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트 싱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트 싱크는 열을 더 높은 온도 장치에서 더 낮은 온도 유체 매체로 전달하여 작동하는 장치이다. 주로 전자 장치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열역학적 관점에서 온도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열을 흡수하는 열 저장소 역할을 한다. 히트 싱크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제작되며, 핀 형태를 통해 표면적을 넓혀 냉각 효율을 높인다. 히트 싱크의 성능은 열 저항으로 표시되며, 열 저항이 낮을수록 성능이 높다. 히트 싱크는 마이크로프로세서, LED 램프, 전력 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성능 측정을 위해 이론적 모델, 실험적 방법, 전산 유체 역학(CFD)을 활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 - 열기관
    열기관은 고온 열원에서 열을 받아 일을 하고 나머지를 저온 열원으로 방출하는 장치이며, 증기 동력, 가스 동력, 내연기관 등으로 분류되어 화력 발전소,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열 - 화상
    화상은 열, 화학물질, 전기, 방사선 등으로 피부와 조직이 손상되는 것으로, 심한 정도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며 원인에 따라 다양한 치료법이 적용되고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히트 싱크
기본 정보
다양한 형태의 히트 싱크
다양한 형태의 히트 싱크
정의열을 전달하는 수동형 열교환기
용도전자 장치의 냉각
작동 원리
열 전달 방식열전도
열대류
복사
재료알루미늄
구리
설계 및 성능
형상
블록
성능 향상표면적 증가
공기 흐름 최적화
종류
액체 냉각 방식냉각수를 이용한 히트 싱크
팬 부착 여부액티브 히트 싱크, 패시브 히트 싱크
응용 분야
컴퓨터CPU
GPU
전자 제품전력 증폭기
레이저
추가 정보
참고히트 스프레더

2. 역사

2. 1. 초기 역사

2. 2. 현대

3. 원리

히트 싱크는 열 에너지를 더 높은 온도의 장치에서 더 낮은 온도의 유체 매체로 전달하여 작동한다.[2] 유체 매체는 주로 공기, 물, 냉매, 오일 등이 사용된다. 열역학에서 히트 싱크는 온도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임의의 양의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열 저장소이다. 전자 장치는 작동 시 필연적으로 열을 발생시키며, 이 열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히트 싱크가 설계에 포함된다.[2]

푸리에의 열전도 법칙에 따르면, 물체에 온도 기울기가 있을 때 열은 더 높은 온도 영역에서 더 낮은 온도 영역으로 전달된다.[2] 전도에 의해 전달되는 열의 속도는 온도 기울기와 열이 전달되는 단면적의 곱에 비례한다. 1차원 형태로 단순화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_k = -k A \frac{dT}{dx}.

에너지 보존과 뉴턴 냉각 법칙에서 지배 방정식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덕트 내 히트 싱크 스케치


공기가 덕트를 통해 흐르는 히트 싱크의 경우, 히트 싱크 베이스는 일반적으로 덕트를 통해 흐르는 공기보다 더 뜨겁다. 정상 상태 조건에 에너지 보존을 적용하고 뉴턴의 냉각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 방정식이 성립한다.

:\dot{Q} = \dot{m} c_{p,\text{in}}(T_\text{air,out} - T_\text{air,in}),

:\dot{Q} = \frac{T_\text{hs} - T_\text{air,av}}{R_\text{hs}},

여기서

:T_\text{air,av} = \frac{T_\text{air,in} + T_\text{air,out}}{2}.

:\dot{m}은 kg/s 단위의 공기 질량 유량,

:c_{p,\text{in}}은 J/(kg °C) 단위의 유입 공기의 비열 용량,

:{R_\text{hs}}는 히트싱크의 열 저항이다.

위 방정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 히트 싱크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감소하면 평균 공기 온도가 상승하고, 히트 싱크 베이스 온도도 증가한다. 또한 히트 싱크의 열 저항도 증가한다.[2]
  • 입구 공기 온도는 히트 싱크 베이스 온도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공기 재순환 등으로 인해 입구 공기 온도가 높으면 히트 싱크 베이스 온도도 높아진다.[2]
  • 히트 싱크 주변에 공기 흐름이 없으면 열 에너지를 전달할 수 없다.[2]


자연 대류는 히트 싱크 위로 공기가 자유롭게 흐르도록 하지만, 핀이 수직으로 정렬되지 않거나 핀 간 간격이 좁으면 효율이 감소한다.

히트 싱크는 주로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며, 외기 등으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기 위해 표면적을 넓히는 핀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팬을 장착하여 냉각 능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히트 싱크의 성능은 열저항으로 표시되며, 열저항이 작을수록 성능이 높다.

4. 설계 요소

전력 트랜지스터 히트 싱크. 왼쪽은 TO-3 패키지, 오른쪽은 TO-220 패키지, 중간은 두 개의 TO-220용이다.


=== 열 저항 ===

열 저항 개념은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는 전자 제품의 방열판 선택을 단순화한다. 열 흐름은 다이에서 장치 케이스, 케이스에서 방열판, 방열판에서 주변 공기로 이어지는 일련의 저항으로 모델링되며, 이 저항들의 합이 총 열 저항이다. 열 저항은 섭씨 온도/와트(°C/W) 단위로 표시되며, 장치 소모 전력과 총 열 저항을 알면 다이의 온도 상승을 계산할 수 있다.[3]

열 저항 개념은 근사치로, 열 분포의 불균일성, 시간 경과에 따른 온도 변화, 복사 및 대류의 비선형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조업체는 방열판 및 반도체 장치의 일반적인 열 저항 값을 제공하여 방열판 선택을 돕는다.[3]

상업용 압출 알루미늄 방열판의 열 저항은 TO-3 장치용 대형 싱크의 경우 0.4 °C/W에서 TO-92 소형 플라스틱 케이스용 클립온 방열판의 경우 85 °C/W까지 다양하다.[3] 2N3055 전력 트랜지스터는 1.52 °C/W의 내부 열 저항을 갖는다.[4] 장치 케이스와 방열판 사이의 접촉은 0.5 ~ 1.7 °C/W 사이의 열 저항을 가질 수 있다.[3]

=== 재료 ===

히트 싱크 재료는 높은 열 용량과 열 전도율을 가져야 더 많은 열 에너지를 흡수하고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5]

가장 일반적인 히트 싱크 재료는 알루미늄 합금이다.[6] 알루미늄 합금 1050은 229 W/(m·K)의 높은 열 전도율 값과 922 J/(kg·K)의 열 용량을 가지지만[7] 기계적으로 부드럽다. 알루미늄 합금 6060(저응력), 6061 및 6063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열 전도율 값은 각각 166 및 201 W/(m·K)이다. 일체형 알루미늄 히트 싱크는 압출, 주조, 스키빙 또는 밀링으로 만들 수 있다. 알루미늄은 열전도율이 높고, 방열 표면적을 늘리는 형상 가공성이 좋으며, 비중이 가벼워 가장 많이 사용된다.

구리는 열 전도율, 내식성, 생물 오손 저항성 및 항균 저항성이 우수하다(열교환기의 구리 참조). 구리는 알루미늄보다 약 두 배의 열 전도율(순수 구리의 경우 약 400 W/(m·K))을 갖지만, 밀도가 세 배 높고[6] 더 비싸며, 알루미늄보다 연성이 떨어진다.[6] 일체형 구리 히트 싱크는 스키빙 또는 밀링으로 만들 수 있다. 판금 핀은 직사각형 구리 본체에 납땜할 수 있다.[8][9] 구리는 알루미늄보다 열전도율이 뛰어나지만 고가이고 무게도 많이 나가기 때문에, 소형화가 요구되는 기기나, 발열량이 큰 GPU나 CPU 등 고부가가치 제품에 주로 사용된다.

은 열전도율과 가공성이 모두 떨어져 단독으로 히트 싱크 제품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적지만, 공랭 엔진 블록, 기관총의 총신, 전동기변압기 등 중전기 제품의 케이싱 등에서는 일체 구조의 히트 싱크(냉각 핀)가 설치된다.

최근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고출력 모터 제어용 파워 트랜지스터는 발열량이 많아 100℃를 넘는 고온이 되기 때문에, 히트 싱크 자체의 냉각 성능 외에 낮은 열저항이 필요하다. 따라서 절연체에는 질화 알루미늄이나 질화 규소 등 열전도율이 높은 세라믹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히트 싱크와의 열팽창 차이에 의한 절연체반도체납땜의 파괴 방지를 위해 방열판에는 열팽창 계수가 반도체에 가까운 구리 몰리브덴 합금이나 알루미늄-탄화 규소 복합체가 사용된다.

=== 핀 효율 ===

핀 효율은 열 전도율이 높은 재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히트 싱크의 핀은 한쪽 끝으로 열이 흐르고 다른 쪽으로 이동하면서 주변 유체로 열이 발산되는 평판으로 간주될 수 있다.[29] 열이 핀을 통과하면서 열 싱크의 열 저항이 흐름을 방해하고 대류로 인해 열이 손실되기 때문에 핀의 온도, 즉 유체로의 열 전달은 핀의 바닥에서 끝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핀 효율은 핀이 전달하는 실제 열을 핀이 등온 상태(가상적으로 핀이 무한한 열전도율을 갖는 경우)일 때의 열 전달량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16]

핀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핀의 종횡비를 줄이거나(더 두껍게 또는 짧게 만들거나) 또는 더 전도성이 높은 재료(예: 알루미늄 대신 구리)를 사용한다.

=== 퍼짐 저항 (Spreading Resistance) ===

히트 싱크 재료의 열전도율과 관련된 또 다른 매개변수는 퍼짐 저항이다. 퍼짐 저항은 유한한 열전도율을 가진 물질에서 열 에너지가 작은 영역에서 더 넓은 영역으로 전달될 때 발생한다. 히트 싱크에서 이는 열이 히트 싱크 베이스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퍼짐 저항 현상은 열원이 있는 위치에서 열이 이동하여 열원과 히트 싱크 가장자리 사이에 큰 온도 구배를 유발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이는 일부 핀의 온도가 히트 싱크 베이스 전체에 열원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경우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불균일성은 히트 싱크의 유효 열 저항을 증가시킨다.

히트 싱크 베이스의 퍼짐 저항을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 베이스 두께를 늘린다.
  • 열전도율이 더 높은 다른 재료를 선택한다.
  • 히트 싱크 베이스에 증기 챔버 또는 히트 파이프를 사용한다.


=== 핀 배열 ===

히트싱크 유형: 핀, 직선 및 플레어 핀


핀 배열은 히트 싱크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핀 핀 히트싱크는 베이스에서 핀이 연장되는 형태로, 핀은 원통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직선 핀 히트싱크는 핀이 베이스에서 직선으로 뻗어 나오는 형태이다. 플레어 핀 히트싱크는 핀이 서로 평행하지 않고 바깥쪽으로 퍼져 있는 형태이다. 핀을 플레어 형태로 만들면 공기 흐름 저항이 감소하여 더 많은 공기가 핀 채널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핀을 기울이면 전체 크기는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더 긴 핀을 제공할 수 있다.[10]

Forghan 외.[10]의 연구에 따르면, 핀 핀 히트싱크는 약 1m/s의 낮은 공기 접근 속도에서 직선 핀 히트싱크보다 열 성능이 최소 20% 더 우수하다. Lasance와 Eggink[11]의 연구에서는 플레어 히트싱크가 다른 히트싱크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

핀 핀 히트싱크 주위의 자연 대류 흐름


일반적으로 히트싱크의 표면적이 넓을수록 성능이 향상된다.[2] 핀 핀 히트싱크는 유체 흐름의 모든 방향에서 작동하면서 주어진 부피에 최대한 많은 표면적을 담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2] Kordyban[2]의 비교 실험에서 핀 핀 히트싱크(194 cm2)는 직선 핀 히트싱크(58 cm2)보다 표면적이 넓고, 히트싱크 베이스와 주변 공기 간의 온도 차이가 50 °C일 때 직선 핀(44 °C)보다 핀 핀(51 °C)이 6 °C 더 우수했다. 이는 핀 핀 히트싱크가 유체가 핀을 따라 축 방향으로 흐르는 최적의 환경에서 직선 핀보다 훨씬 더 우수한 성능을 발휘함을 보여준다.

비슷한 치수의 핀 핀 및 직선 핀 히트싱크 비교[2]
히트싱크 핀 유형너비 [cm]길이 [cm]높이 [cm]표면적 [cm2]부피 [cm3]온도 차이, Tcase − Tair [°C]
직선2.52.53.2582044
3.83.81.71942451



=== 표면 색상 ===

검은색 히트 싱크가 있는 서버급 플래시 메모리 카드


히트 싱크에서 열은 주변 공기로의 대류, 전도, 그리고 복사를 통해 전달된다.

복사열 전달은 히트 싱크와 주변 온도의 함수이다. 온도가 0°C에서 100°C 정도일 때 복사는 대류보다 영향이 작아 무시되기도 한다. 그러나 대류가 적은 상황에서는 복사 냉각이 중요해지며, 표면 특성이 설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무광 검정 표면은 반짝이는 금속보다 복사 효율이 훨씬 높다.[14][15] 반짝이는 금속은 방사율과 흡수율이 낮다. 대부분 재료에서 가시광선과 적외선 스펙트럼의 방사율은 유사하지만, 특정 금속 산화물은 예외이다.

진공이나 우주에서는 대류가 없어 복사가 유일한 열 전달 요소이다.

한국의 여름철 강한 햇빛 아래에서는 히트 싱크 표면 색상이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검은색 표면은 열을 더 잘 흡수하고 방출하여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햇빛에 직접 노출되면 온도가 더 높아질 수 있다.

4. 1. 열 저항

열 저항 개념은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는 전자 제품의 방열판 선택을 단순화한다. 열 흐름은 다이에서 장치 케이스, 케이스에서 방열판, 방열판에서 주변 공기로 이어지는 일련의 저항으로 모델링되며, 이 저항들의 합이 총 열 저항이다. 열 저항은 섭씨 온도/와트(°C/W) 단위로 표시되며, 장치 소모 전력과 총 열 저항을 알면 다이의 온도 상승을 계산할 수 있다.[3]

열 저항 개념은 근사치로, 열 분포의 불균일성, 시간 경과에 따른 온도 변화, 복사 및 대류의 비선형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조업체는 방열판 및 반도체 장치의 일반적인 열 저항 값을 제공하여 방열판 선택을 돕는다.[3]

상업용 압출 알루미늄 방열판의 열 저항은 TO-3 장치용 대형 싱크의 경우 0.4 °C/W에서 TO-92 소형 플라스틱 케이스용 클립온 방열판의 경우 85 °C/W까지 다양하다.[3] 2N3055 전력 트랜지스터는 1.52 °C/W의 내부 열 저항을 갖는다.[4] 장치 케이스와 방열판 사이의 접촉은 0.5 ~ 1.7 °C/W 사이의 열 저항을 가질 수 있다.[3]

4. 2. 재료

히트 싱크 재료는 높은 열 용량과 열 전도율을 가져야 더 많은 열 에너지를 흡수하고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5]

가장 일반적인 히트 싱크 재료는 알루미늄 합금이다.[6] 알루미늄 합금 1050은 229 W/(m·K)의 높은 열 전도율 값과 922 J/(kg·K)의 열 용량을 가지지만[7] 기계적으로 부드럽다. 알루미늄 합금 6060(저응력), 6061 및 6063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열 전도율 값은 각각 166 및 201 W/(m·K)이다. 일체형 알루미늄 히트 싱크는 압출, 주조, 스키빙 또는 밀링으로 만들 수 있다. 알루미늄은 열전도율이 높고, 방열 표면적을 늘리는 형상 가공성이 좋으며, 비중이 가벼워 가장 많이 사용된다.

구리는 열 전도율, 내식성, 생물 오손 저항성 및 항균 저항성이 우수하다(열교환기의 구리 참조). 구리는 알루미늄보다 약 두 배의 열 전도율(순수 구리의 경우 약 400 W/(m·K))을 갖지만, 밀도가 세 배 높고[6] 더 비싸며, 알루미늄보다 연성이 떨어진다.[6] 일체형 구리 히트 싱크는 스키빙 또는 밀링으로 만들 수 있다. 판금 핀은 직사각형 구리 본체에 납땜할 수 있다.[8][9] 구리는 알루미늄보다 열전도율이 뛰어나지만 고가이고 무게도 많이 나가기 때문에, 소형화가 요구되는 기기나, 발열량이 큰 GPU나 CPU 등 고부가가치 제품에 주로 사용된다.

은 열전도율과 가공성이 모두 떨어져 단독으로 히트 싱크 제품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적지만, 공랭 엔진 블록, 기관총의 총신, 전동기변압기 등 중전기 제품의 케이싱 등에서는 일체 구조의 히트 싱크(냉각 핀)가 설치된다.

최근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고출력 모터 제어용 파워 트랜지스터는 발열량이 많아 100℃를 넘는 고온이 되기 때문에, 히트 싱크 자체의 냉각 성능 외에 낮은 열저항이 필요하다. 따라서 절연체에는 질화 알루미늄이나 질화 규소 등 열전도율이 높은 세라믹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히트 싱크와의 열팽창 차이에 의한 절연체반도체납땜의 파괴 방지를 위해 방열판에는 열팽창 계수가 반도체에 가까운 구리 몰리브덴 합금이나 알루미늄-탄화 규소 복합체가 사용된다.

4. 3. 핀 효율

핀 효율은 열 전도율이 높은 재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히트 싱크의 핀은 한쪽 끝으로 열이 흐르고 다른 쪽으로 이동하면서 주변 유체로 열이 발산되는 평판으로 간주될 수 있다.[29] 열이 핀을 통과하면서 열 싱크의 열 저항이 흐름을 방해하고 대류로 인해 열이 손실되기 때문에 핀의 온도, 즉 유체로의 열 전달은 핀의 바닥에서 끝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핀 효율은 핀이 전달하는 실제 열을 핀이 등온 상태(가상적으로 핀이 무한한 열전도율을 갖는 경우)일 때의 열 전달량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16]

핀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핀의 종횡비를 줄이거나(더 두껍게 또는 짧게 만들거나) 또는 더 전도성이 높은 재료(예: 알루미늄 대신 구리)를 사용한다.

4. 4. 퍼짐 저항 (Spreading Resistance)

히트 싱크 재료의 열전도율과 관련된 또 다른 매개변수는 퍼짐 저항이다. 퍼짐 저항은 유한한 열전도율을 가진 물질에서 열 에너지가 작은 영역에서 더 넓은 영역으로 전달될 때 발생한다. 히트 싱크에서 이는 열이 히트 싱크 베이스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퍼짐 저항 현상은 열원이 있는 위치에서 열이 이동하여 열원과 히트 싱크 가장자리 사이에 큰 온도 구배를 유발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이는 일부 핀의 온도가 히트 싱크 베이스 전체에 열원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경우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불균일성은 히트 싱크의 유효 열 저항을 증가시킨다.

히트 싱크 베이스의 퍼짐 저항을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 베이스 두께를 늘린다.
  • 열전도율이 더 높은 다른 재료를 선택한다.
  • 히트 싱크 베이스에 증기 챔버 또는 히트 파이프를 사용한다.

4. 5. 핀 배열



핀 배열은 히트 싱크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핀 핀 히트싱크는 베이스에서 핀이 연장되는 형태로, 핀은 원통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직선 핀 히트싱크는 핀이 베이스에서 직선으로 뻗어 나오는 형태이다. 플레어 핀 히트싱크는 핀이 서로 평행하지 않고 바깥쪽으로 퍼져 있는 형태이다. 핀을 플레어 형태로 만들면 공기 흐름 저항이 감소하여 더 많은 공기가 핀 채널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핀을 기울이면 전체 크기는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더 긴 핀을 제공할 수 있다.[10]

Forghan 외.[10]의 연구에 따르면, 핀 핀 히트싱크는 약 1m/s의 낮은 공기 접근 속도에서 직선 핀 히트싱크보다 열 성능이 최소 20% 더 우수하다. Lasance와 Eggink[11]의 연구에서는 플레어 히트싱크가 다른 히트싱크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히트싱크의 표면적이 넓을수록 성능이 향상된다.[2] 핀 핀 히트싱크는 유체 흐름의 모든 방향에서 작동하면서 주어진 부피에 최대한 많은 표면적을 담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2] Kordyban[2]의 비교 실험에서 핀 핀 히트싱크(194 cm2)는 직선 핀 히트싱크(58 cm2)보다 표면적이 넓고, 히트싱크 베이스와 주변 공기 간의 온도 차이가 50 °C일 때 직선 핀(44 °C)보다 핀 핀(51 °C)이 6 °C 더 우수했다. 이는 핀 핀 히트싱크가 유체가 핀을 따라 축 방향으로 흐르는 최적의 환경에서 직선 핀보다 훨씬 더 우수한 성능을 발휘함을 보여준다.

비슷한 치수의 핀 핀 및 직선 핀 히트싱크 비교[2]
히트싱크 핀 유형너비 [cm]길이 [cm]높이 [cm]표면적 [cm2]부피 [cm3]온도 차이, Tcase − Tair [°C]
직선2.52.53.2582044
3.83.81.71942451


4. 6. 표면 색상



히트 싱크에서 열은 주변 공기로의 대류, 전도, 그리고 복사를 통해 전달된다.

복사열 전달은 히트 싱크와 주변 온도의 함수이다. 온도가 0°C에서 100°C 정도일 때 복사는 대류보다 영향이 작아 무시되기도 한다. 그러나 대류가 적은 상황에서는 복사 냉각이 중요해지며, 표면 특성이 설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무광 검정 표면은 반짝이는 금속보다 복사 효율이 훨씬 높다.[14][15] 반짝이는 금속은 방사율과 흡수율이 낮다. 대부분 재료에서 가시광선과 적외선 스펙트럼의 방사율은 유사하지만, 특정 금속 산화물은 예외이다.

진공이나 우주에서는 대류가 없어 복사가 유일한 열 전달 요소이다.

한국의 여름철 강한 햇빛 아래에서는 히트 싱크 표면 색상이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검은색 표면은 열을 더 잘 흡수하고 방출하여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햇빛에 직접 노출되면 온도가 더 높아질 수 있다.

5. 응용 분야



열원에 접하는 면에서 수직으로 막대를 배열한 예


== 마이크로프로세서 냉각 ==

컴퓨터의 CPU, GPU와 같은 고성능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작동 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과열로 인해 성능 저하 및 수명 단축이 발생할 수 있다.[29]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히트 싱크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히트 싱크는 프로세서와 직접 맞닿는 부분과, 여기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내보내는 방열판으로 구성된다.

ASUS GTX 650 그래픽 카드의 냉각 시스템; 세 개의 히트 파이프가 보임


프로세서와 히트 싱크 사이에는 열 인터페이스 재료(TIM)가 사용되어 열전달 효율을 높인다.[16] TIM은 두 물체 사이의 미세한 간극을 메워 열 접촉 저항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16] 공기의 열전도율은 0.022 W/(m·K) 정도인 반면,[18] TIM은 0.3 W/(m·K) 이상으로 훨씬 높다.[19]

히트 싱크는 열적 요구 사항뿐만 아니라 기계적 요구 사항도 충족해야 한다. 부품은 적절한 충격과 진동 속에서 히트 싱크와 열적 접촉을 유지해야 한다. 히트 싱크는 회로 기판의 구리 호일이거나 부품 또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별도의 히트 싱크일 수 있다.

히트 싱크 부착에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 열 전도성 테이프: 비용 효율적이며 가벼운 히트 싱크 및 저전력 부품에 적합하다.[17]

Roll of thermally conductive tape

  • 에폭시: 테이프보다 강력한 기계적 결합과 우수한 열전도성을 제공하지만, 재작업이 어렵다.[17]
  • 와이어 형태 Z 클립: 기계적 부착과 함께 고성능 TIM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17]

A pin fin heat sink with a Z-clip retainer

  • 클립: BGA 부품에 직접 히트 싱크를 부착할 수 있게 해주며, 재작업이 용이하다.

Two heat sink attachment methods, namely the maxiGRIP (left) and Talon Clip (right)

  • 압축 스프링이 있는 푸시 핀: 더 큰 히트 싱크와 높은 사전 하중에 효과적이다.[17]

A pair of push pins

  • 압축 스프링이 있는 나사산 스탠드오프: 매우 큰 히트 싱크에 사용되는 가장 강력한 부착 방법이다.[17]


아래는 히트 싱크 부착 방법들을 요약한 표이다.[17]

히트 싱크 부착 방법 요약[17]
방법장점단점비용
열 테이프부착 용이, 저렴무거운 히트싱크나 진동이 심한 환경에 부적합, 낮은 열전도율매우 낮음
에폭시강력한 기계적 결합, 비교적 저렴재작업 어려움매우 낮음
와이어 형태 Z 클립강력한 기계적 부착, 간편한 제거/재작업, 높은 열 성능보드에 구멍/납땜 앵커 필요, 맞춤형 디자인낮음
클립온높은 열 성능, 구멍/앵커 불필요, 간편한 제거/재작업BGA 주변 공간 필요, 추가 조립 단계낮음
압축 스프링이 있는 푸시 핀강력한 기계적 부착, 높은 열 성능, 간편한 제거/설치보드에 구멍 필요보통
압축 스프링이 있는 스탠드오프가장 강력한 기계적 부착, 높은 열 성능, 대형 히트싱크에 적합보드에 구멍 필요, 복잡한 조립높음



열전도율과 인터페이스 저항은 열 인터페이스 재료의 열 인터페이스 저항의 일부를 형성한다.


TIM을 선택할 때는 인터페이스 간극, 접촉 압력, 전기 저항률 등을 고려해야 한다.[19]

21 mm 별 모양 알루미늄 코어 PCB에 장착된 필립스 루미레즈 조명 회사(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의 고전력 LED


한국의 PC방, 데이터 센터 등에서는 고성능 컴퓨터 시스템이 많이 사용되므로, 효율적인 히트 싱크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더불어민주당은 고성능 컴퓨터 시스템을 활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술 발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러한 기술 발전에 히트 싱크 기술이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고 본다.

== LED 램프 ==

발광 다이오드(LED)의 성능과 수명은 온도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효과적인 냉각이 필수적이다.[20] LED 기반 다운라이터의 사례 연구는 조명 시스템의 효과적인 냉각에 필요한 방열판을 계산하기 위해 수행된 계산의 예를 보여준다.[21] 실험적, 수치적, 이론적 방법의 결과는 모두 서로 10% 이내여야 결과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얻을 수 있다.[21]

== 전력 반도체 냉각 ==

전력 반도체는 동작 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태양광, 풍력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에서 히트 싱크의 활용이 두드러진다.

현대자동차, 기아 등 한국의 전기차 산업에서도 히트 싱크 기술이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더불어민주당의 친환경 에너지 정책, 예를 들어 그린 뉴딜 정책과도 연관되어 전력 반도체 냉각 기술의 중요성을 한층 더 강조한다.

== 기타 응용 분야 ==

5. 1. 마이크로프로세서 냉각

컴퓨터의 CPU, GPU와 같은 고성능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작동 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과열로 인해 성능 저하 및 수명 단축이 발생할 수 있다.[29]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히트 싱크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히트 싱크는 프로세서와 직접 맞닿는 부분과, 여기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내보내는 방열판으로 구성된다.

ASUS GTX 650 그래픽 카드의 냉각 시스템에는 세 개의 히트 파이프가 보인다.

프로세서와 히트 싱크 사이에는 열 인터페이스 재료(TIM)가 사용되어 열전달 효율을 높인다.[16] TIM은 두 물체 사이의 미세한 간극을 메워 열 접촉 저항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16] 공기의 열전도율은 0.022 W/(m·K) 정도인 반면,[18] TIM은 0.3 W/(m·K) 이상으로 훨씬 높다.[19]

히트 싱크는 열적 요구 사항뿐만 아니라 기계적 요구 사항도 충족해야 한다. 부품은 적절한 충격과 진동 속에서 히트 싱크와 열적 접촉을 유지해야 한다. 히트 싱크는 회로 기판의 구리 호일이거나 부품 또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별도의 히트 싱크일 수 있다.

히트 싱크 부착에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 열 전도성 테이프: 비용 효율적이며 가벼운 히트 싱크 및 저전력 부품에 적합하다.[17]

  • 에폭시: 테이프보다 강력한 기계적 결합과 우수한 열전도성을 제공하지만, 재작업이 어렵다.[17]
  • 와이어 형태 Z 클립: 기계적 부착과 함께 고성능 TIM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17]

  • 클립: BGA 부품에 직접 히트 싱크를 부착할 수 있게 해주며, 재작업이 용이하다.

  • 압축 스프링이 있는 푸시 핀: 더 큰 히트 싱크와 높은 사전 하중에 효과적이다.[17]

  • 압축 스프링이 있는 나사산 스탠드오프: 매우 큰 히트 싱크에 사용되는 가장 강력한 부착 방법이다.[17]


아래는 히트 싱크 부착 방법들을 요약한 표이다.[17]

히트 싱크 부착 방법 요약[17]
방법장점단점비용
열 테이프부착 용이, 저렴무거운 히트싱크나 진동이 심한 환경에 부적합, 낮은 열전도율매우 낮음
에폭시강력한 기계적 결합, 비교적 저렴재작업 어려움매우 낮음
와이어 형태 Z 클립강력한 기계적 부착, 간편한 제거/재작업, 높은 열 성능보드에 구멍/납땜 앵커 필요, 맞춤형 디자인낮음
클립온높은 열 성능, 구멍/앵커 불필요, 간편한 제거/재작업BGA 주변 공간 필요, 추가 조립 단계낮음
압축 스프링이 있는 푸시 핀강력한 기계적 부착, 높은 열 성능, 간편한 제거/설치보드에 구멍 필요보통
압축 스프링이 있는 스탠드오프가장 강력한 기계적 부착, 높은 열 성능, 대형 히트싱크에 적합보드에 구멍 필요, 복잡한 조립높음



TIM을 선택할 때는 인터페이스 간극, 접촉 압력, 전기 저항률 등을 고려해야 한다.[19]

한국의 PC방, 데이터 센터 등에서는 고성능 컴퓨터 시스템이 많이 사용되므로, 효율적인 히트 싱크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더불어민주당은 고성능 컴퓨터 시스템을 활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술 발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러한 기술 발전에 히트 싱크 기술이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고 본다.

5. 2. LED 램프

발광 다이오드(LED)의 성능과 수명은 온도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효과적인 냉각이 필수적이다.[20] LED 기반 다운라이터의 사례 연구는 조명 시스템의 효과적인 냉각에 필요한 방열판을 계산하기 위해 수행된 계산의 예를 보여준다.[21] 실험적, 수치적, 이론적 방법의 결과는 모두 서로 10% 이내여야 결과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얻을 수 있다.[21]

5. 3. 전력 반도체 냉각

전력 반도체는 동작 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태양광, 풍력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에서 히트 싱크의 활용이 두드러진다.

현대자동차, 기아 등 한국의 전기차 산업에서도 히트 싱크 기술이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더불어민주당의 친환경 에너지 정책, 예를 들어 그린 뉴딜 정책과도 연관되어 전력 반도체 냉각 기술의 중요성을 한층 더 강조한다.

5. 4. 기타 응용 분야

히트 싱크는 다음과 같은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6. 성능 측정 방법

일반적으로 히트싱크 성능은 재료의 열 전도율, 치수, 핀 유형, 열 전달 계수, 공기 유량 및 덕트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히트싱크의 열 성능을 결정하기 위해 이론적인 모델을 만들 수 있다. 또는 열 성능을 실험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 현재 응용 분야에서 고도로 복잡한 3차원 유동 특성 때문에 전산 유체 역학 (CFD)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섹션에서는 히트싱크의 열 성능을 결정하기 위한 앞서 언급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 이론적 모델 ==

히트 싱크의 성능을 예측하기 위해 열전달 및 유체 역학 이론을 사용할 수 있다. Jeggels 등이 발표한 방법[23]은 공기가 히트 싱크에 꼭 맞는 채널을 통해 강제로 흐르는 덕트 흐름에 대한 연구이다. 이 경우 모든 공기가 히트 싱크 핀 사이의 채널을 통과한다. 공기 흐름이 덕트되지 않으면 일정 비율의 공기가 히트 싱크를 우회한다. 흐름 우회는 핀 밀도와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유입 덕트 속도에는 비교적 민감하지 않다.[24]

히트 싱크 열 저항 모델은 히트 싱크 베이스의 저항(R_{b})과 핀의 저항(R_{f}) 두 가지로 구성된다. 열원(R_{b})이 균일하게 적용된 히트 싱크 베이스의 경우, 히트 싱크 베이스 열 저항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R_b = \frac{t_b}{kA_b}

여기서 t_b는 히트 싱크 베이스 두께, k는 히트 싱크 재료 열전도율, A_b는 히트 싱크 베이스의 면적이다.

핀의 베이스에서 공기까지의 열 저항(R_{f})은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R_f = \frac{1}{n h_f W_f \left ( t_f + 2\eta_f L_f \right)}

:\eta_f = \frac{\tanh{mL_c}}{mL_c}[16]

:mL_c = \sqrt{\frac{2h_f}{k t_f}}L_f[16]

:D_h = \frac{4A_{ch}}{P_{ch}}

:Re = \frac{4 \dot{G} \rho}{n \pi D_h \mu}

:f = (0.79 \ln Re - 1.64)^{-2}[25]

:Nu = \frac{(f/8)(Re - 1000)Pr}{1+12.7(f/8)^{0.5}(Pr^{\frac{2}{3}}-1)}[25]

:h_f = \frac{Nu k_{air}}{D_h}

:\rho = \frac{P_{atm}}{R_aT_{in}}

유량은 히트 싱크 시스템 곡선과 팬 곡선의 교차점에서 결정할 수 있다. 히트 싱크 시스템 곡선은 Potter 등[26]과 White[27]가 저술한 표준 유체 역학 교과서에서처럼 채널의 흐름 저항과 유입 및 유출 손실을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히트 싱크 베이스 및 핀 저항이 알려지면 히트 싱크 열 저항(R_{hs})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_{hs}=R_{b} + R_{f}.

방정식과,[23]의 치수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양한 공기 유량에 대해 핀의 열 저항을 계산한 결과, 공기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히트 싱크의 열 저항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23]

특정 히트 싱크 설계를 위해 유량에 따라 플롯된 열 저항 및 열 전달 계수.


== 실험적 방법 ==

실험적 테스트는 방열판의 열 성능을 결정하는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방열판의 열 저항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유량, 입력 전력, 흡입구 공기 온도 및 방열판 베이스 온도를 알아야 한다. 덕트 테스트 결과에 대한 공급업체 제공 데이터가 일반적으로 제공된다.[28] 그러나 이 결과는 낙관적이며, 방열판이 비덕트형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때 오해의 소지가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방열판 테스트 방법 및 일반적인 간과 사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zar et al.에서 확인할 수 있다.[28]

== 수치 해석 방법 ==

전산 유체 역학(CFD)은 유체 흐름에 대한 질적(때로는 양적) 예측을 제공한다.[31][32] 이는 시뮬레이션의 시각적 또는 후처리 결과를 제공하지만, 결과의 정량적 또는 절대적 정확도는 적절한 매개변수의 포함 및 정확도에 민감하다.

전산 유체 역학(CFD) 분석 패키지를 사용하여 예측한 열 프로파일과 와류 강제 대류 흐름 궤적이 있는 방사형 히트싱크


CFD는 실험적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기 어렵거나, 비용이 많이 들거나, 불가능한 흐름 패턴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31] 시뮬레이션은 CF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모든 원하는 양에 대한 흐름 현상을 예측할 수 있으며, 공간과 시간에서 높은 해상도와 사실상 모든 문제와 현실적인 작동 조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경우, 결과를 검증해야 할 수도 있다.[2]

|thumb|right|upright=1.4|전산 유체 역학(CFD) 분석 패키지를 사용하여 예측한 열 프로파일과 베인축류 팬에서 발생하는 와류 애니메이션 강제 대류 흐름 궤적이 있는 지름 38mm, 높이 50mm 핀 핀 히트싱크]]

|thumb|right|upright=1.6|전산 유체 역학(CFD) 분석 패키지를 사용하여 예측한 열 프로파일과 튜브축류 팬에서 발생하는 와류 애니메이션 강제 대류 흐름 궤적이 있는 60mm x 60mm x 10mm 직선 핀 히트싱크]]

업계에서는 열 분석이 설계 과정에서 무시되거나, 설계 변경이 제한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너무 늦은 시점에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29] 이론적 모델은 일반적으로 1차 추정치로 사용된다. 온라인 히트싱크 계산기[30]는 이론과 경험적으로 도출된 상관 관계를 조합하여 강제 및 자연 대류 히트싱크 성능에 대한 합리적인 추정치를 제공할 수 있다.

6. 1. 이론적 모델

히트 싱크의 성능을 예측하기 위해 열전달 및 유체 역학 이론을 사용할 수 있다. Jeggels 등이 발표한 방법[23]은 공기가 히트 싱크에 꼭 맞는 채널을 통해 강제로 흐르는 덕트 흐름에 대한 연구이다. 이 경우 모든 공기가 히트 싱크 핀 사이의 채널을 통과한다. 공기 흐름이 덕트되지 않으면 일정 비율의 공기가 히트 싱크를 우회한다. 흐름 우회는 핀 밀도와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유입 덕트 속도에는 비교적 민감하지 않다.[24]

히트 싱크 열 저항 모델은 히트 싱크 베이스의 저항(R_{b})과 핀의 저항(R_{f}) 두 가지로 구성된다. 열원(R_{b})이 균일하게 적용된 히트 싱크 베이스의 경우, 히트 싱크 베이스 열 저항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R_b = \frac{t_b}{kA_b} (4)

여기서 t_b는 히트 싱크 베이스 두께, k는 히트 싱크 재료 열전도율, A_b는 히트 싱크 베이스의 면적이다.

핀의 베이스에서 공기까지의 열 저항(R_{f})은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R_f = \frac{1}{n h_f W_f \left ( t_f + 2\eta_f L_f \right)} (5)

:\eta_f = \frac{\tanh{mL_c}}{mL_c}[16] (6)

:mL_c = \sqrt{\frac{2h_f}{k t_f}}L_f[16] (7)

:D_h = \frac{4A_{ch}}{P_{ch}} (8)

:Re = \frac{4 \dot{G} \rho}{n \pi D_h \mu} (9)

:f = (0.79 \ln Re - 1.64)^{-2}[25] (10)

:Nu = \frac{(f/8)(Re - 1000)Pr}{1+12.7(f/8)^{0.5}(Pr^{\frac{2}{3}}-1)}[25] (11)

:h_f = \frac{Nu k_{air}}{D_h} (12)

:\rho = \frac{P_{atm}}{R_aT_{in}} (13)

유량은 히트 싱크 시스템 곡선과 팬 곡선의 교차점에서 결정할 수 있다. 히트 싱크 시스템 곡선은 Potter 등[26]과 White[27]가 저술한 표준 유체 역학 교과서에서처럼 채널의 흐름 저항과 유입 및 유출 손실을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히트 싱크 베이스 및 핀 저항이 알려지면 히트 싱크 열 저항(R_{hs})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_{hs}=R_{b} + R_{f} (14).

방정식 5~13과,[23]의 치수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양한 공기 유량에 대해 핀의 열 저항을 계산한 결과, 공기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히트 싱크의 열 저항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23]

6. 2. 실험적 방법

실험적 테스트는 방열판의 열 성능을 결정하는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방열판의 열 저항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유량, 입력 전력, 흡입구 공기 온도 및 방열판 베이스 온도를 알아야 한다. 덕트 테스트 결과에 대한 공급업체 제공 데이터가 일반적으로 제공된다.[28] 그러나 이 결과는 낙관적이며, 방열판이 비덕트형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때 오해의 소지가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방열판 테스트 방법 및 일반적인 간과 사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zar et al.에서 확인할 수 있다.[28]

6. 3. 수치 해석 방법

전산 유체 역학(CFD)은 유체 흐름에 대한 질적(때로는 양적) 예측을 제공한다.[31][32] 이는 시뮬레이션의 시각적 또는 후처리 결과를 제공하지만, 결과의 정량적 또는 절대적 정확도는 적절한 매개변수의 포함 및 정확도에 민감하다.

CFD는 실험적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기 어렵거나, 비용이 많이 들거나, 불가능한 흐름 패턴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31] 시뮬레이션은 CF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모든 원하는 양에 대한 흐름 현상을 예측할 수 있으며, 공간과 시간에서 높은 해상도와 사실상 모든 문제와 현실적인 작동 조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경우, 결과를 검증해야 할 수도 있다.[2]

|thumb|right|upright=1.4|전산 유체 역학(CFD) 분석 패키지를 사용하여 예측한 열 프로파일과 베인축류 팬에서 발생하는 와류 애니메이션 강제 대류 흐름 궤적이 있는 지름 38mm, 높이 50mm 핀 핀 히트싱크]]
|thumb|right|upright=1.6|전산 유체 역학(CFD) 분석 패키지를 사용하여 예측한 열 프로파일과 튜브축류 팬에서 발생하는 와류 애니메이션 강제 대류 흐름 궤적이 있는 60mm x 60mm x 10mm 직선 핀 히트싱크]]



업계에서는 열 분석이 설계 과정에서 무시되거나, 설계 변경이 제한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너무 늦은 시점에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29] 이론적 모델은 일반적으로 1차 추정치로 사용된다. 온라인 히트싱크 계산기[30]는 이론과 경험적으로 도출된 상관 관계를 조합하여 강제 및 자연 대류 히트싱크 성능에 대한 합리적인 추정치를 제공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eatsink https://en.wiktionar[...] 2020-11-03
[2] 서적 Hot Air Rises and Heat Sinks: Everything you know about cooling electronics is wrong ASME Press
[3] 간행물 National Semiconductor Voltage Regulator Handbook National Semiconductor Corp.
[4] 간행물 'Type 2N3055 N-P-N Single Diffused Mesa Silicon Power Transistor data sheet' Texas Instruments 1967-08
[5] 논문 A review on advanced carbon-based thermal interface materials for electronic devices 2020-10-30
[6] 웹사이트 Heat sink selection http://www.engr.sjsu[...] Mechanical engineering department, San Jose State University 2010-01-27
[7] 웹사이트 Aluminium Matter Organization UK http://aluminium.mat[...] 2010-04-04
[8] 웹사이트 Copper heatsinks http://www.cooliance[...]
[9] 웹사이트 Heatsink Design and Selection: Material http://www.abl-heats[...]
[10] 문서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rmal Performance of Heat Sinks 2001-05
[11] 문서 A Method to Rank Heat Sinks in Practice: The Heat Sink Performance Tester 2001
[12] 논문 Inverted fins: Geometric optimization of the intrusion into a conducting wall
[13] 논문 Geometric optimization of isothermal cavities according to Bejan's theory
[14] 웹사이트 Thermal design http://ludens.cl/Ele[...]
[15] 웹사이트 Effects of Anodization on Radiational Heat Transfer – heat sinks http://www.aavid.com[...]
[16] 서적 Introduction to heat transfer John Wiley and sons, NY.
[17] 웹사이트 Thermally Conductive Tapes http://www.can-dotap[...]
[18] 서적 A Heat Transfer Textbook MIT
[19] 논문 Thermal management solutions for electronic equipment http://www.fff.saint[...] 2008-07-22
[20] 논문 Effect of thermal environment on LED light emission and lifetime http://www.led-profe[...]
[21] 논문 LED lighting: A case study in thermal management http://www.qats.com/[...] 2009-09
[22] 간행물 Reed Switches http://www.eleinmec.[...] 2000-01
[23] 논문 Comparison of the cooling performance between heat pipe and aluminium conductors for electronic equipment enclosures
[24] 논문 Bypass effect in high performance heat sinks
[25] 서적 Heat transfer Prentice Hall
[26] 서적 Mechanics of fluid Brooks/Cole
[27] 서적 Fluid mechanics McGraw-Hill International
[28] 논문 Heat sink testing methods and common oversights http://www.qats.com/[...] 2009-01
[29] 서적 Thermal management handbook for electronic assemblies McGraw-Hill
[30] 웹사이트 Heat Sink Calculator: Online Heat Sink Analysis and Design http://heatsinkcalcu[...]
[31] 웹사이트 Course: Introduction to CFD http://www.mathemati[...] Dortmund University of Technology
[32] 논문 Effect of anisotropy in permeability and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n thermal performance of an aluminum foam heat sink
[33] 웹사이트 ヒートシンク 2021-07-20
[34] 웹인용 GlacialTech announces Igloo FS125S 30W cold forged pin fin heatsink http://www.eco-busin[...] 2016-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