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프로이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1797년부터 1840년까지 프로이센의 왕이었다. 그는 아버지의 문란한 사생활에 반감을 느껴 첩을 두지 않고,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루이제와 결혼했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 중립을 지키다 예나 전투에서 프로이센이 패배한 후, 틸지트 조약을 통해 영토를 상실하고 개혁을 추진했으나, 전제군주의 한계로 인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나폴레옹 몰락 후에는 반동 정치로 회귀했으며, 프로이센 교회 연합을 통해 종교를 통일하려 했다. 그는 흑수리 훈장을 비롯한 다양한 훈장을 받았으며, 철십자 훈장과 루이제 훈장을 창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이센 국왕 - 프리드리히 3세 (독일 황제)
프리드리히 3세는 1888년에 99일간 독일 제국 황제 겸 프로이센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자유주의 성향으로 독일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었으나 후두암으로 짧게 재위하여 독일 자유주의 쇠퇴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프로이센 국왕 - 빌헬름 2세
빌헬름 2세는 군국주의적 성향으로 독일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자 프로이센 왕국의 국왕로서, 개인 통치를 통해 독일을 강국으로 부상시키려 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독일의 패전으로 망명 후 사망했다.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프로이센)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1688년부터 1740년까지 프로이센 왕국을 통치하며 재정 개혁과 군사력 강화에 힘썼으나, 엄격하고 권위적인 통치 스타일로 비판을 받았다.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 프리드리히 2세 (프로이센)
프리드리히 2세는 1740년부터 1786년까지 프로이센을 통치한 국왕으로, 예술과 계몽주의를 옹호하며 영토 확장과 개혁을 통해 프로이센을 강국으로 만들었으나 슐레지엔 침공과 같은 논란도 일으켰다. - 포츠담 출신 - 프리드리히 3세 (독일 황제)
프리드리히 3세는 1888년에 99일간 독일 제국 황제 겸 프로이센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자유주의 성향으로 독일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었으나 후두암으로 짧게 재위하여 독일 자유주의 쇠퇴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포츠담 출신 - 에른스트 헤켈
에른스트 헤켈은 독일의 동물학자, 박물학자, 철학자, 의사, 예술가로서, 예나 대학교에서 비교해부학 교수로 재직하며 새로운 종을 발견하고 발생반복설을 제창하는 등 진화생물학에 기여했으나, 배아 그림 조작 논란과 인종차별적 견해 등으로 비판받기도 하며, 저서 『자연의 예술 형태』를 통해 진화론을 대중에게 알렸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프로이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
독일어 이름 | Friedrich Wilhelm III. |
직위 | 프로이센 국왕 |
통치 | |
프로이센 국왕 재위 기간 | 1797년 11월 16일 – 1840년 6월 7일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재위 기간 | 1797년 11월 16일 – 1806년 8월 6일 |
이전 국왕 |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
다음 국왕 |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 폐지 | 선제후국 폐지 |
배우자 | |
배우자 | 루이제 폰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1793년 결혼, 1810년 사망) 아우구스테 폰 하라흐 (1824년 결혼, 귀천상혼) |
자녀 | |
자녀 |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빌헬름 1세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러시아 황후 프리데리케 공주 카를 왕자 알렉산드리네,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비 페르디난트 왕자 루이제 공주, 네덜란드 왕자비 알브레히트 왕자 |
왕가 | |
왕가 | 호엔촐레른 가문 |
아버지 |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
어머니 | 프리데리케 루이제 폰 헤센다름슈타트 |
출생과 사망 | |
출생 | 1770년 8월 3일, 포츠담, 프로이센 |
사망 | 1840년 6월 7일 (향년 69세), 베를린, 프로이센 |
매장지 | 샤를로텐부르크 궁전 영묘 |
종교 | |
종교 | 칼뱅주의 (1817년까지), 프로이센 연합교회 (1817년 이후) |
이미지 | |
![]() | |
![]() |
2. 생애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의 엽색행위를 보고 자란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아버지에 대한 혐오감을 품었다. 루이제와 결혼 후 첩을 두지 않았다.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시기에는 중립을 지켰으나, 마렝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가 대패하고 뤼네빌 조약이 체결되면서 나폴레옹의 프랑스가 유럽의 지배자가 되었다. 제3차 대프랑스 동맹 때는 중립을 지키다가 결정적인 시기에 개입하려 했으나,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가 대패한 직후 동맹에 가담하여 예나 전투에서 프로이센이 참패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틸지트 조약으로 프로이센 왕국은 엘베강 서안의 영토를 상실했다. 하르덴베르크 등을 등용하여 프로이센 개혁을 시도했으나, 프랑스 혁명의 영향 속에서 전제군주였던 그의 개혁은 한계가 있었다.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시기에는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1세와 오스트리아의 메테르니히를 맹종했으며, 알렉산드르 1세에 대한 맹종은 빈 회의까지 이어져 바르샤바 대공국과 작센 귀속 문제를 둘러싸고 영국, 오스트리아, 프랑스와 전쟁 직전까지 갔다. 프로이센은 작센의 2/5를 차지하고, 포메라니아, 베스트팔렌 등에서 보상을 받았다.
그의 치세 중 철십자장을 최초로 제정하고, 빌헬름 폰 훔볼트와 함께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를 사비로 세운 것은 주목할 만하다.
1793년 루이제와 결혼하여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며 국민들에게 이상적인 부부로 존경받았다. 1797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프로이센 국왕으로 즉위했지만 검소한 생활을 이어갔다. 즉위 후 아버지의 애첩들을 궁정에서 내쫓고, 가장 권세를 떨치던 Wilhelmine von Lichtenau|빌헬미네 폰 리히테나우de를 횡령, 사기, 국가 반역 혐의로 그로가우에 유폐했다.
왕령지의 농노를 해방하는 등 진보적인 정책을 실행했지만, 융커와의 결속을 파괴할 수 없었고, 우유부단함 때문에 개혁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프랑스 혁명 간섭으로 프랑스로부터 유리한 강화 조약을 이끌어냈지만, 나폴레옹은 프로이센을 아군으로 만들려 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우유부단함은 나폴레옹의 분노를 샀고, 1806년 예나와 아우어슈테트에서 프로이센군은 패배했다.
베를린에 입성한 나폴레옹은 시민들의 환호를 받았고, 국왕과 가족은 쾨니히스베르크로 피신했다. 루이제 왕비는 조금이라도 유리한 조건으로 강화를 맺기 위해 동분서주했고, 국가 붕괴를 막았다는 칭송을 받았다.[3]
1807년 틸지트 조약으로 영토 절반을 잃었지만, 슈타인, 하르덴베르크, 훔볼트, 그나이제나우, 샤른호르스트 등 신하들이 군사, 행정 개혁을 시작했다. 피히테 등에 의해 프로이센 왕국의 민족주의도 높아졌다.
나폴레옹 패배 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반동 정책으로 개혁을 통해 달성된 자유를 되돌렸다. 1815년 부르셴샤프트 운동을 탄압한 메테르니히의 영향으로 1819년 카를스바트 결의에 기초하여 민족주의 학생들을 탄압하고, Friedrich Ludwig Jahn|프리드리히 루드비히 얀de, 에른스트 모리츠 아른트, 프리츠 로이터 등의 자유주의자들을 투옥했다.
1817년 루터파와 칼뱅파를 합동한 프로이센 복음주의 교회를 결성하고, 라인란트의 가톨릭과 교회 통합을 거부한 옛 루터파 교회에는 불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1810년 루이제 왕비 서거 후 1824년 아우구스테와 재혼했다. 1840년 베를린에서 붕어했고,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뒤를 이었다.
1826년 베토벤에게 「교향곡 9번 라단조 '합창'」을 헌정받았다.
2. 1. 초기 생애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1770년 8월 3일 포츠담에서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와 헤센-다름슈타트의 프리데리케 루이제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수줍고 내성적인 소년으로 여겨졌으며, 특히 인칭 대명사가 없는 대화에서 두드러지는 과묵함을 보였다. 이러한 말투는 이후 군 장교에게 매우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1] 그는 어린 시절 아버지의 무관심 속에 자랐고 평생 열등감에 시달렸다.[2]어린 시절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아버지는 (애인인[3] 리히테나우 백작 부인 빌헬미네 엔케의 영향으로) 그를 가정교사에게 맡겼는데, 이는 당시 매우 일반적인 일이었다. 그는 늙은 군인이자 그의 형제인 하인리히 공자의 가정교사이자 후견인이었던 한스 폰 블루멘탈 백작의 영지인 파레츠에서 일부 시간을 보냈다. 따라서 그들은 1780년대에 그랜드 투어를 함께 했던 백작의 아들과 함께 자랐다.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파레츠에서 행복했고, 이러한 이유로 1795년에 어린 시절의 친구에게서 그곳을 사들여 중요한 왕실 별장으로 만들었다. 그는 우울한 소년이었지만 경건하고 정직하게 성장했다. 그의 가정교사 중에는 극작가 요한 야콥 엥겔도 있었다.
군인으로서 그는 프로이센 왕자에게 통상적인 훈련을 받았으며, 1784년에 중위 계급을 얻었고, 1786년에 중령, 1790년에 대령이 되었으며, 1792–1794년 프랑스와의 전쟁에 참여했다.[3] 1793년 12월 24일,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루이제와 결혼했다.

2. 2. 결혼과 가족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평생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아내인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루이제와의 사이에서는 5남 4녀를 두었다.[10]사진 | 이름 | 생일 | 사망 | 기타 |
---|---|---|---|---|
무명의 딸 | 1794년 10월 1일 | 1794년 10월 1일 | 태어나자마자 사망 | |
![]() |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 1795년 10월 15일 | 1861년 1월 2일(65세) | 왕위 계승. 자녀 없음. |
빌헬름 1세 | 1797년 3월 22일 | 1888년 3월 9일(90세) | 왕위 계승. 슬하 1남 1녀. | |
![]() | 샤를로테 | 1798년 7월 13일 | 1860년 11월 1일(62세) | 러시아 차르 니콜라이 1세의 황후, 4남 4녀 |
프리데리케 | 1799년 10월 14일 | 1800년 3월 30일 | 요절 | |
![]() | 카를 | 1801년 6월 29일 | 1883년 1월 21일(81세) | |
![]() | 알렉산드리네 | 1803년 2월 23일 | 1892년 4월 21일(89세) | |
페르디난트 | 1804년 12월 13일 | 1806년 4월 1일 | 요절 | |
![]() | 루이제 | 1808년 2월 1일 | 1870년 12월 6일(62세) | |
![]() | 알브레히트 | 1809년 10월 4일 | 1872년 10월 14일(63세) |
부왕의 엽색행위에 혐오감을 가졌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나폴레옹 전쟁에서 중립을 지키려 했다. 그러나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가 대패한 직후 대프랑스 동맹에 가담하여 예나 전투에서 프로이센이 참패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1793년 12월 24일,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미모로 명성이 자자했던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루이제와 결혼했다. 그는 아버지처럼 여러 명의 애인을 두지 않고 루이제만을 사랑했기 때문에 부부 관계는 원만했고, 국민들에게는 이상적인 부부로 존경받았다.
1810년 루이제 왕비가 서거한 이후에는 독신이었지만, 1824년 아우구스테 폰 하라흐와 재혼했다.
3. 프로이센의 왕: 나폴레옹 전쟁과 개혁
틸지트 조약으로 엘베강 서안의 영토를 모두 상실했고, 하르덴베르크 등을 등용하여 프로이센 개혁을 시도했으나, 전제군주였던 그의 개혁에는 한계가 있었다.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시기에는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1세와 오스트리아의 메테르니히를 맹종했다. 알렉산드르 1세에 대한 맹종은 빈 회의 때까지 계속되어, 바르샤바 대공국과 작센의 귀속 문제를 둘러싸고 영국, 오스트리아, 프랑스와 전쟁 직전의 위기까지 갔다. 결국 프로이센은 작센의 2/5를 차지하는 데 만족해야 했고, 포메라니아, 베스트팔렌 등 다른 지역에서 보상을 얻었다.
그의 치세 중 주목할 만한 것은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시기에 철십자장을 최초로 제정한 것이다. 또한 빌헬름 폰 훔볼트와 함께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를 자신의 사비로 세웠다.
3. 1. 즉위 초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1797년 11월 16일에 왕위에 올랐다. 그는 개인 연합을 통해 노이샤텔 공국의 군주(1797–1806, 1813–1840)이기도 했다. 새 국왕은 즉시 왕실 경비를 줄이고, 부왕의 각료들을 해고하고, 이전 통치 기간의 가장 압제적인 폐단을 개혁했다.[3] 그는 호엔촐레른 가문의 개인적인 권력을 유지하려는 의지는 있었지만, 그 권력을 사용하는 재능은 없었다.[3] 그는 각료들에게 책임을 위임하는 것을 너무나 불신하여[3], 위임하지 않은 역할을 스스로 해야 했기 때문에 통치의 효율성을 크게 떨어뜨렸다. 이것이 그의 일관성 없는 통치의 주요 요인이다.[4]
부왕의 궁정(정치적 음모와 성적인 문제 모두에서)에 실망한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첫 번째이자 가장 성공적인 초기 노력은 왕가의 도덕적 정당성을 회복하는 것이었다. 그의 가족에게 존엄성을 회복하려는 열망은 조각가 요한 고트프리트 샤도우가 이전 군주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가 의뢰한 값비싸고 호화로운 Prinzessinnengruppe|프로이센 왕녀 그룹 조각상de 프로젝트를 취소할 뻔할 정도로 컸다. 그는 자신의 의무감과 특유의 어조를 보여주는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 모든 공무원은 군주와 국가에 대한 이중적인 의무를 갖는다. 이 두 가지가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럴 경우, 국가에 대한 의무가 더 중요하다.
처음에 프리드리히 빌헬름과 그의 고문들은 나폴레옹 전쟁에서 중립 정책을 추구하려 했다. 1805년에 제3차 대프랑스 동맹에 가담하지 않으면서 성공했지만, 결국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프로이센의 친전쟁파를 이끌었던 왕비의 태도에 설득되어 1806년 10월에 전쟁에 참전했다. 1806년 10월 14일,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프랑스 제1제국은 프로이센군의 효용성을 효과적으로 약화시켰고,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지휘하에 프로이센군은 곧 완전히 붕괴되었다. 나폴레옹은 10월 말에 베를린을 점령했다. 왕족은 메멜, 동프로이센으로 도망쳐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의 자비에 의존했다.
알렉산드르 역시 프랑스군에게 패배했고, 틸지트 조약에서 프랑스는 러시아 제국 및 프로이센과 평화 조약을 맺었다. 나폴레옹은 임신한 왕비가 프랑스 황제와 면담하여 패배를 완화하려 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이센을 매우 가혹하게 대했다. 오히려 나폴레옹은 예상보다 프로이센에 훨씬 더 무자비했다. 프로이센은 폴란드 영토의 많은 부분을 잃었고 엘베강 서쪽의 모든 영토를 잃었으며,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하고 프랑스군이 왕국 내 주요 거점을 점령하도록 자금을 지원해야 했다.
무능한 국왕은 프로이센의 운명에 체념한 듯 보였지만,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카를 폰 운트 줌 슈타인, 카를 아우구스트 폰 하르덴베르크 공작, 게르하르트 요한 다비트 폰 샤른호르스트, 아우구스트 폰 그나이제나우 백작과 같은 다양한 개혁적인 각료들은 루이제 여왕(1810년에 사망하여 크게 애도받음)의 격려를 받아 프로이센의 행정 및 군사 개혁에 착수했다. 슬픔에 잠긴 후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프리드리히 안실론 (왕에게 군주제의 권력을 제한할 수 있는 정치 개혁에 반대하는 강력한 이념적 지원을 제공하는 위그노 설교자), 소피 마리 폰 포스 (보수적인 견해를 가진 나이 많은 여성)와 빌헬름 추 자인-비트겐슈타인-호엔슈타인 공작을 포함한 '대리 가족' 궁정인들의 영향을 받았다.[5]
3. 2. 나폴레옹 전쟁과 굴욕
나폴레옹의 프랑스가 유럽의 지배자가 된 상황에서, 부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의 엽색행위에 대한 혐오감을 가졌던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첩을 두지 않았다. 그는 제3차 대프랑스 동맹 때 중립을 지키다가 결정적인 시기에 개입하려 했으나,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가 대패한 직후 동맹에 가담하여 예나 전투에서 프로이센이 참패하는 결과를 초래했다.[3]
결국 틸지트 조약을 강요당해 엘베강 서안의 영토를 모두 상실했다.[3] 하르덴베르크 등을 등용하여 프로이센 개혁을 시도했으나, 전제군주였던 그의 개혁 노력에는 한계가 있었다.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시기에는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1세와 오스트리아의 메테르니히를 맹종했다. 특히 알렉산드르 1세에 대한 맹종은 빈 회의 때까지 계속되어, 바르샤바 대공국과 작센의 귀속 문제를 둘러싸고 영국, 오스트리아, 프랑스와 전쟁 직전의 위기까지 갔다. 결국 프로이센은 작센의 2/5를 차지하는 데 만족해야 했고, 포메라니아, 베스트팔렌 등 다른 지역에서 보상을 얻었다.
그의 치세 중 주목할 만한 것은 제4차 대프랑스 동맹으로 인한 전쟁 시기에 철십자장을 최초로 제정한 것이다.
3. 3. 프로이센의 개혁
프랑스 혁명의 영향이 유럽을 휩쓸고 있는 상황에서,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하르덴베르크 등의 관료를 등용하여 프로이센의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전제군주였던 그의 개혁 노력에는 한계가 있었다.[3] 그는 각료들에게 책임을 위임하는 것을 불신하여[3] 통치의 효율성을 크게 떨어뜨렸고, 이는 그의 일관성 없는 통치의 주요 요인이 되었다.[4]
슈타인, 카를 아우구스트 폰 하르덴베르크 공작, 게르하르트 요한 다비트 폰 샤른호르스트, 아우구스트 폰 그나이제나우 백작과 같은 개혁적인 각료들은 루이제 왕비(1810년에 사망)의 격려를 받아 프로이센의 행정 및 군사 개혁에 착수했다.[5] 그러나 슬픔에 잠긴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프리드리히 안실론, 소피 마리 폰 포스, 빌헬름 추 자인-비트겐슈타인-호엔슈타인 공작의 영향을 받았다.[5]
왕령지의 농노를 해방하는 등 어느 정도 진보적인 정책을 실행했지만, 이러한 개혁은 융커들과 토지와의 견고한 결속을 파괴할 수 없었고, 왕의 우유부단함 때문에 더디게 진행되었다.
1807년 7월 7일 체결된 틸지트 조약으로 영토의 절반을 잃었지만 멸망을 면한 프로이센에서는 군사, 행정 양쪽 모두 개혁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그 선두에 선 것은 왕이 아니라 슈타인, 하르덴베르크, 훔볼트, 그나이제나우, 샤른호르스트 등 신하들이었다. 또한 피히테 등의 애국심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프로이센 왕국의 민족주의도 높아졌다.
나폴레옹이 패배하고 프로이센이 이전의 세력을 되찾은 후, 개혁을 통해 달성된 자유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반동 정책에 의해 다시 옛날로 돌아갔다. 왕은 1815년에 발생한 부르셴샤프트 운동을 탄압한 메테르니히의 영향으로 반동적인 자세를 강화하여, 1819년 카를스바트 결의에 기초하여 민족주의를 외치는 학생들을 탄압하고, 에른스트 모리츠 아른트, 프리츠 로이터 등의 자유주의자들을 투옥하도록 명령했다.
3. 4. 해방 전쟁과 빈 회의
1807년 7월 7일 체결된 틸지트 조약으로 영토의 절반을 잃었지만 멸망을 면한 프로이센에서는 군사, 행정 양쪽 모두 개혁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그 선두에 선 것은 왕이 아니라 슈타인, 하르덴베르크, 훔볼트, 그나이제나우, 샤른호르스트 등 신하들이었다. 또한 피히테 등의 애국심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프로이센 왕국의 민족주의도 높아졌다.[3] 그는 호엔촐레른 가문의 개인적인 권력을 유지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그 권력을 사용하는 호엔촐레른 가문의 재능은 없었다.[3] 그는 각료들에게 책임을 위임하는 것을 너무나 불신하여[3], 위임하지 않은 역할을 스스로 해야 했기 때문에 통치의 효율성을 크게 떨어뜨렸다. 이것이 그의 일관성 없는 통치의 주요 요인이다.[4]
1813년, 나폴레옹이 러시아 원정에서 패배한 후, 타우로겐 협약의 압력을 받은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프랑스에 등을 돌리고 칼리쉬에서 러시아와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프랑스 점령 하에 있는 베를린에서 도망쳐야 했다. 프로이센군은 1813년과 1814년 동맹군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국왕 자신은 러시아의 알렉산드르와 오스트리아의 프란츠와 함께 카를 필리프 퓌르스트 추 슈바르첸베르크의 주력군과 함께 이동했다.
빈 회의에서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각료들은 프로이센의 상당한 영토 확장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그들은 원했던 대로 작센 왕국의 전체 합병을 얻는 데 실패했다.[6] 전쟁 후,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정치적 반동으로 돌아서서, 1813년에 프로이센에 헌법을 제공하겠다고 했던 약속을 저버렸다.[7]
4. 빈 체제와 반동 정치
나폴레옹이 패배하고 프로이센이 이전의 세력을 되찾은 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개혁을 통해 달성된 자유를 다시 제약하는 반동 정치를 펼쳤다.
4. 1. 반동 정치로의 회귀
나폴레옹이 패배하고 프로이센이 이전의 세력을 되찾은 후, 개혁을 통해 달성된 자유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반동 정책에 의해 다시 옛날로 돌아갔다. 왕은 1815년에 발생한 부르셴샤프트 운동을 탄압한 메테르니히의 영향으로 반동적인 자세를 강화하여, 1819년 카를스바트 결의에 기초하여 민족주의를 외치는 학생들을 탄압하고, 에른스트 모리츠 아른트, 프리츠 로이터 등의 자유주의자들을 투옥하도록 명령했다.[4]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또한 국내의 종교를 초종파적으로 결집시키기를 원하여, 1817년에 루터파와 칼뱅파를 합동한 프로이센 복음주의 교회를 결성했다. 한편 라인란트에 많았던 가톨릭과 교회 통합을 거부한 옛 루터파 교회에 대해서는 불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4]
4. 2. 종교 정책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프로테스탄트 교회의 전례, 조직, 건축을 통일하여 통합하려 했다. 장기적인 목표는 프로이센 교회 연합의 모든 프로테스탄트 교회를 완전히 중앙 집권화된 왕실의 통제하에 두는 것이었다. 루터교와 칼뱅주의(개혁) 신앙을 통합하여 프로이센 연합 교회를 형성하는 것은 매우 논란이 많았다. 특히 실레지아의 "옛 루터교도"들은 자신들의 전례 전통을 포기하는 것을 거부하며 크게 반발했다. 왕실은 항의를 잠재우려 했고, 완고한 루터교 소수는 군사력, 교회 몰수, 목사 투옥 또는 추방으로 강요당했다.[8]1834년까지 공통 예배를 기반으로 하지만 별도의 상징을 유지하는 외부적 연합이 확보되었고, 이 조치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스스로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프로이센을 떠나 남호주, 캐나다 및 미국에 정착했다. 왕의 실패한 반격은 정부 최고위층의 긴장을 악화시켰다. 종교를 재구성하려는 왕실의 공격적인 노력은 프로이센 역사상 전례가 없었다. 수년에 걸친 일련의 포고령을 통해, 루터교 다수와 개혁 프로테스탄트 소수를 통합한 ''프로이센 연합 교회''가 형성되었다. 주된 효과는 프로이센 정부가 교회 업무를 완전히 통제하게 되었고, 국왕 자신이 수석 주교로 인정받았다는 것이다.[8]
1838년 국왕은 에르트만스도르프 영지의 농지 상당 부분을 오스트리아 질러탈에서 온 422명의 프로테스탄트 난민에게 분배했으며, 그들은 실레지아 마을에 티롤 스타일의 농가를 지었다.
한편, 그는 라인란트에 많았던 가톨릭과 교회 통합을 거부한 옛 루터파 교회에 대해서는 불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5. 평가와 유산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어느 정도 진보적인 정책을 실행했지만, 융커와의 결속 때문에 개혁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왕의 우유부단함은 나폴레옹 전쟁에서 프로이센의 패배를 초래하기도 했다. 그러나 왕비 루이제의 노력으로 프로이센은 멸망을 면했고, 이후 슈타인, 하르덴베르크 등 신하들의 주도로 개혁이 추진되었다. 피히테 등의 영향으로 프로이센 왕국의 민족주의도 높아졌다.
나폴레옹 몰락 이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반동 정책을 펼쳐 얀, 아른트, 프리츠 로이터 등의 자유주의자들을 탄압했다. 1819년 카를스바트 결의에 기초하여 민족주의를 외치는 학생들을 탄압했다. 종교적으로는 1817년 루터파와 칼뱅파를 통합한 프로이센 복음주의 교회를 결성했지만, 가톨릭과 통합을 거부한 옛 루터파 교회에는 불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6. 가족 관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평생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아내는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루이제로, 둘 사이에서 5남 4녀를 두었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무명의 딸 | 1794년 10월 1일 | 1794년 10월 1일 | 태어나자마자 사망 |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 1795년 10월 15일 | 1861년 1월 2일 | 왕위 계승, 자녀 없음 |
빌헬름 1세 | 1797년 3월 22일 | 1888년 3월 9일 | 왕위 계승, 슬하 1남 1녀 |
샤를로테 | 1798년 7월 13일 | 1860년 11월 1일 | 러시아 니콜라이 1세의 황후, 4남 4녀 |
프리데리케 | 1799년 10월 14일 | 1800년 3월 30일 | 요절 |
카를 | 1801년 6월 29일 | 1883년 1월 21일 | |
알렉산드리네 | 1803년 2월 23일 | 1892년 4월 21일 | |
페르디난트 | 1804년 12월 13일 | 1806년 4월 1일 | |
루이제 | 1808년 2월 1일 | 1870년 12월 6일 | |
알브레히트 | 1809년 10월 4일 | 1872년 10월 14일 |
첫 아내 사후 아우구스테 폰 하라흐와 재혼했으나, 둘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다.
7. 훈장
국가 | 훈장 | 수여 일자 |
---|---|---|
프로이센 왕국 | 흑수리 훈장 기사 | 1772년 9월 11일[11] |
프로이센 왕국 | 철십자 훈장 창설 | 1813년 3월 10일[12] |
프로이센 왕국 | 루이세 훈장 창설 | 1814년 8월 13일[12] |
성 안드레아 훈장 기사[13] | 1780년 1월 29일 | |
성 알렉산데르 네프스키 훈장 기사[13] | 1780년 1월 29일 | |
스웨덴 | 세라핌 훈장 기사 | 1797년 12월 23일[14] |
스웨덴 | 검 훈장 대십자 1급 | 1814년 2월 6일[15] |
프랑스 제국 | 레지옹 도뇌르 훈장 대십자 | 1805년 3월[16] |
프랑스 왕국 | 성령 훈장 기사[17] | 1815년 |
프랑스 왕국 | 성 미카엘 훈장 기사[17] | 1815년 |
마리아 테레지아 군사 훈장 기사 | 1813년[18] | |
스페인 | 금양모 훈장 기사 | 1814년 5월 30일[19] |
가터 훈장 기사 | 1814년 6월 9일[20] | |
코끼리 훈장 기사 | 1814년 8월 31일[12] | |
빌렘 군사 훈장 대십자 | 1821년 7월 9일[21] | |
백색 매 훈장 대십자 | 1823년 3월 1일[22] | |
충성 훈장 대십자[23] | 1823년 | |
체링거 사자 훈장 대십자[23] | 1823년 | |
포르투갈 왕국 | 세 개의 기사단 훈장 대십자 | 1825년 8월 30일[24] |
성 후베르투스 훈장 기사 | 1826년[25] | |
수태고지 최고 훈장 기사 | 1833년 5월 6일[26] | |
에르네스틴 공작령 | 작센-에르네스틴 왕가 훈장 대십자 | 1834년 11월[27] |
루 왕관 훈장 기사 | 1836년[28] | |
루트비히 훈장 대십자[12] | ||
성 야누아리우스 훈장 기사[29] | ||
성 페르디난트와 공로 훈장 대십자[29] | ||
금독수리 기사[30] |
Torgauer Marsch|토르가우 행진곡de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에게 헌정된 독일 행진곡으로, 1817년 6월 24일 토르가우를 방문한 왕을 위해 토르가우의 지역 거주민이 작곡했다.
참조
[1]
서적
Königin Luise von Preußen
Berlin
1931
[2]
웹사이트
Federick William III
https://www.britanni[...]
2018-07-30
[3]
EB1911
Frederick William III. of Prussia
[4]
서적
Iron Kingdom: The Rise and Downfall of Prussia, 1600–1947
2006
[5]
서적
Iron Kingdom: The Rise and Downfall of Prussia, 1600-1947
https://archive.org/[...]
Belknap Press
2006
[6]
웹사이트
Napoleonic Satires
https://library.brow[...]
2024-09-10
[7]
서적
Post-revolutionary Europe, 1815–1856
Palgrave Macmillan
2006
[8]
학술지
Confessional policy and the limits of state action: Frederick William III and the Prussian Church Union 1817–40
[9]
서적
Preussens Herrscher. Von den ersten Hohenzollern bis Wilhelm II.
https://books.google[...]
C.H. Beck
2006
[10]
서적
Die preußischen Könige und Kaiser
Kunstverlag Josef Fink, Lindenberg
[11]
서적
Liste der Ritter des Königlich Preußischen Hohen Ordens vom Schwarzen Adler
https://www.digitale[...]
1851
[12]
서적
Der Elephanten-Orden und seine Ritter
https://archive.org/[...]
Berling
[13]
서적
Almanach de la cour: pour l'année ... 1817
https://books.google[...]
l'Académie Imp. des Sciences
[14]
서적
Kungliga Serafimerorden: 1748–1998
Kungl. Maj:ts orden
[15]
간행물
Posttidningar
https://web.archive.[...]
1814-04-30
[16]
서적
Les Grand'Croix de la Légion d'honneur de 1805 à nos jours. Titulaires français et étrangers
Archives & Culture
2009
[17]
학술지
Liste chronologique des chevaliers de l'ordre du Saint-Esprit depuis son origine jusqu'à son extinction (1578-1830)
https://gallica.bnf.[...]
1863
[18]
기타
Hof- und Staatshandbuch des Kaiserthumes Österreich
1814
[19]
기타
Caballeros Existentes en la Insignie Orden del Toison de Oro
https://babel.hathit[...]
1819
[20]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1906
[21]
기타
Militaire Willems-Orde: Preussen, Friederich Wilhelm III von
https://www.defensie[...]
[22]
기타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Böhlau
1835
[23]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https://digital.blb-[...]
1838
[24]
학술지
A Evolução da Banda das Três Ordens Militares (1789-1826)
http://revistas.lis.[...]
2011
[25]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Bayern: 1828
https://archive.org/[...]
Landesamt
[26]
서적
Notizia storica del nobilissimo ordine supremo della santissima Annunziata. Sunto degli statuti, catalogo dei cavalieri
https://books.google[...]
Eredi Botta
[27]
서적
Adreß-Handbuch ... Sachsen-Coburg und Gotha
https://zs.thulb.uni[...]
1837
[28]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Freistaat Sachsen: 1839
Heinrich
[29]
서적
Almanacco reale del regno delle Due Sicilie
Stamperia Reale
[30]
서적
Königlich-Württembergisches Hof- und Staats-Handbuch: 1815
https://books.google[...]
Guttenberg
[31]
서적
Genealogie ascendante jusqu'au quatrieme degre inclusivement de tous les Rois et Princes de maisons souveraines de l'Europe actuellement vivans
https://books.google[...]
Frederic Guillaume Birnstiel
[32]
웹사이트
Frederick William III king of Prussia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