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방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방역은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장항선)의 전철역이다. 1922년 모산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2007년 현재 위치로 역사를 이전하면서 배방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2면 4선의 고가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만 운행하며, 다른 여객 열차는 무정차 통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산시의 전철역 - 온양온천역
온양온천역은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에 위치한 장항선과 수도권 전철 1호선의 환승역으로, 1922년 개업 후 2008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으로 지역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온양온천 등 주변 관광지와 인접해 많은 이용객이 있다. - 아산시의 전철역 - 탕정역
2021년 10월 30일에 개통한 탕정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 장항선의 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아산시 탕정면의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 주변 지역 이용객 증가와 함께 승하차 인원이 꾸준히 증가하여 2023년 일평균 승차 인원 1,362명, 하차 인원 1,243명을 기록했고, 인접역으로는 아산역과 배방역이 있다. - 장항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장항선 - 대야역
대야역은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2면 3선의 지상역 형태를 갖추고 있고, 과거 화물도 취급했으나 현재는 여객 운송만 담당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배방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배방역 |
로마자 표기 | Baebang-yeok |
한자 표기 | 排芳驛 |
역 번호 | P174 |
주소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온천대로 1967 (구룡리 159-17)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개업일 | 1922년 6월 15일 (장항선), 2008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
역 구조 | |
승강장 |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
선로 | 4개 |
구조 | 고가역 |
노선 정보 | |
노선 | 장항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영업 거리 | 천안역 기점 9.4 km |
이전 역 | 탕정역 |
다음 역 | 온양온천역 |
이용 정보 | |
일일 승객 수 | 1,637명 (2012년 기준) |
부가 정보 | |
부역명 | 호서대 |
역 등급 | 을종대매소 |
관리역 | 온양온천역 |
소속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천안아산관리역 |
비고 | 2007년에 '모산역'에서 개칭. |
이미지 | |
![]() | |
![]() | |
인접 역 | |
수도권 전철 1호선 | 왼쪽: 탕정역 (광운대 방면) 오른쪽: 온양온천역 (신창역 방면) |
급행 | 왼쪽: 탕정역 오른쪽: 온양온천역 |
2. 연혁
- 1922년 6월 1일 : 충청남도 아산군 배방면 공수리 68번지에서 '''모산역'''(毛山驛,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 개시[5]
- 1926년 1월 1일 : 보통역으로 승격
- 1950년 11월 10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 1951년 7월 31일 : 보통역으로 승격
- 1983년 2월 1일 : 수소화물 취급 중지[6]
- 1986년 11월 22일 : 역사 개축 준공
- 1995년 2월 1일 : 화물취급 중지[7]
- 1997년 10월 15일 : 배치간이역으로 격하[8]
- 2001년 6월 1일: 장항선 전 통일호 열차 전산화. 다만, 비둘기호 시절 제외하고 기존에는 에드몬슨 승차권을 발매하지 않고 전산 승차권만 발매했으나 통일호 승차권 전산 발매(지정공통승차권)로 좌석 지정화.
- 2001년 7월 1일 : 화물취급 재개[9]
- 2005년 5월 9일: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및 발매 중지
- 2007년 3월 30일 : 현 위치인 구령리로 역사 이설과 함께 '''배방역'''으로 역명 변경, 일반 열차 여객 취급 중지[10]
- 2008년 12월 1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천안 - 신창 구간 운행 개시
- 2009년 7월 1일 : 역명에 '(호서대)'를 부기
- 2009년 10월 31일 : 화물취급 중지[11]
- 2012년 7월 1일 : 호서대 부기 해제
2. 1. 모산역 시절 (1922년 ~ 2007년)
1922년 6월 1일 충청남도 아산군 배방면 공수리 68번지에서 '''모산역'''(毛山驛,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5] 1926년 1월 1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나, 1950년 11월 10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가 1951년 7월 31일 다시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1983년 2월 1일 수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6], 1986년 11월 22일 역사를 개축하였다. 1995년 2월 1일 화물취급이 중지되었으며[7], 1997년 10월 15일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8] 2001년 6월 1일 장항선 전 통일호 열차 전산화가 이루어졌고, 같은 해 7월 1일 화물취급이 재개되었다.[9] 2005년 5월 9일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 및 발매 중지되었다. 2007년 3월 30일 현 위치인 구령리로 역사가 이전하면서 역명이 '''배방역'''으로 변경되었고, 일반 열차 여객 취급은 중지되었다.[10]2. 2. 배방역으로 변경 (2007년 ~ 현재)
2007년 3월 30일, 현 위치인 구령리로 역사가 이전되면서 '''배방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고, 일반 열차 여객 취급은 중지되었다.[10] 2008년 12월 15일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천안-신창 구간 운행이 개시되었다.[10] 2009년 7월 1일에는 역명에 '(호서대)'가 부기로 추가되었으나,[11] 2012년 7월 1일에 호서대 부기는 해제되었다.3. 역 구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출구는 2개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장항선 상 역들 중 유일하게 대피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이외 모든 여객열차는 무정차 통과한다.
3. 1. 개요
3. 2. 승강장
배방역은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현재 1번 승강장과 4번 승강장은 사용하지 않는다.1 | 수도권 전철 1호선 | 사용하지 않음 |
---|---|---|
2 | 수도권 전철 1호선 | 천안 · 서울 · 광운대 방면 |
3 | 수도권 전철 1호선 | 온양온천 · 신창 방면 |
4 | 수도권 전철 1호선 | 사용하지 않음 |
4. 역 주변
배방산, 배방읍행정복지센터, 선문대학교 아산캠퍼스, 호서대학교 아산캠퍼스, 배방119안전센터, 아산세무서, 아산배방우체국, 배방초등학교, 아산배방중학교, 구령2리 마을회관 등이 있다. 남쪽에는 고층 아파트 등이 들어선 시가지가 있지만, 북쪽은 미개발 상태로 남아 있다. 호서대학교는 남쪽으로 약 5km 떨어져 있다.
5. 승차량 변동
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