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학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학루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 위치한 누각으로, 동오 시대에 군사적 목적으로 처음 건설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소실과 재건을 거쳐 현재는 황학루 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다. 중국의 4대 명루 중 하나로, 주변의 양쯔강과 함께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며, 최호, 이백 등 당나라 시인들의 시로 유명하다. 1985년에 재건된 현대의 황학루는 높이 약 51.4m이며, 공원 내에는 악비 동상, 사찰 종, 다양한 전시물 등이 있으며, AAAAA급 관광지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탑 - 영곡탑
영곡탑은 명나라 영락제 시기에 난징에 건설된 대보은사의 일부로, 흰색 도자기 벽돌로 지어진 팔각형 탑이었으나 태평천국의 난 당시에 파괴되어 현재는 난징 박물관에 모형이 전시되어 있으며 복원 사업에 대한 논란이 있다. - 중국의 탑 - 악양루
악양루는 중국 후난성 악양시에 위치하며 동정호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누각으로, 군사적 망루에서 유래하여 문인들의 시를 읊는 장소로 명성을 얻었으며, 범중엄의 《악양루기》로 문학적 가치를 높여 중국 건축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우창구 - 우한장강대교
우한장강대교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의 장강을 가로지르는 캔틸레버 교량으로, 소련의 기술 지원을 받아 건설되었으며 중국 남북을 잇는 중요한 교통로이자 경제 발전과 국가적 자부심의 상징이다. - 우창구 - 우한 센터
우한 센터는 2009년에 착공하여 2019년에 준공된 화중 지역 최고층 빌딩으로, 우한시 최초로 400m를 넘는 건물이다. - 우한시의 건축물 - 우한장강대교
우한장강대교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의 장강을 가로지르는 캔틸레버 교량으로, 소련의 기술 지원을 받아 건설되었으며 중국 남북을 잇는 중요한 교통로이자 경제 발전과 국가적 자부심의 상징이다. - 우한시의 건축물 - 우한화난수산물도매시장
우한화난수산물도매시장은 COVID-19 팬데믹의 진원지로 지목되어 폐쇄된 중국 우한시의 대형 수산물 시장이다.
황학루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누각 |
위치 | 중국 후베이 성 우한 시 무창 구 사산 |
명칭 | |
한국어 | 황학루 |
간체자 | 黄鹤楼 |
정체자 | 黃鶴樓 |
병음 | Huáng hè lóu |
광둥어 | Wong4 hok6 lau4 |
예일 음역 | Wòhng hohk làuh |
월병 | wong4 hok6 lau4 |
민난어 | N̂g ho̍h lâu, Hông ho̍k lâu |
역사 | |
창건 시기 | 삼국 시대 (223년) |
파괴 및 재건 횟수 | 여러 차례 (마지막 재건: 1981년) |
문화적 중요성 | |
관련 시 | 최호의 황학루 이백의 황학루송맹호지광릉 |
2. 역사
황학루는 오랜 역사를 지닌 건축물로, 여러 차례 파괴와 재건을 거듭했다. 삼국 시대 오나라의 손권에 의해 처음 지어진 이후,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는 전쟁과 화재로 12번이나 파괴되고 10번 복원되었다.[1] 청 말기에는 태평천국 운동으로 인해 소실되기도 했다.
19세기 말, 황학루가 있던 자리 근처에 새로운 타워가 세워지기도 했지만, 1955년 우한 창장 대교 건설을 위해 철거되었다. 현재의 황학루는 1981년 우한 시 정부가 원래 위치에서 약 1km 떨어진 곳에 새로 지은 것으로, 1985년에 완공되었다.[4]
2. 1. 기원과 초기 역사
삼국 시대 223년, 오의 손권에 의해 군사 목적의 망루로 건축되었으나, 이후에는 주로 관광 목적의 누각이 되었다. 당 영태 원년(765년)에 쓰인 염백균의 "황학루기"에 누각의 성대한 모습을 기록하고 있다.[13] 타워 건설 후 거의 600년이 지나 쓰여진 원화군현도지에는 손권이 223년에 동오 왕국의 기초를 세운 후, 한커우 서쪽에 있는 황학진에 타워가 건설되었으며, 따라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1]2. 2. 명·청 시대
이 탑은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 전쟁과 화재로 인해 12번 파괴되었으며, 10번 복원되었다.[1] 원래 부지에 있던 마지막 타워는 1868년에 지어졌고 1884년에 파괴되었다. 1907년에는 황학루 부지 근처에 새로운 타워가 세워졌다. 장지동은 이 타워의 이름으로 "오략루"(奧略樓|Àolüè lóu중국어)를 제안하고 이에 대한 대구를 썼다.[3]


황학루는 여러 차례 소실과 재건을 반복했다. 청의 광서 10년(1884년) 태평천국의 무창 공격 시 화재로 소실된 후, 1904년 호북 순무였던 단방의 명령에 의해 황학루의 옛터에 세워진 2층의 서양식 망루와 1907년 장지동의 문생들에 의해 세워진 "오략루"가 있었지만, 둘 다 1955년 우한 창장 대교의 건설을 위해 철거되었다.[14]
2. 3. 근현대
황학루는 여러 차례 소실과 재건을 반복했다. 청 광서 10년(1884년) 태평천국의 무창 공격 때 화재로 소실된 후, 1904년 호북 순무였던 단방의 명령에 의해 황학루 옛터에 2층의 서양식 망루가 세워졌다. 1907년에는 장지동의 문생들에 의해 "오략루"(奧略樓|오략루중국어)가 세워졌지만, 두 건물 모두 1955년 우한 창장 대교 건설을 위해 철거되었다.[14] 1957년에는 우한 양쯔강 대교가 건설되었고, 교량의 트러스 지지대 중 하나가 황학루 부지에 세워졌다. 1981년, 우한 시 정부는 원래 부지에서 약 1km 떨어진 새로운 위치에 타워 재건축을 시작하여 1985년에 완공했다.[4]
3. 전설
황학루에는 왕자안(王子安)이라는 선인이 학을 타고 내려왔다는 것을 기념하여 황학루를 만들었다는 전설과, 비문의(費文禕)가 선인이 된 이후 황학을 타고 이곳에 내려와 종종 머물렀다는 전설 등 여러 전설이 전해진다.[5]
황학루는 현재 뱀산에 위치해 있는데, 원래 위치에서 1km 떨어져 있다. 이와 관련된 두 가지 전설은 뱀산을 배경으로 한다. 첫 번째 전설은 왕자안(王子安|왕자안중국어)이라는 신선(仙人|선인중국어)이 노란 두루미를 타고 뱀산을 떠났고, 이 이야기를 기념하기 위해 나중에 탑이 세워졌다는 것이다. 두 번째 전설은 비의가 불멸의 존재가 되어 노란 두루미를 타고 종종 뱀산에 들러 휴식을 취한다는 내용이다.[5]
이 탑은 도교의 성지이기도 하다. 여동빈이 이곳에서 하늘로 승천했다고 전해진다.[6] 탑 아래 언덕에는 여동빈의 조각상이 있는 작은 동굴이 있는데, 이 동굴은 여조동(呂祖洞), 즉 여동빈의 동굴이라고 불린다.
옛날 신(辛)씨 성을 가진 사람이 술집을 운영하고 있었다. 어느 날, 초라한 행색의 도사가 찾아와 6개월 동안 공짜 술을 마셨다. 어느 날 도사는 술값 대신 귤껍질로 벽에 황학을 그려주고 떠났는데, 손님들이 노래하면 이 학이 춤을 추었다고 한다. 이 소문으로 신씨는 큰 부자가 되었고, 훗날 선인이 다시 술집에 찾아와 학을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 신 씨는 이를 기념하여 황학루를 지었다고 한다.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 비의가 선인이 되어 황학을 타고 이곳에 와서 쉬었다는 전설도 전해진다.[5]
3. 1. 왕자안 전설
황학루와 관련된 전설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왕자안(王子安중국어)이라는 선인이 학을 타고 내려왔는데, 이를 기념해서 황학루를 만들었다는 것과 비이가 선인이 된 이후 황학을 타고 이곳에 내려와 종종 머물렀다는 전설 등이 있다.[5]황학루는 원래 위치에서 1km 떨어진 뱀산에 위치해 있는데, 이와 관련된 두 가지 전설은 뱀산을 배경으로 한다. 첫 번째 전설은 왕자안(王子安중국어)이라는 신선(仙人중국어)이 노란 두루미를 타고 뱀산을 떠났고, 이 이야기를 기념하기 위해 나중에 탑이 세워졌다는 것이다. 두 번째 전설은 비이가 불멸의 존재가 되어 노란 두루미를 타고 종종 뱀산에 들러 휴식을 취한다는 내용이다.[5]
옛날, 신(辛) 씨라는 사람의 술집이 있었다. 거기에 초라한 행색의 선인이 찾아와 술을 마시게 해달라고 했다. 신 씨는 싫은 내색 없이 술을 공짜로 대접했고, 6개월 정도 계속되었다. 어느 날, 도사는 신 씨에게 "술값이 밀렸지만 돈이 없다"라고 말하며, 대신 가게 벽에 귤 껍질로 노란 학을 그려주고 떠났다. 손님이 손뼉을 치며 노래를 부르자, 그에 맞춰 벽의 학이 춤을 추었다. 그 소문이 퍼져 가게가 번성하여 신 씨는 막대한 부를 쌓았다. 그 후, 다시 가게에 선인이 나타나 피리를 불자 노란 학이 벽에서 뛰쳐나왔다. 선인은 그 등에 올라 흰 구름을 타고 날아갔다. 신 씨는 이를 기념하여 누각을 짓고 황학루라고 이름 지었다고 한다.
또한 염백근의 "황학루기"에는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 비의가 선인이 되어 황학을 타고 날아와 이곳에서 쉬었다는 전설이 기록되어 있다.
3. 2. 비문위 전설
황학루에는 왕자안(王子安)이라는 선인이 학을 타고 내려왔다는 것을 기념해서 황학루를 만들었다는 전설과 비문의(費文禕)가 선인이 된 이후 황학을 타고 이곳에 내려와 종종 머물렀다는 전설 등이 있다.[5]황학루는 원래 위치에서 1km 떨어진 뱀산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두 가지 전설은 뱀산을 배경으로 한다. 첫 번째 전설은 왕자안(王子安중국어)이라는 신선(仙人중국어)이 노란 두루미를 타고 뱀산을 떠났고, 이 이야기를 기념하기 위해 나중에 탑이 세워졌다는 것이다. 두 번째 전설은 비의가 불멸의 존재가 되어 노란 두루미를 타고 종종 뱀산에 들러 휴식을 취한다는 내용이다.[5]
이 탑은 도교의 성지이기도 하다. 여동빈이 이곳에서 하늘로 승천했다고 전해진다.[6] 탑 아래 언덕에는 여동빈의 조각상이 있는 작은 동굴이 있는데, 이 동굴은 여조동(呂祖洞), 즉 여동빈의 동굴이라고 불린다.
황학루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도 전해진다.
옛날, 신 씨라는 사람의 술집에 초라한 행색의 선인이 찾아와 술을 청했다. 신 씨는 6개월 동안 술을 공짜로 주었다. 어느 날, 도사는 술값 대신 가게 벽에 귤 껍질로 노란 학을 그려주고 떠났다. 손님이 손뼉을 치며 노래를 부르자, 벽의 학이 춤을 추었다. 그 소문으로 가게가 번성하여 신 씨는 큰 부자가 되었다. 그 후, 선인이 다시 나타나 피리를 불자 노란 학이 벽에서 뛰쳐나왔고, 선인은 그 등에 올라 흰 구름을 타고 날아갔다. 신 씨는 이를 기념하여 누각을 짓고 황학루라고 이름 지었다.
또한 염백근의 "황학루기"에는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 비의가 선인이 되어 황학을 타고 날아와 이곳에서 쉬었다는 전설이 기록되어 있다.
3. 3. 신씨와 도사 전설
옛날, 신(辛) 씨라는 사람이 술집을 운영하고 있었다. 어느 날, 초라한 행색의 선인이 찾아와 술을 청했다. 신 씨는 불평 없이 술을 대접했고, 이런 일이 6개월 동안 계속되었다. 어느 날, 도사는 신 씨에게 술값이 밀렸지만 돈이 없다고 말하며, 대신 가게 벽에 귤 껍질로 노란 학을 그려주고 떠났다. 손님이 손뼉을 치며 노래를 부르자, 벽에 그려진 학이 춤을 추었다. 이 소문이 퍼져 가게는 크게 번성했고, 신 씨는 큰 부자가 되었다. 그 후, 선인이 다시 가게에 나타나 피리를 불자 노란 학이 벽에서 뛰쳐나왔다. 선인은 그 학을 타고 흰 구름 속으로 날아갔다. 신 씨는 이를 기념하여 누각을 짓고 황학루라고 이름 지었다.[5]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 비의가 선인이 되어 황학을 타고 이곳에 와서 쉬었다는 전설도 전해진다.[5]
3. 4. 기타
황학루에는 왕자안(王子安)이라는 선인이 학을 타고 내려왔다는 것을 기념해서 황학루를 만들었다는 전설과, 비문의(費文禕)가 선인이 된 이후 황학을 타고 이곳에 내려와 종종 머물렀다는 전설 등이 전해진다.[5]황학루는 원래 위치에서 1km 떨어진 뱀산에 있는데, 이와 관련된 두 가지 전설은 모두 뱀산을 배경으로 한다. 첫 번째 전설은 왕자안(王子安|왕자안중국어)이라는 신선(仙人|선인중국어)이 노란 두루미를 타고 뱀산을 떠났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나중에 탑이 세워졌다는 것이다. 두 번째 전설은 비의가 불멸의 존재가 되어 노란 두루미를 타고 종종 뱀산에 들러 휴식을 취한다는 내용이다.[5]
이 탑은 도교의 성지이기도 하다. 여동빈이 이곳에서 하늘로 승천했다고 전해진다.[6] 탑 아래 언덕에는 여동빈의 조각상이 있는 작은 동굴이 있는데, 이 동굴은 여조동(呂祖洞), 즉 여동빈의 동굴이라고 불린다.
황학루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진다.
옛날, 신 씨라는 사람의 술집에 초라한 행색의 선인이 찾아와 술을 청했다. 신 씨는 6개월 동안 아무 대가 없이 술을 대접했다. 어느 날, 도사는 귤 껍질로 가게 벽에 노란 학을 그려주고 떠났다. 손님이 손뼉을 치며 노래를 부르면, 벽의 학이 춤을 추었다. 이 소문으로 가게는 번성했고, 신 씨는 큰 부자가 되었다. 훗날 선인이 다시 나타나 피리를 불자 노란 학이 벽에서 뛰쳐나왔다. 선인은 그 학을 타고 흰 구름 속으로 날아갔다. 신 씨는 이를 기념하여 누각을 짓고 황학루라고 이름 지었다.
염백근의 "황학루기"에는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 비의가 선인이 되어 황학을 타고 날아와 이곳에서 쉬었다는 전설이 기록되어 있다.
4. 문학
황학루는 중국의 역대 시인들이 그 천하절경을 노래한 곳으로 유명하다. 최호, 이백, 백거이, 가도, 육유, 양신, 장거정 등 당대 최고의 문인들이 이곳에서 시를 읊었다.[7]
최호의 시 "황학루"와 이백의 시 "황학루에서 맹호연을 광릉으로 보내며"는 황학루를 노래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이 외에도 이백은 "사랑중흠과 함께 황학루 위에서 피리 소리를 듣다"라는 시를 남겼다.
육유는 "황학루"라는 시에서 황학루에 대한 감상을 노래했으며, 마오쩌둥은 "보살만・황학루"에서 황학루를 배경으로 혁명가의 기개를 드러냈다.
4. 1. 최호의 시
8세기의 유명한 시인 최호(崔顥)가 지은 시 "황학루"()는 황학루를 유명하게 만들었다.[7] 시의 원문과 현대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
{{lang|zh-hans|昔人已乘黃鶴去, 此地空餘黃鶴樓。
黃鶴一去不復返, 白雲千載空悠悠。
晴川歷歷漢陽樹, 芳草萋萋鸚鵡洲。
日暮鄉關何處是, 煙波江上使人愁。}}
옛 사람은 이미 황학을 타고 떠나가고, 이 자리에는 황학루만 텅 비어 있네.
황학은 한 번 떠나가고 다시 돌아오지 않으니, 흰 구름만 천 년 동안 유유히 떠가네.
맑게 개인 강가에는 한양의 나무들이 뚜렷하고, 향기로운 풀은 앵무주에 무성하네.
해 저무는 날, 고향은 어디에 있는가? 물안개 자욱한 강 위, 사람의 시름을 자아내네.
4. 2. 이백의 시
이백은 황학루에 관한 시를 썼다. 그중 하나는 이백이 그의 친구이자 시적 동료인 맹호연과 헤어질 때 지은 것이다. 이 시의 제목은 "황학루에서 맹호연을 광릉으로 보내며"이며, 원문과 현대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
>
>
>
>
>
> 나의 오랜 친구는 황학루 서쪽에서 나에게 작별을 고하네.[10]
> 3월의 안개와 꽃 속에서 그는 양주로 내려가네.
> 그의 외로운 돛의 멀리 있는 모습은 푸른 하늘 속에서 사라지고,
> 내가 보는 것은 하늘 가장자리로 흐르는 장강뿐이네.
(통석) [15]
: ''오랜 친구(맹호연)가 황학루를 작별하려 한다. 안개가 껴 꽃이 피어나는 이 삼월에 양주로 내려가는구나.''
: ''배의 돛이 점점 푸른 하늘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듯 작아지고, 다만 장강이 하늘 저편을 향해 흐르는 것만 보이게 되었네.''
이백은 또한 "사랑중흠과 함께 황학루 위에서 피리 소리를 듣다"라는 시도 지었다.
> 한 번은 객이 되어 장사로 떠났는데, 서쪽 장안을 바라보아도 집은 보이지 않네.
> 황학루에서 옥피리를 부니, 강가 도시 오월에 매화가 지네.
(통석) [16]
: ''이번에 먼 지방으로 유배되어 장사 땅까지 왔네. 이곳에서 서쪽에 있는 장안을 바라보아도 나의 집은 보이지 않네.''
: ''이 황학루에서 망향의 정에 사로잡혀 있는데 누군가가 누각 안에서 피리를 부는 소리가 들려왔네. 게다가 그것은 명곡 '낙매화'가 아닌가. 아, 장강의 흐름에 임한 무창의 마을에서, 여름 오월에 계절에 맞지 않게 매화가 흩날리네.''
4. 3. 기타
중국 역대 시인들은 황학루의 절경을 노래했다. 최호, 이백, 백거이, 가도, 육유, 양신, 장거정 등이 황학루에서 문예를 뽐냈으며, 그 중 8세기 시인 최호의 시가 유명하다.[15]최호 (당나라) 「황학루」
:옛 사람은 이미 황학을 타고 떠나가고, 이 자리에는 황학루만 텅 비어 있네.
:황학은 한 번 떠나가고 다시 돌아오지 않으니, 흰 구름만 천 년 동안 유유히 떠가네.
:맑게 개인 강가에는 한양의 나무들이 뚜렷하고, 향기로운 풀은 앵무주에 무성하네.
:해 저무는 날, 고향은 어디에 있는가? 물안개 자욱한 강 위, 사람의 시름을 자아내네.
이백 (당나라) 「황학루에서 맹호연을 광릉으로 보내며」
: 옛 친구는 서쪽 황학루를 작별하고, 아지랑이 피어나는 삼월에 양주로 내려가네.
: 외로운 배는 멀리 푸른 하늘에 사라지고, 다만 장강만이 하늘가로 흐르는 것을 보네.
이백 (당나라) 「사랑중흠과 함께 황학루 위에서 피리 소리를 듣다」
: 한 번은 객이 되어 장사로 떠났는데, 서쪽 장안을 바라보아도 집은 보이지 않네.
: 황학루에서 옥피리를 부니, 강가 도시 오월에 매화가 지네.
육유 (송나라) 「황학루」
: 손에는 신선의 푸른 옥가지를 들고, 내 길은 문득 초가을을 맞이했네.
: 창룡각은 어찌 그리 늦게 돌아오는가, 황학루에서 술에 취해 알지 못하네.
: 강한 교류는 물결이 아득하고, 진당 유적은 풀이 무성하네.
: 평생 가장 듣기 좋아하는 것은 긴 피리 소리, 돌을 깨고 구름을 꿰뚫는 소리, 어디에서 불어오나?
마오쩌둥 (근대) 「보살만・황학루」
: 망망한 구파는 중국으로 흐르고, 묵직한 일선은 남북을 관통하네.
: 안개비 자욱한데, 거북과 뱀은 큰 강을 잠그네.
: 황학은 어디로 갔을까? 남은 것은 유람하는 사람들의 자리뿐.
: 술을 들어 넘실대는 물결에 붓네, 마음의 물결은 파도를 따라 높아지네!
5. 현대의 황학루
1985년 6월, 청나라 동치 연간에 지어졌던 황학루를 참고하여 현대의 황학루가 재건되었다.[11] 이전의 황학루는 광서 10년(1884년)에 소실된 후 100년 만에 다시 지어진 것이다.
탑 입구에서는 유료 관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탑 꼭대기에서는 주변과 양쯔강의 넓은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 황학루는 중국의 4대 명루 중 하나로 꼽히며, 현대적인 재료와 엘리베이터를 포함하고 있지만 고대 탑의 모습을 하고 있다.[11] 각 층에는 전시물이 있으며, 언덕 동쪽에는 관광객들이 유료로 칠 수 있는 큰 사찰 종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절에는 서쪽 뜰에서 궁중 무용 공연이 열리고, 중국 국가여유국에 의해 AAAAA급 관광지로 지정되었다.[12] 탑 남쪽에는 송나라 때 이 지역을 방어한 악비의 동상이 있다.
5. 1. 건축적 특징
현재의 황학루는 1985년 6월에 재건된 것으로, 청나라 동치 연간에 지어졌던 황학루를 참고하여 설계되었다. 높이는 약 51.4m이며, 팔각형의 최상층 긴 변은 18m이다.[1]5. 2. 황학루 공원
탑과 그 주변은 황학루 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탑 꼭대기에서는 주변과 양쯔강의 넓은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 황학루는 중국의 4대 명루 중 하나로 여겨진다. 현대식으로 지어져 고대 탑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엘리베이터를 포함한 현대적인 재료로 건설되었다.[11] 각 층마다 전시물이 있다. 언덕 동쪽에는 관광객이 소정의 요금을 내고 칠 수 있는 큰 사찰 종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절 연휴 동안 서쪽 뜰에서 궁중 무용이 공연된다. 이 탑은 중국 국가여유국에 의해 AAAAA급 관광지로 분류되었다.[12] 탑 남쪽에는 송나라 때 이 지역을 방어한 악비의 동상이 있다.황학루는 양쯔강 우안의 산정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산 주변 일대는 "우한 황학루 공원"으로 정비되어 있다. 황학루 공원의 부지는 해방로에 면한 서문(서쪽 끝)에서 셔우이 공원에 면한 동문(동쪽 끝)까지, 북쪽으로는 징광 철로로 구분되며, 그 면적은 40.3ha이다.[17] 중국 5A급 관광지(2007년 인증)[18] 공원은 매일 8시부터 18시(동절기 17시)까지 개방하며, 입장료는 성인 80위안, 어린이 및 학생은 40위안이다(2018년 1월 현재).
서문(서대문)에서 입장하면, 승상보탑(원대 백탑), 삼초일루의 패방을 지나 황학루가 있는 산정상 부근의 광장에 도착한다. 황학루 버스 정류장과 주차장이 있는 동문(동대문)에서 입장하면, 악비의 동상, 자미원, 매림, 鵝지, 백운각 등을 거쳐 황학루가 있는 산 정상에 도달한다.
황학루 공원 내 시설은 다음과 같다.
- 승상보탑(별명 원대 백탑) - 몽골 제국의 황족 콘체크 부카(관철보화)에 의해 만들어진 불사리탑으로 추정된다. 높이 9.36m, 좌대의 직경 5.68m
- "삼초일루" 대패방 - 삼초 지역에서 가장 뛰어난 탑이라는 뜻
- 남헌, 북헌
- "황학귀래" 청동 조각상 - 거북, 뱀, 학의 길상 동물의 조합상
- 황학루
- 비의정
- 여선동
- 류윈정
- 석조정
- 선조정
- 백송원
- 두견원
- 포슬정
- 매원
- 괴애정
- 일람정
- 기장정
- 악비 동상(악비 동조) - 신장 6.3m의 악비상
- 악비 공덕방
- 사계 패방
- 백운각 - 해발 75.5m의 사산 산 정상에 있다. 건물의 높이는 41.7m
- 용월대
- 락매헌
- 자미원
- 아비정
- 백룡지
- "구구귀학도" 부조
- 마오쩌둥 사정 - 1927년에 마오쩌둥이 읊은 한시 '보살만 - 황학루'와 1956년의 '수조가두 - 유영'이 새겨진 구비가 놓여진 사정
- 남루
- 고비랑
- 기석관
- "최호대 시도" 부조
- 격필정
- 과학정
- 자죽원
- 鵝지
- 시비랑




5. 3. 주변 명소
황학루는 양쯔강 우안의 蛇山|사산중국어 산 정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산 주변 일대는 "우한 황학루 공원"으로 정비되어 있다. 황학루 공원의 부지는 해방로에 면한 서문(서쪽 끝)에서 셔우이 공원에 면한 동문(동쪽 끝)까지, 북쪽으로는 징광 철로로 구분되며, 그 면적은 40.3ha이다.[17] 중국 5A급 관광지(2007년 인증)[18] 공원은 매일 8시부터 18시(동절기 17시)까지 개방하며, 입장료는 성인 80위안, 어린이 및 학생은 40위안이다(2018년 1월 현재).서문(서대문)에서 입장하면, 승상보탑(원대 백탑), 삼초일루의 패방을 지나 황학루가 있는 산정상 부근의 광장에 도착한다. 황학루 버스 정류장과 주차장이 있는 동문(동대문)에서 입장하면, 악비의 동상, 자미원, 매림, 鵝지, 백운각 등을 거쳐 황학루가 있는 산 정상에 도달한다.
- 승상보탑(별명 원대 백탑) - 원래 사산의 서쪽 끝 부근에 있었다고 하며, 1984년에 현재의 장소로 이전되었다. 1343년, 몽골 제국의 황족 콘체크 부카(관철보화)에 의해 만들어진 불사리탑으로 추정된다. 모양이 등롱과 비슷하여 삼국 시대에 제갈량이 관우의 수군을 이끌기 위해 등대로 사용했다는 전설도 있다. 원통이 겹쳐진 5층탑의 각 단을 지, 수, 화, 풍, 공의 오대로 보고 '오륜탑'이라고도 불린다. 높이 9.36m, 좌대의 직경 5.68m.
- "삼초일루" 대패방 - 삼초 지역에서 가장 뛰어난 탑이라는 한시 '글을 멈추고 시를 짓고, 두 사람은 천고에 남으며; 강을 바라보고 한수를 삼키니, 삼초에 최고의 누각'에 연유한 비방.
- 남헌, 북헌
- "황학귀래" 청동 조각상 - 거북, 뱀, 학의 길상 동물의 조합상. 황학루에 얽힌 학의 전설을 조형화한 것으로, 이 공원에 놓인 것은 1997년 후베이 성에서 홍콩으로 기증된 조각상의 제작 시 모형이다.
- 황학루
- 비의정
- 여선동
- 류윈정
- 석조정
- 선조정
- 백송원
- 두견원
- 포슬정
- 매원
- 괴애정
- 일람정
- 기장정
- 악비 동상(악비 동조) - 신장 6.3m의 악비상.
- 악비 공덕방
- 사계 패방
- 백운각 - 해발 75.5m의 사산 산 정상에 있다. 건물의 높이는 41.7m. 1992년 1월, 소방서의 망루 부지에 세워진 건물.
- 용월대
- 락매헌
- 자미원
- 아비정
- 백룡지
- "구구귀학도" 부조
- 마오쩌둥 사정 - 1927년에 마오쩌둥이 읊은 한시 '보살만 - 황학루'와 1956년의 '수조가두 - 유영'이 새겨진 구비가 놓여진 사정. 1992년에 세워졌다.
- 남루
- 고비랑
- 기석관
- "최호대 시도" 부조
- 격필정
- 과학정
- 자죽원
- 鵝지
- 시비랑
- 신해혁명 무창 봉기 기념관
- 사산 무창 봉기군 포대 (수이 공원 내)
- 우한 창장 대교

참조
[1]
웹사이트
元和郡縣圖志 卷第二十七
http://ctext.org/lib[...]
Chinese Text Project
2017-12-30
[2]
서적
Zhonghua Book Company
[3]
웹사이트
http://www.whcbs.com[...]
[4]
서적
Geo-Architecture and Landscape in China's Geographic and Historic Context: Volume 1 Geo-Architecture Wandering in the Landscap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4-14
[5]
문서
Wan: The source of the Wang Zi'an legend is {{lang|zh-hans|《南齐书·州郡志》}}. The Fei Wenyi legend is from {{lang|zh-hans|《太平寰宇记》}}.
[6]
서적
Images of the Immortal: The Cult of [[Lü Dongbin]] at the Palace of Eternal Joy
University of Hawaii Press
[7]
문서
Wan: Page 42.
[8]
문서
Wan: Several Tang sources use "cloud" ({{lang|zh-hans|白云}}) rather than "yellow crane" here. The use of "yellow crane" is a later change.
[9]
문서
Wan: Parrot Island was a sandbar in the middle of the river that has since disappeared.
[10]
서적
The Heart of Chinese Poetry
1987
[11]
서적
Understanding the Chinese City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4-04-29
[12]
웹사이트
AAAAA Scenic Areas
http://en.cnta.gov.c[...]
2011-04-09
[13]
문서
黄鶴楼記
[14]
간행물
古代黄鶴楼本是3層建築 建国後重建為5層建築
https://web.archive.[...]
人民網
2015-06-04
[15]
웹사이트
マナペディア 『黄鶴楼送孟浩然之広陵(黄鶴楼にて孟浩然の広陵に之くを送る)』 現代語訳と解説
http://manapedia.jp/[...]
[16]
뉴스
大紀元 漢詩の楽しみ 与史郎中欽聴黄鶴楼上吹笛
http://www.epochtime[...]
大紀元
[17]
웹사이트
武汉市黄鹤楼公园 黄鹤楼介绍
http://www.cnhhl.com[...]
[18]
웹사이트
武汉市黄鹤楼公园
https://www.mct.gov.[...]
中华人民共和国文化観光部
2021-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