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유원은 대한민국의 철학자, 번역가, 서평가이다. 동국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홉스, 헤겔 철학을 연구했다. 동국대학교에서 강의하다가 퇴직 후 회사원으로 일하며 '회사원 철학자'라는 별칭을 얻었다. 주요 저서로는 《근대실천철학연구》, 《인문 고전 강의》 등이 있으며, 다수의 철학 관련 서적을 번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성고등학교 (서울) 동문 - 노웅래
노웅래는 MBC 기자 출신으로 언론 개혁과 방송 민주화에 힘쓴 대한민국 정치인이며, 국회의원 4선에 성공하여 활발한 의정활동을 펼쳤으나, 현재는 청탁 대가 금품 수수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 대성고등학교 (서울) 동문 - 강병원
강병원은 서울대 농경제학과 졸업 후 대우인터내셔널, 노무현 정부 행정관을 거쳐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제20대,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환경노동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등에서 활동하며 '폭스바겐 재발 방지법', '직장 내 괴롭힘 방지법' 등 법안 통과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영어-한국어 번역가 - 피천득
피천득은 간결하고 섬세한 문체로 일상적인 소재를 다룬 수필가이자 영문학자, 시인으로, 《인연》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교수와 명예교수를 역임했다. - 영어-한국어 번역가 - 안정효
안정효는 소설가, 번역가, 언론인, 영문학자로서 《백년 동안의 고독》을 번역하며 번역가로 데뷔했고, 소설 《하얀 전쟁》으로 등단했으며, 2023년에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한문학자 - 최남선
최남선은 1890년에 태어나 1957년에 사망한 대한민국의 문인이자 독립운동가, 언론인, 역사학자이며, 《소년》을 창간하고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현대 한국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3·1 운동 독립선언서 기초, 친일 행적, 단군 연구, 《단군론》, 《불함문화론》 저술 등의 활동을 했다. - 대한민국의 한문학자 - 조순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조순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한국은행 총재, 민선 1기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고 한나라당 국회의원을 지냈다.
강유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관 | 진주 강씨 |
출생 | 1962년 |
직업 | 인문학자 |
학력 | |
최종 학력 | 박사 |
경력 | |
주요 경력 | 자유기업원 시장경제아카데미 강사 대안학교 강사 철학아카데미 강사 |
2. 생애
1962년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태어나 전라남도 광산군(光山郡) 서방면(瑞坊面) 부근에 있는 초등학교에 다녔다. 1971년 서울특별시로 이사하여 인왕초등학교로 전학한 이후, 대성고등학교를 거쳐 1980년에 동국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했다.[1] 홉스 연구[2] 로써 석사학위를 받은 이후, 1992년 헤겔에 관한 연구[3] 로써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모교인 동국대학교에서 강의하다가 그만둔 이후 회사원으로서 일하면서 번역가와 서평가로 활동했다. 이때 "회사원 철학자"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4]
3. 활동
3. 0. 1. 주요 강의 목록
3. 1. 서평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3. 2. 저술 및 기고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3. 3. 번역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4. 지식인론
}}}}}} 추가해] 주세요.}}
|크기 = 왼쪽
}}
5. 저작
강유원은 다음과 같은 저서를 출간했다.
- '''저서'''
- * 《근대실천철학연구》 (미래글, 1998년 3월)
- * 《인터넷으로 떠나는 철학여행》 (지정, 1998년 6월)
- * 《책》(서평집) (야간비행, 2003년 5월)
- * 《서양문명의 기반 - 철학적 탐구》 (미토, 2003년 11월)
- * 《책과 세계》- 살림지식총서 085 (살림, 2004년 4월)
- * 《장미의 이름 읽기 - 텍스트 해석의 한계를 에코에게 묻다》 (미토, 2004년 12월)
- * 《몸으로 하는 공부》- 강유원 잡문집 (여름언덕, 2005년 7월)
- * 《주제 - 강유원 서평집》 (뿌리와이파리, 2005년 12월)
- * 《강유원의 고전강의 공산당 선언 - 젊은 세대를 위한 마르크스 입문서》 (정훈이(그림), 뿌리와이파리)
- * 《서구 정치사상 고전읽기 - 통합적 사유를 위한 인문학 강의》 (라티오, 2008년 4월)
- * 《인문 고전 강의 - 오래된 지식, 새로운 지혜》 (라티오, 2010년 4월)
- * 《역사 고전 강의 - 전진하는 세계, 성찰하는 인간》 (라티오, 2012년 6월)
- *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라티오, 2016년 8월)
- * 《숨은 신을 찾아서 - 신념 체계와 삶의 방식에 관한 성찰》 (라티오, 2016년 11월)
- * 《문학 고전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 (라티오, 2017년 5월)
- * 《에로스를 찾아서 - 사랑과 아름다움에 관한 성찰》 (라티오, 2017년 12월)
- * 《책 읽기의 끝과 시작 - 책읽기가 지식이 되기까지》 (라티오, 2020년 4월)
- * 《소크라테스, 민주주의를 캐묻다 - 우리 시대, 사상사로 읽는 원전 : 체제 탐구》 (라티오, 2021년 11월)
- * 《플라톤, 현실국가를 캐묻다 - 우리 시대, 사상사로 읽는 원전 : 《국가》 탐구》 (라티오, 2023년 2월)
- '''공저'''
- * 《보수주의자들》 (강진호, 박원배, 손혁재, 이원태, 장상환, 전영기, 전제성, 조현연, 최종욱, 최종욱과 공저, 삼인, 1997년 12월)
- * 《삶은 늘 우리를 배반한다 - 지성사로 읽는 예술》 (김용섭과의 공저, 미토, 2004년 11월)
- '''번역'''
- * 《홉스와 로크의 사회철학: 소유적 개인주의의 정치이론》 (C.B 맥퍼슨 (지은이), 황경식, 강유원 공역, 박영사, 1990년)
- * 《로크》- 궁리필로소피 4 (마이클 에이어스 (지은이), 궁리, 2003년 6월)
- * 《낭만주의의 뿌리 - 서구 세계를 바꾼 사상 혁명》 (이사야 벌린 (지은이), 나현영과 공역, 이제이북스, 2005년 6월)
- * 《헤겔 근대 철학사 강의 - 근대 철학의 문제와 흐름》 (하워드 P. 케인즈 (지은이), 박수민과 공역, 이제이북스, 2005년 9월)
- * 《경제학-철학 수고》 (카를 마르크스 (지은이), 이론과실천, 2006년 12월)
- * 《제국》 (스티븐 하우 (지은이), 한동희와 공역, 뿌리와이파리, 2007년 8월)
- * 《달인 - 천 가지 성공에 이르는 단 하나의 길》 (조지 레오나르드 (지은이), 여름언덕, 2007년 9월, 2009년 12월 개정판)
- * 《파시즘》 (케빈 패스모어 (지은이), 뿌리와이파리, 2007년 11월)
- * 《루트비히 포이어바흐와 독일 고전철학의 종말》 (프리드리히 엥겔스 (지은이), 이론과실천, 2008년 1월)
- * 《철학, 더 나은 삶을 위한 사유의 기술》 (브렌다 아몬드 외 (지은이), 석기용과 공역, 유토피아, 2008년 3월)
- * 《공산당 선언》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지은이), 이론과실천, 2008년 11월)
- * 《르네상스의 마지막 날들》 (시어도어 래브 (지은이), 정지인과 공역, 르네상스, 2008년 12월)
- * 《역사와 역사가들 - 서양사 연구를 위한 입문》 (마크 길더러스 (지은이), 이재만과 공역, 이론과실천, 2009년 10월)
- * 《인문학 스터디 - 미국대학 교양교육 핵심과정과 한국에서의 인문학 공부안내》 (마크 C. 헨리 (지은이), 서민우, 손세정, 양유성, 이명훈, 지주형과 엮음, 라티오, 2009년 1월)
- * 《중국의 역사와 역사가들 - 중국사 연구를 위한 입문》 (오카다 히데히로 (지은이), 임경준과 공역, 이론과실천, 2010년 7월)
- * 《하버드, 철학을 인터뷰하다》 (하버드 철학 리뷰 편집부 (엮은이), 최봉실과 공역 , 돌베개, 2010년 7월)
- * 《헤겔 법철학 비판》 (카를 마르크스, 이론과실천, 2011년 6월)
- * 《철학으로서의 철학사》 (훌리안 마리아스 (지은이), 박수민과 공역, 유유, 2016년 8월)
- '''감수'''
- * ⟪파리의 심판⟫ (로스 킹 (지은이), 황주영(옮긴이), 다빈치, 2008년 12월)
5. 1. 저서
강유원은 다음과 같은 저서를 출간했다.- 저서
- * 《근대실천철학연구》 (미래글, 1998년 3월)
- * 《인터넷으로 떠나는 철학여행》 (지정, 1998년 6월)
- * 《책》(서평집) (야간비행, 2003년 5월)
- * 《서양문명의 기반 - 철학적 탐구》 (미토, 2003년 11월)
- * 《책과 세계》- 살림지식총서 085 (살림, 2004년 4월)
- * 《장미의 이름 읽기 - 텍스트 해석의 한계를 에코에게 묻다》 (미토, 2004년 12월)
- * 《몸으로 하는 공부》- 강유원 잡문집 (여름언덕, 2005년 7월)
- * 《주제 - 강유원 서평집》 (뿌리와이파리, 2005년 12월)
- * 《강유원의 고전강의 공산당 선언 - 젊은 세대를 위한 마르크스 입문서》 (정훈이(그림), 뿌리와이파리)
- * 《서구 정치사상 고전읽기 - 통합적 사유를 위한 인문학 강의》 (라티오, 2008년 4월)
- * 《인문 고전 강의 - 오래된 지식, 새로운 지혜》 (라티오, 2010년 4월)
- * 《역사 고전 강의 - 전진하는 세계, 성찰하는 인간》 (라티오, 2012년 6월)
- *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라티오, 2016년 8월)
- * 《숨은 신을 찾아서 - 신념 체계와 삶의 방식에 관한 성찰》 (라티오, 2016년 11월)
- * 《문학 고전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 (라티오, 2017년 5월)
- * 《에로스를 찾아서 - 사랑과 아름다움에 관한 성찰》 (라티오, 2017년 12월)
- * 《책 읽기의 끝과 시작 - 책읽기가 지식이 되기까지》 (라티오, 2020년 4월)
- * 《소크라테스, 민주주의를 캐묻다 - 우리 시대, 사상사로 읽는 원전 : 체제 탐구》 (라티오, 2021년 11월)
- * 《플라톤, 현실국가를 캐묻다 - 우리 시대, 사상사로 읽는 원전 : 《국가》 탐구》 (라티오, 2023년 2월)
- 공저
- * 《보수주의자들》 (강진호, 박원배, 손혁재, 이원태, 장상환, 전영기, 전제성, 조현연, 최종욱, 최종욱과 공저, 삼인, 1997년 12월)
- * 《삶은 늘 우리를 배반한다 - 지성사로 읽는 예술》 (김용섭과의 공저, 미토, 2004년 11월)
- 번역
- * 《홉스와 로크의 사회철학: 소유적 개인주의의 정치이론》 (C.B 맥퍼슨 (지은이), 황경식, 강유원 공역, 박영사, 1990년)
- * 《로크》- 궁리필로소피 4 (마이클 에이어스 (지은이), 궁리, 2003년 6월)
- * 《낭만주의의 뿌리 - 서구 세계를 바꾼 사상 혁명》 (이사야 벌린 (지은이), 나현영과 공역, 이제이북스, 2005년 6월)
- * 《헤겔 근대 철학사 강의 - 근대 철학의 문제와 흐름》 (하워드 P. 케인즈 (지은이), 박수민과 공역, 이제이북스, 2005년 9월)
- * 《경제학-철학 수고》 (칼 마르크스 (지은이), 이론과실천, 2006년 12월)
- * 《제국》 (스티븐 하우 (지은이), 한동희와 공역, 뿌리와이파리, 2007년 8월)
- * 《달인 - 천 가지 성공에 이르는 단 하나의 길》 (조지 레오나르드 (지은이), 여름언덕, 2007년 9월, 2009년 12월 개정판)
- * 《파시즘》 (케빈 패스모어 (지은이), 뿌리와이파리, 2007년 11월)
- * 《루트비히 포이어바흐와 독일 고전철학의 종말》 (프리드리히 엥겔스 (지은이), 이론과실천, 2008년 1월)
- * 《철학, 더 나은 삶을 위한 사유의 기술》 (브렌다 아몬드 외 (지은이), 석기용과 공역, 유토피아, 2008년 3월)
- * 《공산당 선언》 (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지은이), 이론과실천, 2008년 11월)
- * 《르네상스의 마지막 날들》 (시어도어 래브 (지은이), 정지인과 공역, 르네상스, 2008년 12월)
- * 《역사와 역사가들 - 서양사 연구를 위한 입문》 (마크 길더러스 (지은이), 이재만과 공역, 이론과실천, 2009년 10월)
- * 《인문학 스터디 - 미국대학 교양교육 핵심과정과 한국에서의 인문학 공부안내》 (마크 C. 헨리 (지은이), 서민우, 손세정, 양유성, 이명훈, 지주형과 엮음, 라티오, 2009년 1월)
- * 《중국의 역사와 역사가들 - 중국사 연구를 위한 입문》 (오카다 히데히로 (지은이), 임경준과 공역, 이론과실천, 2010년 7월)
- * 《하버드, 철학을 인터뷰하다》 (하버드 철학 리뷰 편집부 (엮은이), 최봉실과 공역 , 돌베개, 2010년 7월)
- * 《헤겔 법철학 비판》 (칼 마르크스, 이론과실천, 2011년 6월)
- * 《철학으로서의 철학사》 (훌리안 마리아스 (지은이), 박수민과 공역, 유유, 2016년 8월)
- 감수
- * ⟪파리의 심판⟫ (로스 킹 (지은이), 황주영(옮긴이), 다빈치, 2008년 12월)
5. 2. 공저
강유원은 김용섭과 함께 《삶은 늘 우리를 배반한다 - 지성사로 읽는 예술》을 2004년 11월에 출간했다. 또한 강진호, 박원배, 손혁재, 이원태, 장상환, 전영기, 전제성, 조현연, 최종욱과 공저로 《보수주의자들》을 1997년 12월에 출간했다.5. 3. 번역
강유원은 C.B 맥퍼슨의 《홉스와 로크의 사회철학: 소유적 개인주의의 정치이론》을 황경식과 함께 번역하여 1990년 박영사에서 출간했다. 마이클 에이어스의 《로크》를 번역하여 2003년 6월 궁리에서 출간했다. 이사야 벌린의 《낭만주의의 뿌리 - 서구 세계를 바꾼 사상 혁명》을 나현영과 함께 번역하여 2005년 6월 이제이북스에서 출간했다. 하워드 P. 케인즈의 《헤겔 근대 철학사 강의 - 근대 철학의 문제와 흐름》을 박수민과 공역하여 2005년 9월 이제이북스에서 출간했다.칼 마르크스의 《경제학-철학 수고》를 번역하여 2006년 12월 이론과실천에서 출간했다. 스티븐 하우의 《제국》을 한동희와 함께 번역하여 2007년 8월 뿌리와이파리에서 출간했다. 조지 레오나르드의 《달인 - 천 가지 성공에 이르는 단 하나의 길》을 번역하여 2007년 9월 여름언덕에서 출간했으며, 2009년 12월 개정판을 냈다. 케빈 패스모어의 《파시즘》을 번역하여 2007년 11월 뿌리와이파리에서 출간했다.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루트비히 포이어바흐와 독일 고전철학의 종말》을 번역하여 2008년 1월 이론과실천에서 출간했다.
브렌다 아몬드 외 여러 명의 《철학, 더 나은 삶을 위한 사유의 기술》을 석기용과 함께 번역하여 2008년 3월 유토피아에서 출간했다.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공산당 선언》을 번역하여 2008년 11월 이론과실천에서 출간했다. 시어도어 래브의 《르네상스의 마지막 날들》을 정지인과 함께 번역하여 2008년 12월 르네상스에서 출간했다. 마크 길더러스의 《역사와 역사가들 - 서양사 연구를 위한 입문》을 이재만과 함께 번역하여 2009년 10월 이론과실천에서 출간했다.
마크 C. 헨리의 《인문학 스터디 - 미국대학 교양교육 핵심과정과 한국에서의 인문학 공부안내》를 서민우, 손세정, 양유성, 이명훈, 지주형과 함께 엮어 2009년 1월 라티오에서 출간했다. 오카다 히데히로의 《중국의 역사와 역사가들 - 중국사 연구를 위한 입문》을 임경준과 함께 번역하여 2010년 7월 이론과실천에서 출간했다. 하버드 철학 리뷰 편집부의 《하버드, 철학을 인터뷰하다》를 최봉실과 함께 번역하여 2010년 7월 돌베개에서 출간했다. 칼 마르크스의 《헤겔 법철학 비판》을 번역하여 2011년 6월 이론과실천에서 출간했다. 훌리안 마리아스의 《철학으로서의 철학사》를 박수민과 함께 번역하여 2016년 8월 유유에서 출간했다.
5. 4. 감수
참조
[1]
서적
강유원의 고전강의 공산당 선언
[2]
논문
Hobbes 政治哲學의 唯物論的 基礎에 관한 硏究(1988)
동국대학교
[3]
논문
Hegel에 있어서의 자유에 관한 연구(1993)
동국대학교
[4]
뉴스
"성공하고 싶은 회사원을 위한 고전"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12-0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