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마마쓰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마마쓰번은 사쿠라이 마쓰다이라 가문 등 여러 가문이 번주를 역임한 후다이 다이묘의 번이었다. 번주 교체가 잦아 "출세성"이라는 별명이 있었으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성공담과 막부 요직에 오른 번주 배출이 그 배경이다. 고리키 다다후사 시대에 번의 기반이 다져졌으며, 이후 이노우에 마사쓰네를 거쳐 미즈노 다다쿠니가 등장하여 덴포의 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하마마쓰번은 도토미국을 중심으로 시모사국, 하리마국에 영지를 두었으며, 하마마츠성을 번청으로 사용하다가 메이지 유신으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리키씨 - 고리키 다다후사
    고리키 다다후사는 센고쿠 시대 말기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서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섬겨 세키가하라 전투와 오사카 전투에 참전 후 하마마쓰 번주를 거쳐 시마바라 번 초대 번주가 되었으며, 시마바라의 난 이후 영지 부흥에 노력하고 나가사키 경비를 맡아 막부의 규슈 지역 통제에 기여했지만, 아들의 실정으로 가문 몰락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평가도 받는다.
  • 고리키씨 - 시마바라번
    시마바라 번은 에도 시대 히젠 국을 중심으로 존재했던 번으로, 아리마 씨의 지배를 거쳐 마츠쿠라 가문, 고리키 가문, 후코즈 마츠다이라 가문, 토다 가문 등이 번주를 역임했으며, 특히 후코즈 마츠다이라 가문은 학문 장려에 힘썼으나 척박한 토지로 인한 재정난에 시달렸다.
  • 도토미국의 번 - 사가라번
    사가라번은 1710년 혼다 다다하루가 1만 5천 석으로 세운 에도 시대의 번으로, 다누마 오키쓰구 시대에 번영을 누렸으나 그의 실각과 함께 폐지되었다가 재흥되기도 했지만, 1868년 최종적으로 폐지되었다.
  • 도토미국의 번 - 고로모번
    고로모번은 에도 시대 미카와국 가모군(현재의 아이치현 도요타시)에 존재했던 번으로, 가마쿠라 시대부터 요새가 있었던 지역이 센고쿠 시대 격전지를 거쳐 에도 시대에는 여러 번을 거쳐 나이토 씨가 약 120년간 통치하며 발전했으나, 덴포 기근으로 농민 봉기를 겪고 메이지 유신 이후 아이치현에 편입되었다.
  • 하마마쓰시의 역사 - 하마마쓰 공습
    하마마쓰 공습은 태평양 전쟁 말기 하마마쓰시가 미국 육군 항공대의 전략 폭격으로 도시 상당 부분이 파괴되고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한 사건이다.
  • 하마마쓰시의 역사 - 이이씨
    이이 씨는 도토미국 이이노야를 중심으로 장원을 다스린 일본의 씨족으로, 후지와라 씨의 후예라는 설이 있으며, 이마가와 씨와 대립하다가 이이 나오마사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면서 번성하여 에도 시대에는 히코네 번주 가문과 요이타 번주 가문으로 나뉘어 이어졌고, 히코네 번주 가문은 에도 막부의 중신을 배출하며 번성했다.
하마마쓰번
지리 정보
위치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기본 정보
이름하마마쓰 번
일본어 이름浜松藩 (하마마쓰 한)
별칭출세성 (出世城, Shussei-jō)
역사
성립1601년
폐지1868년
시대에도 시대
이전이벤트: 시작
날짜: 알 수 없음
이벤트: 종료
날짜: 알 수 없음
이후이벤트: 알 수 없음
날짜: 알 수 없음
정치
정치 체제다이묘
통치 형태번 (Han)
국가도쿠가와 막부 시대의 일본
행정 구역
현재 소속 국가시즈오카현

2. 역사

1570년, 도쿠가와 이에야스하마마쓰성을 거점으로 삼아 도토미국 서부를 경영하였다. 1572년 미카타가하라 전투에서 다케다 신겐에게 크게 패하였으나, 빈 성처럼 보이게 하는 계책을 써서 다케다 군을 물리쳤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케다 군이 도쿠가와 군의 패잔병에게 협공당할 것을 우려하여 퇴각한 것으로 추정된다. 1586년, 이에야스는 슨푸성으로 거성을 옮겼다.

오다와라 정벌 이후 이에야스가 무사시국으로 이봉되자, 도요토미 히데요시 가문의 중신 호리오 요시하루가 12만 석으로 하마마쓰성에 들어왔다. 1599년 요시하루는 은거하고, 아들 호리오 타다우지가 성주가 되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운 타다우지는 이즈모국 마쓰에번으로 이봉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사쿠라이 마쓰다이라 가문, 고리키 씨, 오규 마쓰다이라 가문, 오타 씨, 아오야마 씨, 혼조 마쓰다이라 가문,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 이노우에 씨, 미즈노 씨 등 여러 후다이 다이묘 가문이 하마마쓰번의 번주로 부임했다. 하마마쓰번은 다이묘 가문의 교체가 매우 잦았는데, 에도 시대 265년 동안 번주는 22명으로, 약 12년마다 번주가 바뀌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성공담뿐만 아니라 로주, 교토 쇼시다이 등 막부의 요직에 오른 번주를 다수 배출했기 때문에 "출세성"이라는 별명으로도 알려져 있다.[1]

2. 1. 초기 역사와 도쿠가와 이에야스

겐키 원년(1570년) 6월부터 도쿠가와 이에야스하마마쓰성을 거점으로 삼아 도토미 서부 경영을 맡았다. 겐키 3년(1572년) 12월 미카타가하라 전투에서 다케다 신겐에게 크게 패하여 하마마쓰성으로 도망쳐 돌아왔지만, 성문을 열어 놓고 빈 성처럼 보이게 하는 계책을 써서 다케다 군을 물리쳤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케다 군이 도쿠가와 군의 패잔병에게 협공당할 것을 우려하여 퇴각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야스는 덴쇼 14년(1586년) 12월, 슨푸성으로 거성을 옮겼다.

오다와라 정벌 이후 이에야스가 무사시로 이봉되자, 도요토미 가문의 중신 호리오 요시하루가 12만 석으로 하마마쓰성에 들어왔다. 게이초 4년(1599년) 요시하루는 은거하고, 아들 호리오 타다우지가 성주가 되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운 타다우지는 이즈모 도다번(후의 마쓰에번)으로 이봉되었다.

2. 2. 에도 시대 번주 교체

사쿠라이 마쓰다이라 가문, 고리키 가문, 오기유 마쓰다이라 가문, 오타 가문, 아오야마 가문, 혼조 마쓰다이라 가문,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 이노우에 가문, 미즈노 가문 등 여러 후다이 다이묘 가문이 하마마쓰번의 번주로 부임했다. 하마마쓰번의 특징은 다이묘 가문의 교체가 매우 잦았다는 점이다. 에도 시대 265년 동안 번주는 22명으로, 약 12년마다 번주가 바뀌었다. "출세성"이라는 별명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이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성공담뿐만 아니라 로주, 교토 쇼시다이 등 막부의 요직에 오른 번주를 다수 배출했기 때문이다.[1]

2. 3. 출세성과 막부 요직

번주는 사쿠라이 마쓰다이라 가문, 고리키 가문, 오기유 마쓰다이라 가문, 오타 가문, 아오야마 가문, 혼조 마쓰다이라 가문,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 이노우에 가문, 미즈노 가문 등 후다이 다이묘 여러 가문이 입부했다. 하마마쓰번의 특징으로는 다이묘 가문의 교체가 매우 잦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에도 시대 265년 동안 번주는 22명으로, 약 12년마다 번주가 바뀌었다. "출세성"이라는 별명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그 배경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성공담을 비롯하여, 로주, 교토 쇼시다이 등 막부의 요직에 오른 번주를 다수 배출한 것이 있다.

2. 4. 메이지 유신과 폐번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메이지 유신과 관련된 내용이 없으며, 섹션 작성을 위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섹션은 비어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밖에 없습니다.

3. 역대 번주

하마마쓰번은 에도 시대에 여러 가문이 번갈아 가며 통치한 지역이다. 다음은 역대 하마마쓰 번주의 목록이다.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석고
사쿠라이 마쓰다이라 가문 문장
마쓰다이라(사쿠라이) 씨 (후다이)
1松平忠頼|마쓰다이라 다다요리일본어1601년 ~ 1609년우마노조 (右馬允)종5위하 (従五位下)
고리키 가문 문장
고리키 씨 (후다이)
1高力 忠房|고리키 다다후사일본어1619년 ~ 1638년사콘노타이후 (左近大夫)종5위하 (従五位下)
오규 마쓰다이라 가문 문장
마쓰다이라(오규) 씨 (후다이)
1松平(大給)乗寿|마쓰다이라 노리나가일본어1638년 ~ 1644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종5위하 (従五位下)
오타 가문 문장
오타 씨 (후다이)
1太田資宗|오타 스케무네일본어1644년 ~ 1671년빗추노카미 (備中守)종5위하 (従五位下)
2太田資次|오타 스케츠구일본어1671년 ~ 1678년셋쓰노카미 (摂津守)종4위하 (従四位下)
아오야마 가문 문장
아오야마 씨 (후다이)
1青山宗俊|아오야마 무네토시일본어1678년 ~ 1679년이나바노카미 (因幡守)종4위하 (従四位下)
2青山忠雄|아오야마 다다오일본어1679년 ~ 1685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종5위하 (従五位下)
3青山忠重|아오야마 다다시게일본어1685년 ~ 1702년시모쓰케노카미 (下野守)종5위하 (従五位下)
혼조 마쓰다이라 가문 문장
마쓰다이라(혼조) 씨 (후다이)
1松平 資俊|마쓰다이라 스케토시일본어1702년 ~ 1723년호키노카미 (伯耆守)종4위하 (従四位下)
2松平 資訓|마쓰다이라 스케쿠니일본어1702년 ~ 1729년분고노카미 (豊後守)종5위하 (従五下)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 문장
마쓰다이라(오코치/나가사와) 씨 (후다이)
1松平 信祝|마쓰다이라 노부토키일본어1729년 ~ 1744년이즈노카미 (伊豆守)지주 (侍従)종4위하 (従四位下)
2松平 信復|마쓰다이라 노부나오일본어1744년 ~ 1752년이즈노카미 (伊豆守)종5위하 (従五下)
혼조 마쓰다이라 가문 문장
마쓰다이라(혼조) 씨 (후다이)
1松平 資訓|마쓰다이라 스케쿠니일본어1749년 ~ 1752년분고노카미 (豊後守)지주 (侍従)종4위하 (従四位下)
2松平 資昌|마쓰다이라 스케마사일본어1752년 ~ 1768년이요노카미 (伊予守)종5위하 (従五下)
이노우에 가문 문장
이노우에 씨 (후다이)
1井上正経|이노우에 마사쓰네일본어1768년 ~ 1766년가와치노카미 (河内守)지주 (侍従)종4위하 (従四位下)
2井上正定|이노우에 마사사다일본어1766년 ~ 1786년가와치노카미 (河内守)종5위하 (従五位下)
3井上正甫|이노우에 마사모토일본어1786년 ~ 1817년가와치노카미 (河内守)종5위하 (従五下)
미즈노 가문 문장
미즈노 씨 (후다이)
1水野忠邦|미즈노 다다쿠니일본어1817년 ~ 1845년에치젠노카미 (越前守)지주 (侍従)종4위하 (従四位下)
2水野 忠精|미즈노 다다키요일본어1845년 ~ 1856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지주 (侍従)종4위하 (従四位下)
이노우에 씨 (후다이)
1井上正春|이노우에 마사하루일본어1845년 ~ 1847년가와치노카미 (河内守)지주 (侍従)종4위하 (従四位下)
2井上正直|이노우에 마사나오일본어1847년 ~ 1868년가와치노카미 (河内守)지주 (侍従)종4위하 (従四位下)


3. 1. 사쿠라이 마쓰다이라 가문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석고일본어
마쓰다이라(사쿠라이) 씨 (譜代|후다이일본어) 1601년 ~ 1609년
1松平忠頼일본어1601년 ~ 1609년右馬允|우마노조일본어종5위하 (従五位下)5만 석


3. 2. 미즈노 가문 (시게나카계)

미즈노 시게나카|미즈노 시게나카일본어 가문은 후다이 다이묘 가문으로, 하마마쓰번을 1609년부터 1619년까지 다스렸다. 처음에는 2만 5천 석이었으나, 이후 3만 5천 석으로 늘어났다.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석고(石高)
-- 미즈노(시게나카계) 씨 (후다이) 1609–1619
1미즈노 시게나카|미즈노 시게나카일본어1609–161925,000 석 → 35,000 석




3. 3. 고리키 가문

고리키 다다후사는 1619년부터 1638년까지 하마마쓰번을 다스렸다. 사콘노타이후|사콘노타이후일본어라는 관직을 가졌으며, 고쿠다카는 35,000 석이었다.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
고리키 가문 (후다이) 1619–1638
1高力忠房|고리키 다다후사일본어1619–1638左近大夫|사콘노타이후일본어종5위하 (従五位下)35000석


3. 4. 오규 마쓰다이라 가문

1638년부터 1644년까지 마쓰다이라 노리나가가 하마마쓰번을 다스렸다. 노리나가는 오규 마쓰다이라가 출신으로, 이즈미노카미(和泉守) 관직을 가졌으며, 종5위하(従五位下)의 위계를 받았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하마마쓰번의 고쿠다카는 3만 6천 석이었다.[1]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
1마쓰다이라 노리나가1638–1644이즈미노카미 (和泉守)종5위하 (従五位下)36,000 코쿠


3. 5. 오타 가문

오타 가문|오타 가문일본어

: 후다이 3만 5천 석 → 3만 2천 석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
1스케무네(資宗)1644년 ~ 1671년빗추노카미 (備中守)종5위하35,000 석
2스케츠구(資次)1671년 ~ 1678년셋쓰노카미 (摂津守)종4위하32,000 석


3. 6. 아오야마 가문

아오야마 씨일본어 가문은 에도 시대후다이 다이묘 가문 중 하나로, 하마마쓰번을 1678년부터 1702년까지 통치했다. 이 가문은 5만 석의 고쿠다카를 보유했다.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
1아오야마 무네토시| 青山宗俊일본어1678–1679이나바노카미일본어 (因幡守)종4위하 (従四位下)50,000 석
2아오야마 다다오| 青山忠雄일본어1679–1685이즈미노카미일본어 (和泉守)종5위하 (従五位下)50,000 석
3아오야마 다다시게| 青山忠重일본어1685–1702시모쓰케노카미일본어 (下野守)종5위하 (従五位下)50,000 석


  • 아오야마 무네토시: 1678년부터 1679년까지 재임. 이나바노카미일본어 (因幡守) 관직과 종4위하 (従四位下) 조정 관직을 역임했다.
  • 아오야마 다다오: 1679년부터 1685년까지 재임. 이즈미노카미일본어 (和泉守) 관직과 종5위하 (従五位下) 조정 관직을 역임했다.
  • 아오야마 다다시게: 1685년부터 1702년까지 재임. 시모쓰케노카미일본어 (下野守) 관직과 종5위하 (従五位下) 조정 관직을 역임했다.

3. 7. 혼조 마쓰다이라 가문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석일본어
마쓰다이라(혼조) 씨 (후다이) 1702–1729, 1749-1768
1마쓰다이라 스케토시|松平 資俊일본어1702년 ~ 1723년호키노카미|伯耆守일본어종4위하 (従四位下)70000
2마쓰다이라 스케쿠니|松平 資訓일본어1702년 ~ 1729년분고노카미|豊後守일본어종5위하 (従五下)70000
마쓰다이라(혼조) 씨 (후다이) 1749–1768
1마쓰다이라 스케쿠니|松平 資訓일본어1749년 ~ 1752년분고노카미|豊後守일본어; 지주|侍従일본어종4위하 (従四位下)70000
2마쓰다이라 스케마사|松平 資昌일본어1752년 ~ 1768년이요노카미|伊予守일본어종5위하 (従五下)70000


3. 8.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석고
마쓰다이라(오코치/나가사와) 씨 (후다이) 1729년 ~ 1752년
1마쓰다이라 노부토키1729년 ~ 1744년이즈노카미 (伊豆守)지주 (侍従)7만 석
2마쓰다이라 노부나오1744년 ~ 1752년이즈노카미 (伊豆守)7만 석


3. 9. 혼조 마쓰다이라 가문 (재봉)


  • 마쓰다이라 스케쿠니|松平資訓일본어
  • 스케마사

3. 10. 이노우에 가문

이노우에|井上일본어 가문은 후다이 다이묘 가문으로 6만 석을 다스렸다.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석고
1이노우에 마사쓰네|井上正経일본어1768년 ~ 1766년가와치노카미|河内守일본어지주|侍従일본어종4위하 (従四位下)60,000 석
2이노우에 마사사다|井上正定일본어1766년 ~ 1786년가와치노카미|河内守일본어종5위하 (従五位下)60,000 석
3이노우에 마사모토|井上正甫일본어1786년 ~ 1817년가와치노카미|河内守일본어종5위하 (従五下)60,000 석
1이노우에 마사하루|井上正春일본어1845년 ~ 1847년가와치노카미|河内守일본어지주|侍従일본어종4위하 (従四位下)60,000 석
2이노우에 마사나오|井上正直일본어1847년 ~ 1868년가와치노카미|河内守일본어지주|侍従일본어종4위하 (従四位下)60,000 석


  • 1766년 ~ 1768년 구간이 중복되어 수정함.
  • 연도 표기법을 수정함 (e.g., 1768-1766 -> 1768년 ~ 1766년)
  • llang 템플릿을 수정함.

3. 11. 미즈노 가문 (다다모토계)

다다모토계일본어 미즈노 가문은 후다이 다이묘 가문으로, 하마마쓰번을 1817년부터 1856년까지 다스렸다.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석고
미즈노 가문 (후다이)
1다다쿠니|水野忠邦일본어1817–1845에치젠노카미|越前守일본어지주|侍従일본어종4위하|従四位下일본어60,000 석
2다다키요|水野 忠精일본어1845–1856이즈미노카미|和泉守일본어지주|侍従일본어종4위하|従四位下일본어50,000 석

3. 12. 이노우에 가문 (재봉)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석고
-- 이노우에 씨 (후다이)
1이노우에 마사쓰네(井上正経)1768년 ~ 1766년가와치노카미 (河内守)지주 (侍従)
2이노우에 마사사다(井上正定)1766년 ~ 1786년가와치노카미 (河内守)
3이노우에 마사모토(井上正甫)1786년 ~ 1817년가와치노카미 (河内守)
-- 이노우에 씨 (후다이)
1이노우에 마사하루(井上正春)1845년 ~ 1847년가와치노카미 (河内守)지주 (侍従)
2이노우에 마사나오(井上正直)1847년 ~ 1868년가와치노카미 (河内守)지주 (侍従)


4. 번정

고리키 다다후사 시대에 하마마쓰번의 번정(藩政)이 확립되었다. 다다후사는 신전 개발, 검지 등 민정에 힘썼다. 1642년 마쓰다이라 노리히사가 로주로 임명되어 하마마쓰 번주 출신으로는 처음 막부에 발탁되었다. 오타 씨 시대에는 검지가 실시되어 농촌 지배가 확립되었으나, 번주들은 막부 정치에 관여하는 경우가 많아 번정에는 크게 관여하지 않았다.

아오야마 씨, 혼조 마쓰다이라 가,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 등은 이봉과 재봉을 반복하여 하마마쓰 번 통치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노우에 씨는 3대에 걸쳐 60년간 번을 지배했지만, 특별한 번정 특징은 없었다. 3대 번주 이노우에 마사토는 품행 문제로 좌천되었다.

역대 번주 중 가장 유명한 미즈노 다다쿠니덴포 개혁을 주도했으며, 하마마쓰 번정에서도 재정 재건을 중심으로 개혁을 실시했으나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이후 이노우에 씨가 다시 번주가 되어 섬유 산업과 번사 육성에 힘썼으며, 이는 메이지 유신으로 이어졌다.

4. 1. 주요 정책

고리키 다다후사 시대에 하마마쓰번의 번정(藩政)이 확립되었다. 다다후사는 신전 개발, 검지 등 민정에 적극적으로 힘썼다. 시마바라의 난 이후 시마바라번으로 옮겨간 것도, 난으로 황폐해진 시마바라번의 재건을 에도 막부로부터 기대받았기 때문이며, 실제로 시마바라 영지를 재건했다.

마쓰다이라 노리히사는 하마마쓰 번주 시절인 간에이 19년 12월 19일에 로주로 임명되었다. 그는 하마마쓰 번주 출신으로 처음 막부에 발탁된 인물이다.

오타 씨 시대에는 쇼오 연간에 검지가 실시되어 농촌 지배가 확립되었다. 그러나 오타 씨의 역대 번주는 막부 정치에 관여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번정(藩政)에는 그다지 관여하지 않았다는 견해도 있다.

이후 아오야마 씨, 혼조 마쓰다이라 가,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 등은 이봉(移封)과 재봉(再封)을 반복했기 때문에, 하마마쓰 번의 통치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노우에 씨는 3대에 걸쳐 60년간 하마마쓰 번을 지배했으며, 역대 번주 중에서도 지배 기간이 가장 길었지만, 특별한 번정(藩政)의 특징은 없다. 3대 번주인 이노우에 마사토는 품행이 좋지 않아 무쓰 다나쿠라 번으로 좌천되었다.

역대 번주 중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은, 이노우에 마사토의 뒤를 이어 하마마쓰 번주가 된 미즈노 다다쿠니이다. 다다쿠니는 에도 막부의 로주가 되어 덴포 개혁을 주도했지만, 하마마쓰 번정에서도 번 재정 재건을 중심으로 하는 번정 개혁을 실시했다. 그러나 덴포 개혁에 실패했고, 번정 개혁에서도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다다쿠니는 막부에 의해 감봉(減封), 로주 파면, 강제 은거 후 칩거 처분을 받았다.

그 후, 이노우에 씨가 다시 번주가 되었다. 이노우에 씨의 통치 하에서는 섬유 산업과 번사(藩士) 육성에 힘썼으며, 이는 메이지 유신으로 이어졌다.

5. 영지

대부분의 한과 마찬가지로 하마마쓰번은 정기적인 지적도 조사와 예상되는 농업 생산량을 기준으로 할당된 ''고쿠다카''를 제공하도록 계산된 여러 개의 단절된 영토로 구성되었다.[2][3]

하마마쓰 번의 영지는 도토미국, 시모사국, 하리마국으로 나뉘어 있었다. 도토미국에는 후치군, 나가카미군, 도요다군, 사야군, 키토군, 조토군, 사노군, 도요다군, 시키치군이 있었다. 시모사국 인바군은 시모사현 지현사에 편입되었다. 하리마국에는 미노군, 가토군이 있었다.

하리마 국내의 비지 영지 변천에 대해서는, 「구고구령취조장」에 이미 시카마현으로 기재되어 있어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5. 1. 도토미국

하마마쓰번은 대부분의 한과 마찬가지로, 정기적인 지적도 조사와 예상되는 농업 생산량을 기준으로 할당된 ''고쿠다카''를 제공하도록 계산된 여러 개의 단절된 영토로 구성되었다.[2][3] 하마마쓰 번의 영토는 다음과 같았다.

구니명군명촌 수비고
도토미국후치군94개 촌
도토미국나가카미군87개 촌
도토미국도요다군28개 촌
도토미국사야군3개 촌
도토미국키토군2개 촌
도토미국조토군2개 촌
도토미국사노군3개 촌
도토미국도요다군28개 촌
도토미국나가카미군87개 촌
도토미국시키치군94개 촌
시모사국인바군38개 촌시모사현 지현사에 편입
하리마국미노군7개 촌
하리마국가토군19개 촌



하리마 국내의 비지 영지의 변천에 대해서는, 「구고구령취조장」에 이미 시카마현으로 기재되어 있어 자세한 내용은 불명이다.

5. 2. 시모사국

인바군 38개 촌 (시모사현 지현사에 편입)

5. 3. 하리마국



하리마 국내의 비지 영지의 변천에 대해서는, 「구고구령취조장」에 이미 시카마현으로 기재되어 있어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6. 번청

하마마쓰성(히쿠마성이라고도 함)은 현재의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 주오구 모토죠마치에 위치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Edo daimyo.net http://www1.parkcity[...]
[2]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3]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