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허화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허화평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연구인이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군 복무 중 하나회에 가입하여 12·12 군사 반란에 참여했다. 전두환 정권에서 대통령 비서실 보좌관과 정무 제1수석비서관을 역임했으나,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 관련 전두환과 갈등을 겪고 미국으로 건너가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고, 1996년 재선되었으나 12·12 사태와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했다. 이후 정계를 은퇴하여 현대사회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고등학교 동문 - 이진우 (1934년)
    이진우는 1934년에 출생하여 2010년에 사망한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검사, 국회의원,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했으며 변호사로 활동했다.
  • 포항고등학교 동문 - 박승호 (1957년)
    박승호는 용인대학교에서 유도학을 전공하고 여러 대학원에서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서울 올림픽조직위원회 공채로 공직에 입문하여 대통령 비서실 행정관, 경상북도 봉화군수, 행정자치부 부이사관 등을 역임하고 경상북도 포항시장을 지냈으며, 바른정당, 자유한국당 등에서 활동하다 국민의힘에 복당하였다.
  • 포항초등학교 동문 - 이진우 (1934년)
    이진우는 1934년에 출생하여 2010년에 사망한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검사, 국회의원,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했으며 변호사로 활동했다.
  • 포항초등학교 동문 - 박창달
    박창달은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3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제15대, 제16대,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낙선했다.
  • 대한민국의 반역죄 기결수 - 장세동
    장세동은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제5공화국 시절 전두환 정권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며 권력 남용과 민주주의 훼손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반역죄 기결수 - 이희성 (1924년)
    이희성(1924년~2022년)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무직공무원으로,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군수사령부 정보참모, 사단장, 국방부 기획국장, 군단장, 육군참모차장, 중앙정보부 부장서리,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 등을 지냈으며, 12·12 군사반란 당시 신군부 세력에 협조하여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는 등 신군부 집권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허화평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허화평
원래 이름許和平
출생일1937년 10월 15일
출생지경상북도 영일군 장기면 계원리
본관김해(金海)
별명자는 봉우, 아호는 우민
배우자김경희
형제허화남(아우)
자녀1남 2녀
종교천주교(세례명: 필립보)
정치 경력
임기1980년 9월 9일 ~ 1981년 12월 23일
대통령전두환
총리남덕우 국무총리 서리, 남덕우 국무총리
장관김경원 대통령 비서실장
정당무소속
직책정무기획보좌관
국가대통령 비서실
경력대통령 비서실 제1정무수석비서관
제14대·15대 국회의원
현대사회연구소 소장
군 복무
복무 기간1961년 3월 ~ 1980년 9월 23일
근무육군 보안사령부
대통령 비서실
지휘육군 보안사령관 비서실장
대통령 비서실 정무기획보좌관
참전베트남 전쟁

2. 생애

경상북도 포항 출신으로, 포항시 북구 기계면에서 태어났다.[4] 포항고등학교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1] 소위로 임관 후 제9보병사단 대대장, 작전참모, 국군보안사령관 비서실장을 역임했으며, 하나회에 가입했다. 12·12 사태 당시 보안사령관 비서실장으로서 쿠데타 모의에 참여했다.[5]

준장으로 예비역에 편입된 후,[1] 전두환 정권 초기에 대통령 비서실 보좌관, 대통령 정무 제1수석비서관에 임명되었다. 1982년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에서 전두환의 친인척 공직 사퇴를 제안하여 전두환과 멀어졌고,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헤리티지재단에서 고급 연구원으로 일했다.[1]

노태우 정권 출범 후 귀국하여 1992년 제14대 총선에서 무소속 후보로 포항시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이후 김영삼을 지지하며 민주자유당에 입당했지만, 김영삼 대통령 재임 중 12·12 사태 관련자 사법 처리가 추진되어 구속되었다. 1996년 제15대 총선에서 옥중 무소속으로 포항시 북구 선거구에 출마, 재선되었으나, 12·12 사태와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반란 혐의로 징역 8년의 유죄 판결을 받고 의원직을 상실했다. 1997년 12월 형 집행이 면제되었지만, 이후 제16대, 제17대 총선에서 연이어 낙선한 후 정계를 은퇴했다.[5] 2000년 이후 현대사회연구소 소장, 미래한국재단 소장을 역임했다.[1]

2021년 전두환 사망 후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6] 그는 박정희 암살 사건 이후 최태민강원도로 격리시키고 최태민의 횡령·사기 혐의를 조사한 인물이다.[7]

2. 1. 초기 생애 및 군 복무

1937년 10월 15일 경상북도 영일군 장기면 계원리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김해이며, 자는 봉우(鳳宇), 호는 우민(佑民)이다. 경상북도 영일군 포항읍 용흥리에서 성장하였으며 그 일대는 그의 일가가 사는 집성촌이었다.[4] 포항국민학교, 포항중학교, 포항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61년 2월 육군사관학교를 17기로 졸업하고 1961년 3월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으며 군사주특기는 정보 병과였다. 1976년 육군대학을 수료하였다. 육군 제15보병사단 수색중대 소대장[11]과 육군 제1군단 작전처 교육장교를 거쳐 1963년 제1공수특전단 게릴라전 교관을 역임했다.[11] 당시 그의 계급은 중위였고 이때 그는 소령이었던 전두환을 처음 만나게 되었다.[11]

베트남 전쟁에 파병되었다가 귀국한 후 1968년 보안사령부에 배속되었다. 이후 육군 제9보병사단 대대장, 1977년 육군 제9보병사단 작전참모, 정보사령부 특검단 검열담당관, 1979년 국군 보안사령관 비서실장 등을 지냈다. 군내 사조직 '하나회'의 구성원이기도 하였다.

2. 2. 12.12 군사반란과 신군부 집권

1979년 전두환 보안사령관 비서실장(육군 대령)을 역임하였으며, 10.26 사태 이후 전두환을 도와 박정희 전 대통령 시해범 수사를 지원하였다.[11] 군내 사조직 '하나회'의 구성원이었다.[11]

같은 해 12월 신군부를 중심으로 한 12·12 쿠데타에 가담했는데, 이는 대통령의 재가 없이 직속 상관을 무력으로 불법 체포한 명백한 하극상이었다.[11] 12·12 쿠데타와 5.17 비상 계엄 시기에 허삼수, 장세동, 허문도와 함께 전두환을 최측근에서 보좌하였다.[11]

1980년 9월 9일 대통령 보좌관이 되고, 육군 준장으로 예편하였다.[11]

2. 3. 전두환 정권과 결별

1982년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에서 전두환의 친인척의 공직 사퇴를 제안했기 때문에 전두환과 멀어졌고, 같은 해 말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5][3]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헤리티지재단에서 고급 연구원으로 일했다.[1]

2. 4. 정치 활동 및 의원직 상실

1992년 제14대 총선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북 포항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김영삼을 지지하며 민주자유당에 입당했지만, 김영삼 대통령 재임 중 12·12 사태 관련자에 대한 사법 처리가 추진되어 구속되었다. 1996년 제15대 총선에서 옥중에서 무소속으로 포항시 북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재선되었으나, 12·12 사태와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반란 혐의로 징역 8년의 유죄 판결을 받아 의원직을 상실했다.[5][3] 1997년 12월 형 집행이 면제되었지만, 이후 제16대, 제17대 총선에서 연이어 낙선한 후 정계를 은퇴했다.[5]

3. 정계 은퇴 이후

2000년 이후 현대사회연구소와 미래한국재단 소장을 역임했다.[1] 2021년 전두환이 사망하자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6]

참고로, 허화평은 박정희 암살 사건 이후 최태민강원도로 격리시키고 최태민의 횡령·사기 혐의를 조사한 인물이다.[7]

4. 논란 및 평가

허화평은 제5공화국 출범의 핵심 인물 중 하나였지만, 그의 행적과 발언은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12·12 군사 반란5·18 광주 민주화 운동 진압에 가담한 그는, 자신의 행동을 "군인으로서 소임을 다한 것"이라고 주장했다.[11] 또한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해서는 "피해자들의 용서 없이는 사과도 없다"고 발언하여[16] 진보 성향 시민단체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제5공화국을 옹호하는 발언도 논란이 되었다. 그는 제5공화국이 김영삼김대중의 과도한 압박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탄생한 것이며, 전두환 정권이 가장 청렴하고 모범적이라고 주장했다.[3] 그러나 전두환은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하고 추징금을 미납한 사실이 드러나 그의 주장은 설득력을 잃었다.[17]

최순실 게이트 이후에는 TV조선과의 인터뷰에서 박정희를 "최태민의 정신적 포로"라고 표현하며, 박근혜가 군부에 "세마음봉사단" 재건을 요청했다고 폭로하기도 했다.[7]

4. 1. 12.12 군사반란 및 5.18 민주화운동 관련 논란

1979년 3월 육군 대령으로 재직 중 전두환 보안사령관 비서실장을 역임했으며, 10.26 사태 이후 전두환을 도와 박정희 전 대통령 시해범 수사를 지원하였다.[11] 전두환, 노태우 등을 중심으로 한 군내 사조직인 하나회의 회원이었다.

같은 해 12월 신군부를 중심으로 한 12·12 쿠데타에 가담했는데, 이는 대통령의 재가 없이 직속 상관을 무력으로 불법 체포한 명백한 하극상이었다. 12·12 쿠데타와 5.17 비상 계엄 시기에 허삼수, 장세동, 허문도하고 함께 전두환을 최측근에서 보좌하였다. 제5공화국 출범 전 허화평은 허삼수 보안사령부 인사처장, 이학봉 보안사령부 대공처장 등과 함께 '보안사 3인방'으로 불렸으며, 전두환의 집권 시나리오를 그린 것으로 알려졌다.[11]

그러나 전두환5·18 광주 민주화 운동 직후 혼란이 오게 되고 다들 자신의 등을 떠밀어서 5공화국이 출범했다고 주장했다.[11] 그러나 이는 하극상을 일으킨 타락한 군인의 변명일 뿐, 허화평을 포함한 하나회 12·12 군사 반란 세력들은 상관인 정승화 육참총장을 대통령의 사전 동의 없이 체포하는 것을 계기로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는 광주시민들을 무력으로 진압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정권을 찬탈한 뒤에는 기업인들로부터 정치자금을 갈취하거나 혈세를 개인적으로 유용하는 등 비리도 심각하여, 전두환 등은 법원으로부터 2205억 원으로 추징금을 선고 받기도 하였다.

5공 세력들의 일련의 악행들은 역사적 고증을 거쳐 MBC 드라마 '제5공화국'으로 방영되기도 하였다.

허화평은 "12.12 당시 자신은 군인이자 보안사령관 비서실장으로서 소임을 다 했을 뿐"이라고 밝혔다.[11] 또한 그는 "광주사태 피해자들의 용서 없이는 사과도 없다"고 못박았다.[16] 이 발언으로 진보적 성향의 시민단체들로부터 비난이 이어졌고 그가 가장 ‘청렴한 정부’라고 주장하는 5공화국 당시 대통령(전두환)은 1996년 1월에 5천억원대의 비자금을 관리했던 사실이 밝혀졌고 법원판결이난 추징금 2205억원중 1673억원을 아직도 납부하지 않은 상태다.[17]

4. 2. 5공화국 옹호 발언

허화평은 김대중김영삼이 없었다면 5공화국은 탄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11] 그는 "박정희라는 절대 권력자가 쓰러지자 YSDJ는 자기들 세상이 왔다고 생각하며 최규하 정권을 유신의 잔당으로 얕잡아 봤다, 무정부주의를 구사한 그들이 최규하 정부를 너무 압박해 군부가 나서지 않을 수 없었다"며 "YSDJ가 욕심 내지 않았다면 5공은 탄생하지 않았을것"이라며 12.12와 5.17 비상계엄의 불가피성을 역설하기도 했다.[15] 허화평은 제5공화국이 시대의 산물이며, 박정희가 죽은 후 김영삼김대중이 자신들의 시대가 왔다고 생각하여 신군부를 지나치게 압박했고, 신군부가 그들에게 반격하기 위해 제5공화국을 수립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전두환제5공화국이 가장 청렴하고 모범적이라고 말하며,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한 사과에 대해서도 광주광역시민 측이 먼저 화해의 손을 내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3]

4. 3. 최태민 관련 폭로

최순실 게이트 이후 TV조선과의 인터뷰에서 박근혜박정희 사망 후 "세마음봉사단" 재건을 군부에 두 차례 요청한 사실을 언급하며, 박정희를 "최태민의 정신적 포로"라고 표현했다.[7]

5. 저서

출판 연도제목출판사
2014경제 민주화를 비판하다도서출판 기파랑
2011가장 근원적인 것에 대하여: 허화평의 개헌청원론도서출판 인간사랑
2007이념은 날개가 아니다도서출판 새로운사람들
2002지도력의 위기 1, 2도서출판 새로운사람들
1998허화평 - 굽은 길도 바로간다도서출판 새로운사람들


6. 상훈

보국훈장 삼일장[1], 충무무공훈장[12][1]

7. 가족 관계


  • 배우자: 김경희(1943년 ~ )
  • 1남 2녀
  • 동생: 허화남
  • 5촌 친척: 허명환 (전 국무총리실 자치분권국장)[4]

8. 학력

9. 허화평을 연기한 배우들

10.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92년총선무소속69,395표 (46.33%)1위당선초선
1996년총선무소속48,251표 (44.22%)1위당선재선
2000년총선민주국민당32,261표 (30.47%)2위낙선
2004년총선무소속17,628표 (16.08%)3위낙선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8-28
[2] 웹사이트 '5공실세' 허문도 전 국토통일원 장관 별세(종합) https://www.yna.co.k[...] 2016-03-05
[3] 웹사이트 "광주가 용서하면 전두환도 사과" http://www.ohmynews.[...] 2005-09-12
[4] 웹사이트 [고향&인물] 6.포항시 북구 기계면 http://www.kyongbuk.[...] 2016-10-04
[5] 웹사이트 전두환 사망 '쓰리 허'와 장세동…5공 실세들의 현재는 https://www.yna.co.k[...] 2021-11-23
[6] 웹사이트 [포토] 빈소 찾은 허화평 미래한국재단 이사장 https://www.newdaily[...] 2021-11-24
[7] 웹사이트 [TV조선 단독] '최태민 격리 조치' 허화평 "朴, 최태민의 정신적 포로" http://news.tvchosun[...] 2016-11-02
[8] 웹사이트 이 '간첩 전과자' 따질 자격 있나? https://m.pressian.c[...] 2018-08-24
[9] 웹사이트 허화평 前의원, 허명환 예비후보 방문 http://www.kbmaeil.c[...] 2016-02-21
[10] 웹사이트 ‘전두환 참모’ 5공실세 허화평 근황 공개 http://www.ilyosisa.[...] 2013-07-15
[11] 간행물 인물과 사상 인물과사상사 2005-11
[12] 기타
[13] 웹인용 털어놓고 하는 이야기 - 허화평 前 대통령 정무수석 (上)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12-03
[14] 웹인용 [어떻게 지내십니까?] 張泰玩 전 수도경비사령관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10-01
[15] 웹사이트 광주가 용서하면 전두환도 사과 http://www.ohmynews.[...] 2005-09-12
[16] 웹사이트 광주가 먼저 용서하라 http://www.ohmynews.[...] 2005-09-12
[17] 뉴스 “5공화국은 가장 청렴하고 모범적인 정부”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5-09-13
[18]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