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루나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루나산은 30만 년 전부터 형성된 일본 군마현에 위치한 화산으로, 정상에 칼데라와 응회구, 화산호를 가지고 있다. "조모 삼산" 중 하나로, 다카사키시, 시부카와시, 히가시아가쓰마정 등에 걸쳐 있으며, 1,449m 높이의 가몬가산이 있다. 550년경 마지막 분화가 있었으며, 고분시대 후기에 대규모 분화로 주변 지역에 피해를 입혔다. 만화 이니셜D의 배경인 아키나산으로 유명하며, 전함 하루나, 호위함, 열차 이름 등으로 사용되었다. 주변에는 이카호 온천 등 관광 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마현의 자연경승지 - 아카기산
    아카기산은 군마현에 위치한 복성화산으로, 여러 봉우리와 최고봉인 쿠로히산을 포함하며 아름다운 경치와 역사, 전설을 간직한 죠모 삼산 중 하나이자 지역 문화적 상징이다.
  • 군마현의 자연경승지 - 구사쓰시라네산
    구사쓰시라네산은 군마현에 있는 활화산으로, 산정에는 산성도가 높은 유가마를 포함한 화구호들이 있으며, 단성 화산군적 특징을 보이고 과거 유황 채취가 이루어진 관광지이다.
  • 군마현의 화산 - 아카기산
    아카기산은 군마현에 위치한 복성화산으로, 여러 봉우리와 최고봉인 쿠로히산을 포함하며 아름다운 경치와 역사, 전설을 간직한 죠모 삼산 중 하나이자 지역 문화적 상징이다.
  • 군마현의 화산 - 아사마산
    아사마산은 군마현과 나가노현 경계에 있는 활화산으로, 역사적으로 대규모 분화를 일으켰으며 현재 24시간 감시 체계 하에 관리되고 있고, 일본 화산 연구와 방재의 중요한 대상이자 관광 명소이며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도 등장한다.
  • 다카사키시 - 다카사키번
    에도 시대 고즈케국 다카사키 지역을 다스린 다카사키번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이 나오마사에게 성을 건설하게 하면서 시작되어 여러 가문이 통치했으며, 막부 말기 덴구토 당의 난 진압, 보신 전쟁 때 신정부군에 합류 후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었다.
  • 다카사키시 - 가미사토미번
    가미사토미번은 1748년 마쓰다이라 다다쓰네가 시노즈카번에서 이봉되어 설치되었으나, 1767년 소령 이전과 함께 폐지되어 오바타 번으로 이어졌다.
하루나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하루나 산
다른 이름榛名山
위치혼슈, 일본
좌표36° 28′ 37″ N 138° 52′ 41″ E
로마자 표기Haruna-san
산맥독립봉
종류성층 화산
활화산 등급B
지형
높이1,449m
화산 정보
마지막 분화550 CE ± 10년
등반 정보
이미지
동쪽에서 본 하루나 화산
동쪽의 하코다 성(시부카와 시기타타치바나 정)에서 바라본 모습

2. 지리

하루나산은 아카기산, 미오기산과 함께 "조모 삼산" 중 하나로 불리며, 조모는 군마현의 옛 이름이다.

하루나 화산은 크게 고기 하루나 화산과 신기 하루나 화산의 두 시기로 나뉜다.

시기내용
고기 하루나 화산약 50만 년 전부터 약 24만 년 전까지 활동했으며, 약 20만 년간의 휴지기를 가졌다.
신기 하루나 화산약 5만 년 전부터 활동을 시작하여 하루나 칼데라를 형성했다. 하루나후지, 뱀가타케, 소우마야마, 미즈사와야마, 후타츠다케 등 최소 5개의 안산암 용암돔을 형성했으나, 일부가 산체붕괴하여 하루나산 동측 및 남측 산록에 선상지 지형을 만들었다.



신기 하루나 화산은 5세기에 활동을 재개하여 마그마 수증기 분화를 일으켰다.

시기사건마그마 분출량화산폭발지수
489년후타츠다케 시부카와 분화0.32 DREkm³4
525년 ~ 550년대규모 마그마 분화, 마그마 수증기 분화, 마그마 분화 이류 발생.0.74 DREkm³5



고분시대 후기인 6세기에는 후타츠다케에서 대규모 분화가 여러 번 발생했다. 북동쪽 산기슭에는 6세기 초의 「하루나산 후타츠다케 시부카와 화산재(Hr-FA)」와 6세기 중엽의 「하루나산 후타츠다케 이카호 경석(Hr-FP)」가 쏟아져 내려 두꺼운 퇴적층이 형성되었다. 시부카와시 구로이미네 유적이나 나카스지 유적, 다카사키시 미츠데라 유적 등 화산재나 화쇄류로 피해를 입은 고분시대 후기 유적이 많이 발견되어, 당시 군마현 지역(조모 지역)에 큰 피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시부카와시 금이동우리 유적(국도 353호 건설 공사에 따른 조사)에서는 6세기 초의 Hr-FA 화쇄류에 휘말린 소찰갑을 착용한 성인 남성 유골 1구(갑옷을 입은 고분인)와 그 가족으로 보이는 성인 여성 유골 1구와 유아 유골 1구, 유아 두골 1점이 발굴되어 인명 피해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3] 당시 북관동은 야마토와는 다른 케누 지역으로, 난카이 트러프 거대 지진의 백제 지진과는 달리 기키에는 기록이 없다.

2. 1. 지형

하루나산은 30만 년 전부터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마지막 분화는 550년경이었다.[1] 이 화산은 정상에 칼데라를 가지고 있으며, 그 안에는 응회구인 하루나후지와 서쪽에 화산호인 하루나호가 있다.[1] 호수 서쪽에는 하루나산의 여러 봉우리 중 가장 높은 가몬가타케(일본어: 掃部ヶ岳, 掃部ヶ岳|가몬가타케일본어)가 있으며, 높이는 1449m이다.

하루나 칼데라 내부, 하루나후지 응회구와 하루나호


하루나산의 화산체 지형도


정상부 지형도와 해설 무표시 이미지


하루나산 칼데라 부근의 항공사진
국토교통성 국토지리원 [https://mapps.gsi.go.jp/ 지도·항공사진 열람 서비스]의 항공사진을 바탕으로 작성


하루나호와 그 동쪽 지역, 그리고 남쪽과 남서쪽 사면은 다카사키시에 속한다. 동쪽의 시부카와시 경계는 하루나호에 거의 닿아 있다. 신토촌요시오카정은 산의 남동쪽 사면에 위치한다. 북쪽과 북서쪽 사면은 히가시아가쓰마정에 속하며, 이 정 역시 하루나호의 경계를 이룬다. 정상은 다카사키시와 히가시아가쓰마정의 경계에 위치한다.

정상에는 칼데라호인 하루나호와 중앙화구구 하루나후지 용암돔(일본어: 標高, 標高|표고일본어 1,390.3 m)이 있으며, 495년경과 약 30년 후에 큰 분화를 했다고 여겨진다. 중앙의 칼데라와 하루나후지를 최고봉인 가몬가타케(일본어: 掃部ヶ岳, 掃部ヶ岳|가몬가타케일본어, 標高|표고일본어 1,449 m), 덴모쿠산(일본어: 天目山, 天目山|덴모쿠산일본어, 1,303 m), 뾰족한 봉우리인 소마산(일본어: 相馬山, 相馬山|소마산일본어, 1,411 m), 닛가타케(일본어: 二ッ岳, 二ッ岳|닛가타케일본어, 1,344 m), 전형적인 용암원정구인 에보시다케(일본어: 烏帽子岳, 烏帽子岳|에보시다케일본어, 1,363 m), 빈구시야마(일본어: 鬢櫛山, 鬢櫛山|빈구시야마일본어, 1,350 m) 등이 둘러싸고 있으며, 더욱 바깥쪽에는 미즈사와산(일본어: 水沢山, 水沢山|미즈사와산일본어, 아사마산(일본어: 浅間山, 浅間山|아사마산일본어), 1,194 m), 다카노스야마(일본어: 鷹ノ巣山, 鷹ノ巣山|다카노스야마일본어, 956 m), 미쓰미네야마(일본어: 三ッ峰山, 三ッ峰山|미쓰미네야마일본어, 1,315 m), 안즈가다케(일본어: 杏が岳, 杏が岳|안즈가다케일본어, 1,292 m), 고가라야마(일본어: 古賀良山, 古賀良山|고가라야마일본어, 982 m), 고만이시키(일본어: 五万石, 五万石|고만이시키일본어, 1,060 m) 등 수많은 측화산이 있어 매우 많은 봉우리를 가진 복잡한 산세를 보여준다.

하루나산은 아카기산, 미오기산과 함께 "조모 삼산" 중 하나이다. (조모는 군마현의 옛 이름이다.)

하루나 화산은 크게 두 시기로 구분된다.

시기내용
고기 하루나 화산약 50만 년 전부터 시작하여 약 24만 년 전까지 활동. 약 20만 년간의 휴지기를 거침.
신기 하루나 화산약 5만 년 전부터 활동 시작. 하루나 칼데라를 형성. 하루나후지, 뱀가타케, 소우마야마, 미즈사와야마, 후타츠다케 등 최소 5개의 안산암 용암돔을 형성했으나, 일부가 산체붕괴하여 하루나산 동측 및 남측 산록에 선상지상 지형을 형성.



신기 하루나 화산은 5세기에 활동을 재개하여 마그마 수증기 분화를 일으켰다.

시기사건마그마 분출량화산폭발지수
489년후타츠다케 시부카와 분화0.32 DREkm³4
525년부터 550년대규모 마그마 분화, 마그마 수증기 분화, 마그마 분화 이류 발생.0.74 DREkm³5



고분시대 후기인 6세기대에는 후타츠다케에서 대규모 분화가 여러 번 발생하였고, 북동 산록에서는 6세기 초의 「하루나산 후타츠다케 시부카와 화산재(Hr-FA)」와 6세기 중엽의 「하루나산 후타츠다케 이카호 경석(Hr-FP)」의 강하에 의한 두꺼운 퇴적층이 형성되어 있다. 시부카와시 구로이미네 유적이나 나카스지 유적, 다카사키시 미츠데라 유적 등 화산재나 화쇄류로 피해를 입은 고분시대 후기 유적은 많이 발견되어 있으며, 당시 군마현 지역(조모 지역)에 막대한 피해가 있었던 것이 알려져 있다. 시부카와시 금이동우리 유적(국도 353호 건설 공사에 따른 조사)에서는 6세기 초의 Hr-FA 화쇄류에 휘말린 소찰갑을 착용한 성인 남성 유골 1구(갑옷을 입은 고분인)와 그 가족으로 보이는 성인 여성 유골 1구와 유아 유골 1구, 유아 두골 1점이 발굴되어 인적 피해가 있었던 것이 확인되고 있다.[3] 당시 북관동은 야마토와는 다른 케누 지역으로, 난카이 트러프 거대 지진의 백제 지진과는 달리 기키에는 기록이 없다.

2. 2. 기후

다음은 1991년부터 2020년까지 관측된 하루나산의 기후이다.[2]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강수량 (mm)40.9mm39.8mm84mm124.9mm172.1mm285.4mm313.7mm381.3mm359.5mm196.7mm66mm33.5mm2097.6mm
강수 일수 (≥ 1mm)5.35.89.410.511.916.118.317.416.512.16.95.4-


3. 역사

하루나산은 30만 년 전부터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마지막 분화는 550년경이었다.[1] 이 화산은 정상에 칼데라를 가지고 있으며, 그 안에는 응회구인 하루나후지산과 서쪽에 화산호인 하루나호가 있다.[1]

하루나산은 아카기산, 미오기산과 함께 "조모 삼산" 중 하나로 불린다. (조모는 군마현의 옛 이름이다.)

하루나 화산은 크게 고기 하루나 화산과 신기 하루나 화산으로 나뉜다.


  • 고기 하루나 화산: 약 50만 년 전부터 약 24만 년 전까지 활동.
  • 신기 하루나 화산: 약 5만 년 전부터 활동 시작. 하루나 칼데라를 형성.
  • 5세기: 활동 재개, 마그마 수증기 분화 (후타츠다케 아리마 화산재 분화).
  • 489년: 후타츠다케 시부카와 분화. 대규모 마그마 수증기 분화와 이류 발생. 마그마 분출량 0.32 DREkm³, 화산폭발지수(VEI) 4.
  • 525년~550년: 대규모 마그마 분화, 마그마 수증기 분화, 마그마 분화 이류 발생. 마그마 분출량 0.74 DREkm³, 화산폭발지수(VEI) 5.


고분시대 후기인 6세기에는 후타츠다케에서 대규모 분화가 여러 번 발생했다. 북동쪽 산기슭에는 6세기 초 "하루나산 후타츠다케 시부카와 화산재(Hr-FA)"와 6세기 중엽 "하루나산 후타츠다케 이카호 경석(Hr-FP)"이 두껍게 쌓여 있다. 시부카와시 쿠로이미네 유적, 나카스지 유적, 타카사키시 미츠데라 유적 등 화산재나 화쇄류로 피해를 입은 고분시대 후기 유적이 많이 발견되어 당시 군마현 지역(죠모노 지역)에 막대한 피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시부카와시 금정동우리 유적에서는 6세기 초 Hr-FA 화쇄류에 휘말린 소찰갑을 착용한 성인 남성 유골 1구(갑옷을 입은 고분인)와 그 가족으로 보이는 성인 여성 유골 1구와 유아 유골 1구, 유아 두개골 1점이 발굴되어 인명 피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3]

3. 1. 전설

하루나산과 관련된 전설에는 거인 다이다라보치가 후지산, 아사마산, 하루나산을 경쟁적으로 만들었는데, 거의 완성되었을 때 후지산의 다이다라보치가 승리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 하루나 신사가 스와 신사로부터 우물을 통해 그릇을 빌렸다는 이야기와, 구카이(고보 대사)가 지팡이를 꽂아 우물을 팠다는 이야기도 전해져, 산악 신앙이 성행했음을 짐작하게 한다. 하루나 신사는 스이제이 천황 시대에 야소하루노미코토(饒速日命)의 아들인 요미마데노미코토(可美真手命) 부자가 산속에 신기(神籬)를 세워 천신지기(天神地祇)를 제사 지낸 것이 시작이라고 전해진다.[1]

4. 문화

남쪽에서 본 하루나산(하부)

  • 『하구레 경찰 순정파』(はぐれ刑事純情派)
  • 『눈의 고개·검의 춤』(雪の峠・剣の舞) (이와미네 히토시)
  • 조모가루타(上毛かるた)의 "の" 글자는 "오르는 하루나의 캠프마을"(登る榛名の キャンプ村)이다.

4. 1. 대중문화

일본의 전함/순양전함 하루나는 하루나산에서 이름을 따왔다.[7]

이 산은 만화 시리즈 ''이니셜D''에서 가공의 이름인 아키나(秋名)로 유명해졌다. 주인공인 후지와라 타쿠미는 아버지의 개조된 토요타 스프린터 트루노 (AE86)을 사용하여 매일 두부를 산 위 호텔로 배달하고 다시 내려온다. 또한 타쿠미가 처음 몇 번의 레이스에서 승리한 곳이기도 하다. 타쿠미가 깊이 연관되는 아키나 스피드 스타즈라는 레이싱 팀의 홈 코스이기도 하다. 이후 애니메이션에서 타쿠미는 압도적인 기록과 내리막 주행 기술 때문에 '아키나의 86'으로 불리게 된다.[8]

이 산은 PlayStation 2 게임 ''카이도 배틀'', ''카이도 배틀 2: 체인 리액션'' 및 ''카이도 배틀: 도게 노 덴세츠''에 등장한다. 비록 현실적으로 묘사되지는 않았지만 PC 게임 ''레이스 드라이버: 그리드''와 ''블러''에도 등장한다.

  • 『하구레 경찰 순정파』(はぐれ刑事純情派)
  • 『눈의 고개·검의 춤』(雪の峠・剣の舞) (이와미네 히토시)
  • 조모가루타(上毛かるた)의 "の" 글자는 "오르는 하루나의 캠프마을"(登る榛名の キャンプ村)이다.
  • 『이니셜D』(しげの秀一) - 주인공 후지와라 타쿠미의 홈 코스로 하루나산을 모티브로 한 "아키나산"이라는 지명이 등장한다.
  • 『그녀의 카레라 My Favorite Carrera』(麻宮騎亜)
  • 가도 배틀 시리즈(『가도 배틀 ~닛코·하루나·로코·하코네~』·『가도 배틀 2 CHAIN REACTION』·『KAIDO-峠의 전설-』) - 주행 코스는 이니셜D의 아키나와 거의 같다. 극중 서킷으로 등장한다.
  • 『배틀 기어』·『사이드 바이 사이드』 시리즈(타이토)

4. 2. 명칭 유래

하루나산은 아카기산(적성산), 미오기산(묘기산)과 함께 "조모 삼산" 중 하나이다. (조모는 군마현의 옛 이름이다.)[1] 하루나는 일본의 전함/순양전함으로 하루나산에서 이름을 따왔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사례들이 있다.

  • 榛名 (전함) - 구 일본 해군의 금강형 전함 3번함
  • DDH141 はるな(はるな급 호위함) - 해상자위대헬리콥터 탑재 호위함(DDH) 1번함(네임십)
  • 철도 - 현재 특급 아카기 (적성산에 유래)가 운행되고 있는 다카사키선·료모선 계통(우에노역~마에바시역 구간 등)의 우등열차 열차 애칭에도 일시적으로 「はるな」가 사용된 적이 있다.
  • 역사 - 누마타시 출신의 역사 하루나후지 신지(다이호우베야)가 있다.
  • 기타 - 군마현 내 초등학교에서는 운동회 때 조 편성을 죠모 삼산의 이름을 사용, 「아카기단」, 「하루나단」, 「묘기단」 3조로 나누어 대항하는 예가 많다(지역에 따라 다르며, 인원이 많을 때는 아사마단, 시라네단을 추가하고, 적을 때는 홍조, 백조로 나누기도 한다).

5. 관광

하루나산 주변에는 이카호 온천을 비롯한 여러 온천이 있다. 중턱의 전망대에서 보는 경치가 매우 훌륭하여 시부카와시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신앙적인 측면에서도 하루나 신사, 미즈사와 관음(水澤寺)과 같은 사찰이 산 속에 있어 유명하다.

이카호 온천에서 하루나산까지는 군마현도 33호 시부카와 마츠이다 선 외길이 나 있다. 현립 하루나 공원 누마노하라 지구 일대, 구로카미야마 신사의 도리이 주변, 하루나 호반의 도로변에서는 매년 5월 하순부터 6월 하순에 걸쳐 야마철쭉과 연꽃철쭉이 만개한다.[5][6]

참조

[1] gvp 2021-06-24
[2] 웹사이트 ja:榛名山 平年値(年・月ごとの値) 詳細(降水量) https://www.data.jma[...] JMA 2022-02-25
[3] 웹사이트 【平成24年12月10日付け】金井東裏遺跡に関する報道提供資料 http://www.pref.gunm[...] 群馬県ホームページ 2016-11-19
[4] 논문 人々を楽しませる赤城山の魅力 2.赤城山をめぐる伝説とそのルーツの考察 https://doi.org/10.5[...] 東京福祉大学・大学院 2014-03-00
[5] 웹사이트 群馬県 榛名湖「ツツジ」見ごろ https://tokuhain.aru[...] 地球の歩き方 2018-05-22
[6] 웹사이트 榛名山のツツジ群生地(高崎市) http://www.webgunma.[...] 2024-04-29
[7] 웹사이트 【榛名山】イニシャルDでは秋名山!?群馬県の有名な峠に迫る! https://magazine.car[...] マイケル株式会社 2019-07-11
[8] 문서 榛名の「榛」(=“春”)を「秋」に置き換えている。なお他の地名は全て実名となっている。
[9] 웹인용 ja:榛名山 平年値(年・月ごとの値) 詳細(降水量) https://www.data.jma[...] JMA 2022-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