た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た/タ'는 일본어의 음절을 나타내는 가나 문자이며,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표기가 존재한다. 50음도에서는 10번째, 이로하 순에서는 32번째에 위치하며, 로마자 표기는 'ta'와 'da'이다. 문자 형태는 '多'와 '太'에서 유래되었으며, 다양한 통신 및 부호 체계에서 사용된다. 컴퓨터 인코딩에서는 여러 문자 코드로 표현되며, 철도 차량 기호로 탱크 화차를, 일본어 완료 조동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た | |
---|---|
기본 정보 | |
히라가나 | た |
가타카나 | タ |
로마자 표기 | ta |
로마자 표기 (탁음) | da |
히라가나 만요가나 | 太 |
가타카나 만요가나 | 多 |
기타 만요가나 | 太, 多, 他, 丹, 駄, 田, 手, 立 |
탁음 만요가나 | 陀, 太, 大, 嚢 |
철자 (예시) | 煙草のタ (담배의 '타') |
음성 | 청음 |
IPA | tä |
기원 | |
히라가나 기원 | 太의 초서체 |
가타카나 기원 | 多의 일부분 |
유니코드 | |
히라가나 유니코드 | 305F |
가타카나 유니코드 | 30BF |
JIS | |
히라가나 JIS | 1-4-31 |
가타카나 JIS | 1-5-31 |
로마자 표기법 | |
헵번식 | TA |
훈령식 | TA |
JIS X 4063 | ta |
아이누어 | |
아이누어 표기 | TA |
2. 음운 및 표기
히라가나 'た'는 '太'의 초서체에서 유래했다. 가타카나 'タ'는 '多' 자의 윗부분을 따서 만들었다.[1]
통화표에서는 "담배의 타"라고 표현한다. 모스 부호는 -・이다. 수기 신호는 11→5이다.
변체 가나: --|]]|]] 、 -- (모두 多의 파자)
2. 1. 음운
현대 표준어의 음운은 자음과 1모음 「아」로 이루어진다. 자음은 다음과 같다.- 청음 「た」: 윗잇몸에 혀를 붙였다가 뗄 때 생기는 파열음. 무성음.
- 탁음 「다」: 윗잇몸에 혀를 붙였다가 뗄 때 생기는 파열음. 유성음.
2. 2. 50음도 및 이로하 순
50음 순으로는 제16위, 이로하 순으로는 제16위이며 요의 다음, 레의 앞이다.2. 3. 로마자 표기
3. 문자 형태
히라가나 'た'는 한자 '太'의 초서에서 유래했으며, 가타카나 'タ'는 한자 '多'의 윗부분에서 유래하였다. 현대 표준어 음운은 자음과 모음 '아'로 이루어진다. 자음은 윗잇몸에 혀를 붙였다가 뗄 때 생기는 파열음으로, 청음 'た'는 무성음, 탁음 '다'는 유성음이다.
50음 순에서는 제16위, 이로하 순에서는 '요' 다음, '레' 앞에 위치한다. 로마자로는 'た'는 '''ta''', 'だ'는 '''da'''로 표기한다. 점자는 --로 나타내며, 통화표에서는 "담배의 타"로 표현한다. 모스 부호는 '-・'이며, 수기 신호는 11→5 ()이다.
3. 1. 히라가나 'た'
히라가나 'た'는 한자 '太'의 초서에서 유래하였다.
3. 2. 가타카나 'タ'
가타카나 'タ'는 한자 '多'의 윗부분에서 유래하였다.[1]3. 3. 획순




3. 4. 변체 가나
4. 통신 및 부호
'た'는 일본어에서 사용되는 가나 문자 중 하나이다. 히라가나는 'た', 가타카나는 'タ'로 표기한다. 50음 순에서는 제16위, 이로하 순에서는 '요' 다음인 제16위에 위치한다. 'た' 행의 탁음은 '다'이다.
통화표에서 'た'는 "담배(타바코)의 타"(煙草のタ|Tabako no "Ta"일본어)[1]라고 표현하며, 모스 부호는 -・이다. 수기 신호는 아래와 같다.
히라가나 '타' | 가타카나 '타' | 반각 가타카나 '타' | 히라가나 '다' | 가타카나 '다' | |
---|---|---|---|---|---|
유니코드 | 305F | 30BF | FF80 | 3060 | 30C0 |
Shift JIS[1] | 82 BD | 83 5E | C0 | 82 BE | 83 5F |
EUC-JP[2] | A4 BF | A5 BF | 8E C0 | A4 C0 | A5 C0 |
GB 18030[3] | A4 BF | A5 BF | 84 31 98 38 | A4 C0 | A5 C0 |
EUC-KR[4] / UHC[5] | AA BF | AB BF | AA C0 | AB C0 | |
Big5 (비-ETEN 가나)[6] | C6 C3 | C7 57 | C6 C4 | C7 58 | |
Big5 (ETEN / HKSCS)[7] | C7 46 | C7 BB | C7 47 | C7 BC |
4. 1. 점자
tada
tā
dā
cha
ja/dya
chā
jā/dy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