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블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엠블럼은 특정 개념이나 대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안이나 표식으로, 개인, 집단, 국가 등을 상징하며 정체성이나 소속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엠블럼은 식별용 휘장이나 패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중세 시대에는 성인들의 상징, 군주들의 개인적인 장식, 현대 미국의 경찰 배지 등으로 활용되었다. 엠블럼은 상징, 어트리뷰트, 퍼스널 디바이스 등과 관련되며, 고대, 중세, 르네상스 시대부터 콜럼버스 이전 아메리카까지 다양한 문화에서 사용되었다. 또한, 엠블럼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한 형태로, 언어, 문화적 맥락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징 - 검은 고양이
검은 고양이는 털 색깔이 검은색인 고양이를 통칭하며, 털 색깔, 태비 무늬, 햇빛 노출에 따른 색 변화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여러 문화권에서 행운 또는 불운의 상징으로 여겨지거나 무정부주의 및 노동 운동의 상징, 대중문화 캐릭터로 활용된다. - 상징 - 문장학
문장학은 개인, 가문, 단체를 식별하는 시각적 상징 체계로, 방패를 기본으로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며, 중세 시대 기사 계급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문장관에 의해 관리되는 규율로 자리 잡았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엠블럼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종류 | 그림 |
사용 | 상징 |
의미 | 어떤 사상이나 감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것. |
로마자 표기 | embullom |
역사 | |
기원 | 1395년경 |
용도 | |
목적 | 특정 단체, 신념, 또는 사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국가적 상징 | 국기, 국장 등 국가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종교적 상징 | 특정 종교의 교리나 신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기업 또는 단체 상징 | 기업이나 단체의 로고나 마크로 사용됨. |
관련 개념 | |
상징 | 어떤 것을 대표하거나 나타내는 것. |
로고 | 기업이나 단체를 나타내는 디자인. |
휘장 | 특정 단체나 개인의 권위나 소속을 나타내는 상징. |
기 | 특정 단체나 국가를 나타내는 깃발.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http://www.askoxford.com/concise_oed/symbol http://korean.go.kr/09_new/dic/rule/rule_foreign_view.jsp?idx=28563 http://www.korean.go.kr/09_new/dic/word/word_refine_view.jsp?idx=18408&go=1&gogroup= http://www.korean.go.kr/09_new/dic/word/word_refine_view.jsp?idx=20462&go=1&gogroup= http://www.korean.go.kr/09_new/dic/word/word_refine_view.jsp?idx=22785&go=1&gogroup= |
2. 정의 및 구분
엠블럼은 특정한 개념이나 대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나타내는 도안이나 표식이다. 주로 개인, 집단, 국가 등을 상징하며, 정체성이나 소속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1] 엠블럼은 식별용 휘장이나 패치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세 시대에는 성 야고보 대성인의 상징인 조개껍데기를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자들이 모자나 옷에 꿰매어 순례를 나타내는 표식으로 사용했다. 중세의 많은 성인들은 그림이나 이미지에서 그들을 식별할 수 있도록 엠블럼을 부여받았는데,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는 바퀴나 칼, 성 안토니우스 대수도원장은 돼지와 작은 종을 상징으로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상징들은 특히 그림에서 성인이 지니고 있거나 가까이 있는 경우 “속성(attribute)”이라고도 불렸다.
군주와 같은 고위 인사들은 가문의 문장과는 구별되는 개인적인 장식이나 상징을 사용하기도 했다. 루이 14세의 태양, 프랑수아 1세의 살라만더, 리처드 3세의 멧돼지 등이 그 예이다. 15세기와 16세기에는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유행으로, 앞면에는 초상화가, 뒷면에는 엠블럼이 새겨진 큰 메달을 만들어 친구에게 선물하거나 외교 선물로 사용하기도 했다. 피사넬로는 이러한 메달 중 초기이자 가장 훌륭한 작품들을 많이 제작했다.
현대 미국에서는 경찰관의 배지가 개인의 금속 엠블럼을 나타내는 반면, 제복에 새겨진 엠블럼은 특정 부대원임을 나타낸다.
150px | 150px | 144px | thumb |
한편, 상징(symbol)은 한 가지를 다른 것으로 더 구체적인 방식으로 대체한다. 예를 들어, 기독교의 십자가는 예수의 십자가 처형을 상징하며, 희생을 상징한다. 적십자는 적십자 및 적신월 운동을 나타내는 세 가지 기호 중 하나로, 흰 바탕에 빨간 십자가는 인도주의 정신을 상징한다.[2] 초승달 모양은 달을 상징하며, 이슬람교의 상징이다. 해골과 뼈대는 독을 나타내는 상징이며, 해골은 인생의 덧없음을 상징한다.[3]
2. 1. 문장 (Emblem)
엠블럼은 특정한 개념이나 대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나타내는 도안이나 표식이다. 주로 개인, 집단, 국가 등을 상징하며, 정체성이나 소속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1] 엠블럼은 식별용 휘장이나 패치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세 시대에는 성 야고보 대성인의 상징인 조개껍데기를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자들이 모자나 옷에 꿰매어 순례를 나타내는 표식으로 사용했다. 중세의 많은 성인들은 그림이나 이미지에서 그들을 식별할 수 있도록 엠블럼을 부여받았는데,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는 바퀴나 칼, 안토니우스 대수도원장은 돼지와 작은 종을 상징으로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상징들은 특히 그림에서 성인이 지니고 있거나 가까이 있는 경우 “속성(attribute)”이라고도 불렸다.군주와 같은 고위 인사들은 가문의 문장과는 구별되는 개인적인 장식이나 상징을 사용하기도 했다. 루이 14세의 태양, 프랑수아 1세의 도룡용, 리처드 3세의 멧돼지 등이 그 예이다. 15세기와 16세기에는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유행으로, 앞면에는 초상화가, 뒷면에는 엠블럼이 새겨진 큰 메달을 만들어 친구에게 선물하거나 외교 선물로 사용하기도 했다. 피사넬로는 이러한 메달 중 초기이자 가장 훌륭한 작품들을 많이 제작했다.
현대 미국에서는 경찰관의 배지가 개인의 금속 엠블럼을 나타내는 반면, 제복에 새겨진 엠블럼은 특정 부대원임을 나타낸다.
150px | 150px | 144px | thumb |
한편, 상징(symbol)은 한 가지를 다른 것으로 더 구체적인 방식으로 대체한다. 예를 들어, 기독교의 십자가는 예수의 십자가 처형을 상징하며, 희생을 상징한다. 적십자는 적십자 및 적신월 운동을 나타내는 세 가지 기호 중 하나로, 흰 바탕에 빨간 십자가는 인도주의 정신을 상징한다.[2] 초승달 모양은 달을 상징하며, 이슬람교의 상징이다. 해골과 뼈대는 독을 나타내는 상징이며, 해골은 인생의 덧없음을 상징한다.[3]
2. 2. 상징 (Symbol)
상징(symbol)은 추상적인 개념이나 의미를 구체적인 사물이나 형상을 통해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징은 문장보다 더 넓은 범위를 가지며, 문화, 종교,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1]상징과 기호(symbol)는 종종 서로 바꿔 사용되지만, 엄밀히 말하면 상징은 어떤 사상이나 개인을 나타내는 패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폼페이의 나폴리 왕자 저택 삼랑식당 북쪽 벽에는 특정한 의미를 담은 상징이 새겨져 있다. 상징은 구체적이고 시각적인 용어로 신, 부족, 국가, 미덕, 악덕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을 표현한다.
상징은 식별용 휘장이나 패치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세 시대 순례자들은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의 성지 순례를 나타내는 성 야고보의 상징인 조개껍데기를 모자나 옷에 꿰매어 다녔다.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는 바퀴나 칼, 성 안토니우스는 돼지와 작은 종 등, 중세의 많은 성인들은 그림이나 이미지에서 그들을 식별할 수 있는 상징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상징들은 특히 그림에서 성인이 지니고 있거나 가까이 있는 경우 “어트리뷰트(attribute)”라고도 불린다.
150px | 150px | 144px |
군주나 고위 인사들은 가문의 문장과는 구별되는 개인적인 장식이나 상징을 사용하기도 했다. 루이 14세의 태양, 프랑수아 1세의 살라만더, 리처드 3세의 멧돼지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15세기와 16세기에는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유행으로, 앞면에는 초상화가, 뒷면에는 상징이 새겨진 큰 메달을 만들어 친구에게 선물하거나 외교 선물로 사용했다. 피사넬로는 이러한 메달 중 초기이자 가장 훌륭한 작품들을 많이 제작했다.
현대 미국에서는 경찰관의 배지가 개인의 금속 상징을 나타내는 반면, 제복에 새겨진 상징은 특정 부대원임을 나타낸다.
한편, 기호는 한 가지를 다른 것으로 더 구체적인 방식으로 대체한다. 예를 들어, 십자가는 예수의 십자가 처형을 상징하며 희생을, 적십자는 인도주의 정신을 상징한다.[2] 초승달 모양은 달을, 해골과 뼈대는 독을 나타내는 상징이다.[3]
2. 3. 어트리뷰트 (Attribute)
어트리뷰트는 미술 작품 등에서 특정 인물이나 신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상징물이다. 주로 그림이나 조각에서 그 인물이나 신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는 수레바퀴와 칼을 통해 식별할 수 있다.문장으로서의 문장을 이해하는 문장학에서, 오른쪽 앞발을 들고 걷는 자세의 사자는 잉글랜드의 문장이고, 왼발 하나로 서 있는 사자는 스코틀랜드의 문장이다. 토템은 씨족의 정신을 나타내는 동물 문장이다. 이콘은 원래 종교적인 이미지를 포함하며, 관습에 의해 표준화되었다. 로고타입은 비인격적이고 세속적인 이콘으로, 보통 기업 전체에 사용된다.
2. 4. 퍼스널 디바이스 (Personal device)
왕이나 귀족 등 고위 인사가 개인적으로 사용했던 문장을 퍼스널 디바이스라고 한다. 가문의 문장과는 구별되며, 개인의 취향이나 가치관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루이 14세는 태양을 자신의 엠블럼으로 사용했다.3. 역사
15세기 이후로, 상징(emblema; 엠블레마/ἔμβλημαgrc에서 유래, "양각 장식"을 의미)과 상징화(emblematura)라는 용어는 건축의 전문 용어에 속한다.[4] 이는 개념을 나타내는 그림, 도면 또는 조각으로 된 상징적 표현을 집에 부착하는 것을 의미하며, 비문과 마찬가지로 건축 장식(ornamenta)에 속한다. 로마의 건축가이자 기술자인 비트루비우스의 De architecturala를 본따서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1404–1472)가 저술한 De re aedificatoriala(1452)의 출판 이후로, ''emblema''는 이집트 상형 문자와 관련이 있으며 잃어버린 보편 언어로 여겨졌다.[4] 따라서 상징은 그리스와 로마 고대뿐만 아니라 16세기와 17세기 로마에 세워진 수많은 오벨리스크에서 증명되는 이집트 고대를 포함하는 르네상스 시대의 고대 지식에 속한다.[4]
콜럼버스 이전 시대 아메리카에서도 마야 도시 국가, 왕국, 심지어 아즈텍 제국이나 잉카 제국과 같은 제국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상징 사용의 증거가 발견되었다.[5] 아메리카 맥락에서 이러한 상징의 사용은 세계 다른 지역의 맥락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해당 영토 단위의 문장과 동등한 것으로 간주된다.[5]
1531년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이탈리아 법학자 안드레아 알치아토의 ''엠블럼''이라는 최초의 엠블럼 책이 출판되면서 2세기 동안 지속되고 서유럽의 대부분 국가에 영향을 미친 상징에 대한 매력이 시작되었다.[6] 이러한 의미에서 "엠블럼"은 독자를 자신의 삶에 대한 자기 성찰적 검토로 이끄는 그림과 텍스트의 교훈적이거나 도덕적인 결합을 의미한다. 복잡한 상징의 연관성은 문화적으로 정통한 관람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었는데, 이는 매너리즘이라고 불리는 16세기 예술 운동의 특징이다.
수많은 판본을 거친 인기 있는 상징 모음집이 프랜시스 쿼럴스에 의해 1635년에 출판되었다. 각 상징은 성경 구절의 각색으로 구성되었는데, 화려하고 은유적인 언어로 표현되었고, 기독교 교부들의 구절이 이어지며, 마지막으로 4행의 에피그램으로 끝맺습니다. 이것들에는 수반되는 구절에 표시된 상징을 제시하는 상징이 함께 제공되었다.
3. 1. 고대
15세기 이후로, 상징(emblema; 엠블레마/ἔμβλημαgrc에서 유래, "양각 장식"을 의미)과 상징화(emblematura)라는 용어는 건축의 전문 용어에 속한다.[4] 이는 개념을 나타내는 그림, 도면 또는 조각으로 된 상징적 표현을 집에 부착하는 것을 의미하며, 비문과 마찬가지로 건축 장식(ornamenta)에 속한다. 로마의 건축가이자 기술자인 비트루비우스의 De architecturala를 본따서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1404–1472)가 저술한 De re aedificatoriala(1452)의 출판 이후로, ''emblema''는 이집트 상형 문자와 관련이 있으며 잃어버린 보편 언어로 여겨졌다.[4] 따라서 상징은 그리스와 로마 고대뿐만 아니라 16세기와 17세기 로마에 세워진 수많은 오벨리스크에서 증명되는 이집트 고대를 포함하는 르네상스 시대의 고대 지식에 속한다.[4]로마인들에게 "엠블렘(Emblema; 복수형: 엠블레마타, emblemata)"이라는 단어는 모자이크 또는 레리에프 내의 장식을 의미했다. 15세기 이후에도 건축의 전문 용어에 속했다. 개념을 표현한 유사 이미지의 회화·조각·조형물은 가옥에 덧붙여졌고, 명문처럼 건축상의 장식(ornamenta)에 속했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의 『건축론』이 출판된 이후로는 엠블렘(엠블레마)이 이집트의 상형 문자와 관련지어지면서 비밀스러운 유사 이미지의 언어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 때문에 엠블렘은 고대 그리스·로마뿐만 아니라 고대 이집트까지 포함한 르네상스 시대의 고대 지식에 속했다. 그 증거로 16세기·17세기 로마에는 수많은 오벨리스크가 건설되었다.
콜럼버스 이전 시대 아메리카에서도 마야 도시 국가, 왕국, 심지어 아즈텍 제국이나 잉카 제국과 같은 제국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상징 사용의 증거가 발견되었다.[5] 아메리카 맥락에서 이러한 상징의 사용은 세계 다른 지역의 맥락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해당 영토 단위의 문장과 동등한 것으로 간주된다.[5]
3. 2. 중세
15세기 이후, 상징(emblema; 엠블레마/ἔμβλημαgrc, "양각 장식"을 의미)과 상징화(emblematura)라는 용어는 건축의 전문 용어에 속하며, 개념을 나타내는 그림, 도면, 조각으로 된 상징적 표현을 집에 부착하는 것을 의미한다.[4] 이는 비문과 마찬가지로 건축 장식(ornamenta)에 속한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저술한 De re aedificatoriala(1452)의 출판 이후, ''emblema''는 이집트 상형 문자와 관련이 있으며 잃어버린 보편 언어로 여겨졌다.[4] 따라서 상징은 그리스와 로마 고대뿐만 아니라 16세기와 17세기 로마에 세워진 수많은 오벨리스크에서 증명되는 이집트 고대를 포함하는 르네상스 시대의 고대 지식에 속한다.[4]콜럼버스 이전 시대 아메리카에서도 마야 도시 국가, 왕국, 심지어 아즈텍 제국이나 잉카 제국과 같은 제국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상징 사용의 증거가 발견되었다.[5] 아메리카 맥락에서 이러한 상징의 사용은 해당 영토 단위의 문장과 동등한 것으로 간주된다.[5]
1531년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이탈리아 법학자 안드레아 알치아토의 ''엠블럼''이라는 최초의 엠블럼 책이 출판되면서 2세기 동안 지속되고 서유럽의 대부분 국가에 영향을 미친 상징에 대한 매력이 시작되었다.[6] "엠블럼"은 독자를 자신의 삶에 대한 자기 성찰적 검토로 이끄는 그림과 텍스트의 교훈적이거나 도덕적인 결합을 의미한다. 복잡한 상징의 연관성은 문화적으로 정통한 관람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었는데, 이는 매너리즘이라고 불리는 16세기 예술 운동의 특징이다.
프랜시스 쿼럴스는 1635년에 수많은 판본을 거친 인기 있는 상징 모음집을 출판했다. 각 상징은 성경 구절의 각색, 기독교 교부들의 구절, 그리고 4행의 에피그램으로 구성되었으며, 수반되는 구절에 표시된 상징을 제시하는 상징이 함께 제공되었다.
3. 3. 르네상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1452년에 출판한 De re aedificatoriala(''건축론'')는 비트루비우스의 De architecturala를 본떠 엠블럼(emblema)을 이집트 상형 문자와 관련된, 잃어버린 보편 언어로 간주했다.[4] 엠블럼은 르네상스 시대의 고대 지식을 상징하며, 16세기와 17세기 로마에 세워진 수많은 오벨리스크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다.[4]1531년, 이탈리아의 법학자 안드레아 알치아토가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최초의 엠블렘 북인 『엠블레마타』(Emblemata)를 출판하면서 엠블럼은 2세기 동안 유럽 전역에서 유행하였다.[6] 엠블렘은 제목, 표어, 모토, 그림, 이미지, 그리고 에피그램 형식의 해설로 구성되어 독자에게 자기 성찰의 기회를 제공했다.[6] 엠블렘의 복잡한 연상은 마니에리즘에 정통한 관람자에게 문화적 지식을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
3. 4. 콜럼버스 이전 아메리카
4. 종류
4. 1. 국가 문장
4. 2. 기업 문장
4. 3. 개인 문장
4. 4. 단체 문장
5. 언어 표현
상징(Emblems)은 특정 의미가 부여된 특정 제스처를 말한다. 이러한 의미는 일반적으로 그것이 확립된 문화와 관련이 있다.[7] 상징을 사용하면 인간이 비언어적으로 서로 소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구에게 손을 흔드는 행위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도 "안녕"이라는 의미를 전달한다.[7]
수화는 비언어적인 방식으로 손짓을 사용하여 단어를 전달하지만, 이를 상징(emblem)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수화는 구어와 유사한 언어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체 대화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8] 언어적 특성에는 동사, 명사, 대명사, 부사, 형용사 등이 포함된다.[9] 수화와는 달리, 상징(emblem)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한 형태이다. 상징(emblem)은 짧은 비언어적 메시지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기 위한 단일 제스처이다.
5. 1. 비언어적 의사소통
상징은 특정 의미가 부여된 특정 제스처를 말한다. 이러한 의미는 일반적으로 그것이 확립된 문화와 관련이 있다.[7] 예를 들어, 친구에게 손을 흔드는 행위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도 "안녕"이라는 의미를 전달한다.[7]5. 2. 수화와의 비교
수화는 손짓을 사용하여 단어를 전달하지만, 엠블럼(상징)과는 다르다. 수화는 구어와 유사하게 동사, 명사, 대명사, 부사, 형용사 등을 포함하는 언어적 특성을 지니며, 전체 대화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8][9] 반면, 엠블럼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한 형태로, 단일 제스처를 통해 짧은 메시지를 전달한다.6. 문화적 맥락
문장은 그것이 만들어진 문화와 관련이 있으며 그 문화에 종속적이다.[10] 예를 들어, OK 제스처는 미국에서는 비언어적인 방식으로 "좋아요"를 의미하지만, 일본에서는 "돈"을 의미하고, 일부 남유럽 국가에서는 성적인 의미를 갖는다.[10] 미국의 엄지손가락을 치켜드는 제스처는 "잘했어요"를 의미하지만, 중동의 일부 지역에서는 매우 무례한 의미를 갖는다.[11]
7. 한국 사회에서의 문장
참조
[1]
서적
symbol
https://web.archive.[...]
AskOxford - Compact Oxford English Dictionary
[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Emblems
http://www.icrc.org/[...]
2006-03-14
[3]
웹사이트
skull and crossbones
http://www.macmillan[...]
Macmillan Publishers
[4]
웹사이트
Obelisks of Rome
http://www.macmillan[...]
[5]
논문
Los Primeros Instrumentos Musicales Precolombinos: La Flauta de Pan Andina O la "Antara"
2015-07-13
[6]
웹사이트
Alciato's Book of Emblems: The Memorial Web Edition in Latin and English
https://www.mun.ca/a[...]
1995-10-26
[7]
서적
Nonverbal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c.
2016-01-08
[8]
논문
Distinguishing the Processing of Gestures from Signs in Deaf Individuals: An fMRI Study
[9]
논문
On the Universal Structure of Human Lexical Semantics
http://www.pnas.org/[...]
[10]
서적
Academic Encounters Level 4 Student's Book Reading and Writing: Human Behavio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8-20
[11]
웹사이트
What Hand Gestures Mean In Different Countries
https://blog.busuu.c[...]
[12]
웹인용
엠블럼
http://korean.go.kr/[...]
[13]
웹인용
엠블럼(국연1999)
http://www.korean.go[...]
국립국어원
2010-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