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주 하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주 하씨는 백제 시대부터 존재한 한국의 성씨로, 통일신라 말과 고려 시대에 진주 지역의 호족 세력으로 성장했다. 고려 개국에 기여하여 태조 왕건으로부터 토성을 분정받았으며,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재상, 문과 급제자, 무과 급제자 등을 배출하며 명문가로 자리 잡았다. 조선 시대에는 하륜과 하연이 종묘배향공신으로 지정되었으며, LG그룹, 효성그룹 등 재벌가의 외가로도 이름을 알렸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2만 명 이상이 진주 하씨 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주 하씨 - 하춘화
    1961년 만 6세에 데뷔한 가수 하춘화는 《물새 한 마리》, 《잘했군 잘했어》, 《영암 아리랑》, 《알고 계세요》 등 수많은 히트곡과 8,500회 이상의 공연, 2,400여 곡의 취입곡, 박사 학위 취득, 꾸준한 기부 활동으로 유명하다.
  • 진주 하씨 - 하하
    하하는 1979년생 대한민국의 방송인이자 가수로, 《무한도전》, 《런닝맨》 등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MC와 가수로 활동하며, 2012년 가수 별과 결혼하여 2남 1녀를 두고 있다.
  • 진양 하씨 - 하태경
    1968년 부산 출생의 하태경은 학생운동과 북한 민주화 운동가 활동 후 2011년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3선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개혁보수를 표방하는 정치인이다.
  • 진양 하씨 - 하대돈
    하대돈은 부산고와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국가재건최고회의 행정관, 국회 운영위원회 행정실장, 국무총리 정보비서관, 제10대 국회의원, 한국관광공사 사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행정가이다.
진주 하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씨진주 하씨
晋州河氏
이칭진양 하씨(晋陽河氏)
나라한국
관향경상남도 진주시
시조하공진(河拱辰), 하진(河珍)
집성촌경상남도 진주시
전라남도 진도군
경상북도 영천시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주요 인물하을지
하륜
하연
하윤
하진보
하응림
하백원
하근수
하순봉
년도2015
인구226,143명

2. 역사

진주 하씨는 백제시대 부터 존속한 성씨라고 한다. 통일신라 말과 고려 개국 당시부터 진주(진양) 지방의 영향력을 행사하던 토착세력인 호족이었다. 고려 개국 당시 협력하여 태조 왕건으로부터 토성을 분정받았다. 진주 하씨는 고려 초기부터 재경관인과 재지 세력으로 분화되어 활동하였고, 일부 인물들은 고려 말기 학문적 소양을 갖추어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신진사대부 대열에 합류하기도 한다.

조선 문종 2년 1451년에는 경태보가 편찬되었다. 이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안동 권씨 성화보 보다 25년이 앞서고 세종 2년 1423년 편찬된 문화 류씨 영락보에 이어 두 번째로 오래된 족보이지만 임진왜란 당시 소실되어 현재는 세보 서문만 국립중앙전자도서관에 남아 있다. 이에 다시 1606년 진양하씨세보를 발행하고 숙종 46년 1719년 기해보를 출간한다.

사직공파는 고려 말 하즙, 하윤원, 하유종 3대에 걸쳐 봉군 작위를 부여받았다. 또한 하즙, 하윤원, 하자종, 하연에 이르기까지 여말선초 4대에 이르러 재상직을 배출한다. 고려 공양왕의 3녀인 경화궁주와 결혼한 부마 강회계의 외조부가 하즙이다. 하자종의 딸은 덕수 이씨 춘당공 이양(1367~1447)에게 출가하였는데 율곡 이이 6대조가 된다. 하위지사육신의 한 사람으로서 아버지 하담이 문과 급제하고 아들 하강지, 하위지, 하기지 3형제가 문과에 급제하여 당대 사람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하위지는 세종의 총애를 받아 사가독서를 하고 집현전에서 왕을 보좌하며 많은 업적을 남겼다.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쳐 예조참판에 이르러 단종 복위 계획이 탄로나 아버지와 아들, 형제들까지 모두 처형된다. 그리고 사직공파에서는 세종. 문종 대에 정승을 역임한 종묘배향공신 영의정 하연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하연은 국구 심온의 사위인 강석덕의 이모부이며 차남 하제명은 소헌왕후 심씨의 사촌인 심석준(심온의 형 심징의 아들)의 사위이다. 당대 명문가를 이루었고 청백리와 승평수문의 재상으로 평가받는다. 하연은 후손들에게는 정계 진출을 삼가하고 학문과 농사일에만 전념하도록 유언하였다.

시랑공파에서는 조선 태종 대에 국가의 초석을 다지는데 공헌한 종묘배향공신 영의정 하륜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권문세족인 이인복, 이인임의 조카사위이기도 하다. 고려 말 최고의 학자이자 관료였던 목은 이색의 손녀인 한산 이씨(장남 이종덕의 딸)가 하륜의 며느리가 된다. 그리고 하륜의 누이는 직제학 류극서의 처인데 태조의 8남 이방석의 세자빈 현빈 심씨(심효생의 자)에게 외숙모이다.

진주 하씨는 고려 초기부터 출사하여 드러나지 않게 다방면에서 활동을 하였다. 진주에서는 충, 효, 절의로서 명성이 높다. 그런데 계유정난하위지가 단종 복위를 위한 사육신 사건에 연루되어 집안이 큰 화를 입게 되자 진주 하씨는 중앙 정계의 진출을 지양하고 후진 양성과 학문 탐구에 비중을 두었다. 문효공 하연 계열의 후손들이 번영하여 진주(진양) 하씨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진주 하씨와 관련한 상당수의 문화재는 진주시를 중심으로 인근 지역에 주로 산재해 있고 국립진주박물관, 경상국립대 박물관에도 기증되어 있어 관람할 수 있다. 진주 하씨는 관향인 경남 지역에 많이 거주한다.

진주 하씨는 조선시대 종묘배향공신 하륜과 하연 2명, 상신 2명, 대제학 1명, 문과 급제자 45명, 무과 급제자 88명을 배출하였다.

LG 그룹 창업주 구인회 회장의 어머니는 하근 여사이며 2대 회장 구자경 회장의 배우자이자 구본무 회장의 어머니는 하정임 여사이다. 그리고 효성그룹 창업주 조홍제 회장의 배우자이자 조석래 회장의 어머니는 하정옥 여사이다. 두 재벌가의 외가집이 진주 지역의 대부호가로서 진주 하씨 집안이다.

법조계에서는 하경철 헌법재판관, 하창우 대한변협 회장, 하종홍 대구지방변호사회 회장과 하경효, 하태훈, 하명호 고려대학교 법대 교수 등이 있고, 금융계는 하영구 은행연합회장, 하영기 한국은행 총재, 하춘수 대구은행장 등이, 학계에서는 하경근 중앙대학교 총장, 하서현 강원대 총장, 하우송 경상국립대학교 총장, 하두봉 서울대학교 부총장, 하용출, 하영선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등이, 재계에서는 하현회 LG 유플러스 대표이사, 하석주 롯데건설 대표이사, 하원만 현대백화점 대표이사, 하원기 현대산업개발 대표이사, 하언태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하기주 코오롱 대표이사 등, 정관계 인사로는 하금열 대통령비서실장, 하동만 특허청장, 하병필 대통령 비서실 사회통합비서관, 하대성 경상북도 정무부지사, 하영제 전 산림청장, 하복동 감사원 사무총장, 언론계에서는 하남신 SBS 논설위원, 하종대 동아일보 논설위원 등이 활약하였고, 군인사에는 하창호 육군교육사령부 부사령관, 하대봉 육군대총장 등이 있다. 의학계에서는 하종원 세브란스병원장, 하권익 서울보훈병원장, 하상호 조선대 병원장, 하은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장, 하충식 창원한마음병원이사장 등이 있으며, 문화예술계에서는 국제적으로 알려진 하승무 시인(역사신학자) 등이 있다. 이외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

2. 1. 고려 시대

진주 하씨는 백제시대 부터 존속한 성씨라고 한다.[1] 통일신라말과 고려 개국 당시부터 진주(진양) 지방의 영향력을 행사하던 토착세력인 호족이었다. 고려 개국 당시 협력하여 태조 왕건으로부터 토성을 분정받았다. 진주 하씨는 고려 초기부터 재경관인과 재지세력으로 분화되어 활동하였고, 일부 인물들은 고려 말기 학문적 소양을 갖추어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신진사대부 대열에 합류하기도 한다.

사직공파는 고려 말 하즙, 하윤원, 하유종 3대에 걸쳐 봉군 작위를 부여받았다.[2] 또한 하즙, 하윤원, 하자종, 하연에 이르기까지 여말선초 4대에 이르러 재상직을 배출한다. 고려 공양왕의 3녀인 경화궁주와 결혼한 부마 강회계의 외조부가 하즙이다. 하자종의 딸은 덕수 이씨 춘당공 이양(1367~1447)에게 출가하였는데 율곡 이이 6대조가 된다.

시랑공파는 하공진 순국 후 300년 동안 그 후손들이 고려조에 공신 대우를 받아 4대 현손에 이르기까지 관직을 제수받게 된다.[1] 고려 충선왕(1308년) 교지에도 그 후손들을 특별한 대우를 하라고 명시되어 있다. 고려조에는 하탁회, 하정재, 하남수, 하소를 비롯하여 하소의 아들인 하호, 하부, 하부심 3형제가 문과급제를 하여 조정으로부터 양친이 전곡을 하사받았다. 이처럼 5대 걸쳐 문과급제자를 배출한다.

진주 하씨는 고려 초기부터 출사하여 드러나지 않게 다방면에서 활동을 하였다. 진주에서는 충, 효, 절의로서 명성이 높다.

2. 2. 조선 시대

진주 하씨는 백제시대 부터 존속한 성씨라고 한다.[1] 통일신라 말과 고려 개국 당시부터 진주(진양) 지방의 영향력을 행사하던 토착세력인 호족이었다. 고려 개국 당시 협력하여 태조 왕건으로부터 토성을 분정받았다.[1] 진주 하씨는 고려 초기부터 재경관인과 재지 세력으로 분화되어 활동하였고 일부 인물들은 고려 말기 학문적 소양을 갖추어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신진사대부 대열에 합류하기도 한다.[1]

조선 문종 2년 1451년에는 경태보가 편찬되었다.[1] 이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안동 권씨 성화보 보다 25년이 앞서고 세종 2년 1423년 편찬된 문화 류씨 영락보에 이어 두 번째로 오래된 족보이지만 임진왜란 당시 소실되어 현재는 세보 서문만 국립중앙전자도서관에 남아 있다.[1] 이에 다시 1606년 진양하씨세보를 발행하고 숙종 46년 1719년 기해보를 출간한다.[1]

사직공파는 고려 말 하즙, 하윤원, 하유종 3대에 걸쳐 봉군 작위를 부여받았다.[1] 또한 하즙, 하윤원, 하자종, 하연에 이르기까지 여말선초 4대에 이르러 재상직을 배출한다.[1] 고려 공양왕의 3녀인 경화궁주와 결혼한 부마 강회계의 외조부가 하즙이다.[1] 하자종의 딸은 덕수 이씨 춘당공 이양(1367~1447)에게 출가하였는데 율곡 이이 6대조가 된다.[1] 하위지사육신의 한 사람으로서 아버지 하담이 문과 급제하고 아들 하강지, 하위지, 하기지 3형제가 문과에 급제하여 당대 사람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1] 하위지는 세종의 총애를 받아 사가독서를 하고 집현전에서 왕을 보좌하며 많은 업적을 남겼다.[1]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쳐 예조참판에 이르러 단종 복위 계획이 탄로나 아버지와 아들, 형제들까지 모두 처형된다.[1] 그리고 사직공파에서는 세종. 문종 대에 정승을 역임한 종묘배향공신 영의정 하연이 대표적인 인물이다.[1] 하연은 국구 심온의 사위인 강석덕의 이모부이며 차남 하제명은 소헌왕후 심씨의 사촌인 심석준(심온의 형 심징의 아들)의 사위이다.[1] 당대 명문가를 이루었고 청백리와 승평수문의 재상으로 평가받는다.[1] 하연은 후손들에게는 정계 진출을 삼가하고 학문과 농사일에만 전념하도록 유언하였다.[1]

시랑공파에서는 조선 태종 대에 국가의 초석을 다지는데 공헌한 종묘배향공신 영의정 하륜이 대표적인 인물이다.[1] 그는 권문세족인 이인복, 이인임의 조카사위이기도 하다.[1] 고려 말 최고의 학자이자 관료였던 목은 이색의 손녀인 한산 이씨(장남 이종덕의 딸)가 하륜의 며느리가 된다.[1] 그리고 하륜의 누이는 직제학 류극서의 처인데 태조의 8남 이방석의 세자빈 현빈 심씨(심효생의 자)에게 외숙모이다.[1]

진주 하씨는 고려 초기부터 출사하여 드러나지 않게 다방면에서 활동을 하였다.[1] 진주에서는 충, 효, 절의로서 명성이 높다.[1] 그런데 계유정난하위지가 단종 복위를 위한 사육신 사건에 연루되어 집안이 큰 화를 입게 되자 진주 하씨는 중앙 정계의 진출을 지양하고 후진 양성과 학문 탐구에 비중을 두었다.[1] 문효공 하연 계열의 후손들이 번영하여 진주(진양) 하씨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1] 진주 하씨와 관련한 상당수의 문화재는 진주시를 중심으로 인근 지역에 주로 산재해 있고 국립진주박물관, 경상국립대 박물관에도 기증되어 있어 관람할 수 있다.[1] 진주 하씨는 관향인 경남 지역에 많이 거주한다.[1]

진주 하씨는 조선시대 종묘배향공신 하륜과 하연 2명, 상신 2명, 대제학 1명, 문과 급제자 45명, 무과 급제자 88명을 배출하였다.[1]

LG 그룹 창업주 구인회 회장의 어머니는 하근 여사이며 2대 회장 구자경 회장의 배우자이자 구본무 회장의 어머니는 하정임 여사이다.[1] 그리고 효성그룹 창업주 조홍제 회장의 배우자이자 조석래 회장의 어머니는 하정옥 여사이다.[1] 두 재벌가의 외가집이 진주 지역의 대부호가로서 진주 하씨 집안이다.[1]

법조계에서는 하경철 헌법재판관, 하창우 대한변협 회장, 하종홍 대구지방변호사회 회장과 하경효, 하태훈, 하명호 고려대학교 법대 교수 등이 있고,[1] 금융계는 하영구 은행연합회장, 하영기 한국은행 총재, 하춘수 대구은행장 등이,[1] 학계에서는 하경근 중앙대학교 총장, 하서현 강원대 총장, 하우송 경상국립대학교 총장, 하두봉 서울대학교 부총장, 하용출, 하영선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등이,[1] 재계에서는 하현회 LG 유플러스 대표이사, 하석주 롯데건설 대표이사, 하원만 현대백화점 대표이사, 하원기 현대산업개발 대표이사, 하언태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하기주 코오롱 대표이사 등,[1] 정관계 인사로는 하금열 대통령비서실장, 하동만 특허청장, 하병필 대통령 비서실 사회통합비서관, 하대성 경상북도 정무부지사, 하영제 전 산림청장, 하복동 감사원 사무총장,[1] 언론계에서는 하남신 SBS 논설위원, 하종대 동아일보 논설위원 등이 활약하였고,[1] 군인사에는 하창호 육군교육사령부 부사령관, 하대봉 육군대총장 등이 있다.[1] 의학계에서는 하종원 세브란스병원장, 하권익 서울보훈병원장, 하상호 조선대 병원장, 하은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장, 하충식 창원한마음병원이사장 등이 있으며,[1] 문화예술계에서는 국제적으로 알려진 하승무 시인(역사신학자) 등이 있다.[1] 이외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1]

2. 3. 근현대

3. 분파

口수(秀)口운(運)
口도(圖)재(載)
치(致)口진(鎭)
口준(駿)영(永)
석(錫)口근(根)
口봉(鳳)
口구(九)병(炳)
회(會)口준(埈)
口종(宗)
口녕(寧)현(鉉)
성(成)
재(載)口옥(沃)
口기(紀)
口손(巽)표(杓)
강(康)口경(炅)
口재(宰)규(圭)
연(延)口석(錫)
口규(揆)민(旼)口동(東)희(熙)口곤(坤)금(錦)口왕(汪)백(柏)口형(炯)



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
경(慶)口기(基)口진(鎭)口낙(洛)
口홍(泓)
영(榮)
룡(龍)
상(相)
口섭(燮)
口용(容)
口대(大)
주(周)
재(在)
원(垣)
재(載)
口선(善)
口호(鎬)
口종(鍾)
口석(錫)
태(泰)
홍(洪)
청(淸)
옥(沃)
口래(來)
口수(秀)
口목(穆)
口권(權)
헌(憲)
성(性)
연(然)
口철(喆)
口준(埈)
口배(培)
상(商)
정(鋌)
용(鏞)
口순(淳)
口해(海)
口구(求)
동(東)
병(柄)
병(秉)
口희(熙)
口열(烈)
중(重)
규(圭)
口전(銓)
口현(鉉)
준(準)
영(永)
口식(植)
口근(根)
환(煥)
병(炳)


4. 본관

진주(晋州)는 경상남도 서부에 위치한 지명이다. 본래 백제의 거렬성(居烈城)이다.[5] 663년(문무왕 3) 신라에 편입되어 거타주(居陀州)가 설치되었으며, 685년(신문왕 5)에 청주(菁州)를 설치하였다가, 757년(경덕왕 16)에 강주도독부(康州都督府)로 개칭되었다가 혜공왕 때 청주(菁州)로 개칭되었다.[5] 고려 건국 후 940년(태조 23)에 다시 강주로 환원되었고, 983년(성종 2)에 12목의 하나인 진주목으로 개편하였다.[5] 995년(성종 14)에는 정해군(定海軍)이라 하고 절도사(節度使)를 두어 산남도(山南道)에 속하게 하였다.[5] 1012년에 안무사(按撫使)로 고쳤다가, 1018년(현종 9)에 진주목으로 복구되었다.[5] 1392년(태조 1) 조선 건국 후 현비(顯妃) 강씨(康氏)의 내향(內鄕)이므로 진양대도호부(晉陽大都護府)로 승격하였으나 1402년(태종 2)에 진주목으로 환원되었다.[5]

세종실록지리지에 경상도 진주목의 토성(土姓)으로 (鄭)·하(河)·(姜)·(蘇) 4성이 기록되어 있다.[5]

1896년 경상남도 진주군으로 개편되었다.[5] 1939년 진주읍이 시로 승격하면서 나머지 지역이 진양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95년 진양군이 진주시에 통합되었다.[5]

5. 인물

진주 하씨는 현대 인물로는 하준수, 하승진, 하일, 허영만, 하동균, 하재익, 하성운 등이 있다.

6. 문화재

백산서원은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60호이다.

7. 인구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진주 하씨 160,307명, 진양 하씨 65,836명으로 총 226,143명이다.

조사 년도인구 (명)가구남자 (명)여자 (명)
1985년178,86643,237
2000년192,86960,70598,36594,504
2015년226,143113,616112,527



8. 항렬자

口홍(泓)영(榮)
룡(龍)
상(相)口섭(燮)
口용(容)
口대(大)주(周)
재(在)
원(垣)
재(載)口선(善)
口호(鎬)
口종(鍾)
口석(錫)태(泰)
홍(洪)
청(淸)
옥(沃)口래(來)
口수(秀)
口목(穆)
口권(權)헌(憲)
성(性)
연(然)口철(喆)
口준(埈)
口배(培)상(商)
정(鋌)
용(鏞)口순(淳)
口해(海)
口구(求)동(東)
병(柄)
병(秉)口희(熙)
口열(烈)중(重)
규(圭)口전(銓)
口현(鉉)준(準)
영(永)口식(植)
口근(根)환(煥)
병(炳)| | |口청(淸)口중(中)口태(泰)口현(賢)
口수(秀)口운(運)
口도(圖)재(載)
치(致)口진(鎭)
口준(駿)영(永)
석(錫)口근(根)
口봉(鳳)
口구(九)병(炳)
회(會)口준(埈)
口종(宗)
口녕(寧)현(鉉)
성(成)
재(載)口옥(沃)
口기(紀)
口손(巽)표(杓)
강(康)口경(炅)
口재(宰)규(圭)
연(延)口석(錫)
口규(揆)민(旼)口동(東)희(熙)口곤(坤)금(錦)口왕(汪)백(柏)口형(炯)


9.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정종의 서녀 고성옹주의 사위는 하징이다. 세조의 손녀 명숙공주의 며느리가 진주 하씨이다. 정종의 손자 완성군의 며느리도 진주 하씨이다. 정종의 서녀 함양옹주의 며느리 역시 진주 하씨이다. 정종의 서자 덕천군의 며느리 또한 진주 하씨이다. 세종의 서자 밀성군의 사위는 하한문이다. 정종의 서자 선성군의 손녀사위는 하취양이다. 성종의 후궁 중에는 계성군 이순의 어머니인 숙의 하씨가 있다.

참조

[1] 간행물 고려사 권94, 열전7 https://terms.naver.[...]
[2] 간행물 고려사 권112 열전 권제25 제신(諸臣) 하윤원 http://db.history.go[...]
[3] 서적 晉陽河氏 家門人物硏究 2015
[4] 이미지 무자보 http://www.jinjuha.n[...]
[5] 간행물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진주목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