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오청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오청구는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스자좡시에 위치한 구이다. 1989년 현급시로 승격되었으며, 2014년 현이 폐지되고 구로 개편되었다. 가오청구는 평야 지형이며, 주요 하천인 가오청강이 흐르고, 농업, 특히 쌀 생산이 주요 산업이다. 스자좡 경제 기술 개발구와 스자좡 순환 화학 공업 단지가 위치하며, 13개의 진과 1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통의 요충지로서 여러 고속도로와 국도가 지나가며, 석가장-덕주 철도가 통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자좡시의 행정 구역 - 창안구 (스자좡시)
    창안구는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스자좡시에 속하며, 8개의 가도와 3개의 진을 관할한다.
  • 스자좡시의 행정 구역 - 싱탕현
    싱탕현은 허베이성 스자좡시 관할의 현으로, 역사적으로 행정 구역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 4개의 진과 11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몬순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 허베이성의 시할구 - 윈허구
    윈허구는 창저우시에 위치한 구로, 농업 중심지에서 철도 개통 후 상업이 발전하여 현대 도시로 변모했으며, 현재 제조업과 농업이 중심이고 편리한 교통망을 갖춘 물류 및 무역 중심지로 대한민국 기업과의 협력 가능성이 높다.
  • 허베이성의 시할구 - 징슈구
    징슈구는 허베이성 청더시에 위치한 시할구로, 오랜 역사를 가진 쑤저우의 중심지에서 발전하여 경제, 문화, 상업의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6개의 가도와 4개의 향을 관할하며 다양한 산업이 균형을 이루고 대한민국과의 교류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가오청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중화인민공화국
로마자 표기Gǎochéng Qū (병음)
Gaocheng Qu (표준 로마자)
별칭Straw City (직역: 짚 도시)
위치허베이성 스자좡시
면적836 km²
해발고도57 m
시간대중국 표준 (UTC+8)
우편 번호052100
지역 번호0311
웹사이트www.gc.gov.cn/web/index.htm
인구 통계
인구 (2010년)775,100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13개 진, 1개 민족향
중심지롄저우

2. 역사

서한 113년에 쳉현()이 설치되었으며, 원나라 시대에 가오청현()으로 개명되었다.

전한이 설치한 '''고성현'''(사서에 따라 '''搞城縣''', '''藁城縣'''이라고도 함)을 전신으로 한다. 처음 현치는 현재의 촨터우진에 설치되었다. 후한 때 폐지되었으나, 남북조 시대 북위에 의해 재설치되었고, 북제에 의해 '''고성현'''으로 개칭되었다.

598년(개황 18년), 수나라는 다시 '''고성현'''으로 개칭했으며, 606년(대업 2년)에는 현치가 현재의 시역으로 이전되었다. 905년(천우 2년), 당나라는 '''고평현'''으로 개칭했고, 오대 십국 시대 후당에 의해 '''고성현'''으로 되었다. 몽골 제국의 지배 하에 놓이면서 '''고성현'''으로 개칭되었고, 1234년에 '''영안주'''로 승격되었으나, 이듬해 다시 '''고성현'''으로 환원되었다.

1989년 현급시로 승격되었고, 2014년 시할구로 개편되었다.[1]

2. 1. 전한 ~ 청나라

서한 시대인 113년에 쳉현()이 설치되었으며, 원나라 시대에 가오청현()으로 개명되었다.[1]

전한이 설치한 '''고성현'''(사서에 따라 '''搞城縣''', '''藁城縣'''이라고도 함)을 전신으로 한다.[2] 처음 현치는 현재의 촨터우진에 설치되었다.[2] 후한 때 폐지되었으나, 남북조 시대 북위에 의해 재설치되었고, 북제에 의해 '''고성현'''으로 개칭되었다.[2]

598년(개황 18년), 수나라는 다시 '''고성현'''으로 개칭했으며, 606년(대업 2년)에는 현치가 현재의 시역으로 이전되었다.[2] 905년(천우 2년), 당나라는 '''고평현'''으로 개칭했고, 오대 십국 시대 후당에 의해 '''고성현'''으로 되었다.[2] 몽골 제국의 지배 하에 놓이면서 '''고성현'''으로 개칭되었고, 1234년에 '''영안주'''로 승격되었으나, 이듬해 다시 '''고성현'''으로 환원되었다.[2] 1989년에 현급시로 승격되었다.[1]

2. 2. 현대

1989년 현급시로 승격되었다.[1] 2014년 시할구로 개편되었다.[1]

3. 지리

가오청구는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남서부, 스자좡시 동부에 위치한다.[1]

3. 1. 위치

스자좡시 동부에 위치한다. 북쪽으로는 신러 시, 남쪽으로는 자오 현, 동쪽으로는 진저우 시 및 우지 현, 서쪽으로는 정딩 현 및 롼청 구와 접한다.

4. 행정 구역

가오청구는 13개 진과 1개 회족 향을 관할한다.[2]

4. 1. 진 및 향

가오청 시는 13개 진과 1개 회족 향을 관할한다.[2][5][6]

진(鎭)・향(鄕)행정 구역
롄저우 진(廉州鎮)시청가, 원위안, 위신위안, 둥청가, 창성, 잔난가, 쓰밍시, 쓰밍둥, 광타이, 다유, 퉁안, 롱완, 베이가, 둥가, 난가, 청리즈좡, 리위안좡, 베이마, 난마, 시징, 청쯔, 시류, 둥류, 스징, 우리좡, 샹수좡, 난둔, 펑자좡, 천자좡이파이, 천자좡얼파이, 천자좡산파이, 칭류, 중자오, 비아오링, 베이잉, 우제춘, 창자좡, 멍춘, 시레이샤, 둥레이샤, 타터우, 신펑, 궈좡, 마오좡, 자오좡, 난샹좡, 베이샹좡 (이상 지역 사회)
싱안 진(興安鎮)싱안, 자춘, 정궁, 우자좡, 천춘, 창더, 즈진, 지아오중, 난둥자좡, 자오자좡, 장춘베이가, 장춘중가, 장춘난가, 펑바일루, 둥리춘, 류장, 펑춘, 시리춘, 펑마춘 (이상 지역 사회)
자스좡 진(賈市莊鎮)자스좡춘, 마추춘, 장밍푸춘, 난구좡춘, 류하이좡춘, 비앤자차이춘, 관좡춘, 겅자좡춘, 뤄성춘
난잉 진(南營鎮)난잉춘, 순중춘, 이안춘, 투산춘, 마팡춘, 다마좡춘, 마좡춘, 왕궁춘, 양자차이춘, 주자차이춘, 허자좡춘, 수이판자이춘
메이화 진(梅花鎮)메이화춘, 자오진춘, 난가오좡춘, 샹좡춘, 추이자좡춘, 둥좡춘, 시좡춘, 난류춘, 무롄청춘, 주자좡춘, 툰터우춘, 가오위춘, 쉬자좡춘, 양타이춘, 니자좡춘, 류자좡춘, 시바일루춘, 둥바일루춘, 스자좡춘
강상 진(崗上鎮)강상춘, 샤오펑춘, 구청춘, 좡허춘, 솽먀오춘, 타이시춘, 구셴춘, 시신좡춘, 두춘, 둥이춘, 다퉁춘
난둥 진(南董鎮)난둥춘, 베이다장춘, 난다장춘, 허시잉춘, 푸양춘, 신자잉춘, 베이가오좡춘, 시쓰궁춘, 둥쓰궁춘, 마취안춘, 베이스궁춘, 자구좡춘, 한신좡춘, 베이와춘, 시와춘, 난와춘
장자좡 진(張家莊鎮)자오좡춘, 리자좡춘, 차이자가강춘, 산추춘, 바오자좡춘, 난자퉁춘, 베이자퉁춘, 난룽궁춘, 베이룽궁춘, 장자좡춘, 다펑화춘, 샤오펑화춘, 샤오츠이춘, 베이샤오툰춘, 시푸청춘, 베이푸청춘, 둥푸청춘
난멍 진(南孟鎮)난멍춘, 베이티리춘, 샤오우춘, 베이왕춘, 시닝런춘, 난닝런춘, 두자좡춘, 한자워춘, 캉춘, 친자좡춘, 난샹춘, 셴좡춘, 둥즈자춘, 시즈자춘
쩡춘 진(增村鎮)쩡춘, 청위안춘, 황자좡춘, 둥야오춘, 중야오춘, 리야오춘, 시야오춘, 둥츠이춘, 다츠이춘, 전난춘, 류자쭤춘, 샤오궈좡춘, 베이차이자이춘, 둥차이자이춘, 펑신좡춘, 난쏭춘, 난차이자이춘, 양마춘, 우춘푸춘, 니우자좡춘
창안 진(常安鎮)쑤어자자이춘, 융안춘, 리좡춘, 둥신좡춘, 난러우춘, 베이러우춘, 펑쉐춘, 겅춘, 왕자좡춘, 더우자좡춘, 난펑춘, 난황자좡춘, 허우잉춘, 다창안춘, 샤오창안춘, 류수자이춘, 난저우구아춘, 베이저우구아춘
시관 진(西関鎮)첸시관춘, 허우시관춘, 진좡춘, 타이잉춘, 리자퇀춘, 시먼춘, 구더춘, 다왕춘, 량자좡춘, 자이리춘, 둥자좡춘, 베이멍춘, 츠상춘, 펑상춘
지우먼 후이족 향(九門回族郷)즈두춘, 자오뤄춘, 베이바이피춘, 난바이피춘, 황좡춘, 난툰춘, 저우신좡춘, 찬팡춘, 지우먼춘, 좡훠터우춘, 첸티리춘, 허우티리춘, 즈자오춘
추터우 진(丘頭鎮)추터우춘, 난러샹춘, 베이러샹춘, 둥관팅춘, 시관팅춘, 차오반춘, 퉁자좡춘, 류양춘, 진좡춘, 쉬춘, 차오자좡춘, 저우자좡춘, 디상춘


4. 2. 스자좡 경제 기술 개발구

량춘 지역 사회, 베이시 지역 사회, 베이이 지역 사회, 네이주 지역 사회, 시마춘 베이가 지역 사회, 시마춘 난가 지역 사회, 타위안좡 지역 사회, 난시 지역 사회가 있다.[5][6]

4. 3. 스자좡 순환 화학 공업 단지

丘头镇|추터우진중국어스자좡시 가오청구의 스자좡 순환 화학 공업 단지 관할 하에 있는 진이다.

지역 사회・마을
추터우춘, 난러샹춘, 베이러샹춘, 둥관팅춘, 시관팅춘, 차오반춘, 퉁자좡춘, 류양춘, 진좡춘, 쉬춘, 차오자좡춘, 저우자좡춘, 디상춘

[5][6]

5. 기후

가오청구는 온대기후에 속하며,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후 자료[7]와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후 자료[3][4]를 통해 그 특징을 알 수 있다. 하위 섹션에서 기온, 강수, 습도 및 일조량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5. 1. 기온

다음은 가오청구의 기온 관련 정보이다. (1991~2020년 평균, 1981~2010년 극값)[3][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3.4°C7.7°C14.7°C21.6°C27.4°C32.4°C32.7°C30.9°C27.2°C20.8°C11.5°C4.7°C
평균 기온 (℃)-2.5°C1.3°C8.1°C15.1°C21.1°C26°C27.5°C25.8°C21.1°C14.4°C5.6°C-0.8°C
평균 최저 기온 (℃)-7.2°C-3.7°C2.4°C9.1°C14.9°C20.1°C23°C21.7°C16.3°C9.3°C1.2°C-4.9°C
역대 최고 기온 (℃)16.5°C24.7°C31.6°C32.8°C38°C40.9°C41.9°C37.2°C37.1°C33.7°C26.7°C21.5°C
역대 최저 기온 (℃)-19.3°C-18.1°C-8.5°C-1.8°C4.4°C11°C16°C13.4°C6°C-3°C-14.6°C-23.4°C


5. 2. 강수량

가오청구의 월별 강수량은 다음과 같다.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자료에 따르면, 7월과 8월에 강수량이 집중되며, 각각 118.6mm와 123.2mm이다. 1월과 12월은 강수량이 가장 적으며, 각각 2.6mm와 3.1mm이다.[7]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자료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7월과 8월 강수량은 각각 118mm, 121.4mm이고, 1월과 12월은 각각 2.3mm, 3.1mm이다.[3][4]

1991년부터 2020년까지 월별 강수일수는 다음과 같다.

강수일수 (≥ 0.1mm)
1월1.8
2월2.4
3월2.7
4월4.9
5월6.1
6월8.3
7월10.9
8월10.3
9월6.7
10월5.3
11월3.6
12월1.8

[3][4]

5. 3. 습도 및 일조량

1981년부터 2010년까지 가오청의 월별 평균 습도는 54%에서 79% 사이로 나타난다. 7월과 8월의 습도가 각각 75%, 79%로 가장 높고, 2월과 3월의 습도가 각각 54%로 가장 낮다.[7]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자료에서는 7월과 8월의 습도가 각각 73%, 77%로 나타나며, 3월의 습도가 50%로 가장 낮게 나타난다.[3][4]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월별 평균 일조 시간은 143.2시간(12월)에서 267.0시간(5월) 사이이다. 월별 일조율은 44%(7월)에서 60%(4월, 5월) 사이로 나타난다.[3][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습도(%) (1981-2010)[7]575454586361757973676663
평균 습도(%) (1991-2020)[3][4]585350566059737772666762
평균 일조 시간 (1991-2020)[3][4]147.1162.9211.3237.8267.0234.2196.2197.3193.6184.1152.6143.2
평균 일조율(%) (1991-2020)[3][4]485357606053444753545149


6. 교통

가오청구는 석가장-덕주 철로, G1811 황화-석가장 고속도로, 307 국도가 지나는 교통의 요지이다.

6. 1. 철도

석가장-덕주 철로가 가오청 구를 지난다.

6. 2. 고속도로

G1811 황화-석가장 고속도로

6. 3. 국도

307 국도가 가오청 시를 지난다.

참조

[1] 웹사이트 Gaocheng overview http://www.gc.gov.cn[...] 2006-10-15
[2] 웹사이트 Geographic information http://www.gc.gov.cn[...] 2006-10-14
[3]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5
[4]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5
[5] 웹사이트 2017年统计用区划代码 http://www.stats.gov[...] 2018-08-04
[6] 웹사이트 2017年统计用区划代码 http://www.stats.gov[...] 2018-08-04
[7] 웹인용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 2022-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