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란드 공산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란드 공산당(KPRP/KPP)은 1918년 창당되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따랐으며,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전위당을 자처했다. 1919년 코민테른에 가입하고 레닌주의를 수용했으며,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에서 평화주의를 주장했다. 1920년대에는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당으로 재조직되었다. 유제프 피우수트스키의 쿠데타 이후 소련으로 망명했으며, 1938년 대숙청으로 인해 해산되었다. 이후 폴란드 노동자당으로 재조직되어 폴란드 인민 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공산주의 - 폴란드 인민공화국
    폴란드 인민공화국은 1944년 소련 영향력 아래 수립된 공산주의 국가로, 소련 지원을 받은 정부 수립 후 부정선거와 탄압을 통해 공산당이 장악하여 1949년 공식 출범했으나, 자유 노조 활동과 민주화 요구 속에 1989년 민주화, 1990년 해체되었으며, 소련 위성국가로서 일당 독재, 계획경제 실패, 비밀 경찰 활동이 특징이다.
  • 폴란드의 공산주의 - 폴란드 통일노동자당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소련의 지원으로 창당되어 폴란드 인민 공화국 시기 폴란드를 통치한 공산주의 정당이었으나, 1989년 자유 선거 패배 후 1990년 해산되었다.
  • 코민테른 - 동북항일연군
    동북항일연군은 1936년 중국 공산당의 지휘 아래 만주 지역 항일 무장 세력을 통합하여 창설되었으며, 만주와 한반도에서 일본 제국주의를 몰아내고 민족 독립을 쟁취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다가 일제의 탄압으로 소련으로 이동, 1945년 일본 패전 후 북한으로 귀환하여 권력을 장악했다.
  • 코민테른 - 국제레닌학교
    국제레닌학교는 코민테른의 볼셰비키화 결의로 설립된 국제 공산주의 운동 지도자 양성 기관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과 소련 공산당의 경험을 교육하여 각국 공산당 간부 및 활동가를 배출했으며, 요시프 브로즈 티토, 호찌민 등 여러 공산 정권 수장을 배출하고 폐교와 재건을 거쳐 현재는 재정대학교로 사용되고 있다.
  • 1918년 설립된 정당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은 핀란드의 자유주의, 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이념을 가진 중도우파 정당으로, 다자주의와 유럽 연합 통합을 지지하며 2023년 총선에서 최대 의석을 확보, 2024년 대통령 선거에서 대통령을 배출하는 등 핀란드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1918년 설립된 정당 - 독일 민주당
    독일 민주당은 1918년 자유주의 지식인들이 창당하여 사회자유주의를 표방하며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에 기여했으나, 지지율 하락으로 1930년 독일 국가당으로 개편된 정당이다.
폴란드 공산당 - [정당]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사회주의 붉은 깃발
사회주의 붉은 깃발
당 정보
이름폴란드 공산당
원어 이름Komunistyczna Partia Polski
약칭KPP
배경색#FF2400
당기Flag of Poland (1927–1980).svg
창당1918년
해산1938년
이념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정치적 위치극좌
선행 조직폴란드 노동당 좌파
폴란드리투아니아 왕국 사회민주당
후계 정당폴란드 노동자당
국제 조직코민테른
색상빨간색
국가폴란드
추가 정보
합병PPS–L
SDKPiL

2. 역사

폴란드 공산당은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과학적 사회주의의의 원칙을 따라 조직되었다. 따라서 이 정당은 프롤레타리아 계급전위당으로서 정당 등록을 거부했다.

1918년에 발발한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에서 폴란드 공산당은 평화주의를 호소했으며, 전쟁 이후에 설립된 소련과의 우호 관계 수립을 주선했다.

1919년 코민테른에 가입하면서 블라디미르 레닌의 혁명이론인 레닌주의를 수용했으며, 1920년대에는 레닌주의의 흐름이 마르크스-레닌주의로 발전하자 혁명적인 지도자들에 의해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당으로 재조직되었다.

1926년 유제프 피우수트스키가 쿠데타를 일으키자 이 정당은 중립을 고수했지만 사나치아 체제가 수립되면서 폴란드 공산당은 소련으로 망명할 수밖에 없었다. 망명 시기 코민테른에서 활동하면서 볼레스와프 비에루트와 카지미에시 미잘 등 걸출한 인사를 배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숙청 과정에서 폴란드 공산당의 간부중 일부가 이오시프 스탈린이 주도하는 소련 지도부와 갈등을 빚었고, 결국 1938년에 폴란드 공산당은 소련 당국에 의해 해산되었다. 갈등을 일으킨 지도부는 내무인민위원회에 의해 처형되었고, 숙청에서 살아남은 인사들은 폴란드 노동자당으로 폴란드 공산당을 재조직하였다.

당에서 사용한 이름


폴란드에서의 민족 문제에 관한 KPRP 제2차 의회 결의 (1923년)


1938년 8월 16일 코민테른(IKKI) 집행위원회 간부회의에서 폴란드 공산당 해산을 결정한 문서. 서명: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마누일스키, 모스크빈, 쿠시넨, 플로린, 에르콜리. 문서 원본 전체 텍스트.


2. 1. 창당과 초기 활동 (1918-1921)

1918년 12월 16일, 폴란드 왕국 및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SDKPiL)과 폴란드 사회당 좌파(PPS - 좌파)가 합당하여 폴란드 공산당(KPRP)이 창당되었다.[2] 이 정당은 로자 룩셈부르크의 사상을 따랐으며, 노동 운동 통합을 주요 목표로 설정하였다. 창당 초기에는 폴란드 사회당(PPS)과 노동자 계급의 지지를 얻기 위해 경쟁하며 폴란드 노동자 평의회를 조직하였다. 그러나 로자 룩셈부르크가 폴란드의 독립보다는 러시아의 주로 남아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기 때문에, KPRP는 좌익 운동에서 소수 세력에 머물렀다.[2]

KPRP는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에 반대하며, 붉은 군대와의 연대를 주장하였다.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KPRP의 합법적 지위는 박탈되었고, 이후 폴란드에서 지하 조직으로 활동하게 되었다.[2]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이 절정에 달했던 1920년 8월 2일, 임시 폴란드 혁명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이 위원회는 율리안 마르슐레프스키, 펠릭스 제르진스키, 펠릭스 콘, 유제프 운슐리히트, 에드바르트 프로흐니악 등으로 구성되었으나, 당에 실질적인 정치적 이득을 가져다주지는 못했다. 1919년 3월, KPRP는 대표 요제프 운슐리히트를 통해 코민테른 창립에 참여하였다.

2. 2. 정치적 자유와 성장 (1921-1926)

1921년부터 1926년까지 폴란드는 상대적인 정치적 자유를 누렸고, 폴란드 공산당(KPRP)은 이 기회를 활용하여 당세를 확장했다. 초기에는 개혁주의 노동자 단체에서, 1920년대 후반에는 스타니스와프 란추츠키와 예지 체셰이코-소하츠키가 이끄는 폴란드 사회당(PPS) 좌익 계열에서 당원을 확보하여 세임에 대표를 진출시켰다. 폴란드 유대인 노동자 동맹의 알렉산데르 민츠 파벌, 포알레 시온, 연합 유대 사회주의 노동자당 등 유대 사회주의 단체에서도 당원을 확보했다. 크레시 지역에서는 자치적인 서우크라이나 공산당(KPZU)과 서벨라루스 공산당(KPZB)과 협력하여 당세를 확장했으며, 이 지역 당원의 22~26%가 유대인이었다.

1922년 아돌프 바르스키, 막시밀리안 호르비츠, 마리아 코슈츠카 중심의 지도부가 재편되었고, 1923년 제2차 당 대회에서 레닌주의적 정책을 채택하여 서우크라이나와 서벨라루스 등 민족적 비폴란드인 거주 지역의 자치 구역 필요성을 인정했다. 코민테른 내에서 폴란드 지도자들은 그리 고리 지노비예프를 지지하고 좌익 반대파와 대립했다.

1924년 코민테른 제5차 대회에서 폴란드 위원회는 레온 트로츠키와 독일 공산당 지도자 하인리히 브란들러를 옹호하려 했으나, 이오시프 스탈린이 의장을 맡은 위원회는 율리안 레슈친스키를 새 중앙위원회에 임명하여 KPRP를 "볼셰비키화"하려 했다. 1925년 제3차 당 대회에서 당명을 "폴란드 공산당"(KPP)으로 변경하고, 기본 당 조직을 작업장 세포로 하는 등 당 기구를 강화하고 파벌 활동을 금지했다. 레슈친스키 지도부는 코민테른과 다른 입장을 취하다 해임되었고, 바르스키가 다시 지도부를 맡아 폴란드 사회당(PPS)과 연합 전선을 추진했다.

2. 3. 피우수트스키 쿠데타와 탄압 (1926-1938)

유제프 피우수트스키의 5월 쿠데타 (1926년) 당시 폴란드 공산당(KPP)은 쿠데타를 지지하였으나, 이후 "5월의 오류"로 비판받았다.[5] 쿠데타 이전 폴란드 사회당 (PPS)의 지도자였던 피우수트스키는 좌파의 친구라는 평판을 가지고 있었으나, 철도 노동자 파업과 PPS의 총파업 선언에도 불구하고, KPP는 피우수트스키의 '혁명군'에 대한 지지를 발표했다.[3] 5월 14일 정부 지도자들은 사임했다.[4]

쿠데타 이후 사나치아 체제가 수립되면서 폴란드 공산당은 탄압을 받았다. KPP 지도부는 쿠데타 지원에 대한 대가를 혹독하게 치렀으며, 이오시프 스탈린은 KPP 지도부를 비난하고 "5월의 오류"를 이유로 축출했다.[5] 1927년 코민테른은 KPP 중앙위원회에 대표자를 배치하여 KPP의 자율성을 제약했다.[6]

내부 분파 투쟁에도 불구하고, KPP는 소수 민족과 노동 계급의 지지를 얻으며 성장했다. 1928년 폴란드 입법 선거에 참여했으나, 지도부 제거 이후 "제3기"에 돌입하며 고립되었다. 1930년 KPP는 대공황 속에서 새로운 내부 투쟁을 겪었다.

1930년대 중반, KPP는 인민 전선 전략을 추진하며 PPS와 분트에 단결을 요구했지만 거부당했다. 좌파의 단결은 요원한 목표였다.

스페인 내전 기간 동안, 많은 KPP 활동가들은 국제 여단에 합류하여 국민파에 맞서 싸웠다. 파리 코뮌 영웅의 이름을 딴 돔브로프스키 대대는 KPP가 지휘했지만, PPS 노동자와 기타 비KPP 자원 봉사자들도 포함되었다.

2. 4. 스탈린의 숙청과 해산 (1938)



1930년대 중후반, 폴란드 공산당(KPP)는 이오시프 스탈린이 주도하는 공산주의 운동을 휩쓴 편집증과 의심의 희생양이 되었다.[7][8] 이는 모스크바 재판과 대숙청으로 이어졌다. 많은 KPP 당원들이 사나치아 폴란드의 기관의 첩자로 고발되어 처형되었다. 이후 당의 지도부 거의 전체가 숙청에 연루되어 살해당했다. 많은 사람들이 "상담"을 위해 모스크바로 소환되었다.[7] 살해된 사람들 중에는 알베르트 브론코프스키, 브와디스와프 스타인-크라예프스키, 유제프 운슐리히트, 아돌프 바르스키, 마리아 코슈츠카, 막시밀리안 호르비츠, 율리안 레슈친스키, 스타니스와프 보빈스키, 예지 헤링, 유제프 펠릭스 치셰프스키, 토마시 돔발, 사울 암스테르담, 브루노 야시엔스키, 비톨트 반두르스키 등이 있었다. 지도자를 잃은 당은 트로츠키주의 혐의와 여러가지 "일탈" 행위의 혐의를 받았으며, 1938년 8월 16일 코민테른에 의해 해산되었다.[7][8]

2. 5. 폴란드 노동자당으로 계승



폴란드 공산당은 대숙청 과정에서 이오시프 스탈린이 주도하는 소련 지도부와의 갈등으로 1938년에 해산되었고, 숙청에서 살아남은 인사들은 폴란드 노동자당(PPR)으로 폴란드 공산당을 재조직하였다. 소련에서 온 폴란드 공산주의자 그룹은 1941년 12월 독일 점령 하의 폴란드에 낙하산을 타고 투입되었다. 스탈린의 허가에 따라, 1942년 1월 그들은 새로운 공산당인 폴란드 노동자당을 창당했다. 폴란드 노동자당은 이후 폴란드 인민 공화국 수립에 기여하였다.

3. 이념과 정책

폴란드 공산당(KPP)은 엄격한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념에 따라 활동했다. 정치적으로는 독립적인 폴란드 설립에 반대했으며, 당원들은 소비에트 러시아에서 정부 관리로 활동하기도 했다. 코민테른의 정책을 준수했고, 정당 등록을 거부하여 불법적인 지위를 유지했다.

KPP는 토지 개혁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대신 노동 계급을 조직하고 노동조합 운동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4. 현대 폴란드 정치에 미친 영향

참조

[1] 서적 Bitter Glory 1979
[2] 서적 Poland 1977
[3] 서적 Historia polityczna Polski 1864–1918 [Political history of Poland 1864–1918] Ossolineum 1990
[4] 서적 Bitter Glory 1979
[5] 서적 The Communist Party of Poland 1959, 2014
[6] 서적 The Communist Party of Poland and the May Error 1936, 1972
[7] 서적 The Great Terror. A reassessment 1990
[8] 서적 The History of Poland 1980
[9] 서적 Bitter Glory 197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