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야시 곤스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야시 곤스케는 1860년 아이즈번에서 태어나,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대한제국 병합에 기여한 일본 제국의 인물이다. 그는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하고 외무성에 들어가 인천, 상하이 영사를 거쳐 영국, 청나라 주재 공사관에서 근무했다. 이후 외무성 통상국장, 주한공사, 주청공사, 주이탈리아 대사 등을 역임했으며, 특히 주한공사 시절 한일 의정서, 한일 협약, 한일 보호 조약을 체결하여 대한제국을 일본의 보호국으로 만드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러한 공로로 남작 작위를 받았으나, 일제강점기 식민 통치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만년에는 궁내성에서 근무하다 1939년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동상이 남산에 세워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 아이즈번 사람 - 마쓰다이라 가타모리
마쓰다이라 가타모리는 에도 막부 말기 아이즈 번의 9대 번주로서 교토 수호직을 맡아 활약했지만, 보신 전쟁에서 막부군에 가담하여 패배한 후 칩거하다 닛코 도쇼구의 궁사가 되었다. - 막말 아이즈번 사람 - 데와 시게토
아이즈 번 출신인 데와 시게토는 일본 제국 해군 군인으로,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활약, 쓰시마 해전에서 공을 세웠으며, 사쓰마 번 출신이 아닌 최초의 해군 대장이자 지멘스 사건 조사위원장으로서 해군 부패 척결에 기여했다. - 영국 주재 일본 대사 - 요시다 시게루
요시다 시게루는 친미·친영 성향으로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과 미일 안보 조약 체결을 주도하고 경제 재건 중심의 '요시다 독트린'을 추진하여 일본 고도 경제 성장의 기반을 마련한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이며 네 차례 총리를 역임했다. - 영국 주재 일본 대사 - 시게미쓰 마모루
시게미쓰 마모루는 일본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항복 문서에 서명하고 외무대신을 역임했으며, 전후 A급 전범으로 기소되었으나 복귀하여 부총리 겸 외무대신으로서 일본의 국제 사회 복귀에 기여한 인물이다.
하야시 곤스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이름 | 하야시 곤스케 |
원어 이름 | 林権助 (はやし ごんすけ) |
출생 | 1860년 3월 23일 |
출생지 | 후쿠시마현, 아이즈 번 와카마쓰 |
사망 | 1939년 6월 27일 |
사망지 | 도쿄 |
직업 | 외교관 |
배우자 | 세키바 다케코 (세키바 후지히코의 여동생) |
출신 학교 | 도쿄제국대학 |
경력 | |
주요 경력 | 주이탈리아 대사 주중국 공사 (친임관 대우) 초대 관동청 장관 주영국 대사 추밀원 고문관 |
2. 출생과 유년 시절
1860년 아이즈번(지금의 후쿠시마현)에서 하야시 마타사부로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조부는 아이즈번 대포 대장으로 유명했다.[8]
도쿄 대학 예과를 거쳐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하고, 1887년 7월 19일 외무성에 들어갔다. 인천, 상하이 주재 일본 영사를 역임한 후, 영국과 청나라 주재 일본 대사관에서 수석서기관으로 근무했다. 주영공사 가토 다카아키는 그의 재능을 높이 평가했으며, 사교적인 성격으로 영국과 청나라 요인과의 인맥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1898년 12월 외무성 통상국장으로 발탁되었다. 무술 변법 당시 청나라 정부에 쫓겨난 량치차오를 숨겨 일본으로 망명시키기 위해 분주히 노력했다고 전해진다.[8]
1868년 도바 후시미 전투에서 부친과 조부를 잃고 가업을 잇게 되었다. 어린 나이로 아이즈 전쟁에 참가하여 와카마츠성에서 농성하며 관군과 싸웠다.
사쓰마번 출신의 육군 소좌이자, 과거 하야시 곤스케의 조부와 친분이 있었던 고다마 사네후미(兒玉 實文)는 곤스케와 그의 모친의 어려운 사정을 알고 원조를 하였다. 곤스케는 이때부터 고다마의 원조 하에 도쿄에서 공부하게 되었다.
3. 외교관 경력
3. 1. 주한공사 시절과 대한제국
하야시 곤스케는 1899년 주한 공사로 부임하여 대한제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다. 러일 전쟁 중에는 대한제국 정부에 압력을 가해 한일 의정서를 체결하게 했다.[1][2][3] 또한 1904년 8월 한일 협약과 제2차 한일 협약(을사조약) 체결을 주도하여 대한제국을 일본 제국의 보호국으로 만들었다.
3. 2. 주청공사 및 기타 경력
1906년 주청공사를 맡았고, 1908년에는 주이탈리아 대사를 맡았다. 1916년에는 주중대사로 임명되었다.[1] 1919년부터 1920년까지 관동주의 초대 민간 총독을 역임했다. 1920년 영국 주재 대사로 근무했으며, 1921년에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연맹 총회에 일본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가했다.[4] 1922년 제노바 회의에도 일본 대표로 참석했다.[5]
4. 만년
1925년 주영대사에서 물러난 후, 영국에 체류하며 궁내성 어용계로서 같은 해 7월부터 영국 유학 중이던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을 수행했다. 그러나 이듬해 다이쇼 천황의 위독함으로 지치부노미야는 급거 귀국했고, 그대로 유학은 중단되어 1927년 6월에 어용계를 면직받고 귀국했다. 1928년 6월에 장쭤린 폭사 사건이 발발하고, 12월 29일에 장쉐량이 역치를 발표하자, 장쉐량을 설득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1929년 4월, 궁내성 식부장관에 취임했다.
1934년 5월에 지치부노미야의 만주국 파견에 수행했고, 7월에는 추밀 고문관에 임명되었다. 1936년 5월에는 추밀 고문관을 구성원으로 포함하는 궁내성 종질료 심의관에 임명되었지만, 1939년 6월에 80세로 사망했다.
묘소는 아오야마 영원이다. 아이즈회의 회원이었으며, 치쇼회의 찬조원이기도 했다.
5. 사후 평가 및 논란
1936년 그의 업적을 기념하여 남산 통감관저 앞뜰에 동상이 세워졌다. 광복 이후 파손된 채 잔해로 남아 있다가 2006년 8월 3일 동상 잔해가 발견되었다. 2015년 8월 20일, 광복 70주년을 기념하여 치욕을 기억하자는 의미로 동상 잔해를 모아 그의 이름을 거꾸로 새기고 설치해 두었다.[23] 대한민국에서는 하야시 곤스케를 일제강점기 식민 통치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하며, 특히 더불어민주당 등 진보 진영을 중심으로 그의 행적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강하다.
6. 영전
하야시 곤스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 초기까지 활동한 일본의 외교관으로, 다양한 훈장과 작위를 받았다. 그의 영전(榮典)은 위계, 훈장 및 기타 수여, 외국 훈장 착용 허가로 나눌 수 있다.
하위 섹션에서 위계와 훈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외국 훈장 착용 허가를 간략하게 정리한다.
하야시 곤스케는 대한제국에서 훈1등 태극대수장[11]을 받는 등 여러 국가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이는 그가 대한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와의 외교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음을 보여준다.
6. 1. 위계
- 1890년 (메이지 23년) 7월 29일 - 정7위[11]
- 1891년 (메이지 24년) 12월 21일 - 종6위[11][12]
- 1896년 (메이지 29년) 10월 30일 - 정6위[11]
- 1899년 (메이지 32년) 2월 20일 - 정5위[11]
- 1902년 (메이지 35년) 3월 31일 - 종4위[11]
- 1908년 (메이지 41년) 2월 21일 - 정4위[11][13]
- 1911년 (메이지 44년) 3월 20일 - 종3위[11][14]
- 1916년 (다이쇼 5년) 3월 31일 - 정3위[11]
- 1923년 (다이쇼 12년) 5월 10일 - 종2위[11][15]
- 1934년 (쇼와 9년) 8월 15일 - 정2위[11]
- 1939년 (쇼와 14년) 6월 27일 - 종1위[11] (정2위 훈1등 남작 하야시 곤스케)
6. 2. 훈장 등
수여 날짜 | 종류 | 훈장/기장/기타 | 비고 |
---|---|---|---|
1898년 7월 13일 | 욱일장 | 훈5등 쌍광욱일장[11][16] | |
1899년 12월 27일 | 서보장 | 훈4등 서보장[11] | |
1902년 12월 28일 | 욱일장 | 훈3등 욱일중수장[11][17] | |
1906년 4월 1일 | 욱일장 | 훈1등 욱일대수장[11][18] | |
같은 날 | 종군기장 | 메이지 37·38년 종군기장[11][19] | |
1907년 11월 4일 | 작위 | 남작[11] | |
1912년 8월 1일 | 기념장 | 한국 병합 기념장[11] | |
1915년 11월 1일 | 기념장 | 대례 기념장(다이쇼)[11] | |
1916년 4월 1일 | 종군기장 | 다이쇼 3·4년 종군기장[11] | |
1920년 11월 1일 | 상배 | 금배 한 벌[11] | |
1928년 11월 10일 | 욱일장 | 욱일동화대수장[11][20] | |
같은 날 | 기념장 | 대례 기념장(쇼와)[11] | |
1929년 1월 15일 | 상배 | 어문부은배[11] | |
1939년 1월 16일 | 상배 | 어문부은배[11] | |
1903년 1월 29일 | 대한제국 훈장 | 대한제국 50년 칭경 기념장[11] | 외국 훈장 착용 허가 |
1904년 5월 7일 | 대한제국 훈장 | 훈1등 태극대수장[11] | 외국 훈장 착용 허가 |
1907년 2월 9일 | 대청 제국 훈장 | 두등 제3쌍룡보성[11] | 외국 훈장 착용 허가 |
1909년 12월 18일 | 이탈리아 왕국 훈장 | 성 마우리치오・라자로 훈장 제1등 훈장[11] | 외국 훈장 착용 허가 |
1916년 12월 24일 | 중화민국 훈장 | 1등 보광가화장[11] | 외국 훈장 착용 허가 |
1923년 10월 1일 | 영국 훈장 | 성 마이클・성 조지 훈장 나이트 그랜드 크로스[11] | 외국 훈장 착용 허가 |
1931년 4월 28일 | 샴국 훈장 | 레레판 브랑 훈장 그랑크로아[11] | 외국 훈장 착용 허가 |
1934년 3월 1일 | 만주국 훈장 | 대만주국 건국 공로장[11] | 외국 훈장 착용 허가 |
1934년 12월 28일 | 벨기에 훈장 | Order of Leopold (Belgium)|레오폴드 훈장영어 그랑크로아[11] | 외국 훈장 착용 허가 |
1935년 9월 21일 | 만주국 훈장 | 만주 제국 황제 방일 기념장[11][21] | 외국 훈장 착용 허가 |
1937년 2월 9일 | 만주국 훈장 | 훈1위 룡광대수장[11] | 외국 훈장 착용 허가 |
1938년 6월 28일 | 만주국 상품 | 은제 화병 1개[11] | 외국 훈장 착용 허가 |
참조
[1]
웹사이트
Article from Korea Magazine
http://www.korea.net[...]
2022-12-01 #Dead link의 date를 사용. 정확한 날짜는 알 수 없음.
[2]
웹사이트
Securing a Foothold
https://web.archive.[...]
2010-04-23
[3]
논문
The Validity of Some Coerced Treaties in the Early 20th Century: A Reconsideration of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Legal Perspective
http://works.bepress[...]
2002-12-31 # Winter 2002로 추정
[4]
웹사이트
First Assembly, Geneva, November 15 – December 18, 1920, list of delegates
https://web.archive.[...]
2011-07-20
[5]
뉴스
Japanese Delegates to Genoa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1922-01-25
[6]
서적
北辰の如く関場不二彦伝
北海道出版企画センター
[7]
간행물
『官報』第3743号
{{NDLDC|2960237/7}} [...]
官報
1939-06-29
[8]
서적
松江豊寿と会津武士道
ベストセラーズ
[9]
간행물
『官報』第7307号
官報
1907-11-05
[10]
웹사이트
官報 第1,178号 大正5年7月5日 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018-06-19
[11]
아카이브
林権助
[12]
간행물
『官報』第2545号
官報
1891-12-22
[13]
간행물
『官報』第7394号
官報
1908-02-22
[14]
간행물
『官報』第8321号
官報
1911-03-21
[15]
간행물
『官報』第3235号
官報
1923-05-15
[16]
간행물
『官報』第4511号
官報
1898-07-14
[17]
간행물
『官報』第5848号
官報
1902-12-29
[18]
간행물
『官報』号外
官報
1907-03-31
[19]
간행물
『官報』第7578号・付録
官報
1908-09-28
[20]
간행물
『官報』号外
官報
1928-11-10
[21]
간행물
『官報』第2725号
官報
1936-02-04
[22]
서적
会津会雑誌第29号
[23]
뉴스
국세청 별관에 시민광장, 통감관저터엔 거꾸로 동상
https://news.v.daum.[...]
머니투데이
2015-08-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대한제국 ‘전시 중립선언’에 운명을 걸다
“한국을 일본 제국 판도의 일부분으로 간주하라”
한일의정서로 대한제국의 ‘멱통’을 움켜쥐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