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박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박도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에 위치한 섬으로, 북쪽으로는 북한의 황해남도 연안군과 마주하고 있다. 1953년 한국 전쟁 휴전 협정 이후 영토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으며, 대한민국과 북한의 관할권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서해 북방한계선과 가깝고, 우도와 갯벌로 연결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는 일제강점기부터 다양한 지도에 표시되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어민 납북 사건 등이 발생했다. 2017년 북한군 기지 건설, 2019년 레이더 설치 보도 등으로 영토 논란이 더욱 심화되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 영토임을 확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토 분쟁 - 한반도 분단
한반도 분단은 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38도선을 기준으로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되면서 시작되어 남북한 정부 수립과 한국 전쟁을 거쳐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냉전의 산물이자 이념 대립과 강대국 이해관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토 분쟁 - 북방한계선
북방한계선(NLL)은 1953년 한국 전쟁 휴전 이후 유엔군 사령부가 설정한 해상 경계선이며, 북한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자체적인 해상 군사분계선을 선포하여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 대한민국의 영토 분쟁 - 한반도 분단
한반도 분단은 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38도선을 기준으로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되면서 시작되어 남북한 정부 수립과 한국 전쟁을 거쳐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냉전의 산물이자 이념 대립과 강대국 이해관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 대한민국의 영토 분쟁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함박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섬 정보 | |
이름 | 함박도/함박섬 |
한자 표기 | 咸朴島/咸朴섬 |
로마자 표기 | Hambakdo/Hambakseom |
위치 | 황해 |
면적 | 0.02 km² (19,971 m²) |
영유권 정보 | |
실효 지배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실효 지배 행정 구역 | 황해남도 연안군 |
영유권 주장 국가 | 대한민국 |
영유권 주장 행정 구역 |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 말도리 |
기타 정보 | |
1978년 행정 구역 등록 | 강화군 (대한민국) |
2. 지리
동쪽으로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 말도와 마주하고 있고, 서쪽으로는 연평도와 마주하며, 남쪽으로는 강화군 서도면 우도가 마주하고, 북쪽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연안군과 마주하고 있다. 축구장 3개 크기의 면적 19971m2으로[33] 북위 37°40'40", 동경 126°01'42"에 있다. 서해 북방한계선(NLL)에서 약 2km 떨어져 있어 매우 가깝다. 남서쪽으로 서해 5도(백령도·대청도·소청도·연평도·우도) 중 가장 작은 섬인 우도와는 약 8.6km 떨어져 있어 썰물 때는 갯벌로 연결된다.[15] 간조 시에는 남서쪽으로 약 8.6km 떨어진 궳섬과 갯벌로 연결된다. 인천국제공항이나 인천항, 강화도 등도 이 섬에서 60km 미만의 거리에 있다.[15]
1953년 휴전 협정으로 한국 전쟁이 끝났지만, 유엔군 사령부는 3해리를, 북한은 12해리를 기준으로 영해를 주장하여 해상 경계선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5] 서해 5도는 연평도,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우도인데, 우도는 1918년부터 강화군 소속이었다.
3. 역사
1965년, 함박도에서 조개를 잡던 한국 어부들이 북한에 억류되었다가 풀려났다. 대한민국은 함박도가 강화군 소속이라고 주장했다.[6][7][8][9] 1978년, 대한민국은 함박도를 지적도에 등록했다.
2017년까지 무인도였던 함박도에 2019년 북한 군사 시설이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대한민국 내에서 큰 논쟁이 일었다.[10] 조선일보는 함박도에 30~60km 범위의 레이더가 설치되었다고 보도했고,[11] 대한민국 정부는 공격용 무기가 없음을 확인했다.[12] 감사원은 함박도가 북방한계선 북쪽에 위치하며 북한 섬이라는 대한민국 정부의 주장을 확인했다.[13][14]
원래 강화군 서도면 어민들이 갯벌에서 어업을 하던 무인도였으나, 현재는 어업이 금지되어 있다.3. 1. 조선 시대
대동여지도(1861)에는 함박도가 경기도 교동부 군계 바깥쪽, 즉 황해도에 속하는 것으로 그려져 있다.[35] 〈동여도〉(1856?)에는 함박도가 함박서(含朴嶼)라는 이름으로 황해도 쪽에 그려져 있다.[34]
1871년과 1872년에는 전국적으로 군현마다 읍지를 편찬하고 지도를 그리는 작업이 시행되었다. 이때 그려진 지도를 《1872년 군현지도》 또는 《1872년 지방지도》라 부른다. 함박도와 연접한 지역에서 제작한 〈교동부지도〉(경기도 교동군), 〈강화부전도〉(경기도 강화군), 〈연안지도〉(황해도 연안군), 〈배천군지도〉(황해도 배천군)에는 함박도가 없고, 황해도 해주목 지도인 〈해주용매진지도〉에 대함박(大咸朴)과 소함박(小咸朴)이라는 두 개의 섬이 그려져 있다. 이 지도에는 말도와 모우도(우도)가 그려져 있기는 하나, 강화군에 속한다고 적혀 있다.[36]
일본 육지측량부에서는 1895년부터 1906년까지 한반도 전역을 지도로 제작하는 작업을 펼쳤으며, 이때 만들어진 지도를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라고 부른다.[37] 이 지도 중 함박도 일대가 그려진 도엽은 1895년(메이지 28년)에 측도되어 1911년(메이지 44년)에 인쇄 및 발행되었는데, 이 도엽에는 말도 서쪽에 있는 일련의 도서군이 황해도에 속하는 것으로 그려져 있다.[38]
3. 2. 일제 강점기
1918년, 우도(말도리 산88, 산90~96)와 그 인근의 비도(말도리 산89)가 경기도 강화군 서도면에 속하는 것으로 지적공부에 등재되었다.[39] 그러나 이 때 함박도가 경기도 강화군 서도면의 지적공부에 등재된 것은 아니다. 일제 강점기인 1918년의 육지측량부 지도에는 함박도가 황해도 쪽에 속하는 것으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우도와 비도가 등기된 이후 제작된 1934년의 육지측량부 지도에는 함박도를 경기도의 일부로 표시하였다.
그 밖의 지도로, 일본이나 조선 외부의 지도인 1944년의 미군 지도에는 황해도에 속하는 것으로 그려져 있다.
한편, 함박도는 어민들이 오래 전부터 갯벌에서 조개잡이 어업을 하던 무인도였다. 1940년 7월 2일의 보도에 의하면 대대로 말도 어민들이 함박도에 출어하였다고 하는데, 1940년에 연백군이 함박도는 연백군 해성면 매정리의 섬이라며 강화군에 출어 제한을 통보하자, 강화군에서는 역사적인 어업과 육지측량부 지도에 의해 강화도 소유라는 입장을 보였다고 한다.[40] 당시 언론들은 강화군의 일부라는 측에 무게를 실어 보도했다.
3. 3. 해방 이후
1953년 한국 전쟁의 결과로 한국 군사정전 협정이 체결되었는데, 첨부된 지도 제3도는 함박도를 휴전선 북쪽의 영토로 표시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관할로 두었다.[41] 그러나 이 지도는 1918년에 이미 경기도 강화군 서도면에 속하는 것으로 지적공부에 등재된 우도(말도리 산88, 산90~96)와 비도(말도리 산89)도 황해도로 잘못 표시하였다.[41]
한국전쟁 후 함박도의 관할을 놓고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 충돌이 발생했다. 함박도를 강화도에 속한 섬으로 여긴 대한민국 어민들이 함박도에 출어했다가 납북되는 사건이 발생했다.[42] 1965년에도 납북 사건이 발생하자, 대한민국에서는 함박도를 대한민국 영토 내 군사 작전구역으로 인식하여 북측에 항의했다.[43][44][45][46]
1978년, 박정희 정부는 미등록도서 지적공부 등록 사업을 통해 함박도를 경기도 강화군 서도면 말도리의 지적공부에 등재했다(말도리 산97).[47]
2004년 12월, 《인천광역시 도서현황》의 무인도서 목록에는 함박도가 산림청 소유이며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다고 기록되었다.[48]
2010년 연평도 포격 사건 9일 후인 12월 2일, 당시 이명박 정부의 집권당이었던 한나라당 최고위원회에서 정두언 의원은 "우도는 … 북한의 함박도에서 8 km 떨어져 있다."라고 발언했고,[49] 이 발언은 당 대변인실을 통해 공표되었다.[50] 이후 언론 보도 중 함박도를 북한의 섬으로 기술한 것이 있다.[51][52][53]
2019년 6월 말, 주간조선의 보도를 통해 함박도 북쪽에 북한군 기지가 들어선 사실이 알려졌다. 대한민국 국방부는 대한민국 주소지가 부여된 함박도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도서로 인식하고 있어 논란이 되었다. 함박도에 북한군 기지가 들어선 시기는 2017년으로 확인되었다.
본래 함박도는 강화군 서도면 어민들이 어업을 하던 무인도였으나, 현재는 어업이 금지되어 있다.
4. 영토 논란
1953년 한국 전쟁의 결과로 맺어진 한국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 제13항 5목의 '첨부한 지도 제3도'는 함박도를 휴전선 북쪽의 영토로 표시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관할 영토로 명시했다.[41] 이 지도는 1918년에 이미 경기도 강화군 서도면에 속하는 것으로 지적공부에 등재된 우도와 그 인근의 비도도 황해도로 잘못 표시하였다.[41]
한국전쟁 후 함박도의 관할을 놓고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충돌하였다. 함박도를 강화도에 속한 섬으로 여긴 대한민국 어민들이 함박도에 출어했다가 납북되는 사건이 발생했다.[42] 1965년에도 납북 사건이 일어나자, 대한민국에서는 함박도를 대한민국 영토 내 군사 작전구역으로 인식하여 북측에 항의했다.[43][44][45][46]
1978년 박정희 정부의 미등록도서 지적공부 등록 사업의 일환으로, 함박도가 경기도 강화군 서도면 말도리의 지적공부에 등재되었다(말도리 산97).[47]
2004년 12월, 《인천광역시 도서현황》의 무인도서 목록에서 함박도는 산림청에서 소유하고 있으며 현재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곳이라고 밝혔다.[48]
2010년 연평도 포격 사건 9일 후인 12월 2일, 당시 이명박 정부의 집권당이었던 한나라당 최고위원회에서 정두언 의원이 "우도는 … 북한의 함박도에서 8 km 떨어져 있다."라고 발언하였고,[49] 이 발언은 당 대변인실을 통해 공표되었다.[50] 이후 언론 보도 중 함박도를 북한의 섬으로 기술한 것이 있다.[51][52][53]
2019년 6월 말, 주간조선의 뉴스 보도를 통해 함박도의 북쪽 부분에 북한군의 기지가 들어선 사실이 알려졌고, 대한민국 국방부에서는 대한민국 주소지가 부여된 함박도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도서로 인식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되어 논란이 되었다. 함박도에 북한군의 기지가 들어선 시기는 2017년으로 확인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73년부터 서해5도 주변이 자국의 수역이라고 주장하면서 1977년 7월 1일에 일방적으로 자신들이 획정한 200해리 수역을 확정하고 8월 1일에는 해상 군사분계선을 발표했다.
2019년 6월 24일 주간조선에서 〈대한민국 주소지에 북한군 주둔? 서해 NLL ‘함박도’ 미스터리〉[55] 기사를 보도하면서 함박도를 둘러싸고 영토 논란이 불거졌다. 이후 주간조선은 추가 기사를 통해 '함박도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토라는 것은 '1953년 한국 정전협정' 문서에 기록되어 역사적 근거가 있지만 국내에 알려진 정전협정 지도마다 도계선 획정이 각기 다르게 되어 있어 정전협정 문서에 첨부된 지도의 도계선이 맞게 그어진 것인지는 따져볼 필요가 있고, 대한민국에서 함박도를 대한민국의 영토로 등록한 건 1978년이므로 북한의 해상군사분계선에 대한 일방적 발표가 나온 지 1년 뒤인 시점에서 서해 NLL을 부정하기 시작한 북한에 ‘대비’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을 가진 대응이 아니냐는 추정을 하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2019년 9월 20일, 유엔사령부는 함박도가 NLL 북쪽에 위치한 것임을 공식적으로 확인하였다. 대한민국 국방부는 9월 16일부터 국토교통부, 강화군, 민간 전문가 등과 합동 검증팀을 조직하여 함박도의 위치를 조사하였고, 이날 함박도는 NLL 이북 약 700m 지점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할 섬이며, 정전협정상 ‘황해도-경기도 도경계선’ 북쪽 약 1km 지점에 위치함을 확인하였다.[60]
참조
[1]
서적
한국지명총람 17권
https://memory.libra[...]
Korean Language Society
2019-09-07
[2]
뉴스
"[취재후] ''우리 땅' 함박도에 북한군 주둔"?…빌미 준 정부"
http://news.kbs.co.k[...]
2019-09-02
[3]
뉴스
"'북한 땅' 서해 함박도…행정구역상 1978년 강화군에 등록"
https://www.yna.co.k[...]
2019-09-07
[4]
웹사이트
Transcript of Armistice Agreement for the Restoration of the South Korean State (1953)
http://www.ourdocume[...]
2013-09-03
[5]
간행물
The Korean Armistice and the Islands
http://www.dtic.mil/[...]
U.S. Army War College
2010-11-26
[6]
웹사이트
함박도에서 조개 캐던 서해 어민 집단 납북
https://newslibrary.[...]
2024-02-22
[7]
웹사이트
납북 어민 송환
https://newslibrary.[...]
2024-02-22
[8]
웹사이트
억류 어민 3명 어제 귀환…2명만은 계속 억류
https://newslibrary.[...]
2024-02-22
[9]
웹사이트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10]
웹사이트
'함박도'에 북한군 시설 들어가 있는 이유는?
http://www.kookje.co[...]
[11]
웹사이트
Radar on Hambak Island 'Could Spy on Incheon Airport'
http://english.chosu[...]
2019-09-05
[12]
웹사이트
No attack weapons deployed on N. Korea's Hambak Island in Yellow Sea: Seoul ministry
http://www.koreahera[...]
2019-09-18
[13]
웹사이트
감사원 "함박도는 북한 관할" 정부 주장 재확인
http://news.chosun.c[...]
2020-07-15
[14]
웹사이트
감사원, '함박도는 북한 관할 영토' 정부 주장 재확인
https://www.yna.co.k[...]
2020-03-31
[15]
웹사이트
北朝鮮が咸朴島に日本製レーダー設置、仁川空港・仁川港を探知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09-05
[16]
문서
경기도 강화군 서도면 말도 산1-96, 강화 임야조사부
http://theme.archive[...]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지적아카이브
2018-01-12
[17]
문서
한국 전쟁 정전협정 첨부 지도
https://catalog.arch[...]
2017-08-08
[18]
뉴스
심각한 북한 고민상 - 송환 어부 현지 보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4-11-20
[19]
뉴스
함박도에서 조개 캐던 서해 어민 집단 납북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5-11-01
[20]
뉴스
납북 어민 송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5-11-20
[21]
뉴스
억류 어민 3명 어제 귀환…2명만은 계속 억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5-12-28
[22]
웹사이트
https://newslibrary.[...]
[23]
웹사이트
인천광역시 도서(島嶼)현황
http://www.incheon.g[...]
2019-09-01
[24]
뉴스
최고위원회의 주요내용 보도자료
http://news.naver.co[...]
한나라당 대변인실
2010-12-02
[25]
뉴스
홍준표 "해병특전사령부 창설해야"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0-12-02
[26]
뉴스
썰물 땐 北과 갯벌로 연결 해병들 무장한 채 취침
http://weekly.chosun[...]
주간조선
2010-12-06
[27]
뉴스
서해5도에 있는 우도를 아십니까
http://news.naver.co[...]
오마이뉴스
2016-07-26
[28]
뉴스
야간경계 투입 앞둔 군장병들 "홍대클럽에 온것 같다"
http://news.naver.co[...]
동아일보
2016-10-21
[29]
뉴스
대한민국 주소지에 북한군 주둔? 서해 NLL ‘함박도’ 미스터리
https://weekly.chosu[...]
주간조선
2019-08-31
[30]
뉴스
韓経:韓国海兵隊「咸朴島有事の際の焦土化計画立てた」
https://japanese.joi[...]
2019-10-17
[31]
뉴스
북한군 주둔 확인, 함박도의 진실
http://weekly.chosun[...]
주간조선
2019-08-31
[32]
웹인용
함박도 관련 민관 합동검증팀 구성・운영
http://www.mnd.go.kr[...]
2019-09-30
[33]
문서
대한민국관보 해양수산부고시 제2018-128호 ‘무인도서 관리유형 지형도면 고시 (인천광역시)’
http://www.luris.kr/[...]
2018-11-08
[34]
웹인용
함박서(含朴嶼) / 황해남도 해주시
http://kostma.aks.ac[...]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09-16
[35]
웹사이트
http://mirror.puzzle[...]
[36]
웹인용
1872년지방지도
http://kyudb.snu.ac.[...]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9-09-16
[37]
저널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에 수록된 지명의 유형 분포
http://www.riss.kr/l[...]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9-09-16
[38]
지도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 3
null
성지문화사
1996
[39]
문서
경기도 강화군 서도면 말도 산1-96, 강화 임야조사부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지적아카이브
2019-09-16
[40]
뉴스
문제中의‘咸朴島’는 江華漁民의捕貝場 界線問題로延白郡과말성
http://db.history.go[...]
동아일보
1940-07-02
[40]
뉴스
咸朴島의漁權을 延白郡이干涉 江華서不服코對立
https://nl.go.kr/new[...]
매일신보
2021-01-25
[40]
뉴스
境界線을타고 問題는複雜 江華서調査班出動
https://nl.go.kr/new[...]
매일신보
2021-01-25
[40]
뉴스
黃海か京畿か無人島繞つて 新所屬問題起る 江華郡內の ‘咸朴島’
http://db.history.go[...]
조선신문
2019-09-16
[41]
웹인용
한국 전쟁 정전협정 문서 첨부 지도 (17쪽)
https://catalog.arch[...]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
2017-08-08
[42]
뉴스
심각한 북한 고민상 - 송환 어부 현지 보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4-11-20
[43]
뉴스
함박도에서 조개 캐던 서해 어민 집단 납북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5-11-01
[44]
뉴스
납북 어민 송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5-11-20
[45]
뉴스
억류 어민 3명 어제 귀환…2명만은 계속 억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5-12-28
[46]
뉴스
"<漁夫拉北事件>停戰委에通告"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65-11-01
[47]
뉴스
"[취재후] \"'우리 땅' 함박도에 북한군 주둔\"? 빌미 준 정부"
http://news.kbs.co.k[...]
KBS
2019-09-16
[48]
웹인용
인천광역시 도서(島嶼)현황
http://www.incheon.g[...]
2019-09-01
[49]
뉴스
홍준표 "해병특전사령부 창설해야"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2-02
[50]
뉴스
최고위원회의 주요내용 보도자료
https://news.naver.c[...]
한나라당 대변인실
2010-12-02
[51]
뉴스
썰물 땐 北과 갯벌로 연결 해병들 무장한 채 취침
http://weekly.chosun[...]
주간조선
2010-12-06
[52]
뉴스
서해5도에 있는 우도를 아십니까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16-07-26
[53]
뉴스
야간경계 투입 앞둔 군장병들 "홍대클럽에 온것 같다"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6-10-21
[54]
뉴스
“‘우리 땅’ 함박도에 북한군 주둔”?…빌미 준 정부
https://news.kbs.co.[...]
[55]
뉴스
대한민국 주소지에 북한군 주둔? 서해 NLL ‘함박도’ 미스터리
https://weekly.chosu[...]
주간조선
2019-08-31
[56]
뉴스
북한군 주둔 확인, 함박도의 진실
http://weekly.chosun[...]
주간조선
2021-12-30
[57]
뉴스
최고위원회의 주요내용 보도자료
https://news.naver.c[...]
한나라당 대변인실
2010-12-02
[58]
뉴스
“함박도는 정전협정 때 북한 관할지역으로 정리”
http://www.hani.co.k[...]
한겨레
2019-09-20
[59]
뉴스
브룩스 前사령관 "함박도는 NLL 이북"…한미 군당국 입장 재확인(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9-09-20
[60]
뉴스
유엔사 “함박도, “NLL 북쪽에 위치”…브룩스 “위치 잘못 말해” 정정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19-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