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몽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훈몽자회는 1527년 최세진이 편찬한 한자 학습서로, 어린이를 위한 한자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한글 보급에 기여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이 책은 천자문과 달리 실생활과 관련된 한자를 의미별로 묶어 제시하고, 각 한자에 한글로 음과 뜻을 표기하여 훈민정음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훈민정음의 자모 이름을 기록하고, 훈민정음 표기법을 제시하여 한글 자모 체계 연구에도 기여했다. 현재 부산대학교 박물관에 목판이 보관되어 있으며, 초간본은 일본 에이산 문고에, 재간본은 도쿄 대학에 소장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훈몽자회 | |
---|---|
훈몽자회 | |
![]() | |
한글 | 훈몽자회 |
한자 | 訓蒙字會 |
히라가나 | くんもうじかい |
가타카나 | フンモンジャフェ |
로마자 표기 | Hunmong Jahoe |
관련 문서 | |
위키문헌 (한국어) | 훈몽자회 |
위키문헌 (한국어) | 훈몽자회 |
2. 구성 및 내용
『훈몽자회』는 상, 중, 하 3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자문과 같이 4자 1구 형식으로 한자를 배열하였으나, 의미별로 묶어 나열한 것이 특징이다.[4]
최세진은 서문에서 기존 한자 학습서인 『천자문』이나 『류합』이 어린이들에게 부적합하다고 지적하며, 실생활과 관련된 '실자(實字)'와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허자(虛字)'를 구분하여 학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상, 중권에는 실자를, 하권에는 허자를 수록하였다.
각 한자에는 훈민정음으로 뜻과 음이 표기되어 있다. 예를 들어, '天' 자에는 "하늘텬 하늘천"이라고 하여, '하늘'이 뜻이고 '텬'이 음임을 나타냈다. 이러한 표기는 16세기 중세 국어 및 한국 한자음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1]
총 3,360자가 수록되어 있으며, 당시 어린이들이 배우기 어려웠던 《천자문》의 고사나 추상적인 내용 대신 생활 주변의 사물을 다루어 학습 효과를 높였다.[4] 또한 훈민정음 보급과 훈민정음 고어 연구에도 기여하였다. 출판에 사용된 목판은 현재 부산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166호로 지정되어 있다.[5]
2. 1. 한글 낱자 이름
훈민정음을 만들던 당시에 한글 낱자들을 무엇이라 불렀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 책에는 ‘기역, 니은, ……’등의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최세진이 한글 낱자의 이름을 지은 당사자로 추정은 되나 정확한 것은 알 수 없으며, 다만 《훈몽자회》는 한글 낱자의 이름이 수록된 최초의 문헌이다.[6][7]2. 2. 훈민정음 표기법
이 책에서는 훈민정음을 '반절(反切)'이라 칭하였고,[8] 'ㆆ(여린 히읗)'을 실제 소리에서 없애고, 받침은 'ㄱ·ㄴ·ㄷ·ㄹ·ㅁ·ㅂ·ㅅ·ㅇ'의 8자로 한정했다.초종성 통용팔자(初終聲通用八字)로는 'ㄱ(기역/其役)·ㄴ(니은/尼隱)·ㄷ(디귿/池末)·ㄹ(리을/梨乙)·ㅁ(미음/眉音)·ㅂ(비읍/非邑)·ㅅ(시옷/時衣)·ㆁ(첫가끝/異凝)'을 들었고, 초성독용팔자(初聲獨用八字)로는 'ㅋ(키/箕)·ㅌ(티/治)·ㅍ(피/皮)·ㅈ(지/之)·ㅊ(치/齒)·ㅿ(ᅀ/而)·ㅇ(이/伊)·ㅎ(히/屎)'로 규정하였다.
한자는 뜻과 관계없이 소리만 빌려서 해당 자모의 첫소리와 끝소리를 나타내도록 하였고, 알맞은 한자음이 없는 경우에는 새김으로 읽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시옷에 해당하는 한자 衣는 원본에서 동그라미를 쳐서 뜻인 '옷'으로 읽게 하였고, 末도 귿(끝)으로 읽게 하였다.)
범례에는 “훈민자모”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있지만, 『훈민정음』의 그것과는 배열이 크게 다르다. 먼저 초성(음절두자음)에 대해서는 음절말자음으로도 나타나는 “초성종성통용(初聲終聲通用)” 8자를 나열하고, 그 다음 종성이 되지 않는 “초성독용(初聲獨用)” 8자를 나열하고 있다. 다음으로 중성 11자를 나열하고, 그 후 초성과 중성을 나열한 예, 초성·중성·종성을 나열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고저 악센트를 나타내기 위한 傍点의 설명이 있다. 『훈민정음』의 28자 중 'ㆅ'는 없으며, 또 초성의 'ㆁ'(ŋ)과 'ㅇ'(영)이 실제로는 구별되지 않는다는 점도 언급하고 있다. 현대 한국어의 자모 명칭과 순서는 『훈몽자회』의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2]
3. 의의 및 영향
《훈몽자회》는 당시 사용되던 한자 학습서인 《천자문》 등이 고사와 추상적인 내용이 많아 어린이들이 배우기 어려웠던 점을 해결하고자, 생활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사물에 관한 글자들을 수록하였다.[4] 수록된 한자는 모두 3,360자인데, 그 뜻과 음을 훈민정음을 사용해서 달아 놓았기 때문에 훈민정음(한글) 보급에도 기여했으며, 오늘날에는 훈민정음 고어(古語)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출판에 사용되었던 목판은 현재 부산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6호로 지정되어 있다.[5]
4. 판본
1527년 초간본(약칭 에이산본(叡山本일본어)): 을해자(乙亥字)로 교토 히에이 산(比叡山일본어)의 에이산 문고(叡山文庫일본어)에 보관되어 있다.[1]
도쿄 대학본(東京大学本일본어): 도쿄 대학 중앙 도서관(中央図書館일본어)에 보관되어 있다.[1]
존경각본(尊經閣本): 일본 존경각 문고 소장.[1]
규장각본(奎章閣本): 서울대학교 규장각 도서.[1]
범문사본(汎文社本): 범문사 간행본.[1]
낙예본(洛汭本): 동국대, 고려대 보관.[1]
미만본(瀰漫本)[1]
한국에는 오래된 훈몽자회가 많이 남아 있지만, 이기문의 연구에 따르면, 연력사 혜산문고(叡山文庫)에 소장된 활자본이 현존하는 것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초판본으로 추정된다. 다른 책들과 달리 한자 배열이 1행 4자로 되어 있지 않다. 도쿄대학 종합도서관 소장본은 목판본이며, 혜산문고 소장본에 비해 오류가 적어 최세진 자신이 수정하여 재간행한 판본으로 여겨진다. 그 외에도 몇몇 자료가 있지만, 도쿄대학 종합도서관 소장본보다 후대의 것으로 보인다.[1]
참조
[1]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07
[2]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3
[3]
웹사이트
새로운 시작, 훈몽자회
https://terms.naver.[...]
박영준, 시정곤, 정주리, 최경봉
2002-04-20
[4]
웹사이트
훈몽자회 [訓蒙字會]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5]
간행물
부산광역시 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 고시
부산광역시장
2015-11-18
[6]
웹사이트
한글
https://terms.naver.[...]
한국학중앙연구원
[7]
웹사이트
훈몽자회 [訓蒙字會]
https://terms.naver.[...]
한국학중앙연구원
[8]
웹사이트
한글
https://terms.naver.[...]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