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북구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항시 북구 선거구는 1995년 포항시와 영일군의 통합으로 포항시에 구제가 실시되면서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포항시 북구 전 지역을 관할하며, 국회의원은 지역 주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허화평, 박태준, 이병석, 김정재 등이 있으며,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김정재가 국민의힘 소속으로 당선되어 3선에 성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선거구 - 영천시·청도군
영천시·청도군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며, 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영천시와 청도군 전역을 관할하고, 이만희가 20대, 21대, 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 경상북도의 선거구 -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고령군·성주군·칠곡군은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을 관할하는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2004년 신설되어 6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이인기, 이완영, 정희용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포항시의 정치 - 포항시장
포항시장은 경상북도 포항시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자리로, 초대 시장 최기봉 이후 김의환, 박기환, 정장식, 박승호, 이강덕 등이 역임하며 포항 발전에 기여했으나 논란과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 포항시의 정치 - 포항시 남구·울릉군
포항시 남구·울릉군은 포항시 남구와 울릉군을 관할하며, 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1996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상당구 (선거구)
청주시 상당구 선거구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지역을 관할하는 국회의원 선거구로, 1995년 설치 이후 민주당계와 보수정당이 번갈아 의석을 차지하며 정치 상황과 지역 여론을 반영해왔다. - 1996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성남시 중원구 (선거구)
성남시 중원구는 1996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성남시 중원구 전역을 관할하며, 조성준, 이상락, 신상진, 김미희, 윤영찬, 이수진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보수와 진보 정당이 번갈아 당선되는 경합 지역이다.
포항시 북구 (선거구)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포항시 북구 |
의회 | 국회 |
지도 연도 | 1996 |
연도 | 1996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포항시 영일군·울릉군 |
의원 | 김정재 |
정당 | 국민의힘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95년 1월, 포항시와 영일군이 통합되어 통합 포항시가 출범하였다. 또한 포항시에 구제가 실시되면서 북구와 남구가 설치되었다. 이에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포항시 북구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포항시 북구 전역을 관할한다.
wikitable
3. 관할 구역
4. 역대 국회의원
선거 정당 의원 1996년 style="background-color: #DDDDDD" | 무소속 허화평 1997년 style="background-color: #0054A6" | 자유민주연합 박태준 2000년 style="background-color: #0054A6" | 한나라당 이병석 2004년 style="background-color: #0054A6" | 한나라당 2008년 style="background-color: #0054A6" | 한나라당 2012년 style="background-color: #C8102E" | 새누리당 2016년 style="background-color: #C8102E" | 새누리당 김정재 2020년 style="background-color: #0054A6" | 미래통합당 2024년 style="background-color: #0054A6" | 국민의힘
포항시 북구 국회의원은 지역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4년이다.
5. 역대 선거 결과
5. 1.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1996년 치러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선거구에는 총 8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유권자 164,962명 중 109,098명이 투표에 참여한 가운데, 무소속 허화평 후보가 48,251표(44.22%)를 얻어 당선되었다. 신한국당 윤해수 후보는 37,121표(34.02%)를 얻어 2위를 기록했고, 통합민주당 방무성 후보는 9,866표(9.04%), 자유민주연합 최종태 후보는 5,177표(4.74%)를 얻었다. 그 외 무소속 신의웅 후보는 2,349표(2.15%), 무소속 권동수 후보는 2,344표(2.14%), 무소속 권영준 후보는 2,156표(1.97%), 무당파국민연합 최영태 후보는 1,834표(1.68%)를 얻는 데 그쳤다.
5. 2. 199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허화평 의원의 의원직 상실로 인해 치러진 199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박태준 후보가 당선되었다. 박태준은 포항제철 (현 포스코)을 설립하고 이끈 기업인 출신으로, 지역 사회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5. 3.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병석 후보가 63.5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국민당 허화평 후보는 30.47%를 득표하였고, 새천년민주당 신원수 후보는 5.98%를 득표하였다.
5. 4.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병석 후보가 55.29%의 득표율로 재선되었다. 열린우리당 배용재 후보는 21.57%, 무소속 허화평 후보는 16.08%, 민주노동당 김숙향 후보는 7.04%를 득표했다.
5. 5.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병석 후보가 62.64%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3선에 성공하였다. 무소속 허명환 후보는 30.42%, 통합민주당2008 오중기 후보는 5.79%, 평화통일가정당 박승우 후보는 1.13%를 득표하였다.
5. 6.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이병석 후보가 70.4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통합진보당 유성찬 후보는 18.07%, 무소속 최기복 후보는 11.47%를 득표하였다. 총 유권자 수는 209,247명이었고, 이병석 후보는 74,824표를 획득하여 4선에 성공하였다.
5. 7.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김정재 후보가 43.3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김정재는 포항시 북구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이다. 박승호 후보는 38.84%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
5. 8.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미래통합당 김정재 후보가 98,905표(64.78%)를 얻어 더불어민주당 오중기 후보(47,924표, 31.38%)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이 선거에는 정의당 박창호 후보(4,558표, 2.98%)와 평화통일가정당 박건우 후보(1,290표, 0.84%)도 출마했다.
5. 9.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2024년)
김정재 후보가 국민의힘 소속으로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3선에 성공하였다.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의 총 유권자 수는 228,023명이었다. 김정재 후보는 91,249표(62.33%)를 얻어 당선되었고, 더불어민주당 오중기 후보는 42,311표(28.90%), 무소속 이재원 후보는 12,816표(8.75%)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46,376표, 무효표는 1,371표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