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봉역은 1986년 9월 2일 영업을 시작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지상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구조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인근에 도봉1동 주민센터, 수락산, 서울북부지방법원 등이 위치하며, 경원선 도봉산역과 방학역 사이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도봉구의 전철역 - 창동역
창동역은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있는 철도역으로, 1911년 경원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서울 지하철 1호선과 4호선이 환승하는 역이다. - 서울 도봉구의 전철역 - 녹천역
녹천역은 1985년에 개업한 수도권 전철 1호선 고가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인근에 학교, 아파트 단지, 공원이 위치하고, 일평균 승하차 인원은 감소 추세에 있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1986년 개업한 철도역 - 도봉산역
도봉산역은 서울 도봉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으로, 1호선은 1986년 '누원역'으로 개업 후 1988년 역명이 변경되었고, 7호선은 1996년 개통되어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 주변에는 도봉산과 서울창포원 등의 시설이 있다. - 1986년 개업한 철도역 - 회룡역
회룡역은 경기도 의정부시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의정부 경전철의 환승역으로, 1986년 개통 후 환승역이 되면서 통합역사로 운영되고 있으며, 역 주변에 편의시설과 공공기관이 위치한다.
도봉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도봉역 |
로마자 표기 | Dobongyeok |
한자 표기 | 道峰驛 |
역 번호 | 114 |
주소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170길 2 (도봉2동 89-159) |
개업일 | 1986년 9월 2일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역사 구조 | |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2선 |
노선 정보 | |
노선 | 경원선 |
영업 거리 | 연천역 기점 48.6km |
이전 역 | 도봉산역 |
다음 역 | 방학역 |
역간 거리 | 이전 역 1.2km, 다음 역 1.3km |
승객 정보 | |
2012년 일평균 승차객 | 13,247명 |
2018년 일평균 승차객 | 6,399명 |
2018년 일평균 승하차객 | 12,541명 |
기타 정보 | |
역 등급 | 3급 |
관리역 | 의정부역 |
운영 형태 | 무배치간이역 |
위탁 운영 | 코레일네트웍스 |
인접 역 | |
수도권 전철 1호선 | left1: 도봉산역 right1: 방학역 to-right1: 인천 |
수도권 전철 1호선 (일부 시간대) | note-mid2: 평일 3회만 운행 left2: 도봉산역 right2: 방학역 to-right2: 서동탄역 to-left2: 의정부역 |
이미지 | |
![]() | |
![]() | |
![]() |
2. 역사
- 1986년 6월 3일: 역사 신축 공사를 시작하였다.
- 1986년 9월 2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 1986년 9월 30일: 역사가 완공되었다.
- 1996년 12월 11일: 도봉역 관리 도봉남부 위탁발매소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 2004년 1월 1일: 도봉남부역의 관리가 파발마관리로 전환되었다.
- 2005년 12월 21일: 동묘앞역 개업으로 1호선 역번호가 115에서 114로 변경되었다.
- 2006년 10월 10일: 한국철도개발(주)에서 역사를 개발하였다.
- 2009년 12월 1일: 철도 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
3. 역 구조
출구는 3개이며,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고가역이다.승강장 | 노선 | 행선지 |
---|---|---|
1 | -- 1호선 (경원선) | 도봉산 · 의정부 · 양주 · 동두천중앙 · 동두천 · 소요산 · 연천 방면 |
2 | -- 1호선 (경원선) | 광운대 · 회기 · 청량리 · 서울 · 구로 · 부천 · 인천 방면 |
4. 역 주변
5. 이용객 변동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7,991 | 7,254 | 7,417 | 7,840 | 6,406 | 6,304 | 6,143 | 6,329 | 6,432 | 6,343 | [7] | ||
하차 | 5,820 | 4,934 | 5,410 | 6,790 | 5,842 | 5,827 | 5,695 | 5,814 | 5,926 | 5,821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1호선 | 승차 | 6,471 | 6,696 | 6,818 | 6,820 | 6,784 | 6,809 | 6,661 | 6,573 | 6,399 | 6,391 | 4,969 | 5,059 | [7] |
하차 | 6,068 | 6,362 | 6,429 | 6,434 | 6,412 | 6,505 | 6,407 | 6,340 | 6,142 | 6,058 | 4,740 | 4,884 |
6. 인접한 역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완행)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급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