와 (k,k) "암체어" 튜브 뿐이다.

가장 얇은 탄소 나노튜브는 직경이 0.3 nm인 (2,2)형 암체어 구조이다. 가장 얇은 ''독립형''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는 직경이 약 0.43 nm이다.[13]

다층 탄소 나노튜브는 영률은 0.9TPa, 비강도는 최대 150GPa이다. 단층 탄소 나노튜브는 반도체가 되며, 매우 고탄성으로 파괴되기 어렵고, 뛰어난 열전도성 등 다층 탄소 나노튜브와는 다른 특성을 지닌다. 영률은 1TPa 이상, 비강도는 구조에 따라 다르지만 13~126GPa이다.

5. 2. 전기적 특성

탄소 나노튜브(CNT)는 구조에 따라 금속 또는 반도체 특성을 나타낸다. 이는 튜브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의 배열 방식, 즉 (n, m) 값에 따라 달라진다.[11] 예를 들어, (k, 0) 형태의 지그재그 튜브는 2k개의 원자로 된 닫힌 지그재그 경로를 가지며, (k, k) 형태의 암체어 튜브는 4k개의 원자로 된 닫힌 암체어 경로를 가진다.[11]

CNT는 밴드갭과 전기전도율이 구조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실리콘을 대체할 차세대 반도체 재료로 주목받고 있다.[262] 특히, 구리보다 훨씬 높은 전류 밀도를 견딜 수 있어 집적회로 등에 응용될 가능성이 크다.[263]

CNT는 다음과 같은 전기적 특성을 가진다.

  • 구리의 1,000배 이상 높은 전류 밀도를 견딜 수 있다.[262]
  • 구리의 10배 높은 열전도 특성을 갖는다.[262]
  • 트랜지스터 채널에 사용함으로써 고속 스위칭 소자로 사용될 수 있다. (P형 반도체 특성)[263]


금속형 CNT와 반도체형 CNT를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과산화수소수,[264] 아가로스[265], 칼럼 크로마토그래피[266][267] 등이 사용된다. IBM에서는 도전성 CNT를 태워 없애는 방식으로 반도체 CNT를 분리하여 프로세서에 응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기도 했다.[268]

CNT는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271] 형광표시관, 냉음극관의 음극 소자, X선 발생원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슈퍼그로스 화학 기상 증착법(CVD)을 이용해 만든 탄소나노튜브 디스플레이(Carbon Nanotube Display)[272]와 탄소나노튜브 흑체(Carbon Nanotube Blackbody)[273]도 개발되었다.

5. 3. 열적 특성

탄소 나노튜브는 열전도율이 매우 뛰어나며, 열 안정성(Thermal stability영어)이 높아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5. 4. 광학적 특성

탄소 나노튜브(CNT)는 빛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독특한 광학적 특성을 가져 여러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특히 형광 특성을 이용해 바이오센서 등에 활용할 수 있다.[271][272]

  • 전기장 방출: 전기장을 걸면 탄소 나노튜브의 5원환에서 전자가 방출되는 특성을 이용, FED, 평면형광관, 냉음극관의 음극 소자로 응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X선 발생원으로의 응용 연구도 진행 중이다.[271]
  • 디스플레이 전극: 슈퍼그로스 CVD법으로 이중층 탄소 나노튜브를 디스플레이용 전극 기판에 직접 성장시키면 균일한 전자 방출 특성을 보인다. 이는 탄소나노튜브 디스플레이와 같은 FED 응용에 활용 가능하다.[272]
  • 탄소 나노튜브 흑체: 나노튜브 섬유를 슈퍼그로스 CVD법으로 브러시 모양으로 구조화하면 반사율이 0.045%인 세계 최고 수준의 흑체(검은 물질)를 만들 수 있다. 이를 탄소나노튜브 흑체라 부른다.[273]
  • 탐침 및 나노 핀셋: 탄소 나노튜브는 나노미터 크기의 1차원 물질이므로 원자간력현미경의 탐침이나 나노 핀셋 등으로 응용될 수 있다. CNT 탐침을 이용한 광디스크의 나노핏 형상 측정은 미래 100GB 이상 나노 광디스크 응용에 활용될 수 있다.[274]

6. 합성 방법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NT)는 여러 겹의 그래핀 층으로 구성되며, 러시아 인형 모델이나 양피지 모델로 설명할 수 있다. 러시아 인형 구조가 더 일반적이며, 각 껍질은 금속성 또는 반도체성일 수 있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로 설명될 수 있다.[251][246] 껍질 중 하나는 제로 갭 금속이 될 확률이 높다.[21]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WNT)는 SWNT와 유사하지만 화학적 저항성이 더 크다.[22] DWNT는 표면 기능화를 통해 특성을 추가할 때 유리하며, 외부 벽만 변형된다. DWNT 합성은 메탄과 수소에서 산화물 용액의 선택적 환원을 통해 CCVD 기법으로 가능하다.[23]

내부 껍질의 망원경 운동 능력은 나노 베어링과 나노 스프링 역할을 가능하게 하여 나노전기기계 시스템(NEMS)에 유용하다.[24] 후퇴력은 껍질 사이의 렌나드-존스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며, 약 1.5nN이다.[25]

6. 1. 아크 방전법

아크 방전법은 흑연 전극에 높은 전압을 가하여 아크 방전을 일으켜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는 방법이다. 비교적 간단한 방법이지만, 대량 생산에는 어려움이 있다.[240]

  • 흑연 전극을 아크 방전으로 증발시키면, 음극 침착물에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NT)가 포함된다. 이때의 분위기 기체는 He, Ar, CH₄, H₂ 등이다.
  • 금속 촉매를 포함하는 탄소 전극을 아크 방전으로 증발시키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를 얻을 수 있다. 금속으로는 Ni, Co, Y, Fe 등이 있다.[241][242]
  • 이 방법에서, 양극과 음극에 미세 진동을 연속적으로 가하는 물리적 진동법이 있다. 이를 통해 나노튜브의 순도와 단위 시간당 생성량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293]


아크 방전과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제조된 샘플에서 탄소 나노튜브 접합부가 매우 자주 관찰된다.[26][27]

6. 2. 레이저 증착법

레이저 증착법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흑연을 증발시켜 탄소 나노튜브를 합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고순도의 탄소나노튜브를 얻을 수 있지만, 생산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252]

6. 3. 화학 기상 증착법 (CVD)

화학 기상 증착법(CVD)은 탄소 함유 가스를 고온에서 분해하여 촉매 금속 표면에 탄소 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방법이다. 1976년 CNRS의 엔도 모리노부(Morinobu Endo)는 화학 기상 증착 기술로 합성된 롤업된 흑연 시트의 속이 빈 튜브를 관찰했는데,[243] 이는 나중에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SWNT)로 알려지게 되었다.[3] 오늘날 대량 생산되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는 Endo가 개발한 VPGCF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의 초기 연구와 특허에 대한 존경심으로 "Endo 공정"이라고 불린다.[3][5]

CVD 방법은 대량 생산에 유리하며, 다양한 형태의 탄소 나노튜브를 합성할 수 있다. CVD법의 종류에는 DIPS 법, CoMoCAT 법, HiPCO 법, 슈퍼그로스 CVD 법 등이 있다.

이 중 DIPS법은 촉매 및 반응 촉진제를 포함하는 탄소 함유 원료를 스프레이 등으로 분무하여 고온의 가열로에 도입함으로써 단층 탄소나노튜브를 유동하는 기상 중에서 합성하는 방법으로, 스케일업과 연속 운전이 가능하다. 산업기술종합연구소(AIST)와 니키소(日機装)[295]가 새롭게 개량한 DIPS법은 SWNT의 직경을 0.1nm 단위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촉매 이용 효율 3,900%, 생산성 100배 향상, 방사 및 제막화를 가능하게 한다. SWNT의 순도는 약 97.5%이다.[296]
한국에서는 CVD 방법을 개량하여 고품질의 탄소나노튜브를 대량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6. 3. 1. CoMoCAT 법

CoMoCAT 법은 CVD법의 일종으로 유동층 반응로를 이용한 일산화탄소(CO) 불균일 반응을 통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를 제작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직경 1nm 이하를 중심으로 매우 좁은 직경 분포를 가진 단층 탄소나노튜브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촉매로는 코발트(Co)와 몰리브데넘(Mo)을 사용하며, 그 비율에 따라 카이랄성을 제어하여 합성할 수 있다. 또한, 규모 확대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297]

사우스웨스트 나노 테크놀로지스사에서 제조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시험 연구용 크기를 알드리치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

HiPCO법과 함께 표준 시료 중 하나로 사용된다.

6. 3. 2. HiPCO 법

HiPCO 법은 고압 일산화탄소를 사용하는 방법[299]이다. CVD법의 일종으로, 펜타카보닐철(Fe(CO)5)을 촉매로 사용하여 일산화탄소를 고압에서 열분해하여 고순도의 비교적 작은 직경(1nm 전후)의 SWNT를 얻는다.

  • [http://www.unidym.com/index.html Unidym]에서 시판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스미토모상사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
  • 나노튜브 물성 연구에 있어 표준 시료이다. 순도는 95~70%[300]이다.

6. 3. 3. 슈퍼그로스 CVD 법

산업기술종합연구소 나노카본 연구센터의 하타 켄지(畠賢治), 이이지마 스미오(飯島澄男) 등이 슈퍼그로스 CVD법[301]을 발표하였다.[302] 이 방법은 CVD법의 일종으로, 일반적인 기상 합성 분위기에 극미량의 수분을 첨가하여 촉매의 활성과 수명을 크게 개선함으로써 고효율, 고순도의 단층 탄소나노튜브를 얻을 수 있다. 이 합성법에 의한 성장 속도는 다음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H(t) = \beta\tau_o (1 - e^{-t / \tau_o})

여기서 β는 성장 상수로 207 μm/분, \tau_o는 촉매 특성 시간[303]이다.

슈퍼그로스 CVD법은 촉매 효율 면에서 레이저 어블레이션법에 비해 100배, 시간 효율 면에서는 2004년 발표 당시 실험에서 두께 2.5mm의 SWNT 박막을 형성하는 데 불과 10분밖에 걸리지 않았다. 순도는 99.98% 이상[304]이며, 표면적은 폐쇄 상태 1000m2/g, 개방 상태 2000m2/g, 무게 밀도는 박막에서 0.037g/cm3[269], 고체에서 0.55g/cm3으로 매우 높다.[275][305] 기존에는 HiPco법에서 5~30%, 일반적인 CVD법에서 3~15%의 촉매 금속이나 비정질 탄소와 같은 고밀도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었지만, 이 제조 방법에서는 고밀도 고체 형태에서도 매우 가볍다. 또한 촉매 조작으로 SWNT 박막뿐 아니라 DWNT 박막 및 MWNT 박막의 형성도 가능하다. 나노튜브의 직경에 따라 함량 비율이 달라지며, SWNT와 거의 동등한 순도의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272]

이 기술은 순도 등의 문제와 함께 양산이 어려웠던 탄소나노튜브의 대량 생산을 실현하는 기술로 평가받는다. 또한, 배향성이 높아 꽃잎과 같은 구조체를 성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방법으로 합성된 탄소나노튜브는 기판 위에 싹튼 무순처럼 위쪽으로 빽빽하게 성장한다. 이러한 배향성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 흑체 등이 AIST에 의해 제작되고 있으며, 샘플은 AIST[306]에서 제공하고 있다.

6. 4. 정제

탄소 나노튜브는 합성 과정에서 다양한 불순물이 섞일 수 있다. 이러한 불순물은 탄소 나노튜브의 특성을 저하시키므로, 정제 과정을 통해 제거해야 한다. 정제 과정에서는 다른 형태의 탄소나 비탄소 불순물(금속 촉매 등)을 제거한다. 과산화수소수나 아가로스겔을 이용하여 금속형/반도체형 탄소 나노튜브를 분리할 수 있다.

7. 응용 분야

모든 탄소 나노튜브는 튜브 축을 따라서는 탄도전도 특성을 보이며 매우 우수한 열전도체로 작용하지만, 튜브 축에 수직 방향으로는 좋은 절연체이다.[248][249]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SWNT)는 상온에서 축 방향으로 구리보다 높은 열전도율(약 3500 W·m−1·K−1)을 가지지만,[73] 축에 수직 방향으로는 열전도율(약 1.52 W·m−1·K−1)이 토양과 비슷하다.[74] 탄소 나노튜브 집합체는 최대 1500 W·m−1·K−1의 열전도율을 보였으며, 불순물, 정렬 불량 등에 따라 열전도율이 달라진다.[76] 탄소 나노튜브는 진공에서 최대 2800 °C, 공기 중에서 약 750 °C까지 안정적이다.[77] 결정학적 결함은 포논 산란을 유발하여 열전도율을 감소시킨다.[78]

나노 테이프


탄소 나노튜브는 현재 배터리 부품, 폴리머 복합재, 고흡수성 검정 페인트(예: 서레이 나노시스템즈의 밴타블랙) 등에 사용되고 있다.[194] 또한, 원자간력 현미경 탐침용 팁으로도 사용된다.[196] "게코 테이프"(나노 테이프)는 탄소 나노튜브 어레이를 이용하여 가벼운 물건을 벽에 붙이는 데 사용된다.[195]

학계와 산업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응용 분야가 연구 개발 중이다.

  • 아스팔트 및 역청: 도로 포장 시험 구간에서 균열 및 요철 저항성을 높여 재료 수명을 연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00]
  • 나노 복합재료: 수지의 전기 전도도를 높이고, 굽힘 특성 향상 및 열 분해를 지연시킨다.[201]
  • 적층 제조: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복잡한 구조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202]
  • 자기 조직화 나노 구조에서 에너지 소산.[205]
  • 잭 안드라카췌장암 검사에 탄소 나노튜브를 사용했다.[207]


탄소 나노튜브의 강도와 유연성은 다른 나노 구조물을 제어하는 데 유용하여 나노기술 공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225] 단일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의 최고 인장 강도는 63 기가파스칼(GPa)로 측정되었다.[45] 17세기 다마스커스 강에서 탄소 나노튜브가 발견되기도 했다.[226][227]

순수 탄소 나노튜브는 대량으로 자립형 시트 또는 필름으로 만들 수 있으며,[232][233] 습식 방사를 통해 탄소 나노튜브 섬유(필라멘트)를 만들 수도 있다.[234] 이 섬유는 로 만들어 전기 전도성 실을 제작할 수 있다. 개별 탄소 나노튜브 섬유의 전기적 특성은 2차원 구조에 의해 결정되며, 금속 도체보다 약간 높은 저항률을 갖는다.[229][235] 탄소 나노튜브 기반 실은 권선 재료로 구리를 대체할 수 있다.[237][238]

7. 1. 전자 소자

탄소 나노튜브는 뛰어난 전자적 특성 덕분에 다양한 전자 소자 분야에서 활용될 잠재력이 크다. 특히 전극 재료, 리튬 이온 배터리 음극재,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등에 적용되어 성능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다.

  • 배터리: 탄소 나노튜브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음극재로 사용되어 배터리 수명과 용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반복되는 충전과 방전에도 전극의 열화를 줄여주고, 전자 수송 능력이 높은 금속성 탄소 나노튜브를 사용하면 성능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215]
  • 트랜지스터: 탄소 나노튜브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의 채널 재료로 활용되어 전자 소자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203] 2001년에는 탄소 나노튜브 FET를 사용한 최초의 분자간 논리 게이트가 개발되기도 했다.[231] IBM은 2020년까지 집적 회로에 탄소 나노튜브 트랜지스터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했다.[214]
  • 기타 응용: 탄소 나노튜브는 반도체 리소그래피에서 펠리클로 사용되기도 한다.[210]


이 외에도 탄소 나노튜브는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 웨어러블 전자 기기 및 5G/6G 통신: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SWCNT) 전극은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과 유연성을 나타낸다.[198][199]

7. 2. 복합 재료

탄소 나노튜브는 고강도 경량 소재, 방열 소재, 전자파 차폐 소재 등 다양한 복합 재료로 활용될 수 있다.[212][213] 특히, 탄소 나노튜브는 강철의 20배에 달하는 강도와 알루미늄의 절반에 해당하는 가벼움을 지녀, 궤도 엘리베이터의 로프 재료로 사용될 가능성이 기대된다.[269]
탄소 나노튜브 복합재료의 활용 예시

분야활용 예시
스포츠 용품이스턴-벨 스포츠는 자이벡스 퍼포먼스 머티리얼스와 협력하여 자전거 부품(핸들바, 크랭크, 포크 등)에 탄소 나노튜브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194] 암로이 유럽은 탄소 나노튜브를 에폭시 수지에 결합한 하이브토나이트를 제조하여 풍력 터빈, 선박 페인트, 스키, 아이스하키 스틱 등 다양한 스포츠 용품에 활용하고 있다.[194]
자동차 및 항공 우주 산업탄소 나노튜브는 자동차 부품, 항공기, 우주선 등 기존 물질로는 불가능한 구조물에 응용될 수 있다.[212][213] 보잉은 항공기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탄소 나노튜브 사용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208] 지벡스 테크놀로지스는 탄소 나노튜브 기술을 활용하여 54피트 길이의 해양 선박인 피라냐 무인 수상함을 건조했다.[209]
건축하이퍼 빌딩이나 대형 교량용 케이블 등에 활용될 수 있다.[212][213]
기타나노 테이프(게코 테이프)는 합성 센털로 구성된 탄소 나노튜브 어레이를 이용하여 벽에 가벼운 물건을 걸 수 있게 해준다.[195]


한국의 연구 개발 동향한국에서는 탄소 나노튜브 복합재료를 이용하여 자동차, 항공기, 건축물 등의 경량화 및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7. 3. 바이오/의료

탄소나노튜브(CNT)는 넓은 표면적 덕분에 약물, 유전자, 백신, 항체,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치료 및 진단 물질과 결합할 수 있다.[138] 이러한 특징은 세포에 직접 약물을 전달하는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탄성 계수가 높고 하중 전달 능력이 뛰어나 임플란트 및 스캐폴드의 보강재로 사용되기도 한다.[139][140]

생체의학에서 탄소나노튜브의 응용 개략도


탄소나노튜브는 골아세포 부착, 증식, 분화를 촉진하는 생체 활성 코팅 효과를 높여 뼈 대체 물질로도 사용된다.[141] 또한, 임플란트 및 의료용 스캐폴드에 사용되는 키토산 함유 코팅의 보강재로 활용될 수 있다.[142]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는 생체 분자와 비슷한 크기이며, 표면적 대 부피 비율이 커 화학적 환경 변화에 민감하다.[143][144] 공유 결합 및 비공유 결합 표면 기능화를 통해 SWCNT는 특정 분석 물질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만들 수 있다.[145] SWCNT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광학적 또는 전기적 신호 변화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SWCNT를 이용한 광학 바이오센서. (생체)폴리머로 SWCNT를 기능화하면 다양한 분자를 위한 나노센서가 된다.


SWCNT를 이용한 바이오센서는 활성 산소 및 질소 종[149][150][151][152], 신경 전달 물질[148][153][154][155][156], 기타 작은 분자[157][158][159], 지질[160][161], 단백질[162][163], 당[164][165], DNA/RNA[166][167], 효소[168][169], 박테리아[170] 검출 등에 활용된다. 신호 변화는 전류의 증가/감소(전기적)[144] 또는 형광 방출 강도/파장 변화(광학적)[145]로 나타난다. SWCNT 내 전하 흐름을 측정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는 민감한 측정을 위해 사용되며, 칩 상 통합 및 병렬화가 가능하여 여러 물질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159]

반도체 SWCNT를 이용한 광학 검출은 근적외선(NIR)에서 엑시톤의 복사 재결합을 기반으로 하며, 생물학적 투명 창에서 검출하여 산란 및 자가 형광을 줄이고 신호 대 잡음비를 높인다.[175] SWCNT는 광 안정성[176]이 우수하여 장기간 센서로 사용 가능하며, 고밀도 코팅으로 화학적 이미징도 가능하다.[148][156]

미래 응용 분야로는 농업에서 식물 건강 모니터링[149][150][185], 바이오리액터 원격 제어, 신경 통신[186], 응고 장애[187], 당뇨병[165][188], 암[189], 미생물/바이러스 감염[170][190] 연구/진단, 의약품 효능 테스트[191], 스마트 임플란트를 이용한 감염 모니터링 등이 있다. 산업에서는 SWCNT가 이미 전자 코[192] 형태로 가스/냄새 검출 센서, 효소 스크리닝[193]에 사용되고 있다.

7. 4. 환경/에너지

탄소 나노튜브는 고효율 태양 전지, 수처리 필터, 대기 오염 물질 제거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활성 표면적과 가스 흡수 능력이 뛰어나 환경 모니터링에 사용될 수 있다.[206]

CNT 강화의 항균 메커니즘 개략도


3차원 전탄소 스캐폴드/구조는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 슈퍼커패시터, 고성능 촉매,[228] 태양 전지 제작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CNT 기반 실은 이온 교환 막으로 코팅될 때 에너지 및 전기화학적 수처리 응용 분야에 적합하다.[236]

8. 안전성 및 윤리적 문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다발이 폐포 상피세포를 관통하는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


탄소 나노 튜브의 독성은 나노테크놀로지에서 중요한 문제로 2007년부터 연구가 시작되었지만, 아직 초기 단계이며 데이터는 단편적이고 주관적이다.[129][130] 샘플의 순도, 구조, 입도 분포, 표면, 표면화학, 표면 전류, 집합체 상태 등이 탄소 나노 튜브의 반응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독성 평가가 어렵다. 그러나 특정 상황에서 탄소 나노 튜브는 염증이나 섬유증과 같은 해로운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31]

초기 과학 연구에 따르면 나노 입자는 단위 질량당 상대적인 표면적 증가로 인해 벌크 재료보다 더 큰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CNT)의 길이와 직경의 증가는 독성 및 폐의 병리학적 변화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32][133]

미국 국립 직업 안전 보건 연구소(NIOSH)는 탄소 나노튜브와 탄소 나노섬유에 대해 8시간 가중 평균(TWA) 호흡 가능 질량 농도로 배경 보정된 원소 탄소 기준으로 1 μg/m3의 비규제 권장 노출 한계 (REL)를 설정했다.[134]

2016년 10월,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SWCNT)는 잠재적 위험 특성 평가를 기반으로 유럽 연합의 화학물질 등록, 평가, 승인 및 제한(REACH) 규정을 통해 등록되었으며, 최대 100톤까지 상용화가 허용된다.[136][137]

일본에서는 탄소 나노튜브의 발암성 가능성이 보고되면서, 후생노동성은 2015년까지 동물 실험을 통해 발암성이 인정된 탄소 나노튜브를 "노동자에게 암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위험 물질"에 추가할 방침을 정했다.[310] 또한, 특정 다층 탄소나노튜브는 "근로기준법 제28조 제3항의 규정에 근거하여 후생노동대신이 정하는 화학물질에 의한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지침" 대상 물질에 추가되었다.

에든버러 대학교의 케네스 노널드슨[308] 교수를 중심으로 한 연구 그룹은 2008년 5월 21일, 영국 과학 전문지 ""에 탄소 나노튜브, 특히 탄소 나노튜브 기술을 이용한 소재가 석면과 유사한 건강 피해를 초래하고, 폐암 등을 유발할 위험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309]

탄소 나노튜브를 분말 형태로 수지 등에 혼합하여 사용한 제품이 폐기될 때, 수지는 타지만 탄소 나노튜브 분말은 타기 어려워 발암 물질로서 대기 중에 퍼져 건강 피해를 미칠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2013년 기준, 일본에는 탄소나노튜브 취급에 관한 법 규제는 없지만, 취급자의 건강을 위해 NEDO(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 기술연구조합 단층 CNT 융합 신소재 연구개발기구, 산업기술종합연구소 등에서 "안전성 시험 절차서"와 "작업 환경 측정 지침"을 작성했다.[311]

9. 기타 나노튜브

탄소 나노튜브 외에도 다른 물질로 만들어진 나노튜브가 다수 발견되었다. 대표적인 물질로는 탄소와 성질이 비슷한 원소인 규소나, 흑연과 같은 층상 구조를 갖는 BN, BC₂N, MS₂(M은 Mo, W, Nb 등의 금속)이 있다.[314] 또한, 합성화학적으로 탄소 나노튜브와 유사한 분자성 나노튜브를 합성한 사례도 있다.[315]

참조

[1] 논문 Carbon Nanotubes as Platforms for Biosensors with Electrochemical and Electronic Transduction http://ddd.uab.cat/r[...] Springer Heidelberg
[2] 학술지 Who should be given the credit for the discovery of carbon nanotubes? https://nanotube.msu[...] 2006-08-00
[3] 보고서 WTEC Panel Report on 'International Assessmen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arbon Nanotube Manufacturing and Applications' Final Report http://www.wtec.org/[...] World Technology Evaluation Center (WTEC) 2015-08-05
[4] 학술지 Filamentous growth of carbon through benzene decomposition http://www.kroto.inf[...] 1976-03-00
[5] 특허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on Fibers by a Vapor Phase Process
[6] 학술지 Structure of carbon fibres found on carbon arc anodes 1999-01-00
[7] 학술지 Missing 1982
[8] 특허 Carbon fibrils,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9] 학술지 Solid C60: a new form of carbon
[10] 학술지 Discovery of carbon nanotubes in sixth century BC potteries from Keeladi, India 2020-11-00
[11] 논문 Carbon Nanotubes: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2001-07-01
[12] 논문 Smallest carbon nanotube is 3 a in diameter http://juser.fz-juel[...] 2004-03-01
[13] 논문 From mesoscale to nanoscale mechanics in single-wall carbon nanotubes http://qmro.qmul.ac.[...] 2017-01-01
[14] 논문 Smallest Freestanding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15] 논문 Smallest carbon nanotube assigned with atomic resolution accuracy 2008-02-01
[16] 논문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theory of [9]-, [12]-, and [18]cycloparaphenylene: carbon nanohoop structures 2008-12-01
[17] 논문 Synthetic Strategies of Carbon Nanobelts and Related Belt-Shape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2020-11-01
[18] 웹사이트 Densest array of carbon nanotubes grown to date http://www.kurzweila[...] KurzweilAI 2013-09-27
[19] 논문 Low temperature growth of ultra-high mass density carbon nanotube forests on conductive supports 2013-08-12
[20] 웹사이트 Nanotechnologies — Vocabulary — Part 3: Carbon nano-objects https://www.iso.org/[...] 2024-10-22
[21] 논문 A review on Carbon nano-tubes – A new era of nanotechnology https://ijetae.com/f[...] 2013-03-01
[22] 논문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Inner Tubes in Outer Wall-Selectively Functionalized Double-Wall Carbon Nanotubes 2011-07-07
[23] 논문 Gram-scale CCVD synthesis of double-walled carbon nanotubes https://hal.archives[...] 2003-06-01
[24] 논문 Low-friction nanoscale linear bearing realized from multiwall carbon nanotubes 2000-07-01
[25] 논문 Theoretical analysis of telescopic oscillations in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http://dspace.nbuv.g[...]
[26] 논문 Carbon nanotube connectors and planar jungle gyms
[27] 논문 Carbon Nanotube 'T Junctions': Nanoscale Metal-Semiconductor-Metal Contact Devices 1997-12-01
[28] 논문 Atomic structure and electronic properties of bent carbon nanotubes
[29] 논문 Electronic transport properties of junctions between carbon nanotubes and graphene nanoribbons
[30] 논문 The structure of junctions between carbon nanotubes and graphene shells http://centaur.readi[...] 2016-12-01
[31] 논문 Pillared graphene: a new 3-D network nanostructure for enhanced hydrogen storage 2008-10-01
[32] 논문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ree-Dimensional Macroscopic All-Carbon Scaffolds 2013-03-01
[33] 논문 Porous three-dimensional carbon nanotube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2015-10-01
[34] 논문 High surface-area carbon microcantilevers 2019-03-01
[35] 논문 A novel hybrid carbon material 2007-03-01
[36] 논문 Encapsulated C-60 in carbon nanotubes
[37] 논문 Formation mechanism of fullerene peapods and coaxial tubes: a path to large scale synthesis
[38] 논문 Dynamic friction force in a carbon peapod oscillator https://authors.libr[...]
[39] 논문 An oscillator in a carbon peapod controllable by an external electric field: a molecular dynamics study 2010-01-01
[40] 논문 Colossal paramagnetic moments in metallic carbon nanotori http://ntur.lib.ntu.[...] 2002-05-01
[41] 논문 Carbon nanotube structures: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at realistic limit http://www.princeton[...]
[42] 논문 Three-dimensional arrays of graphenated carbon nanotubes
[43] 논문 Carbon nanostructures: a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for charge density optimization
[44] 논문 Semiconducting properties of cup-stacked carbon nanotubes http://carbon.imr.ac[...]
[45] 논문 Strength and breaking mechanism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under tensile load 2000-01-00
[46] 논문 Measurements of near-ultimate strength for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and irradiation-induced crosslinking improvements 2008-10-00
[47] 논문 Nanotubes for electronics 2000-12-00
[48] 논문 Ultrahigh strength and stiffness in cross-linked hierarchical carbon nanotube bundles 2011-07-00
[49] 논문 Buckling and kinking force measurements on individual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2007-11-26
[50] 논문 Exceptionally high Young's modulus observed for individual carbon nanotubes 1996-06-00
[51] 논문 Quantum Transport in Carbon Nanotubes https://repository.t[...]
[52] 논문 Curved pi-conjugation, aromaticity, and the related chemistry of small fullerenes (< C60) an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2005-10-00
[53] 논문 Nanotube electronics: a flexible approach to mobility 2007-04-00
[54] 논문 Encapsulated nanowires: Boosting electronic transport in carbon nanotubes
[55] 논문 Electronic and transport properties of nanotubes https://hal.archives[...]
[56] 논문 Superconductivity in 4 angstrom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2001-06-00
[57] 논문 Superconductivity in entirely end-bond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2006-02-00
[58] 논문 Superconducting characteristics of 4-A carbon nanotube-zeolite composite 2009-05-00
[59] 논문 The weakest link 2006-03-01
[60] 논문 Solvent-induced electrochemistry at an electrically asymmetric carbon Janus particle 2021-06-00
[61] 웹사이트 MIT Engineers Have Discovered a Completely New Way of Generating Electricity https://scitechdaily[...] 2021-06-07
[62] 서적 Carbon-Based Magnetism: An Overview of the Magnetism of Metal Free Carbon-based Compounds and Materials Elsevier 2006
[63] 논문 Band-gap change of carbon nanotubes: Effect of small uniaxial and torsional strain https://link.aps.org[...] 1999-11-15
[64] 논문 A Review: Carbon Nanotube-Based Piezoresistive Strain Sensors 2012
[65] 논문 Electrically induced optical emission from a carbon nanotube FET 2003-05-00
[66] 논문 Bright infrared emission from electrically induced excitons in carbon nanotubes 2005-11-00
[67] 논문 Photoconductivity of Single Carbon Nanotubes 2003-00-00
[68] 논문 Bolometric infrared photoresponse of suspend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films 2006-04-00
[69] 논문 Nanotube Optoelectronic Memory Devices https://figshare.com[...] 2004-00-00
[70] 논문 Near-Infrared Fluorescence Microscopy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in Phagocytic Cells 2004-00-00
[71] 논문 Deep-tissue anatomical imaging of mice using carbon nanotube fluorophores in the second near-infrared window
[72] 논문 Near-infrared optical sensors based on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73] 논문 Thermal conductance of an individual single-wall carbon nanotube above room temperature 2006-01-01
[74] 논문 Off-axis thermal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 films 2005-06-05
[75] 논문 Thermal properties of continuously spun carbon nanotube fibres 2017-04-01
[76] 논문 Thermal conductivity of carbon nanotube networks: a review 2019-05-01
[77] 논문 Nanocomposites in context
[78] 논문 Phonon transmission through defects in carbon nanotubes from first principles
[79] 논문 The Effectiveness Mechanisms of Carbon Nanotubes (CNTs) as Reinforcements for Magnesium-Based Composit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A Review
[80] 논문 Applications of carbon nanotub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2004-10-01
[81] 논문 Producing cleaner double-walled carbon nanotubes in a floating catalyst system 2003-01-01
[82] 논문 Gas-phase production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from carbon monoxide: a review of the hipco process 2004-04-01
[83] 서적 Nanomedicine Design of Particles, Sensors, Motors, Implants, Robots, and Devices https://books.google[...] Artech House 2009-01-01
[84] 논문 The state-of-the-art science and applications of carbon nanotubes. http://nanojournal.i[...] 2014-02-01
[85] 논문 Gas-phase production of carbon single-walled nanotubes from carbon monoxide via the HiPco process: A parametric study 2001-07-01
[86] 논문 Purity Evaluation of As-Prepar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oot by Use of Solution-Phase Near-IR Spectroscopy 2003-03-01
[87] 논문 Residual metallic impurities within carbon nanotubes play a dominant role in supposedly "metal-free" oxygen reduction reactions 2014-10-01
[88] 논문 Carbon nanotubes: properties, synthesis, purification, and medical applications 2014-08-13
[89] 논문 Toward the Extraction of Single Species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Using Fluorene-Based Polymers https://pubs.acs.org[...] 2007-10-01
[90] 논문 Highly selective dispersion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using aromatic polymers https://www.nature.c[...] 2007-10-01
[91] 논문 Selective Dispersion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with Specific Chiral Indices by Poly( N -decyl-2,7-carbazole) https://pubs.acs.org[...] 2011-02-02
[92] 논문 Enrichment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by Diameter in Density Gradients https://pubs.acs.org[...] 2005-04-01
[93] 논문 Nearly Single-Chirality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Produced via Orthogonal Iterative Density Gradient Ultracentrifugation https://onlinelibrar[...] 2011-05-17
[94] 논문 Separation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by 1-Dodecanol-Mediated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https://pubs.acs.org[...] 2013-04-23
[95] 논문 High-Resolution Length Sorting and Purification of DNA-Wrapped Carbon Nanotubes by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https://pubs.acs.org[...] 2005-10-01
[96] 논문 Separation of Double-Walled Carbon Nanotubes by Size Exclusion Column Chromatography https://pubs.acs.org[...] 2014-07-22
[97] 논문 DNA-Controlled Partition of Carbon Nanotubes in Polymer Aqueous Two-Phase Systems https://pubs.acs.org[...] 2014-07-23
[98] 논문 Isolation of Specific Small-Diameter Single-Wall Carbon Nanotube Species via Aqueous Two-Phase Extraction https://onlinelibrar[...] 2014-05-01
[99] 논문 Toward Complete Resolution of DNA/Carbon Nanotube Hybrids by Aqueous Two-Phase Systems https://pubs.acs.org[...] 2019-12-26
[100] 논문 Separation of Small-Diameter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in One to Three Steps with Aqueous Two-Phase Extraction https://pubs.acs.org[...] 2019-01-28
[101] 논문 Chirality Pure Carbon Nanotubes: Growth, Sorting, and Characterization https://pubs.acs.org[...] 2020-03-11
[102] 논문 Towards monochiral carbon nanotubes: a review of progress in the sorting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https://pubs.rsc.org[...] 2017-12-21
[103] 논문 Recent Advances in Structure Separ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and Their Application in Optics, Electronics, and Optoelectronics 2022-05-01
[104] 논문 Enrichment of Single Chirality Carbon Nanotubes https://pubs.acs.org[...] 2007-05-01
[105] 논문 Large-scale single-chirality separ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by simple gel chromatography 2011-05-10
[106] 논문 Simple and Scalable Gel-Based Separation of Metallic and Semiconducting Carbon Nanotubes https://pubs.acs.org[...] 2009-04-08
[107] 논문 Sensing with Chirality-Pure Near-Infrared Fluorescent Carbon Nanotubes https://pubs.acs.org[...] 2021-04-27
[108] 논문 Prospects of Fluorescent Single-Chirality Carbon Nanotube-Based Biosensors https://pubs.acs.org[...] 2022-07-19
[109] 논문 Enhancing Intracellular Optical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Engineered Nanomaterials via Aqueous Two-Phase Purification 2023-07-26
[110] 논문 Chemically Functionaliz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as Ammonia Sensors https://www.sensigen[...] ACS Publications 2004-10-09
[111] 논문 Intrinsic hydrophilic character of carbon nanotube networks https://depot.ceon.p[...] 2019-01-01
[112] 논문 Current progress on the chemical modification of carbon nanotubes 2010-09-01
[113] 논문 A bio-based, facile approach for the preparation of covalently 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s aqueous suspensions and their potential as heat transfer fluids 2017-10-01
[114] 논문 Surface Oxidized Carbon Nanotubes Uniformly Coated with Nickel Ferrite Nanoparticles 2016-11-01
[115] 논문 Engineering the Surface Structure of Binary/Ternary Ferrite Nanoparticles as High-Performance Electrocatalysts for the Oxygen Evolution Reaction 2018-03-07
[116] 특허 Method for carbon materials surface modification by the fluorocarbons and derivatives http://patft.uspto.g[...] 2018-06-19
[117] 웹사이트 WO16072959 Method for Carbon Materials Surface Modification by the Fluorocarbons and Derivatives https://patentscope.[...] 2018-09-17
[118] 논문 Effect of Nanocomposite Microstructure on Stochastic Elastic Properties: An Finite Element Analysis Study
[119] 서적 Metrology and Standardization of Nanotechnology Wiley-VCH Verlag 2017-01-01
[120] 웹사이트 ISO/TS 10868:2017 –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using ultraviolet-visible-near infrared (UV-Vis-NIR) absorption spectroscopy https://www.iso.org/[...] 2017-09-06
[121] 웹사이트 ISO/TS 10797:2012 –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ttps://www.iso.org/[...] 2017-09-06
[122] 웹사이트 ISO/TS 10798:2011 –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ry analysis https://www.iso.org/[...] 2017-09-06
[123] 뉴스 Carbon Nanotube Reference Materials https://www.nist.gov[...] 2017-09-06
[124] 웹사이트 SRM 2483 – Single-Wall Carbon Nanotubes (Raw Soot) https://www-s.nist.g[...] 2017-09-06
[125] 웹사이트 SWCNT-1: Single-Wall Carbon Nanotube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 National Research Council Canada https://www.nrc-cnrc[...] 2017-09-06
[126] 웹사이트 RM 8281 – Single-Wall Carbon Nanotubes (Dispersed, Three Length-Resolved Populations) https://www-s.nist.g[...] 2017-09-06
[127] 웹사이트 ISO/TR 10929:2012 –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multiwall carbon nanotube (MWCNT) samples https://www.iso.org/[...] 2017-09-06
[128] 웹사이트 ISO/TS 11888:2017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multiwall carbon nanotubes – Mesoscopic shape factors https://www.iso.org/[...] 2017-09-06
[129] 논문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genotoxicity of the broad class of carbon nanotubes and nanofibers used or produced in U.S. facilities 2020-12
[130] 논문 Histopathology of the broad class of carbon nanotubes and nanofibers used or produced in U.S. facilities in a murine model 2021-12
[131] 논문 Assessment of the Carcinogenicity of Carbon Nanotubes in the Respiratory System 2021-03-00
[132] 웹사이트 CDC – NIOSH Numbered Publications: Current Intelligence Bulletins (CIB) – Sorted By Date, Descending Order Without Publication Numbers https://www.cdc.gov/[...] 2022-11-09
[133] 간행물 Occupational exposure to carbon nanotubes and nanofibers. DHHS (NIOSH) Publication 2013-04-00
[134] 간행물 ccupational exposure to carbon nanotubes and nanofibers https://www.cdc.gov/[...] 2020-07-14
[135] 논문 In Vivo Toxicity Assessment of Occupational Components of the Carbon Nanotube Life Cycle To Provide Context to Potential Health Effects https://pubs.acs.org[...] 2017-09-26
[136] 웹사이트 ECHA CHEM https://chem.echa.eu[...] 2024-06-10
[137] 웹사이트 REACH Registration Completed for Single-Wall Carbon Nanotubes http://www.pcimag.co[...] PCI Mag 2016-10-16
[138] 논문 Carbon Nanotubes: Applications in Pharmacy and Medicine 2013-00-00
[139] 논문 The Effectiveness Mechanisms of Carbon Nanotubes (CNTs) as Reinforcements for Magnesium-Based Composit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A Review https://doi.org/10.3[...] 2024-00-00
[140] 논문 Carbon Nanotube (CNT) Encapsulated Magnesium-Based Nanocomposites to Improve Mechanical, Degradation and Antibacterial Performances for Biomedical Device Applications https://doi.org/10.3[...] 2022-00-00
[141] 논문 The Biocompatibility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the CNTs-Doped Magnesium Based Composite Implants in a Long-Term Biodegradation Process 2023-01-22
[142] 논문 Toward CNT-reinforced chitosan-based ceramic composite coatings on biodegradable magnesium for surgical implants 2021-07-01
[143] 논문 Stepwise Quenching of Exciton Fluorescence in Carbon Nanotubes by Single-Molecule Reactions https://www.science.[...] 2007-06-08
[144] 논문 Identifying the Mechanism of Biosensing with Carbon Nanotube Transistors https://pubs.acs.org[...] 2008-02-01
[145] 논문 Biosensing with Fluorescent Carbon Nanotubes 2022-04-25
[146] 논문 Single Molecule Detection of Nitric Oxide Enabled by d(AT) 15 DNA Adsorbed to Near Infrared Fluoresce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https://pubs.acs.org[...] 2011-01-26
[147] 논문 Detection of single-molecule H2O2 signalling from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using fluoresce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2010-04-01
[148] 논문 High-resolution imaging of cellular dopamine efflux using a fluorescent nanosensor array 2017-02-21
[149] 논문 Monitoring Plant Health with Near-Infrared Fluorescent H 2 O 2 Nanosensors https://pubs.acs.org[...] 2020-04-08
[150] 논문 Real-time detection of wound-induced H2O2 signalling waves in plants with optical nanosensors https://www.nature.c[...] 2020-04-15
[151] 논문 Stochastic Analysis of Stepwise Fluorescence Quenching Reactions on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ingle Molecule Sensors https://pubs.acs.org[...] 2008-12-10
[152] 논문 A Ratiometric Sensor Using Single Chirality Near-Infrared Fluorescent Carbon Nanotubes: Application to In Vivo Monitoring https://onlinelibrar[...] 2015-08-01
[153] 논문 Near-Infrared Imaging of Serotonin Release from Cells with Fluorescent Nanosensors https://pubs.acs.org[...] 2019-09-11
[154] 논문 High-throughput evolution of near-infrared serotonin nanosensors 2019-12-06
[155] 논문 Click-Functionalization of Silanized Carbon Nanotubes: From Inorganic Heterostructures to Biosensing Nanohybrids 2023-02-25
[156] 논문 High Sensitivity Near-Infrared Imaging of Fluorescent Nanosensors 2023-04-01
[157] 논문 Chemometric Approaches for Developing Infrared Nanosensors To Image Anthracyclines 2019-01-08
[158] 논문 Nitroaromatic detection and infrared communication from wild-type plants using plant nanobionics https://www.nature.c[...] 2017-02-01
[159] 논문 Reconfigurable Carbon Nanotube Multiplexed Sensing Devices https://pubs.acs.org[...] 2018-07-11
[160] 논문 A Carbon Nanotube Optical Reporter Maps Endolysosomal Lipid Flux 2017-11-28
[161] 논문 An optical nanoreporter of endolysosomal lipid accumulation reveals enduring effects of diet on hepatic macrophages in vivo 2018-10-03
[162] 논문 Protein-targeted corona phase molecular recognition 2016-01-08
[163] 논문 Wearable biosensors for healthcare monitoring 2019-04-00
[164] 논문 Reversible Control of Carbon Nanotube Aggregation for a Glucose Affinity Sensor https://onlinelibrar[...] 2006-12-11
[165] 논문 Bioengineering a glucose oxidase nanosensor for near-infrared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http://xlink.rsc.org[...] 2022-00-00
[166] 논문 A carbon nanotube reporter of microRNA hybridization events in vivo 2017-03-13
[167] 논문 HIV Detection via a Carbon Nanotube RNA Sensor 2019-05-24
[168] 논문 Inexpensive Near-Infrared Fluorimeters: Enabling Translation of nIR-Based Assays to the Field https://pubs.acs.org[...] 2021-03-23
[169] 논문 A Paper-Based Near-Infrared Optical Biosensor for Quantitative Detection of Protease Activity Using Peptide-Encapsulated SWCNTs 2020-09-14
[170] 논문 Remote near infrared identification of pathogens with multiplexed nanosensors 2020-11-25
[171] 논문 Comparison of electrical and optical transduction modes of DNA-wrapped SWCNT nanosensors for the reversible detection of neurotransmitters. https://linkinghub.e[...] 2022-11-00
[172] 논문 Band Gap Fluorescence from Individual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https://www.science.[...] 2002-07-26
[173] 논문 Electroluminescence from 4-nitroaryl organic color centers in semiconducting single-wall carbon nanotubes https://pubs.aip.org[...] 2021-01-28
[174] 논문 Electroluminescence from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with Quantum Defects https://pubs.acs.org[...] 2022-08-23
[175] 논문 Near-infrared fluorophores for biomedical imaging https://www.nature.c[...] 2017-01-10
[176] 논문 Carbon Nanomaterials for Biological Imaging and Nanomedicinal Therapy https://pubs.acs.org[...] 2015-10-14
[177] 논문 Analysis of Multiplexed Nanosensor Arrays Based on Near-Infrared Fluoresce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https://pubs.acs.org[...] 2018-04-24
[178] 논문 Immobilization and Function of nIR-Fluorescent Carbon Nanotube Sensors on Paper Substrates for Fluidic Manipulation https://pubs.acs.org[...] 2020-01-07
[179] 논문 Hyperspectral Microscopy of Near-Infrared Fluorescence Enables 17-Chirality Carbon Nanotube Imaging 2015-09-21
[180] 논문 Single-Chirality Separation and Optical Properties of (5,4) Single-Wall Carbon Nanotubes https://pubs.acs.org[...] 2016-05-19
[181] 논문 Exfoliated near infrared fluorescent silicate nanosheets for (bio)photonics 2020-03-20
[182] 논문 Near-Infrared Fluorescence Lifetime Imaging of Biomolecules with Carbon Nanotubes 2023-06-12
[183] 논문 Carbon nanotubes as optical biomedical sensors https://linkinghub.e[...] 2013-12-01
[184] 논문 Near-Infrared Fluorescent Sensors based on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for Life Sciences Applications https://chemistry-eu[...] 2011-07-18
[185] 논문 Detection and Imaging of the Plant Pathogen Response by Near-Infrared Fluorescent Polyphenol Sensors 2022-01-10
[186] 논문 A fluorescent nanosensor paint detects dopamine release at axonal varicosities with high spatiotemporal resolution 2022-05-31
[187] 논문 Monitoring the Formation of Fibrin Clots as Part of the Coagulation Cascade Using Fluoresce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2023-05-10
[188] 논문 Optical Nanosensors for Real-Time Feedback on Insulin Secretion by β-Cells https://onlinelibrar[...] 2021-07-01
[189] 논문 Detection of ovarian cancer via the spectral fingerprinting of quantum-defect-modified carbon nanotubes in serum by machine learning 2022-03-17
[190] 논문 Near-Infrared Fluorescent Biosensors Based on Covalent DNA Anchors https://pubs.acs.org[...] 2023-07-12
[191] 논문 Smart Slides for Optical Monitoring of Cellular Processes 2024-02-01
[192] 웹사이트 Smart Nanotubes – Gas sensor development https://smart-nanotu[...] 2024-02-09
[193] 웹사이트 Welcome https://www.zymosens[...] 2024-02-09
[194] 뉴스 Amroy aims to become nano-leader http://www.europeanp[...] European Plastics News 2010-03-05
[195] 뉴스 Carbon nanotube tape stays sticky in extreme temperatures https://www.nanowerk[...]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9-07-10
[196] 웹사이트 Nanotube Tips http://www.nanoscien[...] nanoScience instruments
[197] 웹사이트 Nanotube solution for medical devices approved to enter EU market https://www.med-tech[...] 2024-09-06
[198] 논문 Molecular-level hybridization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and a copper complex with counterbalanced electrostatic interactions 2024-06-28
[199] 논문 Carbon Nanotube–Polyurethane Composite Sheets for Flexible Thermoelectric Materials 2023-10-13
[200] 논문 Applications of nanomaterials in highway pavements https://dergipark.or[...] Atatürk University Press 2022-12-06
[201] 논문 Mechanical recycling of CFRPs based on thermoplastic acrylic resin with the addition of carbon nanotubes 2024-05-21
[202] 논문 3D-Printable high-mixed-conductivity ionogel composites for soft multifunctional devices 2024-09-15
[203] 논문 Electronic Stability of Carbon Nanotube Transistors Under Long-Term Bias Stress 2019-03-01
[204] 웹사이트 Publications on carbon nanotube applications including scaffold microfabrication http://nano.byu.edu/[...] 2014-05-27
[205] 논문 Self-assembled wiggling nano-structures and the principle of maximum entropy production 2015-02-01
[206] 논문 Energy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of carbon nanotubes 2012-09-01
[207] 웹사이트 Jack Andraka, the Teen Prodigy of Pancreatic Cancer https://www.smithson[...] 2021-03-02
[208] 특허 System and methods for use in monitoring a structure http://www.google.co[...]
[209] 웹사이트 Pirahna USV built using nano-enhanced carbon prepreg http://www.reinforce[...] ReinforcedPlastics.com 2009-02-19
[210] 웹사이트 EUV Pellicles Finally Ready https://semiengineer[...] 2021-03-22
[211] 논문 Bone cell proliferation on carbon nanotubes 2006-03-00
[212] 웹사이트 Legendary Swords' Sharpness, Strength From Nanotubes, Study Says http://news.national[...]
[213] 논문 Nanotechnology: A Guide to Nano-Objects http://www.aiche.org[...] 2011-11-24
[214] 웹사이트 IBM Expects Nanotube Transistor Computer Chips Ready Soon After 2020 https://www.technolo[...]
[215] 웹사이트 Faster charging and more powerful EV batteries boosted by graphene nanotube production https://www.electric[...] 2022-08-04
[216] 뉴스 Graphene Nanotubes Make Polyamide Paintable https://www.plastics[...] 2020-08-31
[217] 웹사이트 Clear Skies Coatings Presented a Waterborne Conductive Primer & Adhesion Promoter with Graphene Nanotubes – IPCM https://www.ipcm.it/[...]
[218] 웹사이트 Overcoming ESD-Control Flooring Challenges: A Comprehensive Guide to ANSI/ESD S20.20-2021 {{!}} FLOOR Trends & Installation https://www.floortre[...]
[219] 논문 Raman Spectroscopy Unfolds the Fate and Transformation of SWCNTs after Abrasive Wear of Epoxy Floor Coatings 2024-01-00
[220] 웹사이트 Graphene goes industrial without a bang https://www.composit[...] 2024-07-26
[221] 웹사이트 OCSiAl, Daikin improve fluoropolymer resistance to extreme conditions European Rubber Journal https://www.european[...] 2024-08-07
[222] 논문 Systematic Investigation of the Degradation Properties of Nitrile-Butadiene Rubber/Polyamide Elastomer/Single-Walled Carbon Nanotube Composites in Thermo-Oxidative and Hot Oil Environments 2024-01-01
[223] 웹사이트 BÜFA releases line of novel conductive gelcoats https://www.composit[...] 2024-07-26
[224] 웹사이트 Polymer fibers with graphene nanotubes make it possible to heat hard-to-reach, complex-shaped items – Modern Plastics India https://modernplasti[...] 2024-08-07
[225] 논문 Ultrafine graphitised MWCNT nanostructured yarn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ally conductive fabric 2018-06-01
[226] 논문 Sharpest cut from nanotube sword 2006-11-13
[227] 논문 Materials: carbon nanotubes in an ancient Damascus sabre 2006-11-01
[228] 논문 Co-axial heterostructures integrating palladium/titanium dioxide with carbon nanotubes for efficient electrocatalytic hydrogen evolution 2016-12-01
[229] 서적 Fundamentals of Electromigration-Aware Integrated Circuit Design Springer 2018-01-01
[230] 논문 Carbon Nanotubes as Molecular Quantum Wires 1999-05-01
[231] 논문 Ambipolar electrical transport in semiconducting single-wall carbon nanotubes 2001-12-00
[232] 논문 A surface-engineered tape-casting fabrication technique toward the commercialisation of freestanding carbon nanotube sheets 2017-00-00
[233] 논문 Development of Surface-Engineered Tape-Casting Method for Fabricating Freestanding Carbon Nanotube Sheets Containing Fe2O3 Nanoparticles for Flexible Batteries 2018-06-00
[234] 논문 Strong, light, multifunctional fibers of carbon nanotubes with ultrahigh conductivity 2013-01-00
[235] 논문 Two-dimensional quantum transport in highly conductive carbon nanotube fibers 2015-08-26
[236] 논문 Carbon nanotube yarns as strong flexible conductive capacitive electrodes 2014-11-00
[237] 논문 Replacing Copper with New Carbon Nanomaterials in Electrical Machine Windings 2015-02-28
[238] Youtube Carbon Nanotube Yarn Rotates Electric Motors at LUT https://www.youtube.[...]
[239] 논문 http://nanotube.msu.[...] 2012-04-05
[240] 논문 Helical microtubules of graphitic carbon 1991-11-07
[241] 논문 Single-shell carbon nanotubes of 1-nm diameter 1993-06-17
[242] 논문 Cobalt-catalyzed growth of carbon nanotubes with single-atomic-layer walls 1993-06-17
[243] 논문 Filamentous growth of carbon through benzene decomposition 1976-03-01
[244] 논문 Fabrication of ultralong and electrically uniform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on clean substrates 2009-09-01
[245] 논문 Are fullerene tubules metallic? 1992-02-01
[246] 논문 Electronic structure of atomically resolved carbon nanotubes 1998-01-01
[247] 논문 Individual single-wall carbon nanotubes as quantum wires http://resolver.tude[...] 1997-04-01
[248] 논문 Unusually high thermal conductivity of carbon nanotubes 2000-05-01
[249] 논문 Thermal transport measurements of individual multiwalled nanotubes 2001-11-01
[250] 논문 Growth of half-meter long carbon nanotubes based on Schulz-Flory distribution 2013-07-01
[251] 논문 New one-dimensional conductors: Graphitic microtubules 1992-03-01
[252] 논문 Crystalline Ropes of Metallic Carbon Nanotubes 1996-07-01
[253] 용어 single-wall nanotube
[254] 용어 multi-wall nanotube
[255] 용어 double-wall nanotube
[256] 웹사이트 https://www.nikkei.c[...]
[257] 웹사이트 세계를 바꾸는가・놀라운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http://www.org-chem.[...] 2015-07-28
[258] 용어 carbon nanobud
[259] 논문 Investigations of NanoBud formation http://tfy.tkk.fi/na[...]
[260] 논문 Carbon Nanotubes: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261] 논문 Physics of Carbon Nanotubes
[262] 논문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電子デバイス応用 http://www.jsap.or.j[...]
[263] 논문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LSIデバイスへの応用 http://www.jsap.or.j[...]
[264] 웹사이트 金属性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簡単に80%まで濃縮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06-02-15
[265] 웹사이트 金属型と半導体型の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極めて簡単に分離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09-03-04
[266] 웹사이트 金属型と半導体型の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高純度で簡便に分離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09-11-27
[267] 논문 Continuous Separation of Metallic and Semiconducting Carbon Nanotubes Using Agarose Gel
[268] 논문 Scalable Interconnection and Integration of Nanowire Devices Without Registration
[269] 웹사이트 スーパーグロース法による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特性 http://www.nanocarb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ナノチューブ実用化研究センター
[270] 웹사이트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用いた高感度ガスセンサーを開発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08-09-30
[271] 웹사이트 超低消費電力「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フィールドエミッタ」の開発に成功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15-07-28
[272] 웹사이트 ディスプレイに応用可能な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開発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15-07-28
[273] 웹사이트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黒体 https://web.archive.[...] 産業技術総合研究所ナノチューブ応用研究センター 2015-07-28
[274] 웹사이트 超高密度100GB光ディスク原盤の形状検査装置を開発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15-07-28
[275] 웹사이트 From Highly Efficient Impurity-Free CNT Synthesis to DWNT forests, CNTsolids and Super-Capacitors https://web.archive.[...] 2015-07-28
[276] 웹사이트 ナノチューブを利用して新超硬度相カーボンプレートの合成に成功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15-07-28
[277] 웹사이트 SP-SWCNT学術論文 https://web.archive.[...] 2015-07-28
[278] 웹사이트 -196 ℃から1000 ℃までゴムのような粘弾性を持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15-07-28
[279] 논문 Carbon Nanotubes with Temperature-Invariant Viscoelasticity from –196° to 1000°C
[280] 웹사이트 βカロテンを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に内包し安定化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15-07-28
[281] 웹사이트 世界で初めて「室温」のアイスナノチューブを発見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04-12-20
[282] 웹사이트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における超電導 http://www.ee.aoyama[...]
[283] 웹사이트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CNT分散剤~ http://nakashima.cst[...] 九州大学応用化学部門中嶋研究室
[284] 논문 О Структуре Углерода, Образующегося При Термическом Разложении Окиси Углерода На Железном Контакте http://carbon.phys.m[...]
[285] 논문 Filamentous growth of carbon through benzene decomposition http://chemport.cas.[...]
[286] 간행물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on Fibers by a Vapor Phase Process Japanese Patent 1982-58, 966
[287] 간행물 Grow carbonfibers in the vapor phase
[288] 논문 Structure of Carbon Fibers Found on Carbon Arc Anodes
[289] 간행물 Izvestiya Akademii Nauk SSSR, Metals
[290] 특허 Carbon fibrils,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1987-05-05
[291] 논문 Helical microtubules of graphitic carbon 1991-11-07
[292] PDF https://www.tn-sanso[...]
[293] 뉴스 2009-03-04
[294] 논문 Large Scale Synthesis of Carbon Nanotubes
[295] 웹사이트 高品質SWNTサンプル提供 http://www.nikkiso.c[...] 日機装 2015-07-28
[296] 웹사이트 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で高強度繊維の紡糸に成功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06-05-11
[297] 웹사이트 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構造と応用(CoMoCAT法) 시그마 알드리치 2015-07-28
[298] 기타
[299] 기타
[300] 웹사이트 HiPco特性表 http://www.unidym.co[...] 2015-07-28
[301] 논문 Water-Assisted Highly Efficient Synthesis of Impurity-Free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302] 웹사이트 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安価な大量合成法を開発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07-02-07
[303] 논문 Kinetics of Water-Assist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ynthesis Revealed by a Time-Evolution Analysis
[304] 웹사이트 スーパーグロース量産技術 http://www.nanocarbo[...]
[305] 웹사이트 形状デザイン可能な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高密度固体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06-11-27
[306] 웹사이트 AIST、スーパーグロースCNTサンプル提供 http://www.nanocarbo[...]
[307] 웹사이트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等に関する安全対策について(提案要求)平成20年2月22日19福保健健第1470号 http://www.metro.tok[...] 東京都福祉保健局
[308] 인물
[309] 뉴스 ナノチューブはアスベストに似た健康被害を及ぼす恐れ、ネイチャーに研究発表 http://www.technobah[...]
[310] 뉴스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発がん性 人に影響未確定 一部製品注意喚起 https://web.archive.[...] 毎日新聞 2015-07-20
[311] 웹사이트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自主安全管理のための「安全性試験手順書」と「作業環境計測手引き」 http://www.aist-riss[...]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15-07-28
[312] 웹사이트 「ナノマテリアル予防的対策」について http://www.pref.oita[...]
[313] 웹사이트 3M 安全衛生製品 総合カタログ http://multimedia.3m[...]
[314] 서적 新しい物性物理 講談社
[315] 저널 A polyaromatic molecular tube that binds long hydrocarbons with high selectivity http://www.nature.co[...] 2015-07-28
[316] 저널 Fabrication of Ultralong and Electrically Uniform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on Clean Substrates
[317] 뉴스 http://news.national[...]
[318] 저널 Nanotechnology: A Guide to Nano-Objects http://www.aiche.org[...] 2015-06-14
[319] 저널
[320] 저널
[321] 저널
[322] 저널 Carbon nanotube connectors and planar jungle gyms
[323] 저널 Carbon Nanotube "T Junctions": Nanoscale Metal-Semiconductor-Metal Contact Device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