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수빈은 1992년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1973년 서울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음악적 재능을 보였으며, 1992년 1집 앨범 "Lisa in Love"를 발표하며 가수로 데뷔했다. 이후 2집을 발매했으나 활동을 중단했다가 2010년 3집 앨범을 발표하며 복귀했다. 앨범 프로듀싱, 문학 활동, 드라마 출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현재는 La Stella Entertainment의 대표로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성여자고등학교 동문 - 김추월
김추월은 계성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배화여자전문대학에서 전문학사 학위를 받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1990년 영화 《물 위를 걷는 여자》로 데뷔하여 영화 《괴물》, 《마담 뺑덕》, 드라마 《하나뿐인 내편》, 《싸우자 귀신아》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했다. - 계성여자고등학교 동문 - 안연홍
안연홍은 1985년 데뷔 후 드라마, 영화, 예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아역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대한민국의 디자이너 - 손혜원
손혜원은 대한민국의 디자이너이자 정치인으로, 크로스포인트를 공동 설립하여 '처음처럼', '참이슬' 등 유명 브랜드 디자인을 담당했으며, 나전칠기 수집가로서 전통 공예 현대화에 힘썼고,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부동산 투기 의혹 등으로 더불어민주당을 탈당 후 열린민주당을 거쳐 녹색당 창당에 참여했다. - 대한민국의 디자이너 - 석금호
석금호는 한국 타이포그래피 전문가이자 산돌의 설립자로, 다수의 폰트 개발과 한글티움 설립 등 한국 폰트 산업 발전과 한글 문화 확산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여자 싱어송라이터 - 조유리
조유리는 엠넷 《PRODUCE 48》을 통해 아이즈원으로 데뷔하여 메인보컬을 담당했고, 아이즈원 활동 종료 후 솔로 가수로 활동하며 배우로도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대한민국의 여자 싱어송라이터 - 원미연
원미연은 1985년 《MBC 대학가요제》를 통해 이름을 알린 후 1989년 가수로 데뷔하여 《이별여행》 등의 곡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배우와 사업가로도 활동한다.
하수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본명 | 하수빈 |
로마자 표기 | Ha Soo-bin |
출생일 | 1973년 5월 3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직업 | 가수 작곡가 음악 프로듀서 건축가 패션 디자이너 |
종교 | 천주교 |
음악 활동 | |
악기 | 보컬 피아노 바이올린 |
활동 시기 | 1992년–현재 |
장르 | K-pop 댄스 팝 |
레이블 | 현대레코드 라스텔라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
웹사이트 | hasoobin.com |
관련 인물 | |
소속사 | 라스텔라 엔터테인먼트 |
2. 어린 시절 및 데뷔 과정
하수빈은 1973년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진주 하씨이며, 외가는 전주 이씨이다. 어릴 적부터 몸이 약해 잔병치레를 자주 했지만, 학업 성적은 매우 우수했다. 어머니의 교육 방식과 본인의 재능 덕분에 전 과목에서 만점을 받는 등 학업에 두각을 나타냈다.
5세 때부터 피아노를 시작했고, 바이올린에도 재능을 보였다. 13세에는 첫 자작곡 "하늘"을 작곡하는 등 음악적 재능을 키웠다. 중, 고등학교 시절에는 기독교, 천주교 미션 스쿨을 다니며 방송반 활동을 통해 아나운서 역할을 하기도 했다.
고등학교 재학 중 CF 모델로 활동하면서 미국 팝 싱어송라이터 토미 페이지를 만나 가수의 길로 들어섰다. 토미 페이지는 그녀에게 "리사(Lisa)"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1992년, 서울예술대학교 1학년 때 1집 "Lisa in Love"를 발표하며 정식으로 데뷔했다.[7]
2. 1. 토미 페이지와의 인연
토미 페이지는 하수빈의 데뷔에 큰 영향을 준 인물로, 당시 미국과 아시아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던 팝 가수였다. 토미 페이지는 하수빈에게 "I'm Falling in Love"를 비롯한 여러 자작곡을 선물했으며, 하수빈의 데뷔 앨범 작업에 참여했다.[7][5][4] 당시 토미 페이지는 한국 방송에 출연하여 하수빈을 응원하고, 함께 세계 음악 시장에 도전할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하수빈은 토미 페이지와 듀엣곡을 발표하고 뮤직비디오에도 함께 출연하기로 약속했으나, 학업 문제 등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7] 훗날 하수빈은 보이 그룹 프로듀싱을 하게 되는데, 이는 토미 페이지, 뉴키즈온더블록과의 인연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3. 가수 활동
하수빈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출신으로, 계성여자고등학교 재학 시절 의류 잡지 모델로 활동하다 토미 페이지를 만나 가수의 길을 걷게 되었다. 페이지는 하수빈에게 "리사"라는 별명을 지어주었다.[7]
1992년 데뷔 앨범 ''Lisa in Love''를 발매하여 〈노노노노노〉, 〈더 이상 내게 아픔을 남기지마〉 등의 곡으로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인기를 얻었다.[1][2] 1집 활동 당시 10대 소년 팬들을 중심으로 팬클럽 '숙녀리사 Lady Lisa 1992'가 결성되기도 했다.
1년 후, 2집 ''Ha Soo Bin II''를 발매했으나, 앨범 발매 직후 갑작스럽게 음악계를 떠났다.[1][3] 2집 활동 당시에는 해외 로케 뮤직비디오를 촬영하고, 사진작가 김중만과 함께 노 메이크업 콘셉트의 영상집을 제작하는 등 새로운 시도를 선보였다.
이후 캐나다에서 음악 공부를 하고, 한국과 해외에서 건축, 패션 등 다양한 사업에 참여했다.[2][1][6][4]
2010년, 3집 ''The Persistence of Memory''로 복귀했으나, TV 출연과 콘서트 이후 다시 활동을 중단했다.[1][3][6][4] 3집은 살바도르 달리의 동명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으며, 하수빈이 전곡 프로듀싱, 작사, 작곡, 연주를 맡아 싱어송라이터로서의 역량을 보여주었다.
3. 1. 1집 Lisa in Love (1992)
예민, 토미 페이지(Tommy Page), 심상원, 김형석 등의 뮤지션이 참여한 하수빈의 데뷔 앨범으로, 데뷔곡은 작곡가 겸 프로듀서 예민의 발라드곡 〈더 이상 내게 아픔을 남기지마〉, 스위트 팝 댄스곡 〈노노노노노〉, 토미 페이지의 곡 〈I'm Falling In Love〉이다.[7][8] I'm Falling In Love은 하수빈이 17세에 미국의 팝 싱어송라이터 토미 페이지로부터 아시아 스타 첫 예로 받은 곡으로 알려져 있으며, <Lisa:리사> 라는 이름도 선물 받았다.토미 페이지는 데뷔 후 방송 홍보 기간 중 KBS 쇼 프로그램에 출연한 하수빈을 위해 미국에서 귀국, 그녀에게 선물한 곡 설명과 리사라고 부른다는 일화 등을 소개했다. 그녀의 첫 방송 데뷔는 1992년 8월 1일 MBC 여름 특집 생방송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였다. 그 후 방송 2회 만에 당시 여가수들에게 흔치 않은 매우 빠른 속도로 음반 판매량 을 기록했다. 이것은 여가수 단기 판매량 기록이기도 했다. 10대 소년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았고 바로 팬 클럽 《'''숙녀리사 Lady Lisa 1992'''》가 만들어졌다. 특히 발라드 〈너는 나의 사랑의 이름〉은 하수빈이 17세에 만든 자작곡으로 정규 앨범에 실은 첫 타이틀이다.

# | 곡명 |
---|---|
1 | 더 이상 내게 아픔을 남기지마 |
2 | 노노노노노 |
3 | 너는 나의 사랑의 이름 |
4 | 햇살과 같은 그대의 미소 |
5 | ''Im Falling In Love''' |
6 | 잊혀져 가는 건 |
7 | 아름다운 너 |
8 | 사랑의 왈츠 |
3. 2. 2집 The Heart of... (1993)
유정연, 윤상, 예민, 김형석 등 여러 음악가들이 참여한 유럽풍 팝 스타일의 음반이다. 해외 로케 뮤직비디오와 영상집이 수록되었으며, 대표곡으로는 〈그대 나를 떠나가나요〉, 〈처음 사랑 이야기〉, 〈나〉 등이 있다.[9][10] 하수빈은 앨범 대부분 곡의 작사를 맡았으며, 새로운 음악적 요소를 담은 왈츠곡 〈마지막 소녀기〉는 10대 시절을 회고하며 만든 자작곡으로, 곧 다가올 20세 성년식을 축하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영상집은 사진 작가 김중만의 작품으로, 인공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노 메이크업으로 촬영하여 자연스러움을 강조했다고 한다. 이는 소녀에서 여인으로 성장하는 하수빈의 모습을 담아내기 위한 시도였다.
# | 곡명 |
---|---|
1 | 그대 나를 떠나가나요 |
2 | 그대 눈에 젖은 나 |
3 | 날 잊어야 해 |
4 | 마지막 소녀기 (별. 소녀) |
5 | 나 |
6 | 처음 사랑 이야기 |
7 | 날 대신하기에 충분한 그대 |
8 | 그대 나를 떠나가나요 (Remix) |
3. 3. 3집 The Persistence of Memory (2010)
'''하수빈'''의 3집 ''The Persistence Of Memory''는 아티스트로서 그녀의 성장과 변모를 보여주는 앨범이다. 추억의 지속이라는 부제처럼, 그녀의 감성 판타지와 영혼의 음악 세계를 표현하고 있다. 삶의 여정, 사랑, 평화, 그리고 오랜 그리움의 정서를 영상미학적 음향(Cinematic Sound), 섬세한 문학적 언어와 감성적 음악으로 담아낸 점이 인상적이다.[4]이 앨범은 기획 단계부터 한국, 미국, 영국 등 국내외 최고 뮤지션들이 참여한 수작(秀作)으로, 오랫동안 기억될 앨범으로 평가받는다. 하수빈은 전 곡을 직접 프로듀스, 작곡, 작사, 연주하며 싱어송라이터로서의 역량을 발휘했다. 특히 스티비 원더의 기타리스트이자 머라이어 캐리, 제니퍼 로페즈, 마돈나 등 세계적인 뮤지션들의 앨범에 참여한 미국의 기타리스트 '''모리스 오코너'''(Morris O`Connor)가 참여하여 화제를 모았다.[4]
3집은 애틋한 그리움과 깊은 사랑을 표현한 헌정 음악으로, 물리적 거리, 시간과 공간, 삶의 방식을 초월하는 음악적 환경 속에서 열정과 정성을 다해 만들어졌다. 하수빈의 내면적 감성은 매우 회화적이며, 자연 생태에 가까운 아름답고 신비로운 소리의 결을 추구하며 회화적인 사운드로 표현했다. 스페인 화가 살바도르 달리의 동명 작품 "The Persistence of Memory"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으며, 달리 특유의 전위적인 예술은 하수빈의 음악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하수빈은 음악적 공간감을 표현하기 위해 시간을 정복하고 지배하는 듯한 느낌을 담아내고자 했다.[4]
광활한 바다를 배경으로 하늘, 바다, 별, 태양, 바람, 비, 구름, 중력, 꽃, 숲, 호수, 파도, 피아노 등 자연의 모든 것을 추억이라는 모태로 형상화했다. 자연 생태와 환경에 근접한 감상을 아름다운 영상미학적 음향으로 추구한 것이다.[4]
오랜 공백 끝에 발표된 이 앨범은 하수빈의 삶이 고스란히 투영된 듯, 더욱 깊어진 음악적 성장과 감성적 충만함을 선사한다. 대표곡으로는 《Island ('''내 그리운 나라''')》,《'''Memories'''》, 《'''아이리스 정원'''》 등이 있다.[4][11]

3. 4. 프로듀싱 참여 앨범
하수빈은 가수 활동 외에도 다른 가수들의 앨범 프로듀싱에 참여했다.앨범명 | 참여 부분 | 발매 연도 |
---|---|---|
M.Street 1집 《Boy's story in the city》 | 제작 Agency, CoProducer | 2003년 |
SBS 드라마 《매직》OST | CoProducer | 2004년 |
KBS 2TV 드라마 《미안하다 사랑한다》OST | CoProducer | 2004년 |
Beyond 1집 《Sailing》 | 제작 Agency, Produce | 2005년 |
《영화같은 음악의 시작》 | 제작 Agency, Produce | 2006년 |
Mr. mimi 싱글앨범 《우리 결혼해》 | 제작 Agency, Produce | 2006년 |
Beyond 싱글앨범 《얼마나》 | 제작 Agency, Produce | 2007년 |
싱글앨범 《안녕》 | 제작 Agency, Produce | 2007년 |
4. 문학 활동
La Stella영어... 그리움은 아름다운 별이 되어... (2010년)
2010년에 발표된 뉴에이지 영상시집이다. 노르웨이 숲, 캐나다의 호수, 사막 등 자연에서 얻은 영감을 바탕으로 쓴 자작시들이 수록되어 있다. 시집은 자연에 대한 감성, 삶의 여정, 사랑과 그리움 등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1]
하수빈은 알퐁스 도데의 별을 읽고 느낀 감동을 시집에 담아냈다고 하며, 인상주의 작곡가 드뷔시를 좋아했다고 밝혔다. 시집은 음악, 건축 조형, 디자인, 문학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활동하는 하수빈의 예술적 재능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1]
영상 시집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1]
'''I. The Dawning'''
'''II. Through all Eternity'''
'''III. Lake Louise'''
'''VI. The Persistence of Memory'''
5. 기타 활동
La Stella Entertainment영어 대표 경영자로 활동하고 있다.[1] 건축 디자인, 조형 미술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2]
6. 드라마 출연
7. 소속사
참조
[1]
뉴스
https://www.joongang[...]
2015-03-09
[2]
웹사이트
https://www.econovil[...]
2019-02-23
[3]
웹사이트
https://www.edaily.c[...]
2015-03-10
[4]
뉴스
Ha Soo-bin to hold first solo concert
https://www.koreatim[...]
2011-01-04
[5]
AllMusic
Tommy Page - ''A Friend to Rely On''
2023-09-06
[6]
웹사이트
Ha Soo Bin to make a comeback after 16 years
https://www.allkpop.[...]
2010-10-30
[7]
Discogs master
[8]
웹사이트
Lisa in Love
https://open.spotify[...]
Spotify
[9]
웹사이트
http://www.maniadb.c[...]
[10]
웹사이트
Ha Soo Bin II
https://open.spotify[...]
Spotify
[11]
웹사이트
The Persistence of Memory
https://open.spotify[...]
Spotif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