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화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측화산은 주 화구의 활동이 멈춘 후, 남은 열에너지로 팽창한 마그마가 주변 지반을 뚫고 분출하면서 형성된다. 마그마 성분과 분출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오름이 나타나며, 화산 내부 붕괴 여부에 따라 칼데라 또는 화구를 형성한다. 제주도에는 다양한 측화산이 분포하며, 해안 오름, 특이한 형태의 오름 등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 - 국제 산의 날
국제 산의 날은 매년 12월 11일로, 지속 가능한 산악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기념하기 위해 유엔 총회에서 지정되었다. - 산 - 탁상지
- 서귀포시의 지리 - 마라도
마라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의 섬으로, 해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과 풍부한 해양 생태계, 최남단이라는 상징성을 지닌 관광 명소이지만, 최근 고양이 개체 수 증가로 인한 생태계 교란 문제가 있다. - 서귀포시의 지리 - 가파도
가파도는 제주도 남쪽의 평탄한 섬으로, 청보리밭과 관광 시설이 잘 갖춰져 있으며, 과거 마라도의 본섬이었고 해산물과 고구마가 특산물이며, 섬 이름은 가오리 모양이나 파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 제주시의 지리 - 한라산
한라산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남한 최고봉의 휴화산으로, 백록담 화산호와 다양한 화산 지형, 식생, 동식물상을 보유하여 국립공원 및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고 문화·역사적 가치도 지닌다. - 제주시의 지리 - 거문오름
거문오름은 숲이 우거져 검게 보이는 한라산의 단성화산체로, 지질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용암 동굴 형성 및 일본군 군사시설 존재로 천연기념물과 과거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된다.
측화산 | |
---|---|
개요 | |
정의 | 기생 화산 또는 측화산은 더 큰 화산의 측면에 형성된 원뿔형 화산 지형이다. |
특징 | 화산의 옆구리에 위치 비교적 작은 크기 주 화산과 연결된 마그마 공급 시스템 |
형성 과정 | |
형성 원인 | 주 화산체의 균열 또는 약한 지점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분출 |
형성 시기 | 주 화산의 활동 기간 동안 또는 활동 후 |
종류 | |
화산쇄설성 원뿔 | 화산재, 암석 파편 등으로 구성 |
용암 원뿔 | 용암류로 구성 |
분포 | |
주요 분포 지역 | 스트롬볼리 화산 에트나 산 피통 드 라 푸르네즈 |
기타 | |
한국어 명칭 | 오름 |
참고 | 기생 화산은 주 화산의 활동에 영향을 받음 때로는 독립적인 화산 활동을 보이기도 함 |
2. 형성 과정
(한라산 및 제주도의 전반적인 형성과정은 제주도 항목을 참조)
측화산은 주화구가 식어 마그마의 분출이 막힌 후, 남아있는 열에너지에 의해 팽창된 마그마가 높은 압력으로 주 분화구 주변의 약한 지반을 뚫고 분출하면서 형성된다. 이 과정은 오른쪽 그림의 다섯 단계와 여섯 단계에 해당한다. 마그마가 대부분 식으면 화산 활동이 끝나고, 봉우리의 형성 원인에 따라 칼데라와 화구로 나뉜다. 화산 내부 밀도가 낮아 붕괴하면 주 분화구가 함몰되어 칼데라 지형을 형성하고, 붕괴하지 않으면 화구가 생성된다. 한라산의 백록담은 화구이며, 한반도의 대표적인 칼데라 지형으로는 백두산 천지가 있다.
2. 1. 형성 단계
(한라산 및 제주도의 전반적인 형성과정은 제주도 항목을 참조)측화산은 주화구가 식어 마그마의 분출이 막힌 후, 남아있는 열에너지에 의해 팽창된 마그마가 높은 압력으로 주 분화구 주변의 약한 지반을 뚫고 분출하면서 형성된다. 이 과정은 오른쪽 그림의 다섯 단계와 여섯 단계에 해당한다. 마그마가 대부분 식으면 화산 활동이 끝나고, 봉우리의 형성 원인에 따라 칼데라와 화구로 나뉜다. 화산 내부 밀도가 낮아 붕괴하면 주 분화구가 함몰되어 칼데라 지형을 형성하고, 붕괴하지 않으면 화구가 생성된다. 한라산의 백록담은 화구이며, 한반도의 대표적인 칼데라 지형으로는 백두산 천지가 있다.
2. 2. 마그마 성분과 오름 형태
마그마의 성분에 따라 폭발이 커지게 되면 산굼부리와 같이 낮지만 커다란 분화구를 갖는 오름이 형성된다. 해안에서 솟아오른 오름은 일출봉과 같이 한 면만 제주도와 연결된 모습을 띠기도 하고 우도, 차귀도, 비양도와 같이 제주도 주변의 섬이 되기도 하였다. 송악산은 시차를 두고 연속으로 분화하여 이중의 분화구를 갖는 특이한 모양새를 지니게 되었다. 산방산은 바다에서 오름이 형성된 후 융기과정을 거쳐 산 중턱에는 파식 동굴인 산방굴과 해안가에 퇴적 지형인 용머리 해안이 형성 되는 독특한 모습을 띠게 되었다.3. 제주도에서의 오름
마그마의 성분에 따라 폭발이 커지게 되면 산굼부리와 같이 낮지만 커다란 분화구를 갖는 오름이 형성된다. 해안에서 솟아오른 오름은 일출봉과 같이 한 면만 제주도와 연결된 모습을 띠기도 하고 우도나 차귀도, 비양도와 같이 제주도 주변의 섬이 되기도 하였다. 송악산은 시차를 두고 연속으로 분화하여 이중의 분화구를 갖는 특이한 모양새를 지니게 되었다. 산방산은 바다에서 오름이 형성된 후 융기과정을 거쳐 산 중턱에는 파식 동굴인 산방굴과 해안가에 퇴적 지형인 용머리 해안이 형성 되는 독특한 모습을 띠게 되었다.
3. 1. 해안 오름
3. 2. 특이한 형태의 오름
4. 주요 오름
개오리오름, 거문오름, 고근산, 금오름, 남송이오름, 넙게오름, 다랑쉬오름, 단산, 당오름, 도너리오름, 따라비오름, 돈대산, 모슬봉, 문도지오름, 물영아리오름, 물장오리오름, 사라오름, 산굼부리, 산방산, 삼매봉, 새별오름, 서우봉, 세미소오름, 송악산, 수월봉, 아부오름, 영주산, 용눈이오름, 일출봉, 정물오름, 한라산 등이 제주도에 있는 주요 오름이다.
4. 1. 한라산
4. 2. 대표적인 오름
개오리오름, 거문오름, 고근산, 금오름, 남송이오름, 넙게오름, 다랑쉬오름, 단산, 당오름, 도너리오름, 따라비오름, 돈대산, 모슬봉, 문도지오름, 물영아리오름, 물장오리오름, 사라오름, 산굼부리, 산방산, 삼매봉, 새별오름, 서우봉, 세미소오름, 송악산, 수월봉, 아부오름, 영주산, 용눈이오름, 일출봉, 정물오름, 한라산 등이 대표적인 측화산이다.4. 3. 기타 오름
개오리오름, 거문오름, 고근산, 금오름, 남송이오름, 넙게오름, 다랑쉬오름, 단산, 당오름, 도너리오름, 따라비오름, 돈대산, 모슬봉, 문도지오름, 물영아리오름, 물장오리오름, 사라오름, 산굼부리, 산방산, 삼매봉, 새별오름, 서우봉, 세미소오름, 송악산, 수월봉, 아부오름, 영주산, 용눈이오름, 일출봉, 정물오름, 한라산 등이 있다.5. 오름 보존
참조
[1]
웹사이트
How Volcanoes Work-Volcano Types
http://www.geology.s[...]
San Diego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Geologic Sciences
[2]
서적
Volcanoes, a Firefly Guide
https://books.google[...]
Firefly Books
[3]
웹사이트
How Volcanoes Work-Volcano Types
http://www.geology.s[...]
サンディエゴ州立大学 Department of Geologic Sciences
2016-10-14
[4]
서적
Volcanoes, a Firefly Guide
https://books.google[...]
Firefly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