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1937년 조지 M. 매큔과 에드윈 O. 라이샤워가 개발한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이다. 이 표기법은 유기음 표기를 위해 아포스트로피를 사용하고, 모음의 발음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브레베 등의 기호를 활용한다. 대한민국에서는 1984년부터 2000년까지 변형된 형태가 공식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문화관광부 2000년식 로마자 표기법이 사용된다. 북한에서는 이 표기법의 변형을 공식적으로 사용하며, 격음 표기, 'ㅈ'과 'ㅉ'의 표기, 그리고 음절 구분에 차이가 있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기술적, 실용적인 문제로 인해 비판을 받았으며, 발음 구별 부호의 복잡성으로 인해 일반인이 사용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 맥 매큔
    맥 매큔은 한국 관련 연구자이자 교육자로, 에드윈 O. 라이샤워와 함께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인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발표했으며, 옥시덴탈 칼리지에서 한국어와 한국사를 가르치고, 한국학 발전에 기여하다가 심장 문제로 사망했다.
  •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 예일 로마자 표기법
    예일 로마자 표기법은 새뮤얼 마틴과 예일 대학교 연구진이 개발한 로마자 표기법으로, 한국어의 형태음운론적 구조 표현에 적합하여 언어학 분석에 주로 사용되며, 한국어 외 중국어, 일본어 표기에도 사용된 사례가 있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기본 정보
한국어매큔-라이샤워 표기법
한자매큔-라이샤워 表記法
가타카나메큐ン-라이샤워 ピョギポ
히라가나まっきゅーん-らいしゃわー ひょうきほう
로마자 표기법Maekyun–Raisyawo Pyogibeop
매큔-라이샤워 로마자 표기법Maek'yun–Raisyawŏ P'yogipŏp
영어McCune-Reischauer Romanization
영어 발음məˈkjuːn ˈraɪʃaʊ.ər
개요
설명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의 하나이다.
특징
특징'어'와 '으'를 각각 "ŏ", "ŭ"로 표기한다.
무기음과 유기음을 구별하기 위해 어깨점(‘)을 사용한다.
'ㄱ, ㄷ, ㅂ, ㅈ'은 모음 앞에서는 'g, d, b, j'로, 자음 앞이나 끝에서는 'k, t, p, ch'로 표기한다.
'ㄹ'은 모음 앞에서는 'r'로, 자음 앞이나 끝에서는 'l'로 표기한다.
장음 표기에 macron(¯) 또는 circumflex(ˆ)를 사용하지 않는다.
성조 표기에 macron(¯), acute(´), caron(ˇ), grave(`)를 사용하지 않는다.
와 같은 u, e와는 다른 모음을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역사
제정1937년 미국인 선교사 조지 매큔과 에드윈 라이샤워에 의해 고안됨
사용1984년까지 대한민국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됨
미국 의회도서관에서 사용됨
현재도 일부 학계에서 사용됨
비교
예시Jamsil: Chamshil (매큔-라이샤워), Jamsil (개정 로마자 표기법)
Amsa: Amsa (매큔-라이샤워), Amsa (개정 로마자 표기법)
참고한국어 표준 표기법은 단어의 표준 표기를 규정하지만, 그 표기의 입력 방법은 규정하지 않는다.
참고 문헌
참고 문헌시카고 대학교 도서관 가이드: 매큔-라이샤워 로마자 표기법
이상일,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에 대하여", The Korean Language in America, 8, 2003, 407-421쪽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1961)
송재정, "The Korean Language: Structure, Use and Context", Routledge, 2006, 87쪽
UNGEGN Working Paper No. 46

2. 역사

1937년 당시 일제강점기 조선에 거주하던 조지 M. 매큔(George M. McCune)과 여행으로 조선을 방문한 에드윈 O. 라이샤워(Edwin O. Reischauer) 두 명의 미국인을 중심으로 고안되었다. 라이샤워에 따르면, 이 방식 이전에는 조선어의 라틴 문자 표기의 표준 방식이 없었기 때문에, 친구인 매큔과 함께 유럽과 미국 학자들을 위한 표기법 개발에 착수했다. 매큔의 폭넓은 조선인 인맥을 통해 조선어 발음 전문가인 많은 조선인들이 협력했다. 라이샤워가 조선을 떠난 후에도 서신을 통해 작업이 계속되어, 1939년 『왕립아시아협회 조선지부 회보』 제29권에 발표되었다.[14]

이후 매큔은 이 표기법의 보급에 힘썼다. 미국 육군 측량부에서도 이 표기법을 채택했기 때문에, 한국 전쟁에서 지명 표기의 기초로 사용되었다.[14]

1984년부터 2000년까지 한국에서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약간 수정한 「문교부 1984년식」을 사용했지만, 현재는 문화관광부 2000년식이 사용되고 있다. 일대일 대응 표기인 예일 표기법도 있지만, 주로 언어학 등의 학술적인 글에만 사용된다. 20세기 초에는 조선어를 키릴 문자로 표기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현재도 북한에서는 라틴 문자 표기뿐 아니라 키릴 문자 표기법도 규범화하고 있다.

국내외 연구 단체는 아직도 매큔-라이샤워식이나 예일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문화관광부 2000년식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3. 표기법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한국어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한다. 자음모음 표기, 음운 변화 표기 등에서 몇 가지 특징적인 규칙을 가지고 있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으로 쓴 주소표 (Hwasŏmun R.)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으로 쓴 추암역의 역명판 (Ch'uam)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는 유기음인 , , 및 와 같은 자음은 어깻점(’)을 사용하여 무기음과 구분한다. 어깻점은 과 을 구분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는 yŏn'gu한국어로 표기되는 반면, 는 yŏngŏ한국어로 표기된다.

짧은소리표는 한국어 모음을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는 로, 는 로, 는 로, 는 로 표기한다.

이중 자음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한국어)은 종성으로만 사용되며 실제 발음에 따라 표기한다.

  • 모음 사이: 가로 , 필요
  • 초성 ㅎ 앞: 발해 , 실험
  • 자음 앞(초성 ㅎ 앞 제외) 또는 단어 끝: 날개 , 구별 , 결말
  • ㄹㄹ은 ''ll''로 표기: 빨리 , 저절로


한국어, ㄷ한국어, ㅂ한국어, ㅈ한국어의 경우, 유성음이면 ''g'', ''d'', ''b'', ''j''를 사용하고, 무성음이면 ''k'', ''t'', ''p'', ''ch''를 사용한다.

  • 무성/유성 자음
  • * 가구
  • * 등대
  • * 반복
  • * 주장


초성 ㅇ은 소리가 없을 때만 사용되므로 로마자 표기에서 무시된다.

  • * 국어 (발음: [구거]) (''ku'''k'''ŏ'' 아님)
  • * 믿음 (발음: [미듬]) (''mi'''t'''ŭm'' 아님)
  • * 법인 (발음: [버빈]) (''pŏ'''p'''in'' 아님)
  • * 촬영 (발음: [촤령]) (''ch'wa'''l'''yŏng'' 아님)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서구 사람들이 한국어를 쉽게 익힐 수 있도록 돕는 여러 장치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는 유성음무성음을 음운상으로는 구별하지 않지만, 음성상으로는 구별하는데, 이를 표기에 반영한다. 또한, , , , 와 같은 격음은 어깻점을 붙여 구분하므로, 알아보기 쉽다. 어깻점은 음절 구분을 명확히 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하지만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비판도 받는다. 예를 들어, 와 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반달표가 자주 생략된다는 점이다. 이는 반달표가 없는 쪽이 입력하기 쉽기 때문이지만, 이로 인해 와 , 와 의 구분이 어려워져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격음의 어깻점을 생략하면 평음인 , , , 과 구별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옹호자들은 한국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한국어에 가까운 발음을 할 수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주장한다.

3. 1. 자음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 초성 자음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한글 자모맥큐언-라이샤워 표기법문화관광부 2000년식
한국어kg
한국어kkkk
한국어nn
한국어td
한국어tttt
한국어rr
한국어mm
한국어pb
한국어pppp
한국어ss
한국어ssss
한국어(없음)(없음)
한국어chj
한국어tchjj
한국어ch'ch
한국어k'k
한국어t't
한국어p'p
한국어hh



종성 자음은 실제 발음에 따라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한글 자모맥큐언-라이샤워 표기법문화관광부 2000년식
한국어 (ㅋㄲㄳㄺ한국어)kk
한국어 (ㄵㄶ한국어)nn
한국어 (ㅅㅆㅈㅊㅌㅎ한국어)tt
한국어 (ㄽㄾㅀㄼ한국어)ll
한국어 (ㄻ한국어)mm
한국어 (ㅍㅄㄿㄼ한국어)pp
한국어ngng


  • 한국어이 초성 자음에서는 r, 종성 자음에서는 l로 다르게 표기되는 것에 주의한다.


종성 자음과 그 다음에 이어지는 초성 자음의 조합에 따라 다음과 같이 표기가 변하는 경우가 있다.

colspan="2" rowspan="2"|초성 자음
한국어1한국어
k
한국어
n
한국어
t
한국어
(r)
한국어
m
한국어
p
한국어2
s
한국어
ch
한국어
ch'
한국어
k'
한국어
t'
한국어
p'
한국어
h
종성 자음한국어 kgkkngnktngn(남)/ngr(북)ngmkpkskchkch'kk'kt'kp'kh
한국어 nnn'gnnndll/nnnmnbnsnjnch'nk'nt'np'nh
한국어 tdtknnttnn(남)/ll(북)nmtpsstchtch'tk'tt'tp'th
한국어 lrlgll/nnld3lllmlblslj4lch'lk'lt'lp'rh
한국어 mmmgmnmdmn(남)/mr(북)mmmbmsmjmch'mk'mt'mp'mh
한국어 pbpkmnptmn(남)/mr(북)mmpppspchpch'pk'pt'pp'ph
한국어 ngngnggngnngdngn(남)/ngr(북)ngmngbngsngjngch'ngk'ngt'ngp'ngh



# ㅇ한국어은 모음 앞에서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초성이다.

# 쉬한국어는 로 표기된다.

# 한자어에서는 ld 대신 lt로, lj 대신 lch로 표기한다.


  • (남)은 한국, (북)은 북한의 발음을 기준으로 한 표기법을 나타낸다.


한국어, ㄷ한국어, ㅂ한국어, ㅈ한국어은 어중에서 유성화가 발생하는 경우 k, t, p, ch 대신 g, d, b, j로 표기한다. 실제 발음이 위 표와 모순되는 경우에는 발음이 표에 우선한다.

3. 2. 모음

한글 자모매큔-라이샤워 표기법문화관광부 2000년식
한국어aa
한국어aeae
한국어yaya
한국어yaeyae
한국어ŏeo
한국어e (a, o 뒤에서는 ë)e
한국어yeo
한국어yeye
한국어oo
한국어wawa
한국어waewae
한국어oeoe
한국어yoyo
한국어uu
한국어wo
한국어wewe
한국어wiwi
한국어yuyu
한국어ŭeu
한국어ŭiui
한국어ii


  • ㅔ|에한국어가 ㅏ|아한국어나 ㅗ|오한국어 뒤에 위치하는 경우 'e' 대신 'ë'로 표기한다. 이는 ㅐ|애한국어 (ae)와 ㅏ에|아에한국어 (aë), ㅚ|외한국어 (oe)와 ㅗ에|오에한국어 (oë)를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ㅏ에|아에한국어 (aë)나 ㅗ에|오에한국어 (oë)와 같은 자모 배열이 나타나는 경우는 일부 명사에 조사가 붙는 경우(예: 회사에서|회사에서한국어(hoesaësŏ), 차고에|차고에한국어(ch'agoë))를 제외하면 드물다.

3. 3. 음운 변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는 음운 변화를 반영하여 표기한다.

  • 경음화(된소리되기) 현상 반영
  • * 미닫이 (발음: 미다지) → [14]
  • * 같이 (발음: 가치) → [14]
  • * 굳히다 (발음: 구치다) → [14]

3. 4. 예외


  • '-ㄱㅎ-', '-ㄷㅎ-'(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만)/'-ㅅㅎ-', '-ㅂㅎ-'는 각각 'kh', 'th', 'ph'로 표기되지만, 실제 발음은 'ㅋ'([k']), 'ㅌ'([t']), 'ㅍ'([p'])과 같다.
  • * 속히한국어 ([소키한국어] 발음)
  • * 못하다한국어 ([모타다한국어] 발음)
  • * 곱하기한국어 ([고파기한국어] 발음)
  • 단음절 자음(ㄱ, ㄷ, ㅂ, ㅅ, ㅈ)이 단어 중간에서 된소리(ㄲ, ㄸ, ㅃ, ㅆ, ㅉ)로 발음될 때, 'k', 't', 'p', 's', 'ch'로 각각 표기되지만, 실제 발음은 ㄲ([kk]), ㄸ([tt]), ㅃ([pp]), ㅆ([ss]), ㅉ([tch])과 같다.
  • * 태권도한국어 ([태꿘도한국어] 발음)
  • * 손등한국어 ([손뜽한국어] 발음)
  • * 문법한국어 ([문뻡한국어] 발음)
  • * 국수한국어 ([국쑤한국어] 발음)
  • * 한자한국어 (, [한짜한국어] 발음)
  • ㄱㅎ, ㄷㅎ(구개음화가 생기는 경우를 제외), ㅅㅎ, ㅂㅎ과 같은 자음 조합은 ㅋ(k'), ㅌ(t'), ㅍ(p')로 발음되더라도 각각 kh, th, ph로 표기한다.
  • * 속히한국어(발음: 소키한국어)
  • * 못하다한국어(발음: 모타다한국어)
  • * 곱하기한국어(발음: 고파기한국어)
  • 어중간한 평음(ㄱ, ㄷ, ㅂ, ㅅ, ㅈ)은 ㄲ, ㄸ, ㅃ, ㅆ, ㅉ로 발음되더라도 각각 k, t, p, s, ch로 표기한다.
  • * 태권도한국어(발음: 태꿘도한국어)
  • * 손등한국어(발음: 손뜽한국어)
  • * 문법한국어(발음: 문뻡한국어)
  • * 국수한국어(발음: 국쑤한국어)
  • * 한자한국어(발음: 한짜한국어)

4. 다른 표기법과의 비교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초기 인터넷 시대에 기술적, 실용적 이유로 아포스트로피와 브레베(짧은소리표)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유기음(ㅋ, ㅌ, ㅍ, ㅊ)과 무기음(ㄱ, ㄷ, ㅂ, ㅈ), 'ㄴㄱ'과 'ㅇㄱ', 그리고 모음 'ㅜ', 'ㅡ', 'ㅗ', 'ㅓ'를 구분하기 어려워졌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0년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로마자 표기법을 채택하였다.[6] 그러나 이 표기법은 'ㅓ'와 'ㅡ'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고, 무기음의 실제 발음을 잘못 나타낸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한민국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다.

예일 표기법은 주로 언어학 등 학술 문헌에서 사용되는 표기법이다.

콘체비치 체계는 한국어를 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체계로, 매큔-라이샤워 표기법과 마찬가지로 발음을 중시한다.

5. 비판과 논쟁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1937년에 발표된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으로,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비판과 논쟁이 존재한다.


  • 브레베(˘) 및 어포스트로피(') 생략 문제: 초기 인터넷 시대에는 기술적, 실용적 이유로 ㅓ(ŏ), ㅡ(ŭ) 위의 브레베(˘)와 ㄱ, ㄷ, ㅂ, ㅈ 뒤에 오는 유성음 표기, 그리고 격음(ㅋ, ㅌ, ㅍ, ㅊ)을 나타내는 어포스트로피(')가 자주 생략되었다. 이로 인해 ㅓ/ㅗ, ㅡ/ㅜ, 유성음/무성음, 격음/평음 간의 구분이 어려워져 혼란을 야기했다.[6] 예를 들어, '히'와 '키', '니'와 '리'를 브레베 없이 표기하면 구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생략은 한국 정부가 2000년에 새로운 로마자 표기법(문화관광부 2000년식)을 공포하게 된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
  • 유성음/무성음 표기: 한국어는 음운상 유성음과 무성음을 구별하지 않지만,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음성상 구별을 표기한다. 이는 외국인에게는 한국어 발음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일부에서는 불필요한 혼란을 야기한다고 비판한다.
  • 복잡성: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학술적 목적을 위해 개발되었기 때문에, 발음 구별 부호를 많이 사용하여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복잡하다는 비판이 있다. 라이샤워 자신도 일반적인 사용에는 표기법이 너무 복잡하다고 인정했다.[14]


하지만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옹호자들은 한국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한국어에 가까운 발음을 할 수 있다면, 브레베나 어포스트로피의 생략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6. 북한에서의 변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의 변형을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격음 표기에 어포스트로피(') 대신 'h'를 사용한다. (예: 평성 → Phyŏngsŏng)[15] 다만, 'ㅊ'은 'chh'가 아닌 'ch'로 표기한다.
  • 'ㅈ'은 항상 'j'로 표기한다.[15] (예: 주체 → Juche)
  • 'ㅉ'은 'jj'로 표기한다. (예: 안쪽 → anjjok)
  • 'ㄹㄹ'은 'll' 대신 'lr'로 표기한다. (예: 빨리 → ppalri)
  • 'ㄹㅎ'은 'rh' 대신 'lh'로 표기한다. (예: 발해 → Palhae)
  • 'ㄹ'이 비음화되어 'ㄴ'으로 발음되는 경우에도 'r'로 표기한다. (예: 목란 → Mongran)
  • 'ㄴㄱ'과 'ㅇㅇ'은 하이픈으로 구분한다. (예: 연구 → yŏn-gu, 영어 → yŏng-ŏ)
  • 'ng' 다음에 'y' 또는 'w'가 오는 경우에는 하이픈을 사용하지 않는다. (예: 평양 → Phyŏngyang, 강원 → Kangwŏn)
  • 인명 표기 시 음절을 띄어 쓰고, 각 음절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예: 김일성 → Kim Il Sŏng)[16]


한글매큔-라이샤워 표기법북한 변형의미
편지|Pyeonji한국어phyŏnji편지
주체|Juche한국어Juche주체사상
안쪽|Anjjok한국어anjjok안쪽
빨리|Ppalli한국어ppalri빨리
발해|Balhae한국어Palhae발해
목란|Mongnan한국어mongran목련
연구|Yeongu한국어yŏn-gu연구
영어|Yeongeo한국어yŏng-ŏ영어
안복철|An Bokcheol한국어An Pok Chŏl이름 (성 안|An한국어, 이름 복철|Bokcheol한국어)
렬도|Ryeoldo한국어ryŏldo열도


7. 대한민국에서의 변형 (1984-2000)

1984년부터 2000년까지 대한민국에서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일부 수정한 "문교부 1984년식"을 사용하였다. 이 방식은 원래 표기법과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 '시'는 'si' 대신 'shi'로 표기하였다. 이는 'ㅅ' 뒤에 'ㅣ'가 올 때, 영어의 'sh' 발음과 유사한 발음이 나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 'ㅝ'는 'wŏ' 대신 'wo'로 표기하였다. 한국어 음운론에 'ㅗ' 또는 'ㅜ'(반모음) + 'ㅗ'의 이중모음 'w'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wŏ'에서 단모음 표기를 생략했다.
  • 'ㄴㄱ'와 'ㅇㅇ', 'ㅏ에'와 'ㅐ', 'ㅗ에'와 'ㅚ'를 구분하기 위해 아포스트로피 대신 하이픈(-)을 사용했다. 따라서 아포스트로피는 격음 표기에만 사용되었다.
  • 'ㄹㅎ'는 'rh' 대신 'lh'로 표기하였다.
  • 고유명사의 경우, 이름의 각 음절은 하이픈으로 구분되었다. 하이픈 바로 뒤에 오는 자음 'ㄱ', 'ㄷ', 'ㅂ', 'ㅈ'는 유성음일 경우에도 각각 'k', 't', 'p', 'ch'로 표기된다 (예: 남궁동자 → Namgung Tong-cha).


다음 표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과 문교부 1984년식의 차이점을 보여준다.

한글매큔-라이샤워 표기법문교부 1984년식의미
시장sijangshijang시장
쉽다shwiptaswipta쉽다
소원sowŏnsowon소원
연구yŏn'guyŏn-gu연구
영어yŏngŏyŏng-ŏ영어
회사에서hoesaësŏhoesa-esŏ회사에서
차고에ch'agoëch'ago-e차고에
발해ParhaePalhae발해
낙하산nakhasannak'asan낙하산
못하다mothadamot'ada못하다
곱하기kophagikop'agi곱하기
남궁동자Namgung TongjaNamgung Tong-cha고유명사 (성: 남궁, 이름: 동자)


8. ALA-LC 로마자 표기법

미국 도서관 협회-미국 의회 도서관 (ALA-LC) 로마자 표기법은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기반으로 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11] 단어 분리 규칙이 상세하다. /ㄷ/ + /ㅆ/는 'ss' 대신 'ts'로 표기한다. 고유명사 표기 시 성씨 '이'는 'Yi'로 표기하고, 두 음절 이름은 음절 사이에 하이픈(-)을 삽입한다.


  • 7페이지에 걸쳐 상세하게 단어 분리 문제를 다룬다.
  • * 조사(또는 문법적 어미)는 앞선 단어와 분리되는데, 원래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는 이렇게 하지 말라고 명시적으로 언급하고 있다.[12]
  • /ㄷ|ㄷ한국어/ + /ㅆ|ㅆ한국어/는 ''ss'' 대신 ''ts''로 표기된다.
  • 고유명사의 경우:
  • * 성씨 이|이한국어는 ''I'' 대신 ''Yi''로 표기된다.
  • * 두 음절로 된 이름의 경우, 성이 앞에 올 때만 음절 사이에 하이픈(-)을 삽입하고, 음절 간의 음운 변화를 표시한다. 원래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는 이것도 하지 말라고 명시적으로 언급하고 있다.[13]
  • ** 하지만, 이름이 세 음절 이상이거나 한자어가 아닌 경우에는 음절을 나누지 않고 연결한다(예: 신사임당|신사임당한국어 ''Sin Saimdang'', 김삿갓|김삿갓한국어 ''Kim Satkat'').


다음 표는 위의 차이점을 보여준다.

한글매큔-라이샤워ALA-LC 변형의미
꽃이|꽃이한국어kkoch'ikkot i꽃 + (주격 조사)
굳세다|굳세다한국어kussedakutseda굳세다
이석민|이석민한국어I SŏngminYi Sŏng-min성명 (성 이|이한국어, 이름 석민|석민한국어)


9. 인명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 인명은 성과 이름을 띄어 쓰지만, 이름 안의 음절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939년 원 논문에서는 성과 이름 사이의 음운 변화를 무시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예: 백낙준 → Paek Nakchun)

예외적으로, 서울(Sŏul 대신 Seoul), 이(I 대신 Yi) 등 널리 쓰이는 표기는 허용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1939년 논문에 제시된 인명 표기 예시는 다음과 같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인명 표기 예시
한글 표기매큔-라이샤워 표기법
최현배Ch'oe Hyŏnbae
정인섭Chŏng Insŏp
김선기Kim Sŏn'gi
최남선Ch'oe Namsŏn
김용운Kim Yongun
오세준O Sejun


참조

[1] 웹사이트 McCune-Reischauer Romanization https://guides.lib.u[...] University of Chicago
[2] 논문 On Korean Romanization https://www.jstor.or[...]
[3] 서적 Tables of the McCune-Reischauer System for the Romanization of Korean https://books.googl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Korea Branch
[4] 서적 The Korean Language: Structure, Use and Context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웹사이트 Working Paper No. 46 https://unstats.un.o[...] 2018-03-17
[6] 웹사이트 Romanization of Korean http://www.korea.net[...]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2007-05-09
[7] 웹사이트 김보람(金보람) https://lawpeople.la[...] 법률신문 (The Law Times) 2023-08-15
[8] 웹사이트 강보람(姜寶濫) https://lawpeople.la[...] 법률신문 (The Law Times) 2023-08-15
[9] 웹사이트 Romanization of Korean https://www.korean.g[...] Korean-language Life (국어생활) 1984-10
[10] 웹사이트 Report on the State of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and Romanization in Korea https://unstats.un.o[...]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uncil 1987-08-25
[11] 웹사이트 ALA-LC Romanization Tables https://www.loc.gov/[...]
[12] 서적 The nouns, likewise, should be written together with their postpositions, including those called case endings, not separately as in Japanese, because phonetically the two are so merged that it would often be difficult and misleading to attempt to divide them.
[13] 서적 A simple example, the word Silla, will help to clarify the point. In Chinese, ''hsin'' 新 plus ''lo'' 羅 are pronounced Hsin-lo but in Korea, ''sin'' 新 plus ''na'' (''la'') 羅 are pronounced Silla. To hyphenate this name as Sil-la would imply that it is composed of two parts which individually are ''sil'' and ''la'', which is obviously misleading.
[14] 서적
[15] 뉴스 Words, words: North and South Korea's differing romanization https://www.nknews.o[...] 2017-11-21
[16] 서적 North Korea Undercover: Inside the World's Most Secret State https://books.google[...] Bantam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