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인리히 불링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인리히 불링거는 1504년 스위스에서 태어난 종교 개혁가로, 울리히 츠빙글리의 뒤를 이어 취리히 교회의 의장으로 활동하며 종교 개혁을 이끌었다. 그는 교회와 정부의 협력을 강조하며, 교육 개혁, 사회 복지, 미풍양속 장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을 추진했다. 불링거는 12,000통에 달하는 방대한 서신 교환을 통해 유럽 전역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헬베티카 신앙 고백》, 《데카데스》 등 다수의 저술을 남겼다. 그의 사상은 개혁주의 신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오늘날까지도 개혁 교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복음주의자 - 요하네스 외콜람파디우스
    요하네스 외콜람파디우스는 독일 태생의 종교 개혁가이자 신학자로, 츠빙글리의 동맹으로서 스위스 종교 개혁에 기여하고 성찬례에 대한 견해를 발전시켰으며, 성경 연구와 바젤의 종교 개혁을 이끌었다.
  • 스위스의 복음주의자 - 기욤 파렐
    기욤 파렐은 프랑스 출신의 종교개혁가로, 루터교의 영향을 받아 스위스에서 종교개혁을 주도했으며, 제네바에서 장 칼뱅과 협력했으나 이견으로 추방된 후 뇌샤텔에서 목회하며 종교개혁에 크게 기여했다.
  • 스위스의 종교 개혁가 - 장 칼뱅
    장 칼뱅은 프랑스 출신의 종교 개혁가로, 《기독교 강요》를 저술하여 칼뱅주의를 확립하고 제네바에서 종교 개혁을 추진했으며, 개신교 신학과 서구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스위스의 종교 개혁가 - 요하네스 외콜람파디우스
    요하네스 외콜람파디우스는 독일 태생의 종교 개혁가이자 신학자로, 츠빙글리의 동맹으로서 스위스 종교 개혁에 기여하고 성찬례에 대한 견해를 발전시켰으며, 성경 연구와 바젤의 종교 개혁을 이끌었다.
  • 스위스의 개신교 신학자 - 장 칼뱅
    장 칼뱅은 프랑스 출신의 종교 개혁가로, 《기독교 강요》를 저술하여 칼뱅주의를 확립하고 제네바에서 종교 개혁을 추진했으며, 개신교 신학과 서구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스위스의 개신교 신학자 - 칼 바르트
    칼 바르트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 중 한 사람으로, 자유주의 신학 비판과 신정통주의 신학 창시, 나치즘 저항, 하나님의 말씀과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 정립, 그리고 에큐메니칼 운동 기여 등으로 알려져 있다.
하인리히 불링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스 아스퍼의 초상화, 1550년경
한스 아스퍼의 초상화, 1550년경
이름하인리히 불링거
원어 이름요한 하인리히 불링거
직업신학자, 안티스테스
국적스위스
출생일1504년 7월 18일
출생지브렘가르텐 (아르가우 주), 아르가우 주, 구 스위스 연방
사망일1575년 9월 17일
사망지취리히, 취리히 주, 구 스위스 연방
배우자안나 아들리스바일러
부모하인리히 불링거, 안나 비더케르
친척요한 발타자르 불링거, E. W. 불링거
신학 정보
시대르네상스
전통/운동개신교
개혁주의
주요 관심사조직신학
주목할 만한 사상언약신학
영적 실재 임재

2. 생애와 활동

하인리히 불링거는 19세기 중반 이후 본격화된 연구를 통해 16세기 종교개혁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로 재조명되고 있다. 루터, 츠빙글리, 칼뱅 중심의 기존 연구와 달리, 불링거를 포함한 여러 종교개혁자들(부처, 멜란히톤, 베즈 등)의 상호 관련성에 주목하며 종교개혁을 더 폭넓게 이해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불링거는 오랫동안 츠빙글리와 칼뱅의 그늘에 가려져 있었지만, 개혁교회 초기 지도자로서 당대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의 신학 저술들은 17세기까지 유럽 전역에서 출판되었고, 스위스 제2신조는 오늘날까지 중요한 개혁교회 신앙고백으로 인정받는다.

츠빙글리 사후, 불링거는 취리히 교회의 의장(Antistes)으로 선출되어 종교개혁을 완성하고 개혁교회 공동체를 유럽 전역에 확산시켰다. 그는 종교개혁의 건축가이자 혁신가였으며, 츠빙글리의 신학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고유한 신학을 발전시켰다. 불링거는 칼뱅과 함께 스위스를 넘어 전 유럽에 큰 영향을 끼친 개혁교회 신학자이자 고난받는 자들의 위로자로 평가받는다.

불링거는 1504년 7월 18일 브렘가르텐에서 태어나 에머리히쾰른 대학교에서 교육받았다. 마르틴 루터필리프 멜란히톤의 저작에 영향을 받았으며, 1523년 카펠 수도원 교사, 1529년 브렘가르텐 목사를 거쳐 1531년 츠빙글리 사후 취리히 교회의 의장(Antistes)이 되었다.

취리히 교회의 의장으로서 불링거는 츠빙글리의 종교개혁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그는 교회 규범을 재정비하고, 공교육을 강화했으며, 목회자 처우 개선과 빈민 구제 정책을 추진했다. 또한 사회 윤리 의식을 고취하고 건전한 생활 풍속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불링거는 44년간 취리히 교회를 이끌며 150여 권의 저술, 7,000여 회의 설교, 12,000통의 서신 교환 등 방대한 활동을 펼쳤다. 1575년 9월 17일 사망할 때까지 교회, 성도, 사회의 유익을 위해 헌신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1504-1522)

하인리히 불링거는 1504년 7월 18일 스위스 아르가우주 브렘가르텐에서 사제인 아버지 하인리히 불링거 시니어와 어머니 안나 비더케르 사이에서 태어났다.[2] 하인리히와 안나는 법적으로 결혼하지 않았지만, 아르가우를 관할하는 콘스탄스 주교가 연간 수수료(요람세)를 받는 조건으로 성직자의 첩생활에 대한 처벌을 공식적으로 유예했기 때문에 부부로 생활할 수 있었다.[3] 하인리히는 부부의 일곱 자녀 중 다섯째이자 막내였다.[4] 가족은 비교적 부유했고, 종종 손님을 맞이했다. 불링거는 어렸을 때 흑사병과 치명적인 사고를 겪고 살아남았다.[5]

11세에 불링거는 클레베 공국의 엠머리히 암 라인에 있는 성 마틴 라틴 학교로 보내졌다.[16] 이 학교에서 제롬, 호라티우스, 베르길리우스 등 고전 텍스트를 공부했다.[5] 또한 공동생활 형제단과 그들이 채택한 '경건한 삶'의 영향을 받았는데, 이는 기독교적 삶과 성경 읽기를 강조했다.[3][5]

1519년, 14세에 쾰른 대학교에 입학했다.[6] 마르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과 라이프치히 토론의 영향을 받았으며, 페트루스 롬바르두스의 ''명제집''과 ''그라티아누스 교령집''을 읽고 교부들에게로 이끌렸다. 교부들이 롬바르두스와 그라티아누스보다 성경에 더 의존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성경과 루터의 저서, 즉 ''교회의 바빌론 유수''와 ''크리스찬의 자유''를 읽도록 격려받았다. 그는 필리프 멜란히톤의 ''공동 주제집''과 같은 다른 종교 개혁가들의 작품도 읽었다. 불링거는 구원이 인간의 선행이 아닌 하나님의 은혜로 이루어진다고 믿게 되면서 개신교로 개종했다.[5] 에라스뮈스와 로돌푸스 아그리콜라의 인문주의, 교부인 키프리아누스, 락탄티우스, 힐라리우스, 아타나시우스, 제롬,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학,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등이 불링거에게 영향을 주었다.[5]

1522년, 마르틴 루터의 추종자로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지만 성찬례를 받기를 중단했다. 또한 카르투시오회에 들어갈 의사를 포기했다.[8] 브렘가르텐으로 돌아와 그의 가족은 그의 새로운 신학적 견해를 받아들였다.

2. 2. 초기 종교개혁 활동 (1523-1531)

1523년 초, 브렘가르텐 교구인 아비스의 카펠 수도원 원장 볼프강 요너(Wolfgang Joner)는 불링거에게 수도원 교사직을 제안했다. 인문주의 영향을 받은 요너는 수도원의 변화를 원했고, 마침 쾰른에서 돌아온 불링거를 선택했다. 불링거는 수도원 미사와 성가 기도회에 참석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교사직을 수락했다. 그는 다양한 고전들을 규칙적으로 강독하고 인문주의 교육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했다. 이 기간 동안 불링거는 에라스뮈스, 마르틴 루터, 필리프 멜란히톤의 저술을 연구하며 자신의 신학적 입장을 체계화했다.

1523년 여름, 불링거는 종교개혁 이후 첫 독일어 복음적 신앙교리서인 《Auslegung und Begruendung der Schlussreden》을 접했다. 같은 해 말, 불링거는 처음 츠빙글리를 만난 후 카펠 전쟁에서 츠빙글리가 죽기 전까지 깊은 관계를 유지했다. 둘은 서로에게 강한 인상을 받았고, 사상적으로도 폭넓게 공감했다. 1523년 1월 29일, '첫 개혁교회 설립을 위한 회합'으로 여겨지는 첫 취리히 논쟁(die erste Zurcher Disputation)이 열렸다. 츠빙글리와 동료 목사들, 시장, 상∙하 위원회 위원들, 로마 가톨릭 주교 사절 등 600여 명이 참석한 이 회의를 통해 취리히는 스위스 첫 종교개혁 도시로 합법화되었다. 이 여파로 카펠 수도원 역시 큰 개혁을 겪었다.

불링거는 츠빙글리의 추천으로 취리히 종교개혁과 함께 발생한 재세례파 관련 신앙 논쟁에 직접 관여했다. 또한 요너의 권유로 5개월간 취리히에서 츠빙글리와 레오 유트(Leo Jud)의 설교와 강의를 청강하고 히브리어그리스어를 공부했다. 취리히 체류 동안 불링거는 츠빙글리, 윳 외에 다른 명사들과 친분을 쌓았다. 1528년 1월에는 베른 토론(die Berner Disputation)에 참석하여 마르틴 부처(Martin Bucer), 베르톨트 할러(Berchtold Haller), 기욤 파렐(Guillaume Farel) 같은 개혁자들과 교류했다.

1528년 4월, 불링거는 취리히 총회의 강요와 요너의 후원으로 개혁교회 설교자로 선서했고, 알비스에 속한 하우젠 암 알비스(Hausen am Albis) 마을에서 첫 목회 사역을 시작했다. 1년 후인 1529년 8월 5일, 불링거는 수녀였던 안나 아들리슈빌러(Anna Adlischwyler)와 결혼하여 열한 명의 자녀를 두었다.

수도원 교사 시절은 불링거가 종교개혁자로서 첫걸음을 내딛는 중요한 시간이었다. 이 기간에 불링거는 신약성경 주석서를 포함한 27권의 책을 집필했다. 이때 이미 불링거는 츠빙글리의 종교개혁 유산을 이을 준비된 종교개혁자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었다.

2. 3. 취리히 교회 지도자 (1531-1575)

울리히 츠빙글리가 카펠 전투에서 전사한 후, 1531년 12월 9일, 취리히 시의회는 27세의 젊은 불링거를 츠빙글리의 후임 안티스테스(Antistes)로 선출했다.[16][10] 불링거는 어려운 시기에 취리히 교회를 이끌면서 교회 재건과 츠빙글리의 신학을 옹호하는 데 힘썼다.[3][11]

불링거는 교회와 정부의 협력을 유지하면서도, 목회자가 시민 당국의 입장과 달라도 하나님의 말씀을 설교할 자유를 강조했다.[5] 그는 1532년 레오 유드와 함께 「취리히의 설교자와 총회 규범(Zuericher Prediger-und Synodalordnung)」을 공포하여 교회 행정을 개혁하고, 교회 규범을 재정했다.[16] 이 규범은 종교개혁에 기반을 둔 취리히 교회의 정체성을 확고히 했다.

또한, 목회자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카롤리눔(Carolinium)을 설립하고, 콘라트 펠리칸, 테오도르 빌리안더, 피터 마터 버미글리 등 저명한 교수진을 초빙했다.[16] 학교 개혁과 더불어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사회 복지 정책도 추진했다.

재세례파에 대해서는 온건하고 포용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그들의 박해에 반대했다.[13] 1531년부터 1575년까지 불링거가 취리히를 이끄는 동안, 단 한 명의 재세례파도 신앙 때문에 처형되지 않았다.[16]

루터교와의 관계에서는 제1 헬베티아 신앙고백(1536) 작성에 참여하고, 마르틴 루터와 성만찬 논쟁을 벌였지만, 개혁교회와 루터교회의 통합을 위해 노력했다. 장 칼뱅과는 협력하여 취리히 일치 신조(Consensus Tigurinus, 1549)를 공동 작성하여 성찬론에 대한 합의를 이루고, 개혁주의 신학 정립에 기여했다.

주요 저술 활동으로는 《데카데스》(Dekaden, 1549-1551), 《제2 헬베티아 신앙고백》(Confessio Helvetica Posterior, 1566)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개혁주의 신학을 확산시켰다. 특히 《데카데스》는 잉글랜드에서 널리 읽혔으며, 캔터베리 대주교 존 휘트기프트는 모든 비대학원 출신 서품 후보자들에게 이 책을 읽도록 명령했다.[7]

불링거는 잉글랜드 망명자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서신 교환 등을 통해 잉글랜드 종교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다.[23] 1575년 취리히에서 사망했으며, 루돌프 괄터가 그의 뒤를 이어 안티스테스가 되었다.[3][16]

3. 신학

하인리히 불링거의 신학 사상은 16세기 종교개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루터, 츠빙글리, 칼뱅과 같은 주요 종교개혁자들 외에도 불링거는 부처, 멜란히톤 등과 함께 종교개혁의 지평을 넓힌 인물로 평가받는다.

오랫동안 불링거는 츠빙글리와 칼뱅의 그늘에 가려져 있었지만, 최근 연구를 통해 그의 영향력이 재조명되고 있다. 불링거는 개혁교회 초기 지도자 중 한 명으로, 교회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그의 저술들은 17세기까지 유럽 전역에서 출판되었다. 특히 그가 작성한 스위스 제2신조는 오늘날까지 중요한 개혁교회 신앙고백으로 인정받고 있다.

츠빙글리 사후 취리히 교회의 의장(Antistes)으로 선출된 불링거는 종교개혁을 완성하고 개혁교회 공동체를 유럽 전역에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는 츠빙글리의 신학적 토대 위에 자신만의 고유한 신학을 발전시켰으며, 칼뱅과 함께 스위스를 넘어 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친 개혁교회 신학자로 평가받는다.

불링거는 성경을 읽고 해석할 때 인간의 호기심을 경계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했다. 그는 신학적 갈등을 최소화하고 교회와 성도들의 유익을 위한 신학적 자세를 취했다. 그의 신학은 지식적이기보다는 성경적이고 해설적인 특징을 가지며, 목회자로서 성도들의 현실적인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불링거는 스위스 제2신조를 통해 개혁주의 교회의 초기 정통주의의 길을 예비했다. 칼뱅과 신학적 차이가 있었지만, 이는 원리의 차이가 아니라 강조점의 차이였다. 불링거는 구속사와 언약신학에, 칼뱅은 신학의 논리성과 하나님의 주권에 더 큰 관심을 가졌다.

불링거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제목설명
50편의 설교 모음집(Dekaden)조직적인 신학적 주제들로 구성된 50편의 설교 모음집으로, 당시 개혁주의 목회자들에게 필독서였다.
취리히 성만찬 일치(Consensus Tigurinus)칼뱅과의 성만찬 교리 합의를 담은 문서로, 개혁교회의 신앙고백적 일치를 가져왔다.
스위스 제2신조(Confessio Helvetica Posterior)불링거의 개인적인 신앙고백으로 시작되었으나, 이후 개혁주의 교회의 공적인 신앙고백서로 채택되었다.



불링거는 방대한 서신 교환을 통해 당시 종교개혁 상황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다. 그는 전 유럽의 신학자, 목회자, 군주, 평신도 등과 12,000통의 서신을 교환했으며, 이를 통해 개혁주의 신학의 확산에 기여했다.

3. 1. 칭의론

[28]

3. 2. 헬베틱 신앙고백

불링거는 제 1 헬베틱 신앙고백서의 초안을 작성하였으며 제 2 헬베틱 신앙고백서의 초안에도 참여하였다.

3. 3. 성만찬론

불링거는 울리히 츠빙글리의 성만찬에 대한 상징적 이해와 장 칼뱅의 영적 임재설을 절충하려 했다. 초기에는 유월절 축제와 성만찬을 상징적인 것으로 보았으나([18]), 1544년 마르틴 루터에게 답변하면서 그리스도의 실재적 영적 임재를 주장했다.[18] 1549년 칼뱅과 함께 티구리누스 합의를 작성하여 상징적 임재와 영적 임재를 연결했고, 이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1563)과 제2 스위스 신앙 고백 (1562/4)에 반영되었다.[18]

3. 4. 언약 신학

불링거는 개혁주의 전통에서 언약 신학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불링거는 처음에는 언약을 성찬 신학의 해석 틀로 사용했지만, 1550년대에 이르러 언약을 신학적 범주로 활용했다.[18]

3. 5. 유아 세례

울리히 츠빙글리와 하인리히 불링거는 유아 세례를 확고하게 옹호했다. 1525년부터 이들은 할례가 새 언약에서 세례의 전신이라고 주장했다.[17]

3. 6. 연옥론

불링거는 울리히 츠빙글리를 따라 임시적인 심판의 장소인 연옥을 부정하였다. 그는 사후 이후에 즉각적인 심판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지옥에 대하여는 거의 언급이 없었다.[2]

4. 저술

불링거는 신구약 성경의 거의 모든 권을 주해했으며, 다양한 신학적 주제에 대한 저술을 남겼다. 그의 대표적인 저술들은 다음과 같다.[7]

제목내용비고
설교집(Dekaden)50편의 설교 모음집(1549-51), 100편의 요한계시록 설교집(1557), 170편의 예레미야서 설교집(1561), 66편의 다니엘서 설교집(1565), 190편의 이사야서 설교집(1567)
병자들의 보고(Die Bericht der Kranken, 1535), 기독교 결혼생활 (Der christliche Ehestand, 1540)목회 사역 관련 저술
선지자 직무에 관하여(De prophetae officio, 1532), 하나님의 언약에 관하여(De testamento, 1533), 거룩한 성경의 권위에 관하여(De scripturae sanctae authoritate, 1538), 오래된 믿음에 관하여(Der alte Glauben, 1539)신학 논문
기독교 신앙 요해(Summa christlicher Religion, 1556), 성인을 위한 신앙교육서(Catechesis pro adultioribus, 1559), 박해받은 이들이 답변해야 하는 보고서(Die Bericht, wie die Verfolgten antwortenn sollen, 1559), 헝가리 교회와 목사들에게 보내는 편지(Brevis ac pia Institutio Christinanae Religionis ad dispersos in Hungarina Ecclesiarum Christi Ministros, 1559), 취리히 일치 신조(Consensus Tigurinus, 1549), 제2 스위스 신앙 고백서(Confessio Helvetica Posterior, 1566)조직신학 및 신앙고백 관련 저술
재세례파의 기원(Der Wiedertäufer Ursprung, 1560), 종교개혁사(Reromationsgeschichte, hg. von J. J. Hottinger, 1838), 공의회들에 관하여(De Consiliis, 1561), 교회의 핍박에 관하여(Von der schweren Verfolgung der christlichen Kirchen, 1573)역사 관련 저술



특히, 50편의 설교 모음집인 《설교집(Dekaden)》은 유럽 전역에서 가장 많이 읽힌 불링거의 저술 중 하나로, 7번의 라틴어 판, 4번의 독일어 판, 10번의 네덜란드어 판, 3번의 프랑스어 판, 4번의 영어 판으로 출판되었다. 당시 영국에서는 이 책이 16세기 영국 성직자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책으로 평가받았다.[29]

칼뱅과의 성만찬 논쟁을 종식시키고 개혁교회의 일치를 가져온 《취리히 일치 신조(Consensus Tigurinus)》는 1549년 불링거와 칼뱅의 합의로 작성되었으며, 1551년에 출판되어 유럽 전역의 개혁교회에 전파되었다.

《제2 스위스 신앙 고백서(Confessio Helvetica Posterior)》는 불링거가 1561년에 개인적인 유언으로 작성한 것을 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의 요청으로 1566년에 개혁주의 신앙고백서로 출판한 것이다. 이 신앙고백서는 스위스뿐만 아니라 스코틀랜드, 독일,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폴란드, 헝가리 등 여러 나라의 개혁교회에서 채택되었다.

4. 1. 신학 저서

불링거의 주요 신학 저술은 1549년부터 1551년까지 출판된 50편의 설교집인 ''데카데스''(Dekaden) 또는 ''십 년'(The Decades)이었다.[18] 많은 이들은 ''십 년''을 초기 개혁 신학 해설서로서 칼뱅의 ''기독교 강요''와 피터 마터 베르미글리의 ''공통 장소''와 비교한다.[18] 설교 형식으로 되어 있지만, 불링거가 실제로 설교한 적은 없고, 설교 형식을 모방하여 집필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십계명, 사도신경, 주기도문, 그리고 두 개의 개신교 성례전에 따라 구성되었다. 이 책은 라틴어에서 독일어,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영어로 빠르게 번역되었으며, 16세기와 17세기에 가장 인기 있는 개신교 신학 저술 중 하나였다. 실제로, 독일과 네덜란드 번역가들은 이 책을 "가정 서적"이라고 칭할 정도로 필수적인 것이었다. 심지어 네덜란드는 모든 네덜란드 무역 선박에 법적으로 이 책을 비치하도록 요구하여, 아메리카와 아시아까지 이 책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19]

1540년대에 불링거는 제네바장 칼뱅과 더 가까워졌다. 그들은 함께 트리엔트 공의회에 대한 답변을 썼고, 1549년에는 성찬 교리에 대한 칼뱅주의와 츠빙글리파 간의 합의인 ''취리히 일치 신조(Consensus Tigurinus)''를 공동으로 초안했다.[9][3]

불링거는 1566년의 ''제2 헬베티아 신앙 고백(Confessio Helvetica Posterior)'' 초안 작성에 참여했는데, 그는 원래 1562년에 자신의 신앙 고백으로 직접 초안을 작성했다.[14] 1566년, 경건공 프리드리히 3세가 그의 지역 교회에 개혁 요소를 도입한 후, 불링거는 이 신앙 고백서를 스위스의 개신교 도시들에 배포했고, 베른, 취리히, 샤프하우젠, 장크트갈렌, 쿠어, 제네바를 포함한 많은 스위스 도시에서 호의적인 반응을 얻었다.[15] 이 성명서는 또한 스코틀랜드(1566), 헝가리(1567), 프랑스(1571), 폴란드(1578)의 개혁 교회에서도 채택되었다. 하이델베르크 요리 문답만이 개혁 신앙 고백으로 더 잘 알려져 있었다. 제2 헬베티아 신앙 고백은 또한 프랑스의 Confession de Foy(1559), 스코틀랜드의 Confessio Fidei(1560), 벨기에의 Ecclasiarum Belgicarum Confessio(1561) 및 하이델베르크 요리 문답(1563) 자체가 되도록 약간 수정되었다.[14]

그의 설교 중 다수가 영어로 번역되었다(1849년, 4권 재판). 그의 저작들은 주로 해설적이고 논쟁적인 성격을 띠며, 아직 전집으로 묶여 나오지는 않았다.

그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제1 스위스 신앙 고백서(스위스 신앙 고백서, en:Helvetic Confessions)』 (1536년[25])
  • 설교집(Sermonum Decades)』 (1549년 – 1551년)
  • 『취리히 일치 신조(Consensus Tigurinus)』 (1549년[24])
  • 『제2 스위스 신앙 고백서(스위스 신앙 고백서, en:Helvetic Confessions)』 (1562년[25])


이 외에도 서신집이 나중에 출판되었다.[24]

4. 2. 역사 저서

불링거는 신학 저술 외에도 가치 있는 역사 저술을 몇 편 남겼다.

  • 티구리너 연대기: 로마 시대부터 종교 개혁까지의 취리히 역사를 다루고 있다.
  • 종교 개혁사(1564): 종교 개혁의 주요 사료 중 하나이다.
  • 스위스 연방사(1568)
  • 취리히사(1574)
  • '''아나뱁티스트의 기원에 관하여''**(1560): 아나뱁티스트의 기원과 유럽에서의 확산을 상세히 기록한 책이다. 널리 배포되었으며, 오늘날까지 아나뱁티스트에 대한 최근 역사에서도 반영되고 있다.[12]


또한 불링거는 성경 연대기에 관해서도 상세하게 저술했는데, 이는 17세기 후반까지 기독교 신학 전통에서 보편적이었던 틀, 즉 성경이 모든 고대사에 대한 충실하고 규범적인 참고 자료를 제공한다는 틀 안에서 이루어졌다.[21]

불링거 연대기에 삽화로 묘사된 취리히 종교 개혁 시대의 성상 파괴, 슈타델호펜

4. 3. 기타 저서

하인리히 불링거의 신학 저술은 124편에 달한다. 주요 저서 외 기타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설교집(Sermonum Decades)》: 1549년에서 1552년 사이에 취리히에서 출판된 50개의 라틴어 설교 모음집이다. 개신교 신앙의 중요 내용을 다루며, 영어,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등으로 번역되어 칼뱅과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등에 큰 영향을 주었다.[29]
  • 《병자들의 보고》(Die Bericht der Kranken)》
  • 《기독교 결혼생활》(Der christliche Ehestand)》
  • 《선지자 직무에 관하여》(De prophetae officio)》
  • 《하나님의 언약에 관하여》(De testamento)》
  • 《거룩한 성경의 권위에 관하여》(De scripturae sanctae authoritate)》
  • 《오래된 믿음에 관하여》(Der alte Glauben)》
  • 《기독교 신앙 요해》(Summa christlicher Religion)》: 1558년 프로쇼버(Froschower)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 《성인을 위한 신앙교육서》(Catechesis pro adultioribus)》
  • 《제1 스위스 신앙 고백서(스위스 신앙 고백서)》 (1536년[25])
  • 《취리히 일치 신조(Consensus Tigurinus)》 (1549년[24])
  • 《제2 스위스 신앙 고백서(스위스 신앙 고백서)》 (1562년[25])


이 외에도 서신들이 묶여서 출판되었다.[24]

5. 서신 교환

불링거의 문헌 유산 중에는 취리히 주립 문서보관서(das Staatsarchiv)와 중앙도서관에 보관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전 유럽 곳곳에 산재해 있는 서신들이 있다. 현재까지 12,000통이 남아있으며, 이 서신들은 불링거에 대해 많은 것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종교개혁사를 16세기를 살았던 다양한 인물들의 생생한 증언으로 이해하게 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제공한다.[7]

불링거는 서신 교환을 정서적인 경계 없이 사람과 사람을 성공적으로 이어주는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취리히 의장이 된 이래로 서신을 받고 쓰는 일은 불링거의 일상 가운데 중요한 업무였다. 서신 교환을 통해 불링거는 개신교 내 각 지역들의 정치적, 교회적, 사회적, 경제적인 상황들과 그 지역에 있는 교회들의 형편들을 잘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개혁주의 신학적 토대 위에서 비록 멀리 떨어져 있었지만 동일한 신학적 입장에 따른 각 교회들 상호 간의 공동체적이고 협력적인 의식을 강조하였다. 다양한 동기들 속에서 수행되고 성실하게 모아진 서신들은 불링거를 당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물로 만들었다.[7]

17-18세기에 요한 야콥 브라이팅어(Johan Jakob Breitinger, 1575-1645), 요한 하인리히 호팅어(Johan Heinrich Hottinger, 1620-1667), 요한 야콥 심러(Johan Jakob Simler, 1716-1788)에 의해 모든 서신들이 수집되었다. 이들의 수고가 없었다면 종교개혁사의 한 보물인 불링거의 서신들은 빛을 보지 못했을 것이다. 이 서신들 중 10,000 통은 불링거에게 보내진 것이고, 나머지 2,000통은 그로부터 쓰여진 것이다. 이는 당시 마르틴 루터(4,200통), 울리히 츠빙글리(1,200통), 장 칼뱅(4,200통)의 서신들을 모두 합한 것보다 많을 뿐만 아니라, 10,000 통의 서신 교환을 수행한 필리프 멜란히톤(Philip Melanchthon)과 비교할 때도 월등히 많은 양이다.

불링거의 서신 교환은 스위스, 독일의 중남부와 라인강 상류의 개혁주의 도시들과 집중적으로 연결되어 있었지만, 동시에 독일, 영국, 폴란드를 중심으로 한 거의 모든 유럽의 도시들과 교류되었다. 불링거의 서신 교환은 스위스가 포함된 17개 국가들에 속한 438개 도시들과 1174명의 인물들과 이루어졌다. 특히 당시 종교개혁의 중심적인 개혁주의 도시들이었던 제네바(Genève), 바젤(Basel), 베른(Bern), 쿠어(Chur), 장크트갈렌(St. Gallen), 콘스탄츠(Konstanz), 아우구스부르크(Augsburg), 하이델베르크(Heidelberg), 스트라스부르(Strassburg)에서는 불링거와 다양한 인사들 사이에 300통이 넘는 서신 교환이 이루어졌다.

신학뿐만 아니라 교회 정치와 깊게 관련된 전 유럽과 연결되어 있는 불링거의 거대한 서신 교환망은 종교개혁사적으로 개혁주의 교회의 개념에 대한 변화된 인식을 갖게 한다. 불링거가 연구되지 않은 시대 속에서 – 동시대의 다른 종교개혁자들 역시도 포함하여 – ‘칼뱅주의’의 개념은 개혁주의 개신교(der reformierte Protestantismus)를 위한 명칭과 동일시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 종교개혁사 연구 속에서 드러나고 있는 새로운 결과들은 스위스, 프랑스, 독일, 영국, 네덜란드, 이탈리아, 헝가리, 폴란드에 있는 개혁주의 교회들이 일방적으로 제네바에 의해서만 인도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항상 제네바와 취리히에 의해서 인도되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장 칼뱅테오도르 드 베즈 옆에서 불링거 역시 그 사역의 중심에 있었음이 확인된다. 비록 불링거 사후 그 영향력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생존한 시대에 취리히는 제네바와 함께 개혁주의 교회를 위한 신학적이고 교회 정치적인 구심점이었다는 사실이다.

5. 1. 주요 서신 교환 인물

불링거는 종교 개혁 시대의 많은 주요 인물들과 서신을 교환했으며, 이 서신들은 광범위하게 보존되어 있다. 불링거는 개혁교회, 성공회, 루터교, 침례교 신학자들은 물론, 잉글랜드의 헨리 8세,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6세, 레이디 제인 그레이,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세,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2세, 헤세의 필리프 1세, 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 등과 서신을 주고받았다.[7]

6. 유산

하인리히 불링거의 《헬베티카 신앙고백》은 오늘날에도 개혁 교회에서 신학적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의 언약 사상은 언약 신학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7] 작가이자 역사가로서의 그의 유산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불링거는 헨리 8세가 1539년에 6개 조항을 통과시킨 후, 그리고 1553년부터 1558년까지 메리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종교적 박해를 피해 온 많은 영국 개신교 망명자들을 받아들였다. 메리 1세가 사망한 후 영국 망명자들이 잉글랜드로 돌아왔을 때, 불링거의 저술은 잉글랜드에서 널리 유포되었다. 1550년부터 1560년까지 잉글랜드에서는 불링거의 라틴어 저서인 ''십계(Decades)''가 77판, 영어 번역본인 목회신학 논문집 ''가정의 책(House Book)''이 137판 발행되었다. 이에 비해 칼뱅의 ''기독교 강요''는 같은 기간 잉글랜드에서 2판이 발행되었다.[23] 1586년까지 캔터베리 대주교 존 휘트기프트는 모든 비대학원 출신 서품 후보자들에게 불링거의 ''십계(Decades)''를 구매하여 읽도록 명령했다.[7] 불링거는 영국 종교 개혁가들과의 교류와 서신 왕래를 통해 일부 역사가들은 불링거를 부처와 함께 영국 종교 개혁에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로 꼽는다.

불링거는 또한 북부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 온 망명자들, 특히 성 바르톨로뮤 축일의 학살 이후에 망명자들을 받아들였다.[9]

6. 1. 후손

불링거의 직계 후손으로는 스위스 화가 요한 발타자르 불링거와 영국의 신학자 E.W. 불링거가 있었다.[22]

참조

[1] 논문 Heinrich Bullinger (1504–1575): Life - Thought - Influence 2005
[2] 웹사이트 Heinrich Bullinger (1504-1575) https://www.museepro[...] 2020-06-28
[3] 서적 Architect of Reformation: An Introduction to Heinrich Bullinger, 1504-1575 Baker Academic
[4] 간행물 Bullinger the Family Man https://www.der-nach[...] Beilage zur Reformierten Presse 2004
[5] 서적 The Theology of Heinrich Bullinger https://books.google[...] Vandenhoeck & Ruprecht 2019-10-07
[6] 서적 Bullinger, Heinrich (1504–1575) https://www.encyclop[...] Charles Scribner & Sons
[7] 서적 The Reformation Experience: Living Through The Turbulent 16th Century Lion Books
[8] 웹사이트 Heinrich Bullinger {{!}} Swiss religious reformer https://www.britanni[...] 2020-06-28
[9] 서적 Bullinger, Heinrich https://www.encyclop[...] Gale Research Inc.
[10] 웹사이트 Covenant Theologian: Heinrich Bullinger https://www.ligonier[...] 2020-06-29
[11] 서적 Huldrych Zwingli: His Life and Work Fortress Press
[12] 서적 A Companion to the Swiss Reformation https://brill.com/di[...] Brill
[13] 문서 Henry Bullinger (1504-1575): Shepherd of the Churches Reformation Heritage Books
[14] EB1911
[15]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VIII: Modern Christianity. The Swiss Reformation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ccel.org/cce[...] 2022-12-14
[16] 서적 Henry Bullinger (1504-1575) : shepherd of the churches https://www.worldcat[...] Go Publications 2007
[17] 간행물 Bullinger and the Anabaptists https://www.der-nach[...] Beilage zur Reformierten Presse 2004
[18] 간행물 Bullinger the Theologian https://www.der-nach[...] Beilage zur Reformierten Presse 2004
[19] 서적 Architect of Reformation: An Introduction to Heinrich Bullinger, 1504-1575 Baker Academic
[20] 문서
[21] 웹사이트 Evangelical Library - Annual Lecture 2004 - Address given by Jean Marc-Berthoud on Bullinger and the Reformation https://www.evangeli[...]
[22] 서적 E.W. Bullinger: A Biography Kregel Publications
[23] 서적 Commonwealth and the English Reformation: Protestantism and the Politics of Religious Change in the Gloucester Vale, 1483–156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3-02
[24] EB1911
[25] Kotobank 2023-05-04
[26] Kotobank 2023-05-04
[27] Kotobank 改革派教会 2023-05-04
[28] 서적 The theology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sights https://www.worldcat[...]
[29] 문서 Heinrich Bullinger. Reformator, Kirchenpolitiker, Historiker. Theologischer Verlag Zürich
[30] 문서 Heinrich Bullinger. Reformator, Kirchenpolitiker, Historiker. Theologischer Verlag Züri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