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라도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라도번은 나가사키현 북부를 다스린 번으로, 센고쿠 시대의 무장 마쓰라 다카노부가 세력을 확장하여 성립되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영지를 인정받아 히라도번이 확립되었으며, 네덜란드와의 무역을 통해 번의 재정을 운영했다. 9대 번주 마쓰라 기요시는 간세이 개혁을 단행했고, 12대 번주 마쓰라 아키라 시대에는 막부 말기를 맞아 메이지 유신 이후 폐번치현으로 히라도현이 되었다가 나가사키현에 편입되었다. 마쓰라 가문은 화족이 되었으며, 백작 작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라도번 - 히라도성
히라도성은 나가사키현 히라도시에 위치하며, 마쓰라 시게노부가 축성했다가 소실 후 재건되었고, 야마가 소코의 군사학에 따라 배치된 성곽 건물, 복원된 천수각과 망루, 그리고 공원 및 숙박 시설로 활용되는 점이 특징이다. - 히라도번 - 카스도스
카스도스는 16세기 남만 무역을 통해 일본에 전해진 고급 과자로, 카스테라의 "카스"와 포르투갈어 "doce"의 "도스"에서 유래되었으며, 히라도 번에서 귀하게 여겨져 외부 반출이 금지되기도 했다. - 히라도시 - 히라도섬
히라도섬은 나가사키현 북서부에 위치한 플라이오세 호르스트 지형의 섬으로, 히라도 해협을 사이에 두고 규슈 본토와 연결되며, 온난 습윤한 기후, 험준한 지형, 리아스식 해안, 사이카이 국립공원의 경관, 해외 교통 요충지이자 남만 무역 중심지로서의 역사, 그리고 히라도성과 중요문화경관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히라도시 - 이키쓰키섬
이키쓰키섬은 히라도섬 북서쪽에 위치한 섬으로, 이키쓰키 대교로 연결되어 있으며, 기독교와 포경업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관광 명소로 알려져 있다.
히라도번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히라도번 |
로마자 표기 | Hirado-han |
국가 | Han 일본 |
위치 | 나가사키현 |
다이묘 | 마쓰라 씨 |
![]() | |
성 | 히라도성 |
역사 | |
성립 | 1587년 |
폐지 | 1871년 |
시대 | 에도 시대 |
통치 | |
정치 체제 | 다이묘 |
추가 정보 | |
각주 |
2. 번의 역사
가마쿠라 시대 이전부터 나가사키현 북부의 호족이자 수군(해적) 세력이었던 마쓰라토(松浦党)에서 성장한 마쓰라 다카노부는 히젠국 북부 및 이키 섬을 정복한 센고쿠 다이묘가 되었다. 그의 아들 시게노부(호인)는 덴쇼 15년(1587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 때, 옛 영지인 기타마쓰우라군(北松浦郡) · 이키 섬을 안도받았다. 이어서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에 가담한 마쓰라 씨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6만 3천 석의 영지를 안도받아 히라도번이 확립되었다.
4대 시게노부(시게노부, 덴쇼)는 사촌 동생 노부사다에게 이마후쿠 영지 1,500석을 분할해 주었다. 시게노부 치세의 간에이 18년(1641년), 네덜란드 상관이 히라도에서 나가사키로 옮겨졌다. 막부는 예외 조치로 그때까지 공의 어료의 원국 봉행 지배지에만 인정되었던 사할부 제도에 히라도 상인이 참가하는 것을 허용했지만, 번 재정은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이후에는 번의 내정을 재건하기 위해 검지를 실시하고, 농·어·상의 진흥을 추진하여 번 재정의 기초를 다졌다. 조쿄 4년(1687년)에는 가신의 급여 제도를 개혁하고, 지행제에서 봉록제로 전환했다.
5대 번주 무네는 겐로쿠 2년(1689년), 동생 아키라에게 1만 석을 분여하여 히라도 신덴 번이 입번했다. 무네는 도자마 다이묘이면서 주자 번 겸 사사 봉행으로 누진했다. 그러나 이에 따른 지출과 호에이 4년(1707년)의 히라도성 재건으로 번 재정은 곤궁에 빠지게 되었다.
9대 기요시(세이잔)는 히라도번에서 최대 규모인 "간세이 개혁"을 단행하여, 구니모토·에도의 정치와 재무의 대대적인 조직 개혁을 실시했다. 세이잔은 전 278권에 달하는 수필집 『갑자야화』를 저술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딸 아이코는 메이지 천황의 할머니이다.
12대 아키라의 시대에 막말을 맞이한다. 제2차 조슈 정벌 이후, 번론은 도막으로 기울어져, 게이오 4년(1868년) 보신 전쟁 발발 직후, 관군 측으로의 참가를 명확히 했다. 동시에 군제 개혁으로 서양식 총 부대를 편성하여 오슈로 전전했다.
메이지 4년(1871년), 폐번치현에 의해 번령은 히라도현이 된 후, 나가사키현에 편입되었다. 번주가는 화족에 열거되었다.
메이지 17년(1884년), 마쓰라 가는 백작을 서작되었다.
2. 1. 마쓰라 가문의 기원과 초기 번
가마쿠라 시대 이전부터 나가사키현 북부의 호족이자 수군(해적) 세력이었던 마쓰라토(松浦党)에서 성장한 마쓰라 다카노부는 히젠국 북부 및 이키(壱岐)를 아우르는 센고쿠 다이묘(戦国大名)로 성장하였다. 그의 아들인 시게노부(鎮信, 시게노부 호인法印)은 덴쇼(天正) 15년(1587년)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규슈 정벌(九州征伐) 당시 옛 영지인 기타마쓰라 군(北松浦郡) ・ 이키를 안도받았으며, 임진왜란 동안 히라도는 일본군의 전진 기지였다. 게이초(慶長)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関ヶ原の戦い)에서 동군(東軍)에 가담,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로부터 6만 3천 석 영지를 안도받고 히라도 번(平戸藩)을 확립하였다. 1599년, 마쓰라 시게노부는 현재의 히라도성 부지에 '히노타케성'을 세웠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요토미 측에서 패배한 후,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대한 충성의 표시로 1613년에 스스로 성을 불태웠다.4대 번주 시게노부(重信, 鎮信라고도 하며 법명은 덴쇼天祥)는 사촌 동생 노부사다(信貞)에게 이마부쿠(今福) 영지 1,500석을 나눠 맡게 하였다. 시게노부의 치세였던 간에이(寛永) 18년(1641년) 네덜란드 상관(商館)이 히라도에서 나가사키의 데지마(出島)로 옮겨졌는데, 이는 히라도 번이 독점하고 있던 네덜란드와의 교역 이익을 독점하려는 목적이 있었다. 막부는 예외 조치로써 이제까지의 공의어료(公儀御料, 막부 직할령)의 원국봉행(遠国奉行)이 지배하는 지역에만 허용해오던 이토왓푸(糸割符) 제도에 히라도 상인들도 참가하는 것을 허락했지만, 그 이전까지 네덜란드 상관을 통해 히라도 번이 얻어 왔던 막대한 이익에 버금갈 정도의 보상이 되어주지는 못했다. 이후 번주 시게노부는 번의 내정을 되살리고자 검지(検地, 토지조사)를 실시하고 농업 ・ 어업 ・ 상업 등의 진흥을 추진해 번 재정의 기초를 다졌다. 조쿄(貞享) 4년(1687년)에는 가신(家臣)의 급여제도를 개혁해 지행제(知行制)에서 봉록제(俸禄制)로 전환하였다.
5대 번주 다카시(棟)는 겐로쿠(元祿) 2년(1689년) 동생인 마사시(昌)에게 1만 석을 나눠 주고 히라도 신덴 번(平戸新田藩)을 세우게 하였다. 다카시는 도자마 다이묘(外様大名)로써 막부의 소샤반(奏者番) 겸 지샤부교(寺社奉行)로 승진하였으나, 이에 들어 가는 비용 지출이나 호에이(寶永) 4년(1707년)의 히라도 성(平戸城) 재건 공사로 번의 재정은 궁핍해졌다.
9대 번주 기요시(清, 마쓰라 세이잔松浦静山)는 번 최대 규모라 할 「간세이 개혁(寛政の改革)」을 단행했고, 국허(国許) ・ 에도(江戸) 정치와 재무 방면의 대대적 조직 개혁을 단행하였다. 세이잔은 또한 전278권에 달하는 수필집 갑자야화(甲子夜話)를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딸인 아이코(愛子)는 훗날 메이지 천황(明治天皇)의 외조모가 되었다.
2. 2. 네덜란드 무역과 번의 재정
히라도 번은 가마쿠라 시대 이전부터 나가사키현 북부의 호족이자 수군(해적) 세력이었던 마쓰라토(松浦党)에서 대두한 마쓰라 다카노부가 센고쿠 다이묘(戦国大名)로 성장하면서 시작되었다. 마쓰라 다카노부는 히젠 국 북부의 기타마쓰우라군과 이키국의 섬 지역을 정복했다. 그의 아들 시게노부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九州征伐)에 참여하여 영지를 안도받았고, 임진왜란 때 히라도는 일본군의 전진 기지 역할을 했다. 세키가하라 전투(関ヶ原の戦い)에서 동군(東軍)에 가담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로부터 6만 3천 석의 영지를 안도받아 히라도 번을 확립하였다.4대 번주 시게노부 대에 간에이(寛永) 18년(1641년) 네덜란드 상관(商館)이 히라도에서 나가사키의 데지마(出島)로 옮겨졌다. 이는 히라도 번이 독점하던 네덜란드와의 교역 이익을 막부가 통제하기 위한 조치였다. 막부는 히라도 상인들에게 이토왓푸(糸割符) 제도 참여를 허용했지만, 이전만큼의 이익을 얻지는 못했다. 이후 시게노부는 번 재정 회복을 위해 토지 조사를 실시하고 농업, 어업, 상업을 장려하여 번 재정 기반을 다졌다.
5대 번주 다카시는 겐로쿠(元祿) 2년(1689년) 동생 마사시에게 1만 석을 분할하여 히라도 신덴 번(平戸新田藩)을 세우게 하였다. 도자마 다이묘(外様大名)였던 다카시는 막부의 소샤반(奏者番) 겸 지샤부교(寺社奉行)로 승진하였으나, 이로 인한 지출과 호에이(寶永) 4년(1707년) 히라도 성(平戸城) 재건으로 번 재정이 궁핍해졌다.
9대 번주 기요시(마쓰라 세이잔松浦静山)는 번 최대 규모의 개혁인 「간세이 개혁(寛政の改革)」을 단행하여 국허(国許) ・ 에도(江戸) 정치와 재무 방면의 대대적인 조직 개혁을 실시했다.
2. 3. 번의 개혁과 발전
마쓰라 다카노부(松浦隆信)는 나가사키현 북부의 호족이자 수군(해적) 세력이었던 마쓰라토(松浦党)에서 대두하여 히젠 북부 및 이키(壱岐)를 아우르는 센고쿠 다이묘(戦国大名)로 성장하였다. 그의 아들인 마쓰라 시게노부(鎮信)는 1587년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규슈 정벌(九州征伐) 당시 옛 영지를 안도받았으며,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関ヶ原の戦い)에서 동군(東軍)에 가담,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로부터 6만 3천 석 영지를 안도받고 히라도 번(平戸藩)을 확립하였다. 임진왜란 동안 히라도는 일본군의 전진 기지였다.4대 번주 시게노부(重信)는 사촌 동생 노부사다(信貞)에게 이마부쿠(今福) 영지 1,500석을 나눠 맡게 하였다. 1641년 오란타(네덜란드) 상관(商館)이 히라도에서 나가사키의 데지마(出島)로 옮겨졌는데, 이는 히라도 번이 독점하고 있던 네덜란드와의 교역 이익을 독점하려는 목적이 있었다. 막부는 예외 조치로써 이토왓푸(糸割符) 제도에 히라도 상인들도 참가하는 것을 허락했지만, 그 이전까지 네덜란드 상관을 통해 히라도 번이 얻어 왔던 막대한 이익에 버금갈 정도의 보상은 되어주지는 못했다. 이후 번주 시게노부는 번의 내정을 되살리고자 검지(検地)를 실시하고 농업 ・ 어업 ・ 상업 등의 진흥을 추진해 번 재정의 기초를 다졌다. 1687년에는 가신(家臣)의 급여제도를 개혁해 지행제(知行制)에서 봉록제(俸禄制)로 전환하였다.
5대 번주 다카시(棟)는 1689년 동생인 마사시(昌)에게 1만 석을 나눠 주고 히라도 신덴 번(平戸新田藩)을 세우게 하였다. 다카시는 도자마 다이묘(外様大名)로써 막부의 소샤반(奏者番) 겸 지샤부교(寺社奉行)로 승진하였으나, 이에 들어 가는 비용 지출이나 1707년의 히라도 성(平戸城) 재건 공사로 번의 재정은 궁핍해졌다.
9대 번주 기요시(清)는 번 최대 규모라 할 「간세이 개혁(寛政の改革)」을 단행했고, 국허(国許) ・ 에도(江戸) 정치와 재무 방면의 대대적 조직 개혁을 단행하였다. 세이잔은 또한 전278권에 달하는 수필집 갑자야화(甲子夜話)를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딸인 아이코(愛子)는 훗날 메이지 천황(明治天皇)의 외조모가 되었다.
12대 번주 아키라(詮)의 시대에 이르러, 막부는 기울어가고 있었다. 제2차 조슈(長州) 정벌 이후 히라도 번의 의론은 막부 타도로 기울었고, 1868년 보신전쟁(戊辰戦争) 발발 직후 정부군측에 가담할 의사를 명확히 하는 동시에 군제 개혁을 통해 서양식 총부대를 편성한다. 이들은 오슈(奥州) 지역을 돌며 여러 차례 전투를 치렀다. 도바-후시미 전투와 북일본의 모리오카와 아키타에서 도쿠가와 잔당인 오우에쓰 열번 동맹과 싸웠다.
1871년 폐번치현에 따라 옛 히라도 번의 영지는 히라도 현(平戸県)이 되었다가 나가사키현으로 편입되었다. 번주 마쓰라 씨 집안은 화족(華族)이 되었으며, 1884년 백작(伯爵)의 작위를 받았다.
2. 4. 막부 말기와 메이지 유신
가마쿠라 시대 이전부터 일본 나가사키현 북부의 호족이자 수군(해적) 세력이었던 마쓰라토(松浦党)에서 대두한 마쓰라 다카노부(松浦隆信)는 히젠 북부 및 이키(壱岐)를 아우르는 센고쿠 다이묘(戦国大名)로 성장하였다. 그 아들인 시게노부(鎮信, 시게노부 호인法印)은 덴쇼(天正) 15년(1587년)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규슈 정벌(九州征伐) 당시 옛 영지인 기타마쓰라 군(北松浦郡) ・ 이키를 안도받았으며, 게이초(慶長)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関ヶ原の戦い)에서 동군(東軍)에 가담,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로부터 6만 3천 석 영지를 안도받고 히라도 번(平戸藩)을 확립하였다.임진왜란 동안 히라도는 일본군의 전진 기지였다. 1599년, 마쓰라 시게노부는 현재의 히라도성 부지에 '히노타케성'을 세웠다. 그러나 그는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요토미 측에서 패배한 후,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대한 충성의 표시로 1613년에 스스로 성을 불태웠다.
12대 번주 아키라(詮)의 시대에 이르러, 막부는 기울어가고 있었다. 제2차 조슈 정벌 이후 히라도 번의 의론은 막부 타도로 기울었고, 게이오(慶應) 4년(1868년) 보신전쟁(戊辰戦争) 발발 직후 정부군측에 가담할 의사를 명확히 하는 동시에 군제 개혁을 통해 서양식 총부대를 편성한다. 이들은 오슈(奥州) 지역을 돌며 여러 차례 전투를 치렀다. 오슈로 전전했다.
1871년(메이지 4년) 폐번치현에 따라 옛 히라도 번의 영지는 히라도 현(平戸県)이 되었다가 나가사키현으로 편입되었다. 번주 마쓰라 씨 집안은 화족(華族)이 되었으며, 1884년(메이지 17년) 백작(伯爵)의 작위를 받았다. 1890년부터 그는 일본 제국 의회의 귀족원에서 활동했다. 그는 이후 정2위의 훈위를 받았다.
3. 역대 번주
초대 번주 마쓰라 시게노부(1587년 ~ 1600년경)는 종4위하 히젠노카미에 임명되었으며, 63,200석을 다스렸다. 2대 번주 마쓰라 히사노부(1600년경 ~ 1602년)와 3대 번주 마쓰라 다카노부(1602년 ~ 1637년)는 종5위하 히젠노카미였다. 4대 번주 마쓰라 시게노부(1637년 ~ 1689년)는 1664년 분치에 의해 61,700석으로 감봉되었고, 은거 후 휘를 증조부와 같은 시게노부(鎮信)로 고쳤다.
5대 번주 마쓰라 다카시(1689년 ~ 1713년)는 종5위하 이키노카미였으며, 1689년 분치에 의해 51,700석으로 감봉되었다. 6대 마쓰라 아쓰노부(1713년 ~ 1727년), 7대 마쓰라 아리노부(1727년 ~ 1728년), 8대 마쓰라 사네노부(1728년 ~ 1775년)는 종5위하 히젠노카미였다.
9대 번주 마쓰라 기요시(1775년 ~ 1806년)는 종5위하 이키노카미였고, 그의 아버지 마쓰라 마사노부는 요절했으며, 조부 마쓰라 사네노부에게서 번주 자리를 물려받았다. 10대 마쓰라 히로무(1806년 ~ 1841년)는 종5위하 히젠노카미였다. 11대 마쓰라 테라스(1841년 ~ 1858년)는 종5위하 이키노카미였다.
마지막 12대 번주 마쓰라 아키라(1849년 ~ 1871년)는 종5위하 히젠노카미였으며, 1870년 지번 병합에 의해 61,700석으로 되었다. 그는 메이지 유신 이후 정2위, 백작 작위를 받았다.
3. 1. 마쓰라 가
마쓰라 씨는 1587년부터 1871년까지 히라도번을 통치한 도자마 다이묘 가문이다.[6]초대 번주 마쓰라 시게노부(1587년 ~ 1600년)는 종4위하 히젠노카미에 임명되었으며, 63,200석을 다스렸다.[6] 2대 번주 마쓰라 히사노부 (1600년 ~ 1602년)와 3대 번주 마쓰라 다카노부 (1603년 ~ 1637년)는 종5위하 히젠노카미였다.[6] 4대 번주 마쓰라 시게노부 (1637년 ~ 1689년)는 1664년 분치에 의해 61,700석으로 감봉되었고, 은거 후 휘를 증조부와 같은 시게노부(鎮信)로 고쳤다.[6]
5대 번주 마쓰라 다카시 (1689년 ~ 1713년)는 종5위하 이키노카미였으며, 1689년 분치에 의해 51,700석으로 감봉되었다.[6] 6대 마쓰라 아쓰노부 (1713년 ~ 1727년), 7대 마쓰라 아리노부 (1727년 ~ 1728년), 8대 마쓰라 사네노부 (1728년 ~ 1775년)는 종5위하 히젠노카미였다.[6]
9대 번주 마쓰라 기요시 (1775년 ~ 1806년)는 종5위하 이키노카미였고, 그의 아버지 마쓰라 마사노부는 요절했으며, 조부 마쓰라 사네노부에게서 번주 자리를 물려받았다.[6] 10대 마쓰라 히로무 (1806년 ~ 1841년)는 종5위하 히젠노카미였다.[6] 11대 마쓰라 테라스 (1841년 ~ 1858년)는 종5위하 이키노카미였다.[6]
마지막 12대 번주 마쓰라 아키라 (1858년 ~ 1871년)는 종5위하 히젠노카미였으며, 1870년 지번 병합에 의해 61,700석으로 변경되었다. 그는 메이지 유신 이후 정2위, 백작 작위를 받았다.[6]
4. 지번
4. 1. 히라도 신덴 번
'''히라도 신덴 번'''(平戸新田藩)은 히라도번의 지번으로서 '''히라도 다테야마 번'''(平戸館山藩)으로도 불렸다. 1884년 자작(子爵)의 작위를 받았다.; 마쓰라가
도자마 1만 석
# 마쓰라 마사시(昌)
# 마쓰라 사토시(邑)
# 마쓰라 지카시(鄰)
# 마쓰라 이타루(到)
# 마쓰라 다카시(宝)
# 마쓰라 다다시(矩)
# 마쓰라 지카시(良)
# 마쓰라 히카루(晧)
# 마쓰라 나가시(脩)
4. 1. 1. 역대 번주
; 마쓰라가도자마 1만 석
# 마쓰라 마사시(昌)
# 마쓰라 사토시(邑)
# 마쓰라 지카시(鄰)
# 마쓰라 이타루(到)
# 마쓰라 다카시(宝)
# 마쓰라 다다시(矩)
# 마쓰라 지카시(良)
# 마쓰라 히카루(晧)
# 마쓰라 나가시(脩)
5. 에도 막부 말기의 영지
대부분의 한 시스템의 번과 마찬가지로, 히라도번은 정기적인 토지 대장 조사와 예상 농업 수확량을 기준으로 할당된 고쿠다카를 제공하기 위해 계산된 여러 개의 연속되지 않은 영토로 구성되었다.[4][5] 1870년에 편입된 히라도 신덴 번의 영지도 포함한다.
참조
[1]
서적
江戸三百藩大全 全藩藩主変遷表付
Kosaido Publishing
2015
[2]
서적
藩と城下町の事典―国別
Tokyodo Printing
2004
[3]
서적
Historical and Geographic Dictionary of Japan
Tuttle (reprint) 1972
[4]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5]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6]
서적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du Japon
http://www.unterstei[...]
2013-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