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마타마레 사누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마타마레 사누키는 1956년 창단된 일본의 축구 클럽으로, 가가와현을 연고로 한다. 다카마츠 상업고등학교 축구부 출신들이 주축이 되어 시작되었으며, 시코쿠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 일본 풋볼 리그(JFL)로 승격, 2013년 J2 리그에 진출했으나 2018년 J3 리그로 강등되었다. 2024년 현재 J3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J1 라이선스를 획득했으나 홈 경기장 문제로 조건부 라이선스 상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가마타마레 사누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클럽 명칭 | 카마타마레 사누키 |
원어 명칭 | カマタマーレ讃岐 |
애칭 | 카마타마 |
연고지 | 다카마쓰시, 마루가메시를 중심으로 하는 가가와현 전 지역 |
창단 | 1956년 |
경기장 | 피카라 스타디움 |
수용 규모 | 22,338명 |
법인명 | 주식회사 카마타마레 사누키 |
주소 | 가가와현 다카마쓰시 마쓰나미초 639번지 1 |
웹사이트 | 카마타마레 사누키 공식 웹사이트 |
클럽 정보 | |
리그 | J3리그 |
현재 시즌 | 2023 시즌 |
순위 | 2023 시즌 J3리그 순위 정보는 위키데이터에 있음 |
회장 | 가와무라 노부히로 |
감독 | 요네야마 아쓰시 |
기업 정보 | |
영문 사명 | Kamatamare Sanuki Co.,ltd. |
설립일 | 2008년1월 16일 |
업종 | 스포츠 경기 흥행 및 축구 클럽 운영 등 |
대표 | 대표이사 사장 이케우치 히데키 |
자본금 | 7,700만 엔 |
매출액 | 6억 9,600만 엔 (2018년 1월기) |
영업이익 | 900만 엔 (2018년 1월기) |
경상이익 | 800만 엔 (2018년 1월기) |
순이익 | 800만 엔 (2018년 1월기) |
순자산 | 1억 5,400만 엔 (2018년 1월기) |
총자산 | 2억 2,000만 엔 (2018년 1월기) |
유니폼 정보 | |
![]() | |
![]() | |
![]() | |
![]() | |
기타 정보 | |
클럽 라이선스 | J1 |
2. 역사
다카마쓰 상업고등학교(다카쇼) 축구부 OB 선수들을 중심으로 1956년 다카쇼 OB 축구 클럽이 창단되었다. 1991년 가가와 시운 축구 클럽으로 이름을 변경, 시코쿠 리그에서 두 번 우승하며 가가와현 대표 축구 클럽으로 성장했다. 2000년 선라이프와 스폰서 계약을 맺고 선 라이프 축구 클럽으로 변경, 2004년까지 계약을 유지했다.
2005년 J리그 진출을 선언, 가마타마레 사누키로 이름을 변경했다. '가마타마레'는 가마타마 우동과 이탈리아어 '마레(Mare, 바다)'를 합친 단어이며, 사누키는 가가와현의 옛 이름이다.[6] 2010년 일본 풋볼 리그(JFL)에 승격하였다.
2013년 J2-J3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가이나레 돗토리를 꺾고 (합산 2-1) 2014년 J2리그에 합류했다. 그러나 2018년 J2리그 최하위로 2019년 J3리그로 강등, 이후 J2리그로 복귀하지 못하고 있다.
2023년 9월 26일, J1 리그 라이선스 취득 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발표되었다.[1]
2. 1. 창단과 초기 (1956년 ~ 2005년)
가마타마레 사누키는 1956년 가가와현립 다카마쓰 상업고등학교 축구부 출신 선수들이 주축이 되어 '''다카쇼 OB(올드 보이) 축구 클럽'''으로 창단되었다.[4][6] 1991년 '''가가와 시운 풋볼 클럽'''으로 이름을 변경한 후,[4][6] 시코쿠 리그에서 두 번 우승하며 가가와현의 대표적인 축구 클럽으로 자리 잡았다.2000년에는 소비자 대출 회사 선라이프와 5년간의 스폰서 계약을 맺고 '''선라이프 풋볼 클럽'''으로 이름을 바꾸었다.[4][6] 2005년 3월 스폰서 계약이 종료되자,[6] 다카마쓰 시민의 팀으로 거듭나 J리그 진입을 목표로 '''다카마츠 풋볼 클럽'''으로 개칭했다.[8] 이후 새로운 팀명을 공모하여 '''가마타마레 사누키'''로 결정하고, 2005년 10월 23일 새 엠블럼과 함께 발표했다.[9]
다음은 가마타마레 사누키의 창단과 초기 역사이다.
연도 | 사건 |
---|---|
1956년 | 고쇼 OB 축구 클럽 창설[4][6] |
1977년 | 제1회 시코쿠 축구 리그 참가[4][6] |
1979년 | 가가와현 축구 리그 강등 |
1981년 | 시코쿠 리그 승격 |
1991년 | 가가와 시운 풋볼 클럽으로 개칭[4][6] |
1994년 | 시코쿠 리그 첫 우승 |
1996년 | 천황배 첫 출장 |
1997년 | 시코쿠 리그 두 번째 우승 |
2000년 | 선라이프 풋볼 클럽으로 개칭[4][6] |
2005년 | 다카마츠 풋볼 클럽으로 개칭, 가마타마레 사누키로 최종 결정[8][9] |
2. 2. 가마타마레 사누키 시대 (2006년 ~ 현재)
다카마쓰 상업고등학교(다카쇼) 축구부 OB를 중심으로 1956년 창단된 다카쇼 OB 축구 클럽이 가마타마레 사누키의 전신이다. 가가와현을 대표하는 축구 클럽으로 성장했으며, 2005년 J리그 진출을 선언하고 팀명을 현재의 가마타마레 사누키로 변경했다. '가마타마레'는 가마타마 우동과 이탈리아어 '마레(Mare, 바다)'를 합친 단어이며, 사누키는 가가와현의 옛 이름이다.[6] 엠블럼은 우동과 축구공을 형상화하고 있다.2010년 일본 풋볼 리그(JFL)로 승격하였고, 2013년 J2-J3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가이나레 돗토리를 꺾고 2014년 J2리그에 진출했다. 그러나 2018년 J2리그 최하위를 기록하며 2019년 J3리그로 강등되었고, 이후 J2리그로 복귀하지 못하고 있다.
2023년 9월 26일, J1리그 라이선스 취득 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발표되었다.[1]
2. 2. 1. 시코쿠 리그 (2006년 ~ 2010년)
가마타마레 사누키는 2006년에 팀 명칭을 변경하고 운영 법인으로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 가마타마레 스포츠 클럽을 설립하였다. 그 해 시코쿠 리그에서 3번째 우승을 차지했지만, 지역 리그 결승 대회 예선 리그에서는 탈락했다.[4]2008년에는 스미야 유키노부를 중심으로 주주를 모집하여 주식회사 가마타마레 사누키를 설립하고,[10] 클럽 운영을 회사로 이관하였다. 하나카다 마사시가 감독으로 취임하였고, 시코쿠 리그에서 4번째 우승을 달성했지만, 지역 리그 결승 대회 예선 리그에서는 다시 탈락하였다.
2009년에는 아나부키 공무점이 가슴 스폰서에서 철수하면서 대체 스폰서를 찾지 못했다. 이에 7월부터 유니폼 가슴 부분에 '사누키 우동' 로고를 넣고 1구좌 1천 엔의 지원을 모집하는 특이한 방식을 도입했다. 특산품을 유니폼 로고로 사용하는 프로팀은 처음이었다.[11] (이 방식은 2010년에도 계속되었고, 2012년과 2013년에는 '우동현' 로고를 사용했다.[12])
2010년에는 J2 구마모토의 감독이었던 키타노 마코토가 감독으로 취임하였다. 서일본 사회인 대회와 제46회 전국 사회인 선수권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또한, 시코쿠 리그에서 5번째 우승을 달성하고, 제34회 전국 지역 리그 결승 대회에서도 우승하여 12월 8일 일본 풋볼 리그(JFL) 이사회로부터 JFL 가입 승인을 받았다. 가가와현 클럽이 JFL에 참가하는 것은 처음이었다.[13]
시코쿠 리그 성적 (2006년 ~ 2010년)
시즌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천황컵 | 전일본 선수권 |
---|---|---|---|---|---|---|---|---|---|---|---|
2006 | 1위 | 14 | 12 | 1 | 1 | 45 | 12 | 33 | 37 | ||
2007 | 2위 | 14 | 12 | 1 | 1 | 68 | 14 | 54 | 37 | ||
2008 | 1위 | 14 | 13 | 1 | 0 | 62 | 4 | 58 | 40 | ||
2009 | 2위 | 14 | 12 | 0 | 2 | 56 | 10 | 46 | 36 | 2라운드 | |
2010 | 1위 | 14 | 12 | 2 | 0 | 53 | 5 | 48 | 38 | 2라운드 | 우승 |
2. 2. 2. 일본 풋볼 리그 (2011년 ~ 2013년)
가마타마레 사누키는 2010년 시코쿠 리그, 샤카이진컵, 지역 리그 승격 결정전에서 모두 우승하며 트레블을 달성했다. 지역 리그 승격 결정전 우승으로 일본 풋볼 리그에 승격하였다.2011 시즌에는 33경기 11승 7무 15패, 승점 40점으로 11위를 기록했고, 천황배 2라운드에 진출했다.
2012 시즌에는 32경기 15승 8무 9패, 승점 53점으로 4위를 기록했고, 천황배 3라운드에 진출했다.
2013 시즌에는 34경기 21승 5무 8패, 승점 68점으로 준우승을 차지했고, 천황배 2라운드에 진출했다. 이전 시즌 일본 풋볼 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후, 가이나레 돗토리와의 J2–J3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합산 점수 2–1로 승리하여 2014 시즌을 앞두고 J리그에 진출했다.
리그 | 천황배 | ||||||||||||
---|---|---|---|---|---|---|---|---|---|---|---|---|---|
시즌 | 디비전 | 티어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평균 관중 | |
2011 | JFL | 3 | 11위 | 33 | 11 | 7 | 15 | 39 | 49 | -10 | 40 | 3,025 | 2라운드 |
2012 | 4위 | 32 | 15 | 8 | 9 | 49 | 29 | 20 | 53 | 2,344 | 3라운드 | ||
2013 | 2위 | 34 | 21 | 5 | 8 | 49 | 26 | 23 | 68 | 3,125 | 2라운드 |
2. 2. 3. J2 리그 (2014년 ~ 2018년)
가이나레 돗토리와의 J2-J3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합산 점수 2-1로 승리한 가마타마레 사누키는 2014년 J2리그에 합류했다. 2014 시즌부터 2018 시즌까지 J2리그에서 활동하였으나, 2018 시즌 최하위를 기록하며 J3리그로 강등되었다.시즌 | 디비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평균 관중 | 천황 컵 |
---|---|---|---|---|---|---|---|---|---|---|---|
2014 | 21위 | 42 | 7 | 12 | 23 | 34 | 71 | -37 | 33 | 3,317 | 2라운드 |
2015 | 16위 | 42 | 12 | 15 | 15 | 30 | 33 | -3 | 51 | 3,658 | 2라운드 |
2016 | 19위 | 42 | 10 | 13 | 19 | 43 | 62 | -19 | 43 | 3,686 | 2라운드 |
2017 | 19위 | 42 | 8 | 14 | 20 | 41 | 61 | -20 | 38 | 3,805 | 2라운드 |
2018 | 22위 | 42 | 7 | 10 | 25 | 28 | 72 | -44 | 31 | 3,073 | 2라운드 |
2. 2. 4. J3 리그 (2019년 ~ 현재)
2018년, 가마타마레 사누키는 J2리그에서 5년간 활동했지만 최악의 성적을 기록하며 최하위로 시즌을 마감했고, 역사상 처음으로 2019년부터 J3 리그로 강등되었다.[1] 강등 이후, 이 클럽은 2부 리그로 복귀하지 못하고 있다.리그 | J리그컵 | 천황컵 | 전일본 선수권 | |||||||||||
---|---|---|---|---|---|---|---|---|---|---|---|---|---|---|
시즌 | 디비전 | 티어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평균 관중 | ||
2019 | J3 리그 | 3 | 14위 | 34 | 10 | 9 | 15 | 33 | 49 | -19 | 39 | 2,112 | 2라운드 | 출전 자격 없음 |
2020 † | 16위 | 34 | 7 | 10 | 17 | 33 | 52 | -19 | 31 | 869 | 출전 실패 | |||
2021 † | 15위 | 28 | 4 | 9 | 15 | 20 | 41 | -21 | 21 | 1,475 | 1라운드 | |||
2022 | 17위 | 34 | 6 | 9 | 19 | 27 | 49 | -22 | 27 | 1,805 | 출전 실패 | |||
2023 | 16위 | 38 | 11 | 11 | 16 | 29 | 45 | -16 | 44 | 2,062 | 2라운드 | |||
2024 | 16위 | 38 | 10 | 13 | 15 | 48 | 52 | -4 | 43 | 1,949 | 1라운드 | 2라운드 | ||
2025 | 미정 | 38 | TBD | TBD |
가마타마레 사누키는 2006년 운영 법인으로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 가마타마레 스포츠 클럽을 설립했다.[4] 2008년에는 스미야 유키노부를 중심으로 주식회사 가마타마레 사누키를 설립,[10] 클럽 운영을 이관했다.
홈 경기장은 마루가메시에 있는 가가와현립 마루가메 경기장(2015년 9월 1일부터 명명권에 의해 "피카라 스타디움"으로 호칭)이며, 이곳이 가가와현에서 유일하게 J리그 경기장 기준을 충족한다. J2 승격 이후 모든 홈 경기를 개최하고 있다.
2023년 9월 26일, 가마타마레 사누키는 J1 리그 수준까지의 라이선스 취득 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발표되었다.[1]
3. 클럽 운영 및 재정
2009년 아나부키 공무점이 스폰서에서 철수하면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7월부터 유니폼에 '사누키 우동' 로고를 넣고 1구좌 1천 엔의 지원을 모집했다.[11] 2012년과 2013년에는 '우동현' 로고를 게재했다.[12]
2010년 일본 풋볼 리그(JFL) 가입이 승인되었다.[13] 2011년 J리그 입회를 신청했으나, 재정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78] 가가와현은 J2 승격 시 클럽 출자를 약속했지만, 당장의 금전 지원은 어렵다고 밝혔다.[79] 이후 가가와현 내 기업들의 지원으로 기준을 충족했지만, 순위 조건 미달로 승격하지 못했다.
2012년 3월, 2012년 1월기 영업 손실 5,100만 엔, 2013년 1월기 영업 이익 1,100만 엔의 예산을 발표했다.[81] 2012년에도 유니폼 스폰서를 구하지 못해 '우동현' 로고를 게재하고 협찬금을 모집했다.[83]
2013년 J리그 클럽 라이센스를 신청했으나, 운영 자금, 선수 육성, 관객 수 등의 문제로 철회했다.[16] 2013년 1월 결산에서 3,900만 엔 적자와 7,360만 엔의 채무 초과를 기록했다.[84] 스미야 유키노부 사장은 경영 부진과 공금 투입의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17]
2013년 9월, 조건부 J2 라이센스가 교부되었으나, 채무 초과 문제로 시정 통지를 받았다.[86] 10월 J리그 청문회에서 재무 기반 강화를 요구받았다.[18] 하마다 게이조 가가와현 지사 등의 클럽 출자 확약으로 행정 지원은 높이 평가받았다.
가가와현 2,000만 엔, 다카마쓰시, 마루가메시 각 1,000만 엔 출자 등으로 채무 초과가 해소되었고, 2014년 1억 엔 광고 수입 확보 전망으로 2013년 11월 19일 J리그 입회가 승인되었다. 그러나 재무 상태는 여전히 엄격하다는 지적을 받았다.[87][88] 2014년 1월 결산은 6년 만에 흑자를 기록했다.
2014년 관객 수는 J2 최하위였지만, 입장료 수입 증가로 2015년 1월 결산은 순이익 1억 600만 엔으로 2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91] 2016년 영업 수익은 6억 1,300만 엔으로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1,600만 엔 적자를 기록했다.[92]
스폰서 확보는 여전히 중요한 과제이며, 다수의 소액 스폰서 확보, 자금 외 지원, 광고 매체 다양화 등이 제안되고 있다.[93]
4. 경기장
JFL 시대에는 다카마쓰시에 있는 가가와현 종합 운동 공원 축구·럭비장과 마루가메 경기장을 병용했다. 시코쿠 리그 시대에는 가가와현 종합 운동 공원 축구·럭비장과 다카마츠시 야시마 경기장(현 야시마 렉섬 필드) 두 곳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했다.
야시마 렉섬 필드는 2017년 4월 전면 개수 후 월 수회 정도, 메인 스타디움을 연습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2011년 3월 8일, 다카마쓰 시장 오니시 히데토는 J2 기준 대응 리뉴얼 설계를 중지한다고 발표했다. 현재 야시마 렉섬 필드는 좌석 수가 5,000석으로 J3 기준을 충족하지만, 2019년 J3 강등 후에도 주최 경기를 개최하지 않았다. 그러나 2024년 10월 6일 가이나레 돗토리전에서 이용될 예정이다.
다음은 역대 홈경기 관중 수와 관련된 표이다.연도 소속 총
입장자수rowspan="2"| 최다 입장자수 rowspan="2"| 최소 입장자수 rowspan="2"| 평균
입장자수경기 수 홈 경기
개최 경기장입장자수 상대 회장 입장자수 상대 회장 2011 JFL 48,393 rowspan="13" | 11,178 마쓰모토 마루가메 rowspan="13" | 1,065 사카와 인쇄 가가와 사 rowspan="13" | 3,025 16 마루가메 8, 가가와 사 8 2012 37,511 3,457 후지에다 1,216 혼다 2,345 마루가메 10, 가가와 사 6 2013 53,129 8,968 요코가와 1,037 아키타 마루가메 3,126 17 가가와 사 9, 마루가메 8 2014 J2 69,664 10,421 이와타 1,450 토치기 3,317 21 마루가메21 2015 76,824 10,447 C 오사카 피카스타 2,152 미토 피카스타 3,658 피카스타21 2016 77,413 11,376 1,924 3,686 2017 79,908 7,994 나고야 1,191 야마가타 3,805 2018 64,532 5,668 오카야마 1,510 3,073 2019 J3 35,906 3,339 기타큐슈 1,120 YS 요코하마 2,112 17 피카스타17 2020 14,767 1,506 후쿠시마 0
(무관중)G 오사카 23 869 2021 20,652 2,441 돗토리 835 후지에다 1,475 14 피카스타14 2022 30,688 3,283 마쓰모토 1,117 후지에다 1,805 17 피카스타17 2023 39,187 5,577 이마바리 1,284 후쿠시마 2,062 19 피카스타 19
5. 선수단
カマタマーレ讃岐|가마타마레 사누키일본어의 선수단에 대한 내용이다.
'''수상'''
- 일본 풋볼 리그 베스트 11
- 2013년: 노구치 료타, 키지마 료스케
- J리그 이달의 베스트 골
- 2019년 2, 3월 J3: 후쿠야 유우키[42]
- 2019년 6월 J3: 가나하 카즈키[43]
- 2019년 7월 J3: 이케가이 토모키[44]
- J2 페어 플레이상: 2018
- J3 페어 플레이상: 2019, 2020
- J리그 어워즈 공로상:알렉스 (2019)[45]
2024년 8월 21일 현재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2]
5.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8월 21일 기준)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유스케 이마무라 | 유스케 이마무라|今村 勇介일본어 |
2 | DF | 우스이 칸타 | 우스이 칸타|臼井 貫太일본어 |
3 | DF | 무네치카 케이 | 무네치카 케이|宗近 慧일본어 |
4 | MF | 다케무라 슌지 | 다케무라 슌지|武村 俊二일본어 |
5 | DF | 고마츠 타쿠미 | 고마츠 타쿠미|小松 拓海일본어 |
6 | MF | 하세가와 하야토 | 하세가와 하야토|長谷川 隼일본어 |
7 | MF | 에구치 나오 | 에구치 나오|江口 直生일본어 |
8 | MF | 모리 유토 | 모리 유토|森 勇人일본어 |
9 | MF | 나오키 타카하시 | 나오키 타카하시|高橋 尚輝일본어 |
10 | MF | 가와니시 쇼타 | 가와니시 쇼타|河西 翔太일본어 |
11 | MF | 요시다 겐타로 | 요시다 겐타로|吉田 顕太郎일본어 |
13 | MF | 마에카와 타이카 | 마에카와 타이카|前川 大河일본어 |
14 | MF | 요시다 진페이 | 요시다 진페이|吉田 陣平일본어 |
15 | MF | 이와모토 가즈키 | 이와모토 가즈키|岩本 和希일본어 |
16 | DF | 오쿠다 유다이 | 오쿠다 유다이|奥田 雄大일본어 |
17 | FW | 후쿠이 유진 | 후쿠이 유진|福井 悠人일본어 |
19 | FW | 아카호시 카이마 | 아카호시 카이마|赤星 魁麻일본어 |
20 | MF | 시모카와 타이요 | 시모카와 타이요|下川 太陽일본어 |
21 | GK | 나카지마 료타로 | 나카지마 료타로|中島 涼太朗일본어 |
22 | FW | 오노 요헤이 | 오노 요헤이|小野 耀平일본어 |
23 | FW | 이와기시 소시 | 이와기시 소시|岩岸 宗志일본어 |
24 | DF | 후카미나토 소이치로 | 후카미나토 소이치로|深港 壮一郎일본어 |
26 | FW | 고야마 쇼야 | 고야마 쇼야|小山 聖也일본어 |
27 | FW | 요시나가 마히로 | 요시나가 마히로|吉永 মহিরো일본어 |
29 | DF | 타오 케이스케 | 타오 케이스케|田尾 佳祐일본어 |
32 | GK | 마츠바라 가이세이 | 마츠바라 가이세이|松原 快晟일본어 |
33 | MF | 오모리 고타로 | 오모리 고타로|大森 굮타로일본어 |
35 | DF | 사고 슈토 | 사고 슈토|佐古 峻斗일본어 |
40 | GK | 세토 고키 | 세토 고키|瀬㞭 航季일본어 |
47 | DF | 니시노 쇼타 | 니시노 쇼타|西野 翔일본어 |
60 | MF | 모리카와 유키 | 모리카와 유키|森川 裕基일본어 |
66 | DF | 우치다 미즈키 | 우치다 미즈키|内田 瑞希일본어 |
89 | MF | 아우융유청 | 아우융유청|歐陽耀冲중국어 |
99 | DF | 나라사카 타쿠미 | 나라사카 타쿠미|奈良坂 巧일본어 |
5. 2. 코칭 스태프
사이토 료헤이치다 다이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