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희는 청나라의 연호로, 순치 18년(1661년)에 제정되어 1662년부터 1722년까지 사용되었다. 이 기간 동안 청나라는 오보이를 제거하고 친정을 시작했으며, 삼번의 난을 평정하고, 러시아와 넬친스크 조약을 체결하는 등 주요 사건들을 겪었다. 또한, 강희자전이 완성되었으며, 티베트에 두 차례 출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강희 | |
---|---|
기본 정보 | |
![]() | |
연호 | 강희(康熙) |
사용 기간 | 1662년 ~ 1722년 |
국가 | 청(淸) |
군주 | 성조 강희제 현엽 |
설명 | 청 강희제 시기에 위치한 강희 |
만주어 | Elhe Taifin (얼허 타이핀) |
몽골어 | Энх-амгалан (엥케 아무굴랑) |
몽골 문자 | Engqe Amuγulang |
중국어 | 康熙 KāngXī (캉시) |
일본어 | 康熙 Kōki (고키) |
베트남어 | Khang Hi (캉히) |
2. 연호 제정 및 사용
1661년 2월 7일(음력 1월 9일[1]) 순치가 자신의 연호를 '''강희'''로 정하고, 다음 해인 1662년 2월 18일(음력 1월 1일[2])에 개원하였다.[3][4][5][6]
강희는 청나라 황제로서 재위 기간 동안 여러 중요한 사건들을 겪었다.
1722년 12월 27일(음력 11월 20일[7]) 강희가 자신의 연호를 옹정으로 정하고, 다음 해인 1723년 2월 5일(음력 1월 1일[8])에 개원하였다.[9][10][5]
3. 연대 대조표
강희 서기 간지 원년 1662년 임인 2년 1663년 계묘 3년 1664년 갑진 4년 1665년 을사 5년 1666년 병오 6년 1667년 정미 7년 1668년 무신 8년 1669년 기유 9년 1670년 경술 10년 1671년 신해 11년 1672년 임자 12년 1673년 계축 13년 1674년 갑인 14년 1675년 을묘 15년 1676년 병진 16년 1677년 정사 17년 1678년 무오 18년 1679년 기미 19년 1680년 경신 20년 1681년 신유 21년 1682년 임술 22년 1683년 계해 23년 1684년 갑자 24년 1685년 을축 25년 1686년 병인 26년 1687년 정묘 27년 1688년 무진 28년 1689년 기사 29년 1690년 경오 30년 1691년 신미 31년 1692년 임신 32년 1693년 계유 33년 1694년 갑술 34년 1695년 을해 35년 1696년 병자 36년 1697년 정축 37년 1698년 무인 38년 1699년 기묘 39년 1700년 경진 40년 1701년 신사 41년 1702년 임오 42년 1703년 계미 43년 1704년 갑신 44년 1705년 을유 45년 1706년 병술 46년 1707년 정해 47년 1708년 무자 48년 1709년 기축 49년 1710년 경인 50년 1711년 신묘 51년 1712년 임진 52년 1713년 계사 53년 1714년 갑오 54년 1715년 을미 55년 1716년 병신 56년 1717년 정유 57년 1718년 무술 58년 1719년 기해 59년 1720년 경자 60년 1721년 신축 61년 1722년 임인
4. 주요 사건
연도 사건 1670년 오보이 제거, 친정 시작 1673년 삼번의 난 발생 1681년 삼번의 난 평정 1689년 러시아와 넬친스크 조약 체결 1696년 갈단 공격 1716년 『강희자전』 완성 1718년 제1차 티베트 출병 1720년 제2차 티베트 출병
4. 1. 국내 (청나라)
1670년(강희 9년), 오보이를 폐하고 친정을 시작하였다.[1] 1673년(강희 12년) 삼번의 난이 발생하자[2] 1681년(강희 20년) 이를 평정하였다.[3] 1716년(강희 55년) 『강희자전』을 완성하였다.[4]
4. 2. 국제 관계
5. 동시대 다른 지역
강희제와 같은 시기에 존재했던 다른 지역의 정세는 다음과 같다.
중국에서는 강희제 시기에 여러 반란이 일어났으며, 왕요조의 대경(1665년), 양기륭의 광덕(1673년) 등의 연호가 사용되었다.[1]
베트남에서는 후 레 왕조가 빈토(1658년 ~ 1662년)부터 바오타이(1720년 ~ 1729년)까지, 막 왕조가 빈쓰엉(1661년 ~ 1680년)의 연호를 사용했다.
일본에서는 간분(1661년 ~ 1673년)부터 교호(1716년 ~ 1736년)까지의 연호가 사용되었다.
5. 1. 중국 (기타)
인물 | 연호(사용 기간) |
---|---|
왕요조 | 대경 (1665년)[1] |
양기륭 | 광덕 (1673년)[1] |
이천극 | 원흥 (1704년)[1] |
위기엽 | 문흥(1704년 ~ 1706년)[1] |
전보통 | 영흥 (1708년)[1] |
장염일 | 천덕 (1708년)[1] |
주일귀 | 영화 (1721년)[1] |
5. 2. 베트남
왕조 | 연호 (기간) |
---|---|
후 레 왕조(後黎朝) | 빈토(永壽) (1658년 ~ 1662년) |
반카인(萬慶) (1662년) | |
까인찌(景治) (1663년 ~ 1671년) | |
즈엉득(陽德) (1672년 ~ 1674년) | |
득응우옌(德元) (1674년 ~ 1675년) | |
빈찌(永治) (1676년 ~ 1680년) | |
찐호아(正和) (1680년 ~ 1705년) | |
빈틴(永盛) (1705년 ~ 1720년) | |
바오타이(保泰) (1720년 ~ 1729년) | |
막 왕조(莫朝) | 빈쓰엉(永昌) (1661년 ~ 1680년) |
5. 3. 일본
연호 | 기간 |
---|---|
간분 | 1661년~1673년 |
엔포 | 1673년~1681년 |
덴나 | 1681년~1684년 |
조쿄 | 1684년~1688년 |
겐로쿠 | 1688년~1704년 |
호에이 | 1704년~1711년 |
쇼토쿠 | 1711년~1716년 |
교호 | 1716년~1736년 |
참조
[1]
문서
신축년(辛丑年) 1월 기미일(己未日)
[2]
문서
임인년(壬寅年) 1월 을해일(乙亥日)
[3]
웹사이트
《청실록》(清實錄) 성조실록(聖祖實錄) 권1 - 순치(順治) 18년 정월 기미(己未) 기사
https://sillok.histo[...]
[4]
웹사이트
《청사고》(清史稿) 권6 〈본기〉(本紀) 6 - 성조(聖祖) 1
https://zh.wikisourc[...]
[5]
웹사이트
천문우주지식정보 음양력변환
https://astro.kasi.r[...]
[6]
서적
《청사고》(清史稿)에서는 정월 병진일(丙辰日)에 연호를 정한 것으로 나옴.
[7]
문서
임인년(壬寅年) 11월 신축일(辛丑日)
[8]
문서
계묘년(癸卯年) 1월 신사일(辛巳日)
[9]
웹사이트
《청실록》(清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권1 - 강희(康熙) 61년 11월 신축(辛丑) 기사
https://sillok.histo[...]
[10]
웹사이트
《청사고》(清史稿) 권9 〈본기〉(本紀) 9 - 세종(世宗)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