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새뮤얼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 새뮤얼슨은 미국의 경제학자로, 1915년 인디애나주에서 태어나 2009년 사망했다. 시카고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MIT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신고전학파와 케인즈 경제학을 통합한 '신고전파 종합이론'을 제시하여 현대 경제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소비자 이론의 현시선호 이론, 공공재 이론, 국제 무역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1970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디애나주의 경제학자 - 조지프 스티글리츠
조지프 스티글리츠는 정보경제학 연구로 2001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고 정보 비대칭 등의 이론에 기여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경제자문위원장과 세계은행 수석 부총재를 역임하며 경제 정책에 참여했으며, 자유 시장 비판과 불평등 해결을 위한 정부 개입을 강조하는 학자이다. - 네오케인스학파 경제학자 - 존 힉스
존 힉스는 20세기 경제학의 중요한 인물로서, 『가치와 자본』을 통해 미시경제학의 기초를 다지고 IS-LM 모형으로 거시경제학에 큰 영향을 미쳐 1972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네오케인스학파 경제학자 - 제임스 토빈
제임스 토빈은 케인지안 경제학의 대표적인 미국 경제학자로서, 예일 대학교 교수 재직 중 거시경제학과 금융경제학에 기여하여 1981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였으며, 토빈의 Q이론, 토빈세, 토빗 회귀 모형 등 현대 경제학에 필수적인 이론들을 제시했다. - 폴란드의 경제학자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폴란드 출신의 천문학자로서 태양중심설을 제안하여 천문학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저서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를 통해 자신의 이론을 발표했으나 논란을 겪었고, 과학 혁명과 현대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폴란드의 경제학자 - 카를 멩거
카를 멩거는 오스트리아 학파의 창시자이자 경제학자로, 주관적 가치 이론과 한계효용 이론을 정립하고 사회과학 방법론에 대한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하여 오스트리아 학파를 확립하는 데 기여하였다.
폴 새뮤얼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폴 앤서니 새뮤얼슨 |
출생일 | 1915년 5월 15일 |
출생지 | 미국 인디애나주 게리 |
사망일 | 2009년 12월 13일 |
사망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벨몬트 |
국적 | 미국 |
배우자 | 메리언 크로퍼드 (1938년 결혼, 1978년 사별) 리샤 클레이 (1981년 결혼) |
소속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
분야 | 거시경제학 |
학파 | 신케인스학파 |
박사 지도 교수 | 조지프 슘페터 바실리 레온티예프 |
박사 제자 | 로렌스 클라인 로버트 C. 머튼 |
영향 | 존 메이너드 케인스 조지프 슘페터 바실리 레온티예프 고트프리트 하벌러 앨빈 한센 에드윈 비드웰 윌슨 크누트 빅셀 에리크 린달 헨리 해즐릿 |
영향을 준 인물 | 스탠리 피셔 로렌스 클라인 로버트 머튼 로버트 솔로 에드먼드 펠프스 서브라마니안 스와미 |
주요 업적 | 신고전파 종합 수리경제학 경제 방법론 현시 선호 국제 무역 경제 성장 공공재 |
수상 |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 (1947년) 노벨 경제학상 (1970년) 미국 국가 과학 훈장 (1996년) |
![]() | |
RePEc 접두사 | e |
RePEc ID | psa57 |
학력 | |
학사 | 시카고 대학교 |
석사, 박사 | 하버드 대학교 |
2. 생애
폴 새뮤얼슨은 1915년 5월 15일 인디애나주 개리에서 태어나, 시카고 대학교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했다. 1935년 시카고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1936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그리고 1941년에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56] 그는 조지프 슘페터, 바실리 레온티예프, 고트프리트 하벌러, 앨빈 한센 등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56]
새뮤얼슨은 1940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조교수로 임용되어 평생을 MIT에서 봉직했다. 1947년 MIT 정교수가 되었으며, 1962년부터는 연구소 교수(Institute Professor) 직함을 가졌다. 새뮤얼슨은 1944년부터 1945년까지 MIT 방사선 연구소 연구원으로도 활동했고, 1945년에는 플레처 법률 및 외교 대학원(Fletcher School of Law and Diplomacy)에서 국제경제관계 겸임교수를 역임했다.[56]
새뮤얼슨은 1947년 출판된 『경제 분석의 기초(Foundations of Economic Analysis)』를 통해 경제학에 수학적 방법론을 도입하여 현대 경제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1948년에 초판이 출간된 그의 저서 《경제학(Economics: An Introductory Analysis)》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경제학 교과서가 되었다.
새뮤얼슨은 학문적 업적 외에도 여러 정부 기관에서 보좌관으로 일하며 경제 정책 수립에 기여했다.[50] 2009년 12월 13일, 새뮤얼슨은 매사추세츠주 벨몬트 자택에서 94세를 일기로 타계했다.[46]
2. 1. 유년 시절과 교육
폴 새뮤얼슨은 1915년 5월 15일 인디애나주 개리에서 약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폴란드 출신의 유대인 이민자 가정이었다. 1923년 시카고로 이주하여 하이드 파크 고등학교(현재 하이드 파크 직업학교(Hyde Park Career Academy))를 졸업했다.1931년 시카고 대학교에 입학하여 1935년 경제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56] 시카고 대학교에서 프랭크 나이트 등 시카고 학파로부터 자유방임주의 경제학을 배웠지만, 대공황의 경험으로 인해 정부 개입의 필요성을 옹호하는 케인스 이론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그는 1932년 1월 2일 오전 8시에 시카고 대학교 강의실에서 경제학자로 태어났다고 회고했는데,[6] 이는 인구 증가와 그 영향을 연구한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에 관한 강의였다.
1936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56] 1941년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56] 하버드 대학교에서는 조지프 슘페터, 앨빈 한센 등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56] 1941년 "분석 경제학의 기초(Foundations of Analytical Economics)"라는 논문으로 데이비드 A. 웰스 상(David A. Wells prize)을 수상했는데, 이 논문은 후에 『경제 분석의 기초(Foundations of Economic Analysis)』가 되었다.
그의 학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 | 내용 |
---|---|
1927 ~ 1931 | 하이드 파크 고등학교 졸업 |
1931 ~ 1935 | 시카고 대학교 경제학 학사 |
1935 ~ 1936 |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 석사 |
1936 ~ 1941 |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 박사 |
2. 2. MIT 교수 시절과 학문적 업적
폴 새뮤얼슨은 1940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경제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고, 1944년 부교수를 거쳐 1947년 정교수가 되었다.[57] 1962년에는 MIT 석좌교수가 되었다.[57] 새뮤얼슨은 MIT에서 경제학 연구와 교육에 헌신하며 수많은 제자를 양성했다.1947년 출간된 《경제 분석의 기초(Foundations of Economic Analysis)》는 새뮤얼슨의 대표작으로, 경제학에 수학적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도입하여 현대 경제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48년 초판이 출간된 《경제학(Economics: An Introductory Analysis)》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팔린 경제학 교과서 중 하나이다. 이 책은 1961년부터 1976년까지 각 판마다 30만 부 이상 판매되었고 41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2018년 기준으로 400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 윌리엄 노드하우스가 1985년 12판부터 공동 저자로 참여했다. 새뮤얼슨은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통찰력을 대중화하는데 기여했으며, 경제 활동의 반복되는 침체를 피하거나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시했다.[35] 그는 "전 세계가 이 기본적인 경제 문제(대공황)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 것에서 독재 정권의 광범위한 출현과 그 결과로 발생한 제2차 세계 대전이 상당 부분 비롯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썼다.[36]
새뮤얼슨의 교과서는 경기 순환에 대한 심각한 연구를 경제학 커리큘럼에 도입하는 데 있어 분수령이 되었다. 대공황 이후에 출판되었다는 점에서 특히 시기적절했다. 케인스의 총수요 접근 방식의 도입과 함께 경기 순환에 대한 연구는 미국에서 거시경제 혁명의 토대를 마련했고, 그 후 모든 주요 언어로 번역되면서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그 후 교사가 된 여러 세대의 학생들은 새뮤얼슨의 ''경제학''에서 자신의 첫 번째이자 가장 영향력 있는 교훈을 배웠다.
이 책은 시장과 정부의 "혼합 경제"를 칭찬했지만, 일부는 그것이 너무 급진적이라고 생각하고 사회주의적이라고 비난했다. 윌리엄 F. 버클리 주니어는 그의 1951년 저서 ''예일대학교의 신과 인간''에서 새뮤얼슨과 로리 타시스의 교과서를 모두 공격하며, 두 책 모두 "공산주의적 영향을 받았다"고 묘사했다.
2. 3. 정부 자문 활동
스타니스와프 울람은 폴 새뮤얼슨에게 사회과학에서 참되면서도 사소하지 않은 이론을 묻자, 새뮤얼슨은 데이비드 리카도의 비교우위 이론을 꼽았다.[31] 그는 ''뉴스위크''에 칼럼을 기고하며 월가 지수가 경기 침체를 과도하게 예측한다는 농담을 하기도 했다.[32]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새뮤얼슨이 전시 생산국, 재무부, 경제 자문회의, 예산국, 연방준비은행 등 여러 정부 기관에서 자문 역할을 수행했다는 내용은 나타나 있지 않다.2. 4. 사망
새뮤얼슨은 2009년 12월 13일, 짧은 병환 끝에 94세의 나이로 매사추세츠주 벨몬트 자택에서 사망했다.[13][46] 그의 사망 소식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발표했다. MIT 경제학 교수이자 미국경제연구소(NBER) 소장인 제임스 M. 포터바는 새뮤얼슨이 "연구자이자 교수로서, 모든 현대 경제학자가 그 어깨 위에 서 있는 거장 중 한 명으로서 엄청난 유산을 남겼다"고 말했다.[13] MIT 총장인 수잔 호크필드는 새뮤얼슨이 "그가 손대는 모든 것을 변화시켰다. 즉, 그의 분야의 이론적 기초, 전 세계에서 경제학이 가르쳐지는 방식, 그의 학과의 기풍과 위상, MIT의 투자 관행, 그리고 그의 동료와 학생들의 삶을 변화시켰다"고 말했다.[14] 그의 두 번째 부인은 2019년에 사망했다.3. 학문적 업적
새뮤얼슨은 소비자 이론, 복지 경제학 및 공공 재정 이론, 자본 이론, 금융 이론, 국제 경제학, 거시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소비자 이론: 소비자의 행동을 관찰하여 효용 함수를 파악하는 계시적 선호 접근법을 개척했다.[16]
- 복지 경제학 및 공공 재정 이론: 린달-보웬-새뮤얼슨 조건을 대중화하고, 버그슨-새뮤얼슨 사회 후생 함수의 불충분성을 보였다. 최적 자원 배분 연구, 특히 공공재와 사적재가 모두 존재하는 상황에서의 연구로 유명하다.[17][18]
- 자본 이론: 1958년 소비 대출 모델과 다양한 턴파이크 정리를 발표하고, 케임브리지 자본 논쟁에 참여했다.[19][20]
- 금융 이론: 무작위 보행 가설과 효율적 시장 가설로 유명하다.[21][22][23]
- 거시경제학: 승수-가속 모형을 개발했다.[27]
노벨 경제학상 수상 위원회는 새뮤얼슨이 경제 과학의 분석 및 방법론적 수준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경제 이론의 상당 부분을 다시 썼으며, 광범위한 문제에 최대화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적용하여 경제학의 근본적인 통일성을 보여주었다.
새뮤얼슨은 규제되지 않은 시장의 단점을 지적하며, "자유 시장은 스스로 안정되지 않는다. 규제 제로는 합리적인 규제보다 훨씬 좋지 않다. 자유지상주의는 자기 자신이 최악의 적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밀턴 프리드먼과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의 국가 개입 반대 주장을 비판했다.[6]
그의 저서 ''경제 분석의 기초''(1946)는 그의 대표작으로, 고전 열역학 방법에서 영감을 받았다.[33] 이 책은 행위자의 ''극대화 행위''와 안정된 균형 상태에 있는 경제 ''시스템''이라는 두 가지 가설을 통해 경제 이론의 일반 이론을 도출하고자 했다.[34]
3. 1. 신고전파 종합이론
새뮤얼슨은 신고전학파의 미시적 시장균형 이론과 케인스의 거시경제 이론을 결합하여 '신고전파 종합이론(Neoclassical Synthesis)'이라는 새로운 학문 체계를 완성했다.[57]신고전파 종합이론은 케인스 이론처럼 완전 고용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지만, 일단 완전고용이 달성되면 신고전학파처럼 수요와 공급이라는 시장 메커니즘에 따라 경제를 자율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그의 이론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30여 년간 경제학계에서 가장 중심적인 이론으로 자리 잡았으나, 1980년대 이후 스태그플레이션 발생과 신자유주의의 등장으로 인해 영향력이 줄어들었다.[57]
새뮤얼슨이 신고전파 종합이론을 완성하는 데는 자유방임주의를 대표하는 시카고 학파의 본산인 시카고 대학교에서의 학창 시절과 1차대전 및 대공황의 경험이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배경은 케인스 이론과 자유방임 이론을 결합하는 바탕이 되었다.[57]
새뮤얼슨은 신케인즈 경제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이자 신고전파 경제학 발전에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주류 경제학을 지배하고 있는 케인즈와 신고전파 원리를 통합한 신고전파 종합을 만드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30]
저서 『경제학(Economics: An Introductory Analysis)』(초판 1948년 출판)에서 새뮤얼슨은 "실업 상태에서는 케인즈주의적 개입을 해야 하지만, 일단 완전고용에 도달하면 신고전파 이론이 그 진가를 발휘한다"는 신고전파합성을 주장하며, 신고전파 미시경제학과 케인즈주의 거시경제학의 관계성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였다.[50]
3. 2. 현시선호이론
소비자이론에서 새뮤얼슨은 현시선호이론을 개척했다. 이는 소비자의 행위를 관찰하는 것으로 소비자의 효용함수를 정의할 수 있게 하였다.[59] 그는 효용 함수나 선호 순위를 가정하는 대신, 개인이 내린 선택, 즉 그들의 선택에 의해 현시된 선호도에 대한 조건을 직접 부과했다.[16] 23세에 발표한 그의 첫 논문 "소비자 행동의 순수 이론 노트"(『에코노미카』 게재)에서 수요 곡선이 한계효용 이론의 도움 없이도 시장에서 관찰 가능한 구매만으로 현시된 선호도에서 도출될 수 있음을 보였다.[50]3. 3. 공공재 이론
재정학 이론에서 새뮤얼슨은 공공재와 사적재가 모두 있는 상황에서 자원의 최적 분배에 대한 연구로 잘 알려져 있다.[58] 1954년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에 발표한 논문 "공공 지출의 순수 이론"에서 그는 최초로 공공재를 엄밀하게 정의하고, 공공재의 최적 공급 조건인 "새뮤얼슨 조건"을 도출했다.[50][51]3. 4. 국제무역이론
새뮤얼슨은 국제경제학에서 발라사-새뮤얼슨 효과와 헥셔-올린 모형(스톨퍼-새뮤얼슨 정리 포함)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국제 무역 이론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24][25] 1948년 Economic Journal에 발표한 논문 "국제무역과 요소가격균등화"에서는 자유무역을 극한까지 추진하는 데 필요한 엄격한 조건을 수학적으로 증명했다.[50] 1949년과 1953년의 일련의 논문[48]에서 아바 러너와는 독립적으로 요소가격균등화정리를 증명했으며, 이는 스톨퍼-새뮤얼슨 정리로 알려져 있다.[49] 헥셔-올린 정리는 이를 일반화한 것이다.3. 5. 거시경제학
새뮤얼슨은 거시경제학에서 경제 주체의 다기간에 걸친 행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겹친 세대 모형을 대중화했고,[59] 승수-가속 모형을 개발했으며,[27] 필립스 곡선을 분석했고,[29] 신고전파 종합의 형성에 기여했다.[29]1939년에 발표한 논문 "승수 분석과 가속도 원리의 상호작용"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에 게재)에서 케인스주의 소득 결정 이론에 로이 해로드의 "가속도" 이론을 적용하여 근대의 공황 문제를 이론적으로 설명하였다(사무엘슨-힉스의 승수·가속도 모델).[50]
4. 평가
폴 새뮤얼슨은 소비자 이론, 복지 경제학, 공공 재정 이론, 자본 이론, 금융 이론, 국제 경제학, 거시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경제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15] 특히, 계시적 선호 접근법, 린달-보웬-새뮤얼슨 조건, 발라사-새뮤얼슨 효과, 헥셔-올린 모형(스톨퍼-새뮤얼슨 정리 포함), 중첩 세대 모형, 승수-가속 모형 개발, 필립스 곡선 분석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16][17][18][19][20][21][22][23][24][25][26][27][28]
그의 저서 ''경제 분석의 기초''(1946)는 고전 열역학 방법에서 영감을 받아 경제 주체의 ''극대화 행위''와 경제 시스템의 ''안정된 균형 상태''라는 두 가지 가설을 통해 경제 현상을 설명했다.[33] 또한, 버그슨-새뮤얼슨 사회 후생 함수를 발전시켜 사회적 선택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1948년에 출판된 ''경제학''은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통찰력을 대중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400만 부 이상 판매되며 역대 최고 판매 경제학 교재가 되었다.
하지만 새뮤얼슨의 ''경제학'' 교과서는 사회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윌리엄 F. 버클리 주니어는 그의 저서 ''예일대학교의 신과 인간''에서 새뮤얼슨의 교과서를 "공산주의적 영향을 받았다"고 비판했다.
사와 타카미츠(佐和隆光)는 1969년 노벨 경제학상 제정이 폴 새뮤얼슨에게 상을 수여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을 제기하며, 새뮤얼슨의 현대 경제학에 대한 공헌이 매우 컸다고 평가했다.[45]
4. 1. 긍정적 평가
새뮤얼슨은 현대 경제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20세기 최고의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수학적 방법론을 경제학에 도입하여 경제 분석의 엄밀성을 높이고,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이론적 업적을 남겼다.[15] 그의 저서 《경제학》은 경제학 교육의 표준이 되었으며, 수많은 경제학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45]노벨 경제학상 위원회는 새뮤얼슨에게 상을 수여하며 "새뮤얼슨은 동시대 경제학자들 중 누구보다도 경제 과학의 일반적인 분석 및 방법론적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그는 경제 이론의 상당 부분을 단순히 다시 썼다."라고 평가했다.
그의 대표작인 《경제 분석의 기초》는 고전 열역학 방법을 경제학에 적용하여, 경제 주체의 극대화 행동과 경제 시스템의 안정된 균형 상태라는 두 가지 일반적인 가설을 통해 다양한 경제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새뮤얼슨은 신고전파 종합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신케인즈 경제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이자 신고전파 경제학 발전에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29]
4. 2. 비판적 평가
폴 새뮤얼슨의 신고전파 종합이론은 시장의 효율성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정부 개입의 부작용을 간과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의 이론은 2차 세계대전 이후 30여 년간 경제학계의 중심이었으나, 1980년대 스태그플레이션 발생과 신자유주의 대두로 퇴조했다.[57] 2003년 새뮤얼슨은 부시 감세에 반대하는 경제학자 성명에 서명한 10명의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중 한 명이기도 하다.[30] 새뮤얼슨은 규제되지 않은 시장의 단점을 지적하며, "자유 시장은 스스로 안정되지 않는다. 규제 제로는 합리적인 규제보다 훨씬 좋지 않다. 자유지상주의는 자기 자신이 최악의 적이다!"라고 말했다.[6]새뮤얼슨의 이론이 현실 경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추상적이라는 비판도 있다. 특히, 칼 마르크스의 경제 이론, 즉 마르크스 경제학에 대한 그의 비판은 마르크스 이론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새뮤얼슨은 마르크스가 노동 계급의 빈곤화를 예언했지만, 실제로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마르크스 경제학을 "마르크스주의자에게 있어서의 아편"이라고 비판했다.[53]
5. 한국과의 관계
폴 새뮤얼슨의 경제학 이론은 한국의 경제학 발전과 경제 정책 수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저서 《경제학》은 한국에서도 오랫동안 경제학 교과서로 사용되었으며, 많은 한국 경제학자들이 그의 이론을 연구하고 가르쳤다. 새뮤얼슨의 신고전파 종합 이론은 한국의 경제 개발 계획과 경제 정책 수립에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 특히, 1960년대 이후 한국의 경제 성장은 새뮤얼슨의 이론에 입각한 정부 주도의 경제 개발 정책과 시장 경제의 조화가 이루어낸 결과로 평가된다. 그러나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신자유주의 정책이 도입되면서 새뮤얼슨의 이론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 새뮤얼슨은 한국의 경제 발전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한국의 경제 모델이 다른 개발도상국들에게 모범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6. 주요 저서
제목 | 번역 | 출판사 | 출판 연도 | 비고 |
---|---|---|---|---|
경제 분석의 기초 | 佐藤隆三 역 | 勁草書房 | 1967년 | 증보판 1986년, ISBN 978-4326500062 |
승수이론과 가속도원리 | 高橋長太郎 감역 | 경초서방 | 1953년 | 증보판 1959년 |
사무엘슨 경제학 개설 | 가와다 히사시 역 | 게이오 통신 | (상) 1957년, (하) 1958년 | |
경제학――입문적 분석(상·하) | 都留重人 역 | 岩波書店 | 1966년 | 일본어 초판(원서 제6판) |
경제학과 현대 | 후쿠오카 마사오 역 | 日本経済新聞社 | 1972년 | 신판 1979년 |
국제경제 | 다케우치 서점 | 1972년 | ||
경제학(상·하) | 都留重人 역 | 이와나미 쇼텐 | 1974년 | 원서 제9판, 신판 1981년, ISBN 978-4000008877, ISBN 978-4000008884 |
세기말·세계의 딜레마 | 宮崎勇 편, 폴 A. 사무엘슨 외 역 | 일본 YMCA 연맹 출판부 | 1983년 | |
사무엘슨 일본의 방향을 생각하다 | 佐藤隆三 편·해설 | 경초서방 | 1984년 | |
사무엘슨 마음으로 이야기하는 경제학 | 都留重人 감역 | ダイヤモンド社 | 1984년 | |
사무엘슨 샘플러/미국――어떤 시대의 궤적 | 佐藤隆三 역 | 경초서방 | 1984년 | |
세기말의 일본과 세계 | 폴 A. 사무엘슨 외 저 | 고단샤 | 1985년 | Symposium on Next |
(P. A. 사무엘슨, W. D. 노드하우스 공저) 사무엘슨 경제학 | 都留重人 역 | 이와나미 쇼텐 | 1985년 | 원서 제13판 |
국민소득 분석 (사무엘슨 경제학 체계 1) | 篠原三代平·佐藤隆三 편집, 小原敬士 외 역 | 경초서방 | 1979년 | |
소비자 행동의 이론 (사무엘슨 경제학 체계 2) | 시노하라 미요히라·사토 류조 편집, 우사미 야스오 외 역 | 경초서방 | 1980년 | |
자본과 성장의 이론 (사무엘슨 경제학 체계 3) | 시노하라 미요히라·사토 류조 편집 | 경초서방 | 1995년 | |
경제역학의 이론 (사무엘슨 경제학 체계 4) | 시노하라 미요히라·사토 류조 편집 | 경초서방 | 1981년 | |
국제경제학 (사무엘슨 경제학 체계 5) | 시노하라 미요히라·사토 류조 편집, 小島清 외 역 | 경초서방 | 1983년 | |
경제 분석과 선형 프로그래밍 (사무엘슨 경제학 체계 6) | 시노하라 미요히라·사토 류조 편집 | 경초서방 | 1983년 | |
후생 및 공공경제학 (사무엘슨 경제학 체계 7) | 시노하라 미요히라·사토 류조 편집 | 경초서방 | 미간 | |
미국의 경제 정책 (사무엘슨 경제학 체계 8) | 시노하라 미요히라·사토 류조 편집, 후쿠오카 마사오 외 역 | 경초서방 | 1982년 | |
리카르도·마르크스, 케인즈… (사무엘슨 경제학 체계 9) | 시노하라 미요히라·사토 류조 편집, 塩野谷祐一 외 역 | 경초서방 | 1979년 | |
사회과학으로서의 경제학 (사무엘슨 경제학 체계 10) | 시노하라 미요히라·사토 류조 편집 | 경초서방 | 1997년 |
참조
[1]
학술지
Marion Crawford Samuelson
https://www.nytimes.[...]
2023-10-01
[2]
학술지
Risha Clay Samuelson: Obituary
https://www.legacy.c[...]
2019-06-04
[3]
구글북
Business Cycles and Depressions: An Encyclopedia
[4]
학술지
From ''The Keynesian Revolution'' to the Klein–Goldberger model: Klein and the Dynamization of Keynesian Theory
https://www.research[...]
[5]
웹사이트
Nobel-winning economist Paul A. Samuelson dies at age 94
http://web.mit.edu/n[...]
2009-12-13
[6]
뉴스
Paul Samuelson: The last of the great general economists died on December 13th, aged 94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09-12-17
[7]
학술지
Paul Samuelson's Legacy
2012-09-01
[8]
학술지
On Paul Samuelson
2010
[9]
학술지
The Perseverance of Paul Samuelson's Economics
1997
[10]
서적
Paul Samuelson: On Being an Economist
Jorge Pinto Books
[11]
학술지
Paul A. Samuelson's Move to MIT
[12]
서적
Founder of Modern Economics: Paul Samuelson, vol. 1: Becoming Samuelson, 1915–1948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13]
뉴스
Nobel economics laureate Samuelson died at 94
https://www.reuters.[...]
Reuters
2006-12-14
[14]
뉴스
Economics revolutionary Paul Samuelson dies aged 94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9-12-14
[15]
서적
Samuelson, Paul Anthony (1915–2009)
Palgrave Macmillan
[16]
학술지
Consumption Theory in Terms of Revealed Preference
https://www.jstor.or[...]
1948
[17]
학술지
Evaluation of Real National Income
https://academic.oup[...]
1950
[18]
학술지
The Pure Theory of Public Expenditure
https://www.jstor.or[...]
1954
[19]
학술지
Parable and Realism in Capital Theory: The Surrogate Production Function
https://doi.org/10.2[...]
1962-06
[20]
학술지
The periodic turnpike theorem
https://doi.org/10.1[...]
1976-01-01
[21]
학술지
Proof That Properly Anticipated Prices Fluctuate Randomly
1965
[22]
학술지
The Fundamental Approximation Theorem of Portfolio Analysis in terms of Means, Variances and Higher Moments
https://doi.org/10.2[...]
1970-10-01
[23]
학술지
Challenge to Judgment
1974-10-31
[24]
학술지
Protection and Real Wages
https://doi.org/10.2[...]
1941-11-01
[25]
학술지
Theoretical Notes on Trade Problems
[26]
학술지
An Exact Consumption-Loan Model of Interest with or without the Social Contrivance of Money
https://www.journals[...]
1958-12
[27]
학술지
Interactions between the Multiplier Analysis and the Principle of Acceleration
1939-05
[28]
학술지
Analytical Aspects of Anti-Inflation Policy
https://www.jstor.or[...]
1960
[29]
서적
Macroeconomics and fiscal policy
McGraw-Hill
[30]
웹사이트
Economists' statement opposing the Bush tax cuts
http://www.epi.org/p[...]
2007-10-31
[31]
서적
International Economic Relations: Proceedings of the Thir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Economic Association
Macmillan
[32]
뉴스
Science and Stocks
1966-09-19
[33]
간행물
Statistical Entropy in General Equilibrium Theory
https://core.ac.uk/d[...]
Department of Economics,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2004
[34]
학술지
Paul A. Samuelson (1915–2009)
2010-01-15
[35]
웹사이트
Paul Anthony Samuelson: The Concise Encyclopedia of Economics {{!}} Library of Economics and Liberty
http://www.econlib.o[...]
2016-04-26
[36]
뉴스
Is government spending too easy an answer?
https://www.nytimes.[...]
2009-01-10
[37]
서적
John Maynard Keyne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Economic Paths to War and Peace
Oxford University Press
[38]
서적
Economics
https://archive.org/[...]
McGraw Hill
[39]
웹사이트
Paul A. Samuelson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40]
웹사이트
Paul Anthony Samuelson
https://www.amacad.o[...]
2022-12-15
[41]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12-15
[42]
웹사이트
Paul A. Samuelson
http://www.nasonline[...]
2022-12-15
[43]
웹사이트
Columbia's Bhagwati Is Honored
http://www.columbia.[...]
Columbia University Record
1994-11-18
[44]
서적
現代経済学
放送大学教育振興会
[45]
서적
P.A.サミュエルソン:科学としての経済学
日本経済新聞社
[46]
뉴스
ノーベル経済学賞のP・サミュエルソン氏が死去、94歳
http://jp.reuters.co[...]
ロイター
2009-12-14
[47]
서적
現代経済学
放送大学教育振興会
[48]
간행물
"International Trade and the Equalisation of Factor Prices"
[49]
서적
ポール・A・サミュエルソン
https://cruel.org/ec[...]
[50]
서적
ケインズ以後の100大経済学者
[51]
서적
ミクロ経済学
東京大学出版会
[52]
간행물
Economists and the History of Ideas
1962-03
[53]
간행물
Marxian Economics as Economics
勁草書房
1967-05
[54]
뉴스
私の履歴書 フィリップ・コトラー④
2013-12-04
[55]
서적
経済学をめぐる巨匠たち
ダイヤモンド社
[56]
뉴스
‘현대 경제학의 아버지’ 故 폴 새뮤얼슨
http://www.etoday.co[...]
이투데이
2011-05-24
[57]
뉴스
경제학 초석 다진 "위대한 스승"
2009-12-15
[58]
서적
Collected Scientific Papers
[59]
서적
Collected Scientific Pap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