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탁수구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탁수구리는 인도-태평양 열대 해역에 분포하는 가오리류의 일종으로, 독특한 외형과 습성으로 인해 수족관에서 인기가 높다. 1801년 처음 기재되었으며, 형태학적,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분류학적 위치가 논의되고 있다. 최대 3.6m까지 성장하며, 저서성 어류, 갑각류 등을 먹이로 한다. 뱀상어에게 포식당하며, 기생충에 감염되기도 한다. 태생으로, 암컷은 한 배에 2~1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어업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지느러미는 샥스핀으로, 살은 식용으로 이용된다. 서식지 파괴, 어업 등으로 인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목탁수구리를 취약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생어 - 등가시치
- 태생어 - 흉상어
흉상어는 흉상어과에 속하는 대형 상어로,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의 얕은 연안에서 발견되며, 삼각형 등지느러미와 긴 가슴지느러미를 가지고 어류 등을 먹고 살며, 난태생으로 새끼를 낳고, 과도한 어획으로 인해 취약종으로 지정되었다. - 수구리과 - 일본수구리
일본수구리는 태평양의 일본과 중국 남부 지역에 서식하며, 30~80V의 전기를 방출하여 사냥하는 특징을 가진 수구리과의 어류로, 주둥이 형태와 반점 유무로 뾰족가오리와 구별되며, 학명은 일본 설화 속 귀신인 모노노케에서 유래했다. - 수구리과 - 동수구리
동수구리는 인도양과 서태평양의 얕은 해역에 서식하며 흰색 반점과 어두운 띠 모양 무늬가 특징인 대형 가오리류 물고기이지만, 낮은 번식률과 남획, 서식지 파괴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서 위급종으로 분류되었다. - 홍해의 물고기 - 숭어
숭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 연안과 기수역에 서식하는 잡식성 어류로, 가로줄이 있는 몸과 얇은 입술, 지방눈꺼풀이 특징이며, 해조류 등을 섭취하고 무리 생활을 하며,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알은 가공식품으로도 쓰인다. - 홍해의 물고기 - 스톤피쉬
스톤피쉬는 인도양과 태평양에 서식하며 위장술과 독성을 가진 물고기로, 식용 및 관상어로 이용되나 독성으로 인해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어 보호 노력이 요구되고, 문화적으로 은밀함 등을 상징한다.
목탁수구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Rhina ancylostoma |
명명자 | Bloch & J. G. Schneider, 1801 |
이명 | Rhina cyclostomus Swainson, 1839 |
영명 | Bowmouth guitarfish Shark ray Mud skate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연골어강 |
목 | 노코기리에이목 |
과 | 시노노메사카타자메과 |
속 | 시노노메사카타자메속 (Rhina) |
분포 | |
![]() | |
보존 상태 | |
IUCN | 취약종 |
CITES | 부속서 II |
신체적 특징 | |
길이 | 2.7m |
무게 | 135kg |
최대 깊이 | 90m |
2. 분류 및 계통
목탁수구리는 홍어목에 속하는 어류로, 그 분류 및 계통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해 왔다. 마르쿠스 엘리에제르 블로흐와 요한 고틀로프 슈나이더가 1801년 처음 기재했으며,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연구 등 분자생물학적 증거와 형태학적 증거에 따라 홍어목, 수구리목(Rhinopristiformes) 등으로 분류된다.
2. 1. 과 및 속

독일의 박물학자 마르쿠스 엘리에제르 블로흐와 요한 고틀로프 슈나이더가 1801년 ''Systema Ichthyologiae''에 목탁수구리를 처음 기재했다. 모식표본은 인도 코로만델 해안에서 포획된 신장 51 센티미터의 개체였는데, 현재는 소실되었다. 속명 "리나(''Rhina''la)"는 고대 그리스어로 "(돼지 등의) 주둥이"라는 뜻의 "르히노스(ρινοσ|''rhinos''grc)"에서 유래했고, 종명 "안킬로스토마(''ancylostoma''la)"는 그리스어로 "뒤틀린"이라는 뜻의 "안퀼로스(ανκυλοσ|''ankylos''el)"와 "입"이라는 뜻의 "스토마(στομα|''stoma''el)"에서 유래했다. 블로흐와 슈나이더는 "안킬로스토무스(''ancylostomus''la)"라고 썼고 그렇게 쓰인 문헌이 일부 존재하지만, 오늘날에는 대부분 "안킬로스토마"가 올바른 것으로 여겨진다. 그 외에 목탁수구리를 가리키는 통상명으로는 상어가오리(shark ray영어), 뻘홍어(mud skate영어), 짧은코뻘홍어(shortnose mud skate영어), 활주둥이천사고기(bow-mouthed angel fish영어), 활주둥이천사상어(bow-mouthed angel shark영어) 등이 있다.
목탁수구리와 다른 가오리과 고기들 사이의 진화적 관계는 논쟁의 대상이다. 형태학적 증거를 보면 목탁수구리속은 동수구리속(''Rhynchobatus''la)과 가까운 관계인 것처럼 보인다. 동수구리속 역시 커다란 상어와 비슷한 지느러미를 가진 가오리들로 이루어진 속이다. 형태학적 분석은 목탁수구리속과 동수구리속을 가오리들의 기군을 이루게 분류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이들이 가래상어과 및 홍어과의 기군일 뿐이라고 하기도 하고, 또다른 일부에서는 이들이 톱가오리를 제외한 모든 가오리의 기군이라고 하기도 한다. 2012년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연구 결과는 목탁수구리속과 동수구리속은 가래상어들과 관련된 자매 분류군이라는 설을 지지한다. 그러나 동시에 이들이 홍어가 아닌 톱가오리와 분기군을 형성한다는 의외의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최초 기재 당시 블로흐와 슈나이더는 목탁수구리를 Abdominales 목으로 분류했다. 이 목은 배지느러미가 가슴지느러미 바로 뒤에 붙어 있는 물고기들이 포함된 목이었는데, 현재는 폐기되어 사용되지 않는다. 오늘날의 학자들은 목탁수구리를 홍어목에 포함시키거나 또는 아예 수구리목(Rhinopristiformes)을 새로 제안해 거기 포함시키기도 한다. 1841년 요하네스 페테르 뮐러와 프리드리히 구스타프 야코프 헨레는 ''Systematische Beschreibung der Plagiostomen''에서 목탁수구리속과 동수구리속을 하나로 묶어 수구리과(Rhinaela)로 분류했다. 후대 학자들도 목탁수구리를 수구리과 또는 동수구리과(Rhynchobatidaela)로 함께 분류했다. 2006년 조지프 넬슨이 《세계의 물고기》 제4판에서 목탁수구리를 홍어목 수구리과의 유일종으로 분류했고, 이 분류는 형태학적으로 지지받고 있으나 분자생물학적 증거는 아직 없다.
2. 2. 진화적 관계
목탁수구리와 다른 가오리들 간의 진화적 관계는 논쟁의 대상이다. 형태학적 증거에 따르면 목탁수구리속(''Rhina''la)은 동수구리속(''Rhynchobatus''la)과 가까운 관계인 것으로 보인다. 동수구리속 역시 커다란 상어와 비슷한 지느러미를 가진 가오리들로 이루어진 속이다. 형태학적 분석은 목탁수구리속과 동수구리속을 가오리들의 기군으로 분류하는 경향이 있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들이 가래상어과 및 홍어과의 기군일 뿐이라고 주장하거나, 톱가오리를 제외한 모든 가오리의 기군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2012년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연구 결과는 목탁수구리속과 동수구리속이 가래상어들과 관련된 자매 분류군이라는 가설을 지지한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이들이 홍어가 아닌 톱가오리와 분기군을 형성한다는 예상 밖의 사실도 밝혀졌다.블로흐와 슈나이더는 목탁수구리를 처음 기재했을 때, 배지느러미가 가슴지느러미 바로 뒤에 붙어 있는 물고기들이 포함된 Abdominales 목으로 분류했지만, 이 목은 현재 폐기되어 사용되지 않는다. 오늘날 학자들은 목탁수구리를 홍어목에 포함시키거나, 수구리목(Rhinopristiformes)을 새로 제안하여 거기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1841년 요하네스 페테르 뮐러와 프리드리히 구스타프 야코프 헨레는 ''Systematische Beschreibung der Plagiostomen''에서 목탁수구리속과 동수구리속을 묶어 수구리과(Rhinaela)로 분류했다. 이후 학자들은 목탁수구리를 수구리과 또는 동수구리과(Rhynchobatidaela)로 분류했다. 2006년 조지프 넬슨은 《세계의 물고기》 제4판에서 목탁수구리를 홍어목 수구리과의 유일종으로 분류했는데, 이 분류는 형태학적으로는 지지받지만 분자생물학적 증거는 아직 없다.
3. 형태
목탁수구리는 둥근 머리, 툭 튀어나온 등, 상어처럼 커다란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어 매우 특이한 외모를 지녔다.
3. 1. 신체 특징
목탁수구리는 신장 3.6m, 체중 170kg까지 자라는 다부진 어종이다. 머리는 위아래로 짧고 좌우로 넓으며, 주둥이는 굴곡 없이 둥글다. 중간 크기의 눈과 커다란 숨구멍이 있는 머리 앞부분은 나머지 몸체와 확실히 구분된다. 길쭉한 콧구멍은 가로 방향으로 찢어져 있으며 그 앞쪽 경계에 피부판이 발달해 있다. 아랫턱은 3개 엽이 뻐드렁져있고 이는 반대로 세 부분이 쏙 들어가 있는 윗턱과 들어맞는다. 윗턱에는 이빨이 47개, 아랫턱에는 50개가 구불구불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빨은 짧고 무딘 편이며 치아능선이 있다. 아가미구멍은 다섯 쌍이고 배 쪽에 나 있으며 머리의 옆쪽 가장자리에 가까이 붙어 있다.커다란 낫 모양의 등지느러미가 두 개 있으며, 그 등지느러미와 머리 사이는 잘록하다. 첫째 등지느러미는 둘째 등지느러미보다 3분의 4배 정도 더 크고 배지느러미 뿌리와 거의 같은 위치에 뿌리가 있다. 둘째 등지느러미는 첫째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의 중간에 위치한다. 넓은 삼각형의 가슴지느러미는 가장자리에 요철이 있고 두 가슴지느러미 가장자리는 머리에서 만난다.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보다 작고, 뒷지느러미는 없다. 꼬리가 몸통보다 더 길며 꼬리 끝에는 커다란 초승달 모양의 꼬리지느러미가 있다. 꼬리지느러미의 아랫엽은 윗엽의 절반보다 조금 더 크다.
목탁수구리의 등면은 전체가 회색 질감에 작은 피치가 조밀하게 덮여 있다. 등 중앙을 따라 두꺼운 능선이 돋아 있으며, 이 능선에는 날카롭고 억센 가시가 돋쳐 있다. 두 눈 앞쪽에도 가시가 돋친 능선이 하나 있으며, 눈에서 숨구멍 쪽으로 가는 선과 "어깨" 선을 따라서도 가시능선이 한 쌍씩 있다. 등면 색깔은 청회색에서 회갈색이며, 머리통과 가슴지느러미 쪽으로 갈수록 색조가 밝아진다. 몸과 지느러미 곳곳에 흰색 반점이 두드러지게 흩뿌려져 있고, 좌우 가슴지느러미 위에는 가장자리가 흰색인 검은색 무늬가 뚜렷하다. 또 두 눈 사이의 두부에는 어두운 띠가 두 줄 드리워 있다. 배면은 옅은 회색에서 흰색 색조이다. 어린 개체는 성체에 비해 무늬가 보다 화려하다. 나이를 먹을수록 무늬가 희미해지고 갈색으로 변하며 반점도 그에 비례해 작아진다.
4. 분포 및 서식지
목탁수구리는 인도-태평양의 열대 해안 수역에 넓게 분포하며, 3m~90m 수심의 해저 바닥 근처에서 주로 발견된다. 모래질 또는 점토질 환경을 선호하며, 암초, 산호초, 난파선 등에서도 발견된다.
4. 1. 분포 지역
목탁수구리는 드물게 관찰되는 물고기지만 분포 지역은 매우 넓어서 인도-태평양의 거의 모든 열대 해안수역에 분포한다. 인도양의 경우 남쪽으로는 남아프리카 카와줄루나탈에서 북쪽으로는 세이셸을 거쳐 홍해까지, 또 몰디브를 포함한 인도 아대륙과 남아시아 해안에서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의 샤크 만에 이르기까지 발견된 바 있다. 태평양 분포는 북으로는 한반도와 일본열도 남부, 동으로는 뉴기니, 남으로는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에 이른다. 발견되는 수심은 3m~90m이며, 대개 해저 바닥 근처에서 시간을 보내지만 드물게 물 속을 헤엄치는 것이 목격될 때도 있다. 서식지로는 모래질 또는 점토질 환경을 좋아하며, 암초나 산호초, 난파선에서도 발견된다.4. 2. 서식 환경
목탁수구리는 드물게 관찰되는 물고기지만 분포 지역은 매우 넓어서 인도-태평양의 거의 모든 열대 해안수역에 분포한다. 인도양의 경우 남쪽으로는 남아프리카 카와줄루나탈에서 북쪽으로는 세이셸을 거쳐 홍해까지, 또 몰디브를 포함한 인도 아대륙과 남아시아 해안에서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의 샤크 만에 이르기까지 발견된 바 있다. 태평양 분포는 북으로는 한반도와 일본열도 남부, 동으로는 뉴기니, 남으로는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에 이른다. 발견되는 수심은 3m~90m이며, 대개 해저 바닥 근처에서 시간을 보내지만 드물게 물 속을 헤엄치는 것이 목격될 때도 있다. 서식지로는 모래질 또는 점토질 환경을 좋아하며, 암초나 산호초, 난파선에서도 발견된다.5. 생태
목탁수구리는 태생으로 번식하며, 발달하는 배아는 난황으로 양분을 공급받는다. 성숙한 암컷 목탁수구리는 난소와 자궁이 한 개씩 있다. 보통 한 배에 2 ~ 11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갓 태어난 새끼의 크기는 45cm ~ 51cm 정도이다. 수컷은 몸길이 1.5m ~ 1.8m 정도, 암컷은 1.8m 이상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 암컷이 수컷보다 몸집이 더 크다.
목탁수구리는 상어를 닮은 꼬리를 이용해 추진력을 얻는 뛰어난 헤엄꾼이며, 밤에 더 활발한 야행성이다. 텃세권을 가지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천적으로는 뱀상어(''Galeocerdo cuvier''|갈레오세르도 쿠비에la)가 있다. 목탁수구리는 머리와 등에 돋친 가시로 스스로를 방어하고, 위협을 느끼면 들이받기도 한다.
목탁수구리에 기생하는 기생충은 다음과 같다.
종류 | 학명 |
---|---|
촌충류 | Carpobothrium rhinei, Dollfusiella michiae, Nybelinia southwelli, Stoibocephalum arafurense, Tylocephalum carnpanulatum |
거머리류 | Pontobdella macrothela |
흡충류 | Melogonimus rhodanometra |
단생류 | Branchotenthes robinoverstreeti, Monocotyle ancylostomae |
요각류 | Nesippus vespa, Pandarus cranchii, P. smithii |
청줄청소놀래기(''Labroides dimidiatus''|라브로이데스 디미디아투스la)가 목탁수구리의 기생충을 잡아먹는 것이 발견된 바 있다.
5. 1. 먹이
목탁수구리는 상어를 닮은 꼬리를 이용해 추진력을 얻는 뛰어난 헤엄꾼이다. 밤에 더 활발한 야행성이다. 텃세권을 가지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주로 민어 따위 저서 경골어류나 게, 새우 같은 갑각류를 잡아먹으며, 이매패류나 두족류도 먹는다. 다소 무딘 이빨은 단단한 껍데기를 가진 먹이를 부숴 먹기에 알맞다. 2011년에 잡혀 검사된 목탁수구리 두 마리는 저생대 동물들 대신 해수대 동물들을 주로 잡아먹고 산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전까지의 관찰과는 상이한 결과라 희한하다.5. 2. 천적 및 기생충
목탁수구리의 천적으로는 뱀상어(''Galeocerdo cuvier''|갈레오세르도 쿠비에la)가 있다. 목탁수구리는 머리와 등에 돋친 가시로 스스로를 방어하고, 위협을 느끼면 들이받기도 한다.
목탁수구리에 기생하는 기생충은 다음과 같다.
종류 | 학명 |
---|---|
촌충류 | Carpobothrium rhinei, Dollfusiella michiae, Nybelinia southwelli, Stoibocephalum arafurense, Tylocephalum carnpanulatum |
거머리류 | Pontobdella macrothela |
흡충류 | Melogonimus rhodanometra |
단생류 | Branchotenthes robinoverstreeti, Monocotyle ancylostomae |
요각류 | Nesippus vespa, Pandarus cranchii, P. smithii |
청줄청소놀래기(''Labroides dimidiatus''|라브로이데스 디미디아투스la)가 목탁수구리의 기생충을 잡아먹는 것이 발견된 바 있다.
5. 3. 번식
목탁수구리는 태생으로, 배아는 난황에 의해 성장한다. 암컷은 난소와 자궁이 각각 1개씩 기능한다. 한 배에 2~11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갓 태어난 새끼의 신장은 45cm~51cm이다. 수컷은 1.5m~1.8m, 암컷은 1.8m 이상에서 성성숙한다. 암컷은 수컷보다 크다.6. 인간과의 상호작용
목탁수구리는 인간과 여러 관계를 맺고 있다. 영세어업과 상업적 어업을 통해 샥스핀이나 식용으로 이용되며, 수족관에서 사육되기도 한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목탁수구리를 취약종으로 분류하여, 어업, 서식지 파괴 등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6. 1. 어업
목탁수구리는 영세어업 및 상업적 어업의 대상이 된다. 우연히 잡히는 경우도 있고 목탁수구리를 목표로 어업이 이루어지기도 한다.[12] 목탁수구리의 지느러미는 샥스핀의 재료로 쓰여 가격이 비싸며, 지느러미를 비롯한 일부 부위만 시장에 팔리기도 한다. 하지만 목탁수구리의 살 역시 생살, 어포, 염장 형태로 판매되며, 인도에서 인기가 좋다.저인망 어선에 혼획된 경우 목탁수구리는 골칫거리인데, 힘이 세고 피부가 거칠어서 제압하기가 힘들 뿐만 아니라 체중이 무겁고 몸에 가시가 있어 그물 속에서 몸부림치면 다른 물고기들이 상하기 쉽기 때문이다. 태국에서는 목탁수구리의 가시로 팔찌를 만들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개체 수가 적고 어업의 대상이 되지 않지만, 드물게 그물에 걸린 것을 수족관이 인수하는 경우가 있다.
6. 2. 보존 상태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목탁수구리를 취약종으로 분류한다. 목탁수구리는 어업, 서식지 파괴, 서식지 감소 등으로 위협받고 있으며, 특히 폭파 낚시, 산호 백화, 침니 매몰 등이 큰 위험이다.[12] 인도네시아 해역에서는 규제받지 않는 자망 어업이 성행하여 목탁수구리가 주요 어업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 IUCN은 오스트레일리아 해역에서는 목탁수구리가 어업 대상은 아니지만 저인망에 혼획되는 일이 많아 취약근접으로 분류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저인망 어선에 설치된 거북보호장치는 거북뿐만 아니라 목탁수구리에게도 큰 도움이 된다.[12] 매우 드문 물고기인데다 이러한 보존 위협 때문에, 목탁수구리는 “수족세계의 판다”라고도 불린다.목탁수구리는 수족관에서 인기 있는 어종이며, 포획 상태에 잘 적응하여 7년 이상 살기도 한다. 2007년 켄터키 뉴포트 수족관은 세계 최초로 목탁수구리 번식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2014년 1월 뉴포트 수족관은 "스위트피(Sweet Pea)"라는 암컷이 임신하여 새끼 일곱 마리를 낳았다고 발표했으나, 새끼들은 같은 해 2월이 되기 전에 모두 폐사했다.[14] 2016년 1월 7일, 스위트피는 다시 임신하여 새끼 아홉 마리를 낳았고,[15] 이 새끼들은 2016년 2월 10일 기준으로 스스로 먹이를 먹으며 성장하고 있다.[16]

6. 3. 사육
목탁수구리는 수족관에서 인기가 많은 어종이며, 포획 상태에 비교적 잘 적응하여 7년 이상 생존한 사례도 있다. 2007년, 미국 켄터키주의 뉴포트 수족관은 세계 최초로 목탁수구리 번식 프로그램을 시작했다.뉴포트 수족관의 암컷 목탁수구리 "스위트피(Sweet Pea)"는 2014년 1월에 새끼 7마리를 낳았지만, 안타깝게도 2월까지 모두 폐사했다.[14] 하지만 2016년 1월 7일, 스위트피는 다시 9마리의 새끼를 낳았고,[15] 이들은 2016년 2월 10일 기준으로 스스로 먹이를 먹으며 성장하고 있다.[16]
일본에서는 목탁수구리의 개체 수가 적고 어업 대상이 아니지만, 드물게 그물에 걸린 개체를 수족관에서 인수하는 경우가 있다. 오키나와 츄라우미 수족관, 오사카 가이유칸, 나고야항 수족관 등 여러 시설에서 목탁수구리를 사육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Rhina ancylostoma'
2019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학술지
Rhynchorhina mauritaniensis, a new genus and species of wedgefish from the eastern central Atlantic (Elasmobranchii: Batoidea: Rhinidae)
[4]
서적
Rays of the World
CSIRO
[5]
학술지
Catch composition, reproductive biology and diet of the bowmouth guitarfish Rhina ancylostomus Bloch and Schneider, 1801 (Batoidea: Rhinidae) in the eastern Arabian Sea, India
2022
[6]
웹사이트
Newport Aquarium says shark ray pups died
http://local12.com/n[...]
WKRC-TV
2014-02-26
[7]
웹사이트
Newport Aquarium shark ray gives birth to nine pups
http://www.fox19.com[...]
FOX19NOW
2016-01-07
[8]
웹사이트
Shark Ray Pups Reach Milestones
http://aquariumworks[...]
aquariumworks.org
2016-02-10
[9]
웹사이트
Rare shark ray pups to move to exhibit at Newport Aquarium
http://www.wlwt.com/[...]
2016-06-23
[10]
뉴스
S.E.A. Aquarium successfully breeds shark ray pup, a vulnerable species
http://www.straitsti[...]
2016-05-05
[11]
간행물
'Rhina ancylostoma'
[12]
간행물
'Rhina ancylostoma'
[13]
웹인용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14]
웹인용
Newport Aquarium says shark ray pups died
http://local12.com/n[...]
WKRC-TV
2014-02-26
[15]
웹인용
Newport Aquarium shark ray gives birth to nine pups
http://www.fox19.com[...]
FOX19NOW
2016-01-07
[16]
웹인용
Shark Ray Pups Reach Milestones
http://aquariumworks[...]
aquariumworks.org
2016-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