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상어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래상어과는 상어와 가오리의 중간 형태를 가진 물고기들을 포함하는 과이다. 가오리와 유사하게 납작한 몸과 꼬리를 가지며, 난태생으로 갯벌이나 모래 속에 서식하며 무척추동물이나 작은 물고기를 먹고 산다. 가래상어과의 분류는 복잡하며, 많은 종들이 자체 과로 이동했다. 현재는 5개의 속으로 분류되며, 화석 종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래상어과 - 가래상어속
가래상어속은 납작한 몸통과 뾰족한 주둥이를 가진 가래상어목 연골어류의 한 속으로, 다양한 해양 환경에 서식하며 어류, 두족류, 갑각류 등을 먹이로 삼고, 일부 종은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지만 멸종 위협에 직면해 보호 및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며, 티토니아절부터 현재까지 생존해 온 화석이 발견되었다. - 가래상어과 - 점수구리
점수구리는 최대 53cm까지 자라는 톱상어보다 작은 물고기로, 회갈색 등과 흰색 배를 가지고 남일본에서 동중국해 연안의 모래나 진흙 바닥에 서식하며, 물고기나 새우를 먹고 여름에 2-9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지느러미는 샥스핀, 어묵 등의 재료로 사용된다.
가래상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Rhinobatidae |
명명자 | J. P. 뮐러 & 헨레, 1837 |
영어 이름 | Guitarfish |
일본어 이름 | 사카타자메科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연골어강 |
아강 | 판새아강 |
목 | 노코기리에이목 |
상목 | 가오리상목 |
지리적 분포 및 서식지 | |
서식지 | 전 세계의 열대 및 온대 해역 |
형태 및 특징 | |
특징 | 납작한 몸체와 뾰족한 주둥이 |
생태 및 행동 | |
식성 | 갑각류, 연체동물, 작은 물고기 |
진화 및 화석 기록 | |
화석 기록 | 쥐라기 후기 ~ 현재 |
하위 분류 | |
속 | Acroteriobatus Pseudobatos Rhinobatos †Myledaphus |
2. 형태
가래상어과는 상어와 가오리의 중간 형태를 가진다. 꼬리는 전형적인 상어와 같은 형태를 띠지만, 많은 종에서 머리는 다른 가오리류에서 나타나는 가슴지느러미와의 융합으로 형성된 원반 모양이 아닌 삼각형 또는 기타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4] 몸통은 가오리처럼 세로로 납작하고 삼각형 또는 기타 모양이며, 꼬리 부분은 발달했고 2개의 등지느러미가 있어 상어와 같다.[19]
가래상어는 난태생이며, 배아는 부화할 준비가 될 때까지 어미의 체내에서 알 안에 머물며 성숙한다.[5] 이는 가오리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가래상어는 갯벌이나 모래 속에 몸을 숨기고 벌레, 게, 조개를 먹는 저서 생물이다.[6] 어떤 종은 염분, 담수 및 기수를 견딜 수 있다.[7] 이들은 일반적으로 해변/해안선 근처나 강어귀에 서식하며,[7] 무척추동물이나 작은 물고기를 포식한다.[21] 담수로 진출하는 종도 있다.[20]
가오리와 기타피쉬를 포함한 가오리는 고대 연골어류 계통에 속한다. 오늘날의 연골어류와 유사한 피부 소치 (피부의 이빨 모양 비늘) 화석은 최소한 오르도비스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연골어류의 가장 오래된 명확한 화석은 데본기 중기부터 발견된다. 이 다양한 과 내의 분기도인 신새강어류는 트라이아스기에 출현했으며, 가장 잘 알려진 신새강어류 화석은 쥐라기부터 발견된다. 이 분기도는 오늘날 상어, 톱상어, 가오리 및 가오리로 대표된다.[8]
가래상어과의 분류는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 가래상어과에 속했던 많은 물고기들이 현재는 다른 과로 재분류되었다. 넬슨(Nelson)의 2006년 ''세계의 물고기''(Fishes of the World)에서는 ''Aptychotrema'', 가래상어속(''Rhinobatos''), ''Trygonorrhina'', ''Zapteryx''의 4개 속을 가래상어과로 인정했지만, 이후 ''Aptychotrema'', ''Trygonorrhina'', ''Zapteryx''는 Trygonorrhinidae 과로 재분류되었다. 또한 ''Platyrhinoidis''와 활가래상어(''Rhina'') 등도 다른 과로 이동했다.
3. 생태
4. 진화
5. 분류
가래상어속(Rhinobatos)은 유전적, 형태적 특징에 따라 Acroteriobatus, Pseudobatos, Rhinobatos의 세 속으로 나뉜다.[9][10][11] ''Tarsistes''는 Pseudobatos의 동의어일 가능성이 제기되며,[9][10][11] 이전에 가래상어과에 포함되었던 다른 속들은 Glaucostegidae, Rhinidae, Trygonorrhinidae 등으로 이동했다.[9][10][11]
최근에는 ''Glaucostegus'' 속이 가래상어속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과인 Glaucostegidae를 구성하게 되었다. 2021년에는 이탈리아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Rhinobatos" dezignii''와 †''"Rhinobatos" primaevus''가 각각 †''Pseudorhinobatos''와 †''Eorhinobatos''로 재분류되었다.[12]
현재 가래상어과, 시노노메가래상어과, Trygonorrhinidae에 분류된 종들은 과거에 가래상어과에 속했던 적이 있다.[22][23][24] 현재 가래상어과에는 3개의 현존하는 속과 3개의 화석 속이 알려져 있다.[25]
5. 1. 하위 분류
가래상어과는 다음 속들을 포함한다.
속 | 학명 및 명명자 | 종 수 | 비고 |
---|---|---|---|
Acroteriobatus | Giltay, 1928 | 10종 | 인도양 북서부와 아프리카 남부에 분포. 사카타자메속에서 독립.[24] |
†Eorhinobatos | Marramà et al., 2021 | 1종 | [12] |
Pseudobatos | Last, Seret, and Naylor, 2016 | 9종 | 아메리카 대륙 연안에 분포. 사카타자메속에서 독립.[24] |
†Pseudorhinobatos | Marramà et al., 2021 | 1종 | [12] |
사카타자메속 (Rhinobatos) | H. F. 링크, 1790 | 8종 | 과거에는 모든 종이 이 속에 포함되었으나, 현재는 3개 속으로 분류.[20] |
과거 가래상어과로 분류되었던 속들은 다음과 같다.
- ''Aptychotrema'' Norman, 1926
- ''Glaucostegus'' Bonaparte, 1846
- 목탁수구리속 (''Rhina'') - 별도의 수구리과(Rhinidae)로 분류하기도 한다.
- 동수구리속 (''Rhynchobatus'')
- ''Tarsistes'' D. S. Jordan, 1919 - ''Pseudobatos''의 동의어일 수 있다.
- ''Trygonorrhina'' J. P. Müller & Henle, 1838
- ''Zapteryx'' D. S. Jordan & C. H. Gilbert, 1880
가래상어과 분류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으며, 한때 이 과에 속했던 많은 물고기들이 자체 과로 이동했다. 넬슨(Nelson)의 2006년 ''세계의 물고기''(Fishes of the World)는 이 과에서 ''Aptychotrema'', ''Rhinobatos'', ''Trygonorrhina'', ''Zapteryx''의 4개 속을 인정했다. 이 중 ''Aptychotrema'', ''Trygonorrhina'', ''Zapteryx''는 ''Trygonorrhinidae'' 과로 재분류되었다. 한때 가래상어과에 속했던 ''Platyrhinoidis''와 ''Rhina''와 같은 몇몇 다른 분류군도 자체 과로 이동했다. 최근에는 ''Glaucostegus'' 속이 다시 ''Rhinobatos''와 구별되는 것으로 인정되어 자체 과인 ''Glaucostegidae''를 구성하게 되었다.
''Rhinobatos''는 유전적 및 형태적 고려 사항에 따라 세 속(''Rhinobatos'', ''Acroteriobatus'', ''Pseudobatos'')으로 나뉜다.[9][10][11]
6. 사진
참조
[1]
FishBase_family
[2]
웹사이트
Eastern Shovelnose Ray, Aptychotrema rostrata (Shaw & Nodder, 1794)
https://australian.m[...]
[3]
웹사이트
Western Shovelnose Ray (Aptychotrema vincentiana)
https://inaturalist.[...]
[4]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5]
웹사이트
Blackchin Guitarfish
https://www.aquarium[...]
2024-06-11
[6]
웹사이트
Shovelnose guitarfish, Sandy Seafloor, Fishes, Rhinobatos productus at the Monterey Bay Aquarium
http://www.montereyb[...]
Monterey Bay Aquarium Foundation
2015-05-01
[7]
웹사이트
FLMNH Ichthyology Department: Atlantic Guitarfish
http://www.flmnh.ufl[...]
2015-05-01
[8]
웹사이트
Chondrichthyes: Fossil Record
http://www.ucmp.berk[...]
[9]
서적
Rays of the World
CSIRO
[10]
서적
Elasmobranch Phylogeny: A Mitochondrial Estimate Based on 595 Species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11]
논문
A new species of guitarfish, Rhinobatos borneensis sp. nov. with a redefinition of the family-level classification in the order Rhinopristiformes (Chondrichthyes: Batoidea)
[12]
논문
Anatomy, taxonomy and phylogeny of the Eocene guitarfishes from the Bolca Lagerstätten, Italy,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s of the Rhinopristiformes (Elasmobranchii: Batomorphii)
[13]
논문
Rhinobatos jimbaranensis and R. penggali, two new shovelnose rays (Batoidea: Rhinobatidae) from eastern Indonesia.
[14]
논문
Rhinobatos nudidorsalis, a new species of shovelnose ray (Batoidea: Rhinobatidae) from the Mascarene Ridge, central Indian Ocean
[15]
웹사이트
RHINOBATIDAE
https://fishesofaust[...]
2023-03-14
[16]
논문
Anatomy, taxonomy and phylogeny of the Eocene guitarfishes from the Bolca Lagerstätten, Italy,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s of the Rhinopristiformes (Elasmobranchii: Batomorphii)
https://academic.oup[...]
2021-07-30
[17]
웹사이트
Eastern Shovelnose Ray, Aptychotrema rostrata (Shaw & Nodder, 1794)
https://australian.m[...]
2024-02-16
[18]
웹사이트
Western Shovelnose Ray (Aptychotrema vincentiana)
https://inaturalist.[...]
2024-02-16
[19]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20]
FishBase_family
[21]
웹사이트
Shovelnose guitarfish, Sandy Seafloor, Fishes, Rhinobatos productus at the Monterey Bay Aquarium
http://www.montereyb[...]
Monterey Bay Aquarium Foundation
2024-02-16
[22]
서적
Rays of the World
CSIRO
[23]
서적
Elasmobranch Phylogeny: A Mitochondrial Estimate Based on 595 Species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24]
논문
A new species of guitarfish, Rhinobatos borneensis sp. nov. with a redefinition of the family-level classification in the order Rhinopristiformes (Chondrichthyes: Batoidea)
[25]
논문
Anatomy, taxonomy and phylogeny of the Eocene guitarfishes from the Bolca Lagerstätten, Italy,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s of the Rhinopristiformes (Elasmobranchii: Batomorphii)
[26]
논문
Resolution of the Acroteriobatus leucospilus species complex, with a redescription of A. leucospilus (Norman, 1926) and descriptions of two new western Indian Ocean species of Acroteriobatus (Rhinopristiformes, Rhinobatidae)
[27]
논문
Acroteriobatus omanensis (Batoidea: Rhinobatidae), a new guitarfish from the Gulf of Oman
https://www.biotaxa.[...]
2016
[28]
논문
Notes on batoid fishes of the Socotra Archipelago (north-western Indian Ocean), with four new records
2021
[29]
논문
A New Guitarfish of the Genus Pseudobatos (Batoidea: Rhinobatidae) with Key to the Guitarfishes of the Gulf of California
https://doi.org/10.1[...]
2019
[30]
논문
A new species of guitarfish, Rhinobatos borneensis sp. nov. with a redefinition of the family-level classification in the order Rhinopristiformes (Chondrichthyes: Batoidea)
http://biotaxa.org/Z[...]
2016-06-02
[31]
FishBase_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