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정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탕정역은 2021년 10월 30일에 개통한 장항선의 고가역이다.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천안, 서울, 광운대 방면과 배방, 온양온천, 신창 방면으로 운행한다. 역 주변에는 아산소방서, 학교, 삼성디스플레이 공장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산시의 전철역 - 온양온천역
온양온천역은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에 위치한 장항선과 수도권 전철 1호선의 환승역으로, 1922년 개업 후 2008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으로 지역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온양온천 등 주변 관광지와 인접해 많은 이용객이 있다. - 아산시의 전철역 - 배방역
배방역은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장항선 역으로, 1922년 모산역으로 개업하여 역의 격과 명칭이 변경된 후 2007년 배방역으로 개칭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장항선 소속 역 중 유일하게 대피선을 갖추고 있다. - 장항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장항선 - 대야역
대야역은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2면 3선의 지상역 형태를 갖추고 있고, 과거 화물도 취급했으나 현재는 여객 운송만 담당한다. - 충청남도의 철도역 - 웅천역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에 위치한 웅천역은 1931년 영업을 시작해 2021년 장항선 직선화로 고가역이 되었으며, 현재 무궁화호, ITX-새마을이 정차하는 2면 4선의 철도역이다. - 충청남도의 철도역 - 논산역
논산역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철도역으로, 1911년 영업을 시작하여 1965년 재건되었으며, 1988년 현재의 역사가 준공되었고,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탕정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 탕정역 |
로마자 표기 | Tangjeong-yeok |
한자 표기 | 湯井驛 |
주소 |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매곡리 472-8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장항선 |
승강장 | 2면 4선 |
구조 | 고가역 |
개업일 | 2021년 10월 30일 |
역 번호 | P173 |
노선 정보 | |
서울 지하철 1호선 | 왼쪽 역: 아산 (광운대 방면) 오른쪽 역: 배방 (신창 방면) |
급행 열차 (일부) | 왼쪽 역: 아산 오른쪽 역: 배방 |
역간 거리 | |
천안역 기점 | 6.3 km |
이전 역 | 아산 (1.8 km) |
다음 역 | 배방 (3.1 km) |
2. 연혁
3. 역 구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고가역이다.
4. 역 주변
5. 승차량 변동
2021년 자료는 개통일인 2021년 10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63일간의 평균이다.[8]
최근 연도별 일평균 이용객 추이는 다음과 같다.
노선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비고 | |
---|---|---|---|---|---|---|
-- 장항선 | 승차 인원 | 미개통 | 355 | 836 | 1,362 | [6] |
하차 인원 | 328 | 761 | 1,243 |
6. 인접한 역
(장항선)
(P172)
(P173)
(P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