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Ĥ는 로마자 H에 캐럿(circumflex)을 추가하여 만든 문자이다. 1887년 에스페란토 알파벳에 처음 등장했으며, 서부 슬라브 라틴 알파벳의 영향을 받아 캐론 대신 캐럿을 사용했다. 에스페란토에서 사용 빈도가 낮아 k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그리스어 외 어원을 가진 단어나 k로 바꾸면 다른 의미가 되는 단어에는 Ĥ가 유지되었다. 이 외에도 이탈로 디스코 가수 CĤATO의 예명, 양자역학의 해밀토니안 표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유니코드와 점자, 모스 부호로도 표현된다.
"Ĥ"는 일반적인 "H"에 캐럿을 추가하여 만들어졌다. 1887년 7월 26일 ''언어의 첫 번째 책(Unua Libro)''의 출판과 함께 국제어 에스페란토의 알파벳의 일부로 처음 등장하여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2] 에스페란토 알파벳의 다른 모든 기본 로마자가 아닌 글자와 마찬가지로 서부 슬라브 라틴 알파벳(예: 체코어)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캐론 대신 캐럿을 사용했다. 이는 철자법이 더 국제적으로(즉, 슬라브적이지 않게) 보이도록 하고, 당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모든 문자에 캐럿을 입력할 수 있는 데드 키가 있는 프랑스 타자기와 더 호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2. 역사
2. 1. 에스페란토에서의 기원
"Ĥ"는 일반적인 "H"에 캐럿을 추가하여 만들어졌다. 1887년 7월 26일 ''언어의 첫 번째 책(Unua Libro)''의 출판과 함께 국제어 에스페란토의 알파벳의 일부로 처음 등장하여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2] 에스페란토 알파벳의 다른 모든 기본 로마자가 아닌 글자와 마찬가지로 서부 슬라브 라틴 알파벳(예: 체코어)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캐론 대신 캐럿을 사용했다. 이는 철자법이 더 국제적으로(즉, 슬라브적이지 않게) 보이도록 하고, 당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모든 문자에 캐럿을 입력할 수 있는 데드 키가 있는 프랑스 타자기와 더 호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Ĥ는 에스페란토에서 사용 빈도가 가장 낮은 문자이며[4], 주로 그리스어 등에서 차용된 단어에 사용된다. 『에스페란토의 기초』에 있던 ĥ를 포함하는 단어의 대부분은 발음이 더 쉬운 k로 초기에 대체되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현재도 ĥ가 남아있는 단어의 대부분은 그리스어 이외의 어원을 가진 것(ĥano|하노eo「칸」, ĥoto|호토eo「요타」, Liĥtenŝtejno|리흐텐슈테이노eo「리히텐슈타인」등)이거나, k로 바꾸면 다른 의미의 단어가 되는(최소 대립쌍) 단어인 경우가 많다.2. 2. 사용 감소와 대체
⟨Ĥ⟩는 에스페란토 표기법에서 항상 가장 덜 사용되는 문자였다. 주로 그리스어 어원을 가진 단어에서 나타나며, 로마자화된 키를 나타냈다. 키는 대부분의 언어에서 [k]로 발음되므로, ⟨ĥ⟩를 ⟨k⟩로 대체하는 신조어가 곧 등장했다. 예를 들어 teĥnikoeo→teknikoeo("기술"), ĥemioeo→kemioeo("화학") 등이 있다. 이러한 변화는 아마도 'k' 소리가 대부분의 유럽 화자에게 발음하기 더 쉽고, 결과적으로 단어가 원어에 더 가깝게 들리기 때문일 것이다. 다른 대체는 다른 패턴을 따랐는데, 예를 들어 ĥinoeo→ĉinoeo("중국인")과 같은 경우가 그러했다.
이러한 추가 및 대체는 매우 초기에 이루어졌으며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그 이후로 ⟨ĥ⟩의 종말에 대해 자주 논의되었지만, 실제로 일어난 적은 없다. 현대 시대(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ĥoroeo("합창")를 위해 korusoeo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ĥ⟩가 포함된 단어를 대체하려는 새로운 신조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원래 ⟨ĥ⟩를 포함하는 일부 단어는 기존 대체(구 또는 신)보다 선호된다. 예를 들어 ĥaosoeo 대 kaosoeo("혼돈")과 같은 경우가 그러했다.
몇몇 단어는 ⟨ĥ⟩를 흔히 사용하며, 특히 그리스어에서 파생되지 않은 단어(ĥanoeo ("칸"), ĥotoeo ("호타"), Liĥtenŝtejnoeo ("리히텐슈타인") 등) 또는 해당 맥락에서 "k"를 사용하는 다른 단어가 있는 단어이다.
Ĥ는 에스페란토에서 사용 빈도가 가장 낮은 문자이며[4], 주로 그리스어 등에서 차용된 단어에 사용된다. 『에스페란토의 기초』에 있던 ĥ를 포함하는 단어의 대부분은 발음이 더 쉬운 k로 초기에 대체되었다.
ĥ | k | 한국어 뜻 |
---|---|---|
arĥitekturoeo | arkitekturoeo | 건축 |
ĥaosoeo | kaosoeo | 혼돈 |
ĥemioeo | kemioeo | 화학 |
meĥanikoeo | mekanikoeo | 역학 |
현재도 ĥ가 남아있는 단어의 대부분은 그리스어 이외의 어원을 가진 것(ĥano「칸」, ĥoto「호타」, Liĥtenŝtejno「리히텐슈타인」등)이거나, k로 바꾸면 다른 의미의 단어가 되는(최소 대립어) 단어인 경우가 많다.
ĥ | k | 한국어 뜻 |
---|---|---|
eĥoeo | ekoeo | 메아리 / 시작 |
ĥoleroeo | koleroeo | 콜레라 / 분노 |
ĥoroeo | koroeo | 합창 / 심장 |
monaĥoeo | Monakoeo | 수도사 / 모나코 |
Ĉeĥoeo | ĉekoeo | 체코인 / 수표 |
3. 다른 용도
4. 컴퓨터 부호
대문자 | 유니코드 | JIS X 0213 | 문자 참조 | 소문자 | 유니코드 | JIS X 0213 | 문자 참조 |
---|---|---|---|---|---|---|---|
Ĥ | U+0124 | 1-10-59 | Ĥ | ĥ | U+0125 | 1-10-65 | 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