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ㅑ는 훈민정음의 중성 글자 중 하나로, 사람을 상징하는 ㅣ와 하늘을 상징하는 ㆍ로 구성되어 ㆍ가 바깥쪽에 위치하는 양성 모음의 재출자이다. 세종 어제 훈민정음에서는 "여양자 중성"으로 불렸으며, 훈몽자회에서는 야로 명명되었다. 음성적으로는 모음 ㅣ의 자세에서 ㅏ를 조음할 때 생기는 소리이며, 유니코드 값은 U+3151이다. 라틴 문자 표기는 ya로 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글 낱자 -
    ㄸ은 한글 자모 중 하나로, ㄷ을 겹쳐 쓴 형태이며, 된소리를 나타내고, 무성 파열음으로 발음되며, 유니코드에는 U+3138 (단독형)과 U+1104 (초성용) 코드로 등록되어 있다.
  • 한글 낱자 -
    ㅃ은 한글 자모 중 하나로 쌍비읍이라고도 하며,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순음의 전탁으로 분류되고, 무성 양순 파열음의 된소리 /p'/로 발음되며, 유니코드에서 U+3143, U+1108 등의 코드 값을 가진다.
한글 정보
자명
훈몽자회
자원(이) 오른쪽에 (아래아)를 두 개 추가 (이중모음)
종류홀소리
획수3
발음 정보
매큔-라이샤워 표기ya
국어의 로마자 표기ya
획순

2. 역사

훈민정음 창제 시 만들어진 모음 중 하나로, 를 결합하여 만들었다. 이름은 1527년 간행된 『훈몽자회』에서 '야'(也|야중국어)로 정해졌다.

2. 1. 훈민정음과 ㅑ

훈민정음』의 중성자에서 사람을 상징하는 ''와 하늘을 상징하는 ''로 구성되었다. ㆍ가 바깥쪽에 위치하여 하늘에서 시작하는 양성 모음의 재출자(ㆍ가 두 개인 글자)로 분류된다. 세종 서문에서는 '여양자 중성'으로 규정되었다.

그 명칭은 『훈몽자회』(1527년)에서 '야'(也)로 불렸다.

2. 2. 훈몽자회와 명칭

훈민정음』의 중성자 중 하나로, 사람을 상징하는 와 하늘을 상징하는 로 구성되었다. 가 바깥쪽에 위치하여 하늘에서 시작하는 양성 모음이며, 가 두 번 사용된 재출자로 분류된다. 훈민정음 서문에서는 '여양자 중성'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 명칭은 『훈몽자회』(1527년)에서 '야'(也)로 불렸다.

3. 음성

모음 [i]의 조음 위치에서 [a]를 조음할 때 나는 소리이다. 단독으로 발음될 경우, 경구개 반모음 [j]와 결합하여 [ja] 소리가 난다. 자음 뒤에 붙으면 i계 상승 이중 모음을 형성하며, 한국어에서는 이 /i/ 요소가 모음보다 앞 자음에 더 강하게 작용하여 자음을 구개음화시키기도 한다.

4. 획순

ㅑ의 획순

5. 코드 값

(내용 없음)

5. 1. 유니코드

유니코드에서 'ㅑ'를 나타내는 문자 코드는 다음과 같다.

유니코드에서의 문자 코드
이름종류코드HTML 실체 참조 코드표시
HANGUL LETTER YA단독U+3151ㅑ한국어
HANGUL JUNGSEONG YA중성용U+1163ᅣ한국어


5. 2. 기타 코드

유니코드에서의 코드 정보
코드 설명종류코드 값 (Hex)HTML 코드 (Decimal)표시
한글 자모 ㅑ완성형U+3151ㅑ
한글 자모 중성 ᅣ조합용U+1163ᅣ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PUAU+F80C
반각 문자 ᅣ호환용U+FFC4ᅣ


6. 라틴 문자 표기

문화관광부 2000년식,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모두 '''ya'''로 표기된다.

참조

[1] 웹사이트 Korean https://www.omniglot[...] Omniglot 2021-10-20
[2] 웹사이트 Script and pronunciation https://wiki.ucl.ac.[...] University College London 2021-10-20
[3] 서적 The Sounds of Kore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