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우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우사인(Hausa people)은 북부 나이지리아와 남부 니제르를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서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족이다. 13세기 하우사 제국을 건설하고 사하라 사막 교역을 통해 번영했으며, 현재 나이지리아와 니제르에서 다수를 차지한다. 하우사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들이 많다. 하우사 문화는 독특한 전통 복식, 건축 양식, 스포츠, 음식 등을 포함하며, '다긴 아레와'라는 별 모양 문양이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제르의 민족 - 투부족
    투부족은 사하라 사막 지역에 거주하며 테다족과 다자족으로 구성된 민족으로, 가축을 기르고 농사를 지으며 탄산나트륨을 채취하고, 부계 씨족 중심의 사회를 이루며, 지역 분쟁에도 연루되었다.
  • 니제르의 민족 - 카누리족
    카누리족은 니제르 남동부, 나이지리아 북동부, 카메룬 북부에 거주하며 카네므-보르누 제국을 건설한 니로-사하라어족 집단으로, 주로 수니파 무슬림이고 카누리어를 사용하며, 다양한 하위 집단으로 구성되어 나이지리아와 니제르의 정치, 경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나이지리아의 민족 - 카누리족
    카누리족은 니제르 남동부, 나이지리아 북동부, 카메룬 북부에 거주하며 카네므-보르누 제국을 건설한 니로-사하라어족 집단으로, 주로 수니파 무슬림이고 카누리어를 사용하며, 다양한 하위 집단으로 구성되어 나이지리아와 니제르의 정치, 경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나이지리아의 민족 - 이보족
    이보족은 나이지리아 남동부에 거주하며, 자치적인 공동체와 정치 체제를 발전시키고 독특한 문화, 언어, 예술, 종교를 유지하며 나이지리아 내전과 분리주의 운동을 겪었다.
하우사인
기본 정보
하우사 민족의 깃발
하우사 민족의 상징. 역사적이고 전통적인 건축, 디자인 및 손 자수에 사용된 '다긴 아레와' 또는 '북부 매듭'
인구약 8,600만 명
주요 거주 지역나이지리아
니제르
코트디부아르
가나
수단
카메룬
베냉
에리트레아
토고
가봉
알제리
언어하우사어
종교이슬람교
다른 이름مُتَنٜىٰنْ هَوْسَا / هَوْسَاوَا (Mutanen Hausa / Hausawa)
관련 민족다른 차드어족 사용자, 쿠시어족, 하베샤 민족, 오모어족 사용자, 나일사하라어족 및 투아레그족
인구 분포
나이지리아71,000,000 명 (2024년 추정, 나이지리아 전체 인구의 30%)
니제르13,800,000 명 (2021년)
코트디부아르1,000,000 명
가나275,000 명
수단664,000 명
카메룬400,000 명
베냉36,360 명 (베냉 인구의 0.3%)
에리트레아30,000 명
토고21,900 명
가봉17,000 명
알제리12,000 명

2. 인구 분포

하우사족은 주로 나이지리아 북부와 니제르 남부에 집중적으로 거주하며, 주변국에도 흩어져 살고 있다. 나이지리아에서는 요루바족, 이보족과 함께 3대 민족 중 하나이며, 그 중에서도 인구가 가장 많아 건국 이후 나이지리아의 실권을 쥐어 왔다. 니제르에서는 인구의 55.4%(2001년)를 하우사인이 차지하고 있었지만,[91] 1993년 민주화 이전까지는 국가의 실권을 잡지 못했다. 니제르의 하우사인들은 남부의 마라디와 잔데르 지방에 주로 거주하고 있다.[92]

나이지리아에서는 풀라니족과의 동화가 진행되어 하우사-풀라니족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카노자리아 등의 도시는 하우사인 중심의 도시이다. 한편, 니제르에서는 하우사인이 최대 민족이었지만, 지배권은 수도 니아메 주변의 Zarma people|젤마족영어이 계속 쥐고 있었다.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시대부터 프랑스는 젤마족을 우대하여 엘리트를 배출했기 때문이다. 하우사인들이 정치의 전면에 나선 것은 1993년 민주화 이후였다.

2. 1. 나이지리아와 니제르 외 지역

하우사인들은 지난 500년 동안 아프리카의 사방을 군사 복무,[23][24] 장거리 무역, 사냥, 하지 수행, 억압적인 하우사 봉건 왕으로부터의 도피, 이슬람 전파 등 다양한 이유로 돌아다녔다.

하우사인의 고향은 북부 나이지리아와 남부 니제르에 위치한 하우사랜드("카사르 하우사")이지만, 아프리카와 서아시아 전역에서 발견된다. 케임브리지 학자 찰스 헨리 로빈슨은 1890년대에 "하우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정착지가 알렉산드리아, 트리폴리, 튀니스에서 발견된다"고 적었다.

다음은 나이지리아와 니제르 외의 국가별 하우사인 민족 인구 분포를 보여주는 표이다.[26][27]

국가인구
Côte d'Ivoire|코트디부아르영어835,000
Sudan|수단영어664,000[28]
Cameroon|카메룬영어400,000
Chad|차드영어287,000
Ghana|가나영어281,000
Central African Republic|중앙아프리카 공화국영어33,000
Eritrea|에리트레아영어30,000[11]
Benin|베냉영어36,360[10]
Equatorial Guinea|적도 기니영어26,000
Togo|토고영어21,000
Congo|콩고 공화국영어12,000
Gabon|가봉영어17,000
Algeria|알제리영어11,000
Gambia|감비아영어10,000


3. 역사

하우사족의 역사는 500년에서 700년 사이에 누비아 지방에서 서서히 서진해 온 것으로 여겨진다. 11세기에는 카넴-보르누 제국의 카누리인으로부터 이슬람교를 전해 받았다.

1906년, 진데르 술탄 궁정의 사진.


7세기에는 카노의 달라 언덕이 가야에서 이주하여 철기 제작에 종사한 하우사 공동체의 위치였다.[36] 하우사 바크와이 왕국은 7세기에서 11세기 사이에 세워졌다. 이들 중 다우라 왕국은 바야지다 전설에 따르면 최초의 왕국이었다.[37]

15세기 초까지 하우사족은 ''아자미''로 알려진 수정된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자체 언어를 기록했다. 하우사족은 여러 기록된 역사를 편집했는데, 가장 인기 있는 것은 ''카노 연대기''였다.[41]

무하마드 룸파는 카노 주의 카노 술탄국 술탄이었다. 그는 1463년부터 1499년까지 통치했다.[43] 룸파의 업적 중에는 도시 성벽 확장, 기단 룸파 건설, 노예를 정부 요직에 임명, 쿠르미 시장 설립 등이 있다.[44][45]

전설적인 여왕 아미나는 15세기와 16세기 사이에 34년 동안 자자우를 통치한 것으로 여겨진다. 아미나는 그녀의 도시를 둘러싼 강력한 흙벽을 만든 건축 감독관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는 모든 하우사 주에서 사용된 요새의 원형이었다.[47]

19세기의 하우사-풀라니 소코토 칼리프국

영국 통치 하에서는 간접 통치가 이루어졌고, 현지의 권력 구조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는 하우사인에게 안정을 가져다주는 동시에, 영국의 교육 등이 하우사인 지역에 거의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남부의 이보족이나 요루바족에 비해 식민지 정부의 관리를 배출할 수 없었고, 남북 대립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3. 1. 하우사 왕국

13세기 무렵 하우사족은 하우사 제국이라 불리는 7개의 도시 국가를 건설하고 사하라 사막 교역에 종사하게 되었다. 15세기에는 송가이 제국에 종속되었지만, 송가이가 멸망하자 자립성을 회복했고, 사하라 사막 교역의 주요 경로도 이 지역을 통과하게 되면서 하우사족은 번영을 누렸다.[1]

3. 2. 소코토 칼리프국

1809년, 우스만 단 포디오의 지하드로 하우사인 지역 대부분이 소코토 제국 영토가 되었다.[3] 지배자가 된 풀라니족은 하우사인과 동화되어 현재는 거의 구별이 없어졌다.[3] 1904년, 소코토 제국이 영국에 의해 멸망하자, 북부 나이지리아 보호령으로서 영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4]

3. 3. 식민지 시대와 독립 이후

1960년 나이지리아가 독립하자 하우사족은 북부 인민 회의(NPC)를 결성하여 선거에서 승리했고, NPC의 타파와 발레와가 연방 초대 총리가 되었다. 하우사족은 의회에서의 우위를 이용하여 하우사족 중심의 정책을 추진했기 때문에, 특히 동부의 이보족의 반발을 샀다. 반대로 하우사족은 교육을 받고 상업에 능숙한 이보족이 북부로 진출해 오는 것을 경계했다.[1]

비아프라 전쟁이 종결된 후에도, 나이지리아에서 하우사족의 우위는 기본적으로 지속되고 있다.

3. 3. 1. 비아프라 전쟁

1966년 1월 15일, 존슨 아구이이-이론시 장군이 쿠데타를 일으켜 타파와 발레와 총리 등 북부 출신 정치인들이 살해되었다.[1] 그러나 하우사족은 이에 반발하여 5월에 카노를 비롯한 북부 여러 도시에서 이보족을 학살했고, 6월에 일어난 쿠데타로 이론시 장군도 살해되었다.[1] 9월에 다시 이보족 학살이 일어나자, 하우사족 주도의 정부에 반발한 이보족은 독립을 선언하고 전쟁(비아프라 전쟁)이 시작되었다.[1]

3. 3. 2. 니제르의 하우사족

니제르에서 하우사족은 인구의 55.4%(2001년)를 차지하는 최대 민족이다.[91] 하지만, 1993년 민주화 이전까지는 국가의 실권을 잡지 못했다.[91]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시대부터 프랑스는 수도 니아메 주변의 Zarma people|자르마족영어을 우대하여 엘리트를 배출했기 때문이다. 하우사족은 남부의 마라디와 잔데르 지방에 주로 거주한다.[92] 하우사족이 정치 전면에 나선 것은 1993년 민주화 이후였다.

4. 하위 집단

하우사인은 크게 하베(Habe), 하우사-풀라니(Hausa-Fulani), 반자(Banza) 세 집단으로 나뉜다.[62]


  • 하베(Habe): 순수한 하우사인으로 여겨진다. 1804년 이전 하우사 왕국의 통치자들이었다.
  • 하우사-풀라니(Hausa-Fulani): 하우사와 풀라니 혼혈이며, 대부분 하우사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15세기부터 19세기 초 사이에 형성되었다.
  • 반자(Banza): 하우사랜드에 존재했던 고대 부족들로, 역사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4. 1. 하베

하베는 순수한 하우사인으로 여겨진다. 고비라와(Gobirawa), 카바와(Kabawa), 루마와(Rumawa), 아다라와(Adarawa), 마우리 등이 하베에 속한다. 하베는 1804년 단포디오 혁명(지하드) 이전 하우사 왕국의 지배층이었다.[63]

4. 2. 하우사-풀라니

하우사-풀라니는 하우사화된 풀라인(Fulas)으로, 하우사와 풀라니 혼혈이며, 대부분 하우사어의 변종을 모국어로 사용한다. 하우사 족보에 따르면, 이들의 정체성은 15세기부터[60] 하우사랜드로 풀라 사람들의 이주와 19세기 초 셰이크 우스만 단포디오가 하우사 왕국에 대항하여 혁명을 일으켜 중앙집권적인 소코토 칼리파국을 건국한 결과로 생겨났다. 이들은 푸타 토로에서 기원한 조바와(Jobawa), 담바자와(Dambazawa), 무두바와(Mudubawa), 말라와(Mallawa), 술루바와(Sullubawa) 부족들을 포함한다.

4. 3. 반자

반자는 일부 현대 역사학자들에 따르면 하우사랜드에 존재했던 고대 부족으로, 사라진 언어를 사용했던 사람들이다. 이들의 역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64] 반자에 속하는 부족으로는 아자와(Ajawa), 게레(Gere), 반칼(Bankal) 등이 있다.[64]

5. 유전학

하우사족의 유전적 구성은 서유라시아 계통과 아프리카 계통의 혼합을 보여준다.

하우사족은 Y-DNA와 상염색체 DNA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인다. Y-DNA는 부계 혈통을 나타내며, 하우사족은 서유라시아 계통의 R1b 하플로그룹 비율이 높다. 반면, 상염색체 DNA는 전체적인 조상을 나타내며, 하우사족은 차드남수단의 닐로사하라어족 인구와 가장 가깝다.[68] 이는 하우사족이 아프리카아시아어족으로 언어 교체를 하기 전에는 나일사하라어족을 사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아레와 (나이지리아 북부) 하우사족에 대한 연구에서도 Y-DNA 구성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해당 연구 결과 E1b1a 47%, E1b1b 5%, 기타 Haplogroup E(E-M33, E-M75 등) 21%, R1b 18%, B 9%로 구성되어 있었다.[67]

2019년의 연구에서는 이보족, 하우사족 및 요루바족 부족의 남성 218명의 X-STR 분석 결과, 유전적 친화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발견했다. 이는 X 염색체 마커에 대한 나이지리아 민족 집단의 동질성을 보여준다.[69] 2024년 연구에서도 요루바족, 이보족, 하우사족에서 X 염색체(mtDNA)의 동질성이 유사하게 발견되었다. 그러나 Y 염색체에서는 차이점이 발견되었는데, 하우사족은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사용자와 관련된 부계 혈통이 더 많은 반면, 요루바족과 이보족은 다른 니제르콩고어족 사용 그룹과 부계적으로 관련되어 있었다.[70] 구체적으로, 요루바 남성과 이보 남성에서 E-M2가 90%의 높은 비율로 나타난 반면, 하우사 남성은 E-M2가 43%, R1b-V88이 32%, A 9%, E1a 6%, B 5%였으며, 다른 혈통이 5%를 차지했다.[70]

5. 1. Y-DNA

수단의 하우사족은 서유라시아 계통의 R1b 하플로그룹을 높은 비율로 보유하고 있다.[66] 하산 등(Hassan et al.)의 Y-DNA 연구(2008)에 따르면, 수단의 하우사족의 약 47%가 R1b를 보유하고 있다. 나머지는 다양한 아프리카 부계 혈통에 속한다: 15.6% B, 12.5% A 및 12.5% E1b1a. 약 4%는 북아프리카아프리카의 뿔에서 가장 흔한 E1b1b 클레이드 보균자이다.[66]

5. 2. 상염색체 DNA

티쉬코프(Tishkoff et al.) 등의 2009년 상염색체 DNA 연구에 따르면, 하우사족은 차드남수단의 닐로사하라어족 사용 인구와 유전적으로 가장 가깝다.[68] 이는 하우사족과 다른 현대 차드어파 사용 인구가 원래 닐로사하라어족을 사용했으며, 수천 년 전 해당 지역으로 이주한 후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를 채택했음을 시사한다.[68]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 ''K = 5-13에서 남수단과 차드의 모든 닐로사하라어족 사용 인구는 서부-중앙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차드어족 사용 인구와 묶인다(그림 S15). 이 결과는 언어학적 및 고고학적 데이터와 일치하며, 지난 ≈10,500년 동안 동부 수단의 고향에서 발생한 닐로사하라어족 사용 인구의 가능한 공통 조상과 호수를 거쳐 서쪽으로 차드 호수, 남쪽으로 현대 남수단으로의 양방향 이주, 그리고 ≈3,000년 전에 케냐와 탄자니아로의 더 최근의 동쪽 이주(남부 나일어족 사용 인구의 발생)와 ≈2,500년 전에 차드로의 서쪽 이주(중앙 수단어족 사용 인구의 발생)를 시사한다. 중앙 사하라에서 차드호 분지로의 proto-Chadic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사용자의 ≈7,000년 전의 제안된 이주는 많은 서부 닐로사하라족이 차드어족 언어로 전환하게 했을 수 있다(S99). 우리의 데이터는 이러한 전환이 많은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유전자 흐름을 동반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mtDNA 분석은 차드어족 인구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뚜렷한 mtDNA 계통의 ≈8,000년 전의 분기를 증명하며, 이들 인구의 대부분의 mtDNA 계통에 대한 동아프리카 기원을 시사한다(S100)''.[68]

6. 문화

하우사족의 문화는 이슬람교와 토착 신앙, 농경과 상업 등 다양한 요소들이 융합된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나이지리아에서 독특한 문화적 관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오랜 전통과 문화적 자긍심, 효율적인 식민지 이전의 토착 정부 시스템 덕분에 서구 유럽 문화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고유한 의상, 음식, 언어, 결혼 제도, 교육 시스템, 전통 건축, 스포츠, 음악 및 기타 형태의 전통적인 오락을 유지해 왔다.

6. 1. 언어

니제르와 나이지리아의 하우사족의 언어학적 영토


하우사어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다른 어떤 아프리카의 언어보다 모국어 사용 인구가 많다. 모국어 사용 인구는 약 5천만 명이며, 제2 언어 사용 인구는 3천만 명에 육박한다.[71] 하우사어는 나이지리아 북부와 니제르 남부에서 주로 사용되며, 가나, 카메룬, 차드, 코트디부아르 북부와 풀라니족, 투아레그족, 카누리족, 구르족, 슈와 아랍인 등 다른 언어 사용자들 사이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또한 모든 주요 아프리카 도시에는 "zango" 또는 "zongo"라고 불리는 하우사어 사용 공동체가 존재한다. 대부분의 하우사어 사용자는 무슬림이며, 하우사어는 하우사어가 아닌 지역의 무슬림 사이에서 공용어 역할을 한다.

하우사어는 소설, 시, 연극, 이슬람교 관련 서적, 신문, 잡지 등 다양한 인쇄물에 사용된다. 나이지리아 북부와 니제르 남부에서는 하우사어로 방송되는 라디오와 텔레비전이 흔하며, 카메룬의 라디오 방송국과 BBC,[72][73][74] VOA,[75][76] 도이체 벨레, 모스크바 라디오, 중국국제방송, RFI 프랑스, 이란 이슬람 공화국 방송 IRIB World Service 등과 같은 국제 방송사도 하우사어로 방송한다.[77] [78] [79] [80] [81] [82]

하우사어는 나이지리아 북부 학교의 초등학교에서 교육 언어로 사용되며, 나이지리아 북부 대학교에서는 학습 과정으로 제공된다. 또한, 영국, 미국, 독일의 여러 대학에서 하우사어로 석사 및 박사 학위가 제공되며, 전 세계 여러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에서도 사용된다.

하우사어는 세계 주요 언어 중 하나로 간주되며, 여러 아프리카 국가에서 널리 사용된다. 하우사어의 풍부한 문학은 인쇄물, 오디오, 비디오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하우사어 연구는 이슬람교 아프리카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아프리카 전역에서 하우사어와 이슬람교는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다.[49]

하우사어는 아프리카의 많은 비하우사 무슬림의 언어에 영향을 미쳤으며, 복장, 음식 등 많은 하우사 문화 관습이 다른 무슬림 공동체와 공유된다. 하우사어와 문화는 오랫동안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해 왔기 때문에, 하우사어 연구는 아프리카 역사, 특히 나이지리아와 니제르의 정치, 젠더 연구, 상업 및 예술 분야에 중요한 배경 지식을 제공한다.

6. 2. 종교

수니파 말리키 학파 이슬람교는 하우사족의 지배적이고 역사적으로 확립된 종교이다. 이슬람교는 11세기 초부터 하우사랜드에 존재해 왔으며, 카치나의 왈리 무함마드 단 마사니 (1667년 사망)와 왈리 무함마드 단 마리나 (1655년 사망)와 같은 유명한 토착 수피 성인과 학자들을 배출했다.[83] 주로 북아프리카와의 장거리 무역을 통해 일반인들에게 전파되었으며, 지배 계층은 대부분 이교도를 유지하거나 이슬람교와 이교도 관습을 혼합하여 실천했다. 14세기까지 하우사 상인들은 이미 가나, 코트디부아르 등 서아프리카 전역에 이슬람교를 전파하고 있었다.

19세기 초 무슬림 학자들은 왕실에서 행해지는 혼합 종교를 비난했고, 개혁에 대한 열망은 소코토 칼리파테 형성에 기여했다.[83] 이 국가의 형성은 농촌 지역에서 이슬람교를 강화했다. 하우사족은 서아프리카에서 이슬람교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오늘날, 현 소코토 술탄은 나이지리아 및 그 외 지역의 수니파 하우사-풀라니의 전통적인 종교 지도자(''사르킨 무술미'')로 여겨진다.

마구잔치 (아프리카 전통 종교)는 이슬람교 이전에 광범위하게 실천되었다. 하우사랜드의 외진 지역에서는 여전히 마구잔치가 행해지고 있다. 도시 지역에 가까울수록 그 빈도는 줄어들지만, 도시 거주자들의 신념 속에는 여전히 그 요소들이 남아 있다. 마구잔치 관행에는 개인적인 목적을 위한 동물의 희생이 포함되지만, 해를 입히기 위한 마구잔치 마법 실천은 정당하지 않다. 도시 지역 사람들은 보리라고 알려진 "정령 소유 숭배"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아프리카 전통 종교와 마법과 종교의 오래된 종교 요소를 통합한다.[84]

1960년에 촬영된 카노 대사원. 나이지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사원 중 하나이며, 15세기에 21대 사르킨 카노인 무함마드 룸파에 의해 지어졌다.

6. 3. 복식

하우사족의 전통 복식은 남성과 여성의 복장이 뚜렷하게 구분된다. 남성의 경우, 통풍이 잘 되는 헐렁한 가운인 밥반 리가(Babban riga) 와 바지를 입는다. 밥반 리가는 목과 가슴 부위에 정교한 자수 장식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다리 부분은 꽤 꽉 끼는 편이다.[85] 가죽 샌들과 터번(알라쇼)도 일반적인 남성 복식이다. 또한, '훌라(hula)'라고 불리는 화려한 자수 모자를 착용하며, 신분이나 직업에 따라 터번으로 얼굴을 가리기도 한다. '타구와(tagguwa)'라는 종류의 셔츠도 입는다.

여성의 경우, 화려한 천으로 만들어진 랩퍼(wrapper)인 자니(zani) 를 입는다. 이 천은 아탐파(atampa) 또는 앙카라라고 불리며, 하우사족의 전통 염색 기법으로 만들어진다. 자니와 함께 블라우스, 머리 끈(칼라비), 숄(잘레)을 착용한다.

하우사족 여성들은 손에 헤나(랄레) 문양을 그리는 전통이 있는데, 이는 다른 무슬림, 특히 사헬 지역 여성들과 공유하는 문화이다. 또한, 베르베르족, 하베샤, 고대 이집트인, 아랍 민족처럼 눈가에 (콰알리)을 사용하여 아이섀도우를 칠하고, 얼굴 대칭을 강조하는 화장법을 사용한다.[85]

6. 4. 건축

하우사족의 건축 양식은 중세 시대에 가장 덜 알려진 건축 양식 중 하나이다. 초기 모스크와 궁전은 밝고 다채로우며, 복잡한 조각이나 정교한 상징이 외관에 디자인되어 있다.[86] 이러한 건축 양식은 하우사어로 '건축'을 의미하는 ''투발리''(Tubali)로 알려져 있다. 고대 카노의 성벽은 증가하는 인구를 보호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성벽 건설의 기초는 1095년부터 1134년까지 사르키 기지마수(Sarki Gijimasu)에 의해 놓였으며, 14세기 중반에 완공되었다. 16세기에는 성벽이 현재 위치까지 더 확장되었다. 성문은 성벽만큼 오래되었으며, 도시 안팎으로 사람들의 이동을 통제하는 데 사용되었다.[44]

하우사 건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입방체 구조의 건조된 진흙 벽돌
  • 사회적 엘리트를 위한 다층 건물
  • 군사/요새 건축의 과거와 관련된 파라펫 사용
  • 주택 정면을 위한 전통적인 흰색 스투코와 플라스터 사용


때때로 외관은 다양한 추상적인 부조 디자인으로 장식될 수 있으며, 때로는 거주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선명한 색상으로 칠해지기도 한다.[86]

6. 5. 스포츠

하우사 문화는 권투(담베), 막대기 싸움(Takkai), 레슬링(코코와) 등 전통 스포츠 행사가 풍부하며, 원래 수확을 기념하기 위해 조직되었지만 여러 세대에 걸쳐 오락 목적으로 스포츠 행사로 발전했다.

담베는 서아프리카의 하우사족과 관련된 전통 무술이다. 그 기원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나이지리아 무술 문화 연구자인 에드워드 파우는 하우사 권투 선수들의 자세와 한 손을 감싼 주먹이 고대 이집트의 12, 13 왕조 권투 선수들의 이미지와 매우 유사하다는 점을 발견했다.[87]

담베는 원래 하우사 도살자 계급의 하층민 사이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군사 기술을 연마하는 방식으로 발전하다가 여러 세대에 걸쳐 북부 나이지리아에서 스포츠 행사로 발전했다. 경기는 시간 제한이 없는 3라운드 이하로 진행된다. 상대방이 KO를 당하거나, 선수의 무릎, 몸 또는 손이 땅에 닿거나, 활동이 없거나, 심판에 의해 중단되면 라운드가 종료된다.[87]

담베의 주요 무기는 "창"으로 불리는 한 손이다. 이 손은 두꺼운 면 붕대로 주먹에서 팔뚝까지 감싼 다음 소금에 담가 말린 매듭 끈으로 고정하여 상대방에게 큰 피해를 입힌다. 다른 팔은 열린 상태로 "방패" 역할을 하여 상대방의 공격으로부터 선수의 머리를 보호하거나 상대방을 잡는 데 사용된다. 선수들은 대개 눈썹이 찢어지고 턱과 코가 부러지거나 뇌 손상을 입기도 한다. 담베 선수들은 상금으로 돈, 소, 농산물 또는 보석을 받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마을과 싸우는 씨족의 대표성을 통해 명성을 얻기 위해 싸웠다.[87]

하우사 전통 권투 담베


하우사인은 민족 고유의 담베라고 불리는 격투기를 예로부터 전해오고 있다.

6. 6. 음식

하우사족은 주로 수수, , , 옥수수와 같은 곡물을 가루로 갈아 만든 '투워'라는 음식을 먹는다.[95]

아침 식사로는 보통 콩을 갈아 튀긴 케이크인 '코사이'나, 밀가루를 하루 동안 담가 튀겨 설탕이나 고추와 함께 먹는 '푼카소'를 먹는다. 이 두 가지 케이크는 '쿠누'나 '코코'라고 불리는 과 함께 먹기도 한다. 점심이나 저녁에는 '투워 다 미야'라고 하는 걸쭉한 죽에 국물과 스튜를 곁들여 먹는다. 국물과 스튜는 주로 갈거나 다진 토마토, 양파, 그리고 현지 향신료로 만든다.[95]

국물에는 시금치, 호박, 오크라 같은 향신료와 채소를 넣는다. 스튜는 이슬람교의 음식 제한 때문에 돼지고기를 쓰지 않고 염소 고기나 소고기를 넣는다. , 땅콩, 우유단백질 보충을 위해 먹는다.[95]

킨킹가(수야), 가나의 하우사 노점상이 준비한 인기 있는 양념 케밥


킬리시, 육포와 유사한 하우사 음식


하우사 음식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나이지리아를 비롯한 서아프리카 여러 지역에서 즐겨 먹는 매운 꼬치 구이인 츠이레이다.[95] 츠이레의 건조 버전은 킬리시라고 한다.[95]

6. 7. 문학

하우사어 문학은 식민지 시대 이전부터 아자미로 알려진 아랍 문자 변형 문자로 기록되어 왔다. 신뢰할 수 있는 연대가 있는 가장 오래된 하우사어 아자미 필사본은 1600년대에 살았던 카노 학자 압둘라 수카의 저서인 "루와야르 안나비 무사"이다. 이 필사본은 조스 박물관 소장품에서 볼 수 있다.[89] 카치나 출신의 수피교단의 유명한 학자이자 성자인 단마리나와 단마사니 역시 1600년대부터 훨씬 이전부터 아자미와 아랍어 시를 짓고 있었다. 점차 더 많은 하우사어 아자미 필사본이 쓰여졌으며, 18세기와 19세기에 걸쳐 그 양이 증가했으며 20세기까지 이어졌다. 특히 19세기는 우스만 단 포디오의 이슬람 개혁으로 더욱 큰 추진력을 얻었는데, 그는 남녀 모두의 문해력과 학문을 장려한 다작의 작가였으며, 그 결과 그의 딸들 중 여러 명이 학자이자 작가로 등장했다. 오늘날 아자미 서적 출판은 로마자 표기 하우사어, 즉 보코 출판에 의해 크게 추월당했다.

1980년대 후반 작가 발라라바 라마트 야쿠부가 인기를 얻으면서 하우사 여성 작가들을 중심으로 한 현대 문학 운동이 성장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작가들은 카노 시장 문학으로 알려진 독특한 장르를 촉발했는데, 이는 책들이 종종 자가 출판되어 나이지리아 시장에서 판매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러한 소설들은 종종 낭만적이고 가족 드라마인데, 하우사 전통과 생활 방식에서는 찾기 힘든 내용이라서 특히 여성 독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다. 이 장르는 또한 ''리타타판 소야야'', 즉 "사랑 문학"이라고도 불린다.[90]

6. 8. 상징

하우사족의 전통적인 상징은 '다긴 아레와'(Dagin Arewa) 또는 북부 매듭이라고 불리는 별 모양 문양으로, 역사적인 건축물, 디자인, 자수에 사용된다.[2] 1966년에는 하우사 민족기가 제안되었는데, 이 기는 위에서부터 빨간색, 노란색, 쪽빛, 녹색, 베이지색의 다섯 가로 줄무늬로 이루어져 있다.[2]

참조

[1] 웹사이트 Flag of the Stateless Nations http://www.stateless[...] Stateless-nations.com 2022-08-07
[2] 웹사이트 Hausa ethnic flag https://web.archive.[...] 2017-04-25
[3] 간행물 Hausa Hand-Embroidery and Local Development in Northern Nigeria https://digitalcommo[...] 2002-01
[4] 웹사이트 Hausa embroidered tunic https://collection.m[...]
[5] 뉴스 Nigeria country profile https://www.cia.gov/[...] CIA's The World Factbook
[6] 웹사이트 Africa: Niger –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21-04-27
[7] 웹사이트 Hausa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0-30
[8] 웹사이트 Hausa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0-30
[9] 웹사이트 Sudan https://www.axl.cefa[...] 2023-12-08
[10] 웹사이트 Beninese Culture – Haoussa 0.3% https://beninembassy[...] 2021-10-29
[11] 웹사이트 Nigerian Eritreans – The history of Hausa and Bargo in Eritrea http://www.madote.co[...]
[12] 웹사이트 Hausa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1-05
[13] 서적 Sabon tarihin : asalin hausawa https://www.worldcat[...] MJB Printers 2019
[14] 웹사이트 Ethnicity in Nigeria https://www.pbs.org/[...] 2022-12-07
[15] 웹사이트 Top 10 largest tribes in Africa https://newswirengr.[...] 2022-12-07
[16] 웹사이트 All In The Language Family: The Afro-Asiatic Languages https://www.babbel.c[...] 2021-04-06
[17] 웹사이트 Hausa https://www.ethnolog[...] 2022-01-17
[18] 서적 Makad̳a da mawak̳an Hausa https://www.worldcat[...]
[19] 서적 the Hausa factor in west African History, Ahmadu Bello University, Zaria – Nigeria
[20] Thesis The role of the horse in Hausa culture http://minds.wiscons[...] 2015-11-04
[21] 웹사이트 "» Horse Talk: Horse Breeding in Niger Esther Garvi: Niger, West Africa" https://web.archive.[...] 2015-11-04
[22] 서적 The Great Province lugga press
[23] 서적 The Yoruba-speaking Peoples of the Slave Coast of West Africa: Their Religion, Manners, Customs, Laws, Language, Etc. With an Appendix Containing a Comparison of the Tshi, Gã, Ew̜e, and Yoruba Languages https://books.google[...] Chapman and Hall 1894
[24] 서적 Hausa: (Niger, Nigeria)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Inc 1995-12-15
[25] 웹사이트 Hawsawi: Uncovering the history of Saudi Arabia's Afro-Arab Hausa community https://www.middleea[...]
[26] 웹사이트 Ethnologue.com entry for Hausa https://web.archive.[...] 2011-07-25
[27] 웹사이트 La famille chamito-sémitique (ou afro-asiatique) https://web.archive.[...] Universite Laval 2017-04-25
[28] 웹사이트 Sudan https://www.axl.cefa[...] 2023-12-08
[29] 웹사이트 Hausa Dialect Frame https://web.archive.[...] 2015-11-04
[30] 웹사이트 Karatun Allo: The Islamic System Of Elementary Education In Hausaland http://www.gamji.com[...]
[31] 서적 The Great Province lugga Press
[32] 서적 Nigerian Perspectives: Historical Anthology Oxford Paperbacks
[33] 서적 Travels and Discoveries in North and Central Africa, Vol. 1 of 5: Being a Journal of an Expedition Undertaken Under the Auspices of H. B. M. 'S Government, in the Years 1849 1855 (Classic Reprint) Forgotten Books
[34] Webarchive Agadez Sultanate of the Sahara http://www.saudiaram[...] Saudi Aramco World 2008-01-23
[35] 웹사이트 404 Error Page – University of Liverpool http://www.liv.ac.uk[...] 2015-11-04
[36] 웹사이트 Historical Origins of Kano http://kanoonline.co[...] 2015-11-04
[37] 서적 Africans: The History of a Contin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웹사이트 Hausa City States (Nigeria) – The Black Past: Remembered and Reclaimed http://www.blackpast[...] 2009-08-24
[39] 문서 Hogben/Kirk-Greene, ''Emirates'', 82–88.
[40] 웹사이트 Spread of Islam in West Africa (part 3 of 3): The Empires of Kanem-Bornu and Hausa-Fulani Land http://www.islamreli[...]
[41] 웹사이트 Saudi Aramco World : From Africa, in Ajami http://www.saudiaram[...]
[42] 웹사이트 Gobarau Minaret http://zodml.org/dis[...]
[43] 웹사이트 50 Greatest Africans – Sarki Muhammad Rumfa & Emperor Semamun http://www.whenwerul[...] Every Generation Media 2007-05-05
[44] 웹사이트 Ancient Kano City Walls and Associated Sties http://whc.unesco.or[...] 2023-03-01
[45] 웹사이트 Caravans Across the Desert: Marketplace http://www.nhm.org/a[...] Natural History Museum of Los Angeles County Foundation 2007-05-06
[46] 웹사이트 History and Women: Amina of Zaria http://www.historyan[...]
[47] 웹사이트 http://blackhistoryp[...]
[48] 웹사이트 Queen Amina & Queen Bakwa Turunku http://www.whenwerul[...]
[49] 웹사이트 Hausa eng5 https://www.slidesha[...] 2024-06-19
[5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1870–1905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서적 Colonialism and Violence in Nigeria Indiana University Press
[5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Nigeria Scarecrow Press
[53] 문서 Abubakar.b (202). Dierk Lange. "Oral version of the Bayajidda legend" (PDF). Ancient Kingdoms of West Africa. Retrieved 2006-12-21. Johnston, H. A. S (1967). "The Consolidation of the Empire". The Fulani Empire of Sokoto. Amana Online. Retrieved 2007-01-21.
[54] 학술지 The Sokoto Caliphate https://www.academia[...]
[55] 문서 Moses E. Ochonu, ''Colonialism by Proxy, Hausa Imperial Agents and Middle Belt Consciousness in Nigeria'', Indiana University Press, 2014.
[56] 서적 The diplomacy of partition: Britain, France, and the creation of Nigeria, 1890–1898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10-10
[57] 학술지 Population and Agriculture in the Sokoto-Rima Basin of North-West Nigeria: A Study of Political Intervention, Adaptation and Change, 1800–1980
[58] 서적 Dictionary of languages: the definitive reference to more than 400 languages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59] 서적 Africa: Lonely Planet Phrasebook Lonely Planet
[60] 웹사이트 Hausa language, alphabets and pronunciation http://www.omniglot.[...]
[61] 웹사이트 Saudi Aramco World : From Africa, in Ajami http://www.aramcowor[...]
[62] 문서 247nigerianewsupdate.co/in-defense-of-muric-bring-back-our-ajami-by-abdulbaqi-aliyu-jari/
[63] 웹사이트 Full List: Hausa Is World's 11th Most Spoken Language ⋆ https://www.herald.n[...] 2020-05-26
[64] 웹사이트 Africa :: Nigeria —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20-05-26
[65] 서적 Banjo Roots and Branches
[66] 문서 Hassan, Hisham Y. et al. 2008 "Y-Chromosome Variation Among Sudanese: Restricted Gene Flow, Concordance With Language, Geography, and History"
[67] 웹사이트 structure and demographics in Nigerian populations utilizing Y-chromosome markers https://etd.uwc.ac.z[...] 2023-07-26
[68] 학술지 The Genetic Structure and History of Africans and African Americans
[69] 학술지 Genetic insight into Nigerian population groups using an X-chromosome decaplex system 2019-12-01
[70] 학술지 Impact of patrilocality on contrasting patterns of paternal and maternal heritage in Central-West Africa 2024-07-08
[71] 간행물 Världens 100 största språk 2007 SIL Ethnologue
[72] 뉴스 Game da mu http://www.bbc.com/h[...] BBC 2017-10-04
[73] 웹사이트 BBC Hausa marks 60th anniversary with lectures https://www.dailytru[...] Daily Trust 2017-10-11
[74] 뉴스 Sashen Hausa na BBC ya cika shekara 60 http://www.bbc.com/h[...] BBC 2017-10-11
[75] 웹사이트 VOA Broadcasting in Hausa to Africa https://www.insidevo[...] Voice of America 2024-08-29
[76] 웹사이트 VOA Hausa – Muryar Amurka https://www.voahausa[...] Voice of America 2024-08-29
[77] 웹사이트 Hausa https://trtafrika.co[...] TRT AFRIKA 2024-08-29
[78] 웹사이트 Turkish Radio's plan to set up Hausa Service https://blueprint.ng[...] blueprint 2024-08-29
[79] 웹사이트 HAUSA https://hausa.cri.cn[...] China Radio International.CRI 2024-08-29
[80] 웹사이트 Hausa Radio - BBC, VOA, DW RFI https://play.google.[...] Google Play 2024-08-29
[81] 웹사이트 Shirye-shiryen DW Hausa https://www.dw.com/h[...] 2024 Deutsche Welle 2024-08-29
[82] 웹사이트 Najeriya: Mai ke tsakanin gwamnati da NLC? https://www.dw.com/h[...] 2024 Deutsche Welle 2024-08-29
[83] 서적 Muslim Societies in African History Cambridge 2004
[84] 서적 Prayer Has Spoiled Everything: Possession, Power, and Identity in an Islamic Town of Niger Duke University Press 2001
[85] 서적 Salt of the Desert Sun: A History of Salt Production and Trade in the Central Sudan (African Studies) The Press syndicate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86] 웹사이트 Building Facades in Hausa Architecture http://www.atelierma[...] 2019-03-15
[87] 웹사이트 Dambe: How an ancient form of Nigerian boxing swept the internet https://www.aljazeer[...] 2024-02-11
[88] 뉴스 Nigerian roadside barbecue shacks thrive in the midst of Islamist insurgency http://www.rawstory.[...] 2014-04-05
[89] 서적 Ruwayar Annabi Musa Kamfanin Buga Littattafai na Nigeria ta Arewa 1988-01-01
[90] 웹사이트 The Subversive Women Who Self-Publish Novels Amid Jihadist War https://www.wired.co[...] 2016-02-17
[91] 서적 データブック オブ・ザ・ワールド 2016年版 世界各国要覧と最新統計 二宮書店 2016-01-10
[92] 서적 ニジェール 独立50年の全体像 東京図書出版 2013-05-23
[93] 논문 Y-Chromosome Variation Among Sudanese: Restricted Gene Flow, Concordance With Language, Geography, and History 2008
[94] 논문 The Genetic Structure and History of Africans and African Americans 2009
[95] 서적 世界の葬式 新潮社 199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