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자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희자전은 1716년 강희제의 명으로 편찬된 중국의 자전으로, 30여 명의 학자들이 참여하여 6년에 걸쳐 완성되었다. 매응조의 자휘와 장자열의 정자통을 참고하여, 총 4만 7035자의 한자를 수록하고 음과 뜻을 해설했다. 12지(支)에 따라 12집으로 나뉘며, 각 집은 상중하 3부로 구성되어 총 36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설문해자 이후 역대 자서를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으며, 강희자전체라는 독특한 글자꼴을 사용했다. 편찬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이후 수정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현재 유니코드 표준에 사용되는 여러 사전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전 - 옥편
옥편은 543년 고야왕이 편찬한 원본 옥편을 지칭하며, 자음 반절, 경서 및 고주 인용을 통해 자의를 설명하는 체례를 갖추고, 일본에 일부가 보존되어 있으며, 『대광익회옥편』, 『와옥편』, 『운회옥편』 편찬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 한국에서는 부수별 한자 사전을 옥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자전 - 한한대사전
한한대사전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서 한국 학자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30여 년에 걸쳐 편찬하여 2008년에 완간한 총 16권의 방대한 한자 전문 사전으로, 5만 3,667 글자와 42만 269 단어의 뜻과 출전을 수록하고 지속적인 수정 및 디지털화 작업을 통해 지식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 청나라의 문학 - 전당시
《전당시》는 강희제의 칙령으로 편찬된 당나라 시대 시가집으로, 다양한 계층의 시 4만 8천여 수를 수록하여 당시 사회상과 문학적 경향을 보여주지만, 편찬상의 한계와 비판적 검토 필요성이 존재하며, 에도 시대 일본과 조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청나라의 문학 - 명사 (역사서)
명사(明史)는 청나라가 편찬한 명나라의 역사서로, 명나라 황제, 제도, 인물들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 자료적 가치가 높지만 명나라에 대한 부정적 묘사 및 역사 왜곡 가능성도 제기된다.
강희자전 | |
---|---|
기본 정보 | |
![]() | |
개요 | |
유형 | 중국어 사전 |
제작 시기 | 18세기 |
언어 | 중국어 |
이름의 유래 | 강희제 |
특징 | 중국어 글자 47,035자 수록 214개 부수 체계 사용 중국어 사전의 표준으로 여겨짐 |
영향 | 동아시아 문화권에 큰 영향 |
역사적 맥락 | |
편찬 배경 | 청나라 강희제의 지시 문화적 통합과 표준화 목적 명나라 자전 오류 수정 |
주요 편찬자 | 장옥서 진정경 매조성 |
편찬 기간 | 1710년 ~ 1716년 (약 6년) |
출판 | 1716년 |
재판 | 1721년, 1827년 |
사전 구성 | |
총 글자 수 | 47,035자 |
부수 | 214개 |
분류 체계 | 부수를 기준으로 분류 |
내용 | 각 글자에 대한 발음 표기 (반절) 다양한 의미와 용례 제공 고전 인용 포함 |
참고 자료 | 설문해자 자휘 정자통 |
영향 | |
동아시아 | 한자 사용 국가에 큰 영향 중국어 사전의 표준으로 자리매김 한국, 일본, 베트남 등에 영향 |
현대 | 현대 중국어 사전의 기초 고전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 디지털화 및 현대적인 연구 진행 중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강희자전 글자 대조 작업 재개 - 강희자전 포럼 |
2. 편찬 과정
1716년 강희제의 명으로 30여 명의 학자들이 참여하여 편찬이 시작되었다.[7] 초기 편집에는 장옥서(張玉書, 1642–1711), 진정경(陳廷敬, 1639–1712) 등이 참여하였으나,[7] 이들은 임명된 지 1년 안에 모두 사망하여 한림원 학자들이 이어서 작업을 진행하였다. 명나라 시대의 자전인 자휘(字彙)(1615)와 정자통(正字通)(1627)을 주요 참고 자료로 활용하였다.
《강희자전》은 총 42권 12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집은 상, 중, 하 3부로 나뉜다. 자(字)는 부수의 획수 순, 동일 부수 내에서는 나머지 획수 순으로 배열되었다. 214개의 부수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현재 '강희자전 부수'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214개의 부수 체계는 현대 일본의 많은 한자사전에서 그대로 채용하거나 약간 변형[8]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유니코드 내의 한자 코드 배열 순서에도 사용되고 있다. CJK 통합 한자 URO(초기부터 있던 블록)와, CJK 통합 한자 확장 A, 그리고 CJK 통합 한자 확장 B를 합치면 강희자전의 모든 자가 있다고 여겨지며, 또한 강희자전에 기반한 부수(Kangxi Radicals, U+2F00-2FDF)도 수록되어 있다.[7]
황제의 칙령에 따라 5년 안에 편찬을 완료해야 했기 때문에 오류가 불가피했다. 학자 관리 왕희후(王希侯, 1713–1777)는 자신의 사전 서문에서 『강희자전』을 비판하였는데, 이를 알게 된 건륭제는 왕희후의 온 가족에게 구족멸족형을 선고했다가 나중에 감형하였다.[4][5] 이후 도광제는 왕인지(王引之, 1766–1834)와 검토 위원회를 임명하여 『강희자전』의 오류를 수정한 『자전고증』(字典考證)을 1831년에 출판하게 하였는데, 여기에서는 주로 인용과 관련된 2,588개의 오류가 수정되었다.[6]
6년의 편찬 기간을 거쳐 1716년(강희 55년)에 완성되었다.[7]
3. 구성
권두에는 서문(序), 상유(上諭), 범례(凡例), 직명(職名), 등운(等韻), 총목(總目), 검자(檢字), 변사(弁似)가 있으며, 권말에는 보유(補遺)와 비고(備考)가 있다.
3. 1. 내용 구성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중국어 12집으로 나뉘며, 각 집은 상중하(上中下) 3부로 나뉜다.
4. 특징
《강희자전》은 근대 이전에 만들어진 최대 규모의 자전으로, 역대 자전을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사전 역사상 매우 중요한 서적으로, 가장 큰 특징은 수록된 한자가 매우 다양하다는 점이다. 《자휘》, 《정자통》의 한자뿐만 아니라 《자휘보》, 《오음편해》 등에 실린 희귀한 글자까지 싣고 있어, 한자 목록으로서 중요하며 어려운 글자를 찾는 데 유용하다.
근대 이후 《중화대자전》, 《대한화사전》, 《중문대사전》, 《한어대사전》 등 주요 한자 사전들은 모두 《강희자전》의 한자를 기본적으로 수록하고 있다. 《강희자전》은 한자의 음운을 《당운》, 《광운》, 《집운》, 《홍무정운》, 《고금운회거요》 등을 참고하여 반절로 제시하고, 한자 뜻은 《설문해자》, 《옥편》 등 선행 자전의 내용을 싣고, 새로운 뜻도 추가하였다.
《강희자전》은 부수(部首) 214개를 기준으로 한자를 분류하고 배열했다. 각 한자의 음과 뜻을 상세히 해설하고, 다양한 용례를 제시하여 이해를 돕는다. 특히, 한자의 발음을 표시하기 위해 반절법을 사용하고, 주요 운서들을 참고하여 정확성을 높였다.
청나라 강희제의 명으로 장옥서, 진정경 등 30명이 편찬하였으며, 6년의 편찬 기간을 거쳐 1716년에 완성되었다.[7] 총 4만 7035자의 한자를 수록하고 있으며, 자의 배열은 《자휘》, 《정자통》의 방식을 따라 부수의 획수 순, 같은 부수 내에서는 획수 순으로 배열하였다. "강희자전 순"이라는 명칭처럼 이후 부수별 한자 사전의 기준이 되었으며, 현대 일본의 많은 한자사전과 유니코드 한자 코드 배열 순서에도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강희자전》은 숙어를 싣고 있지 않아 모든 뜻을 한자 단위로 해석해야 하며, 별도의 색인이 없어 불편하다는 특징이 있다.
《강희자전》은 한자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현대에도 한자 사전 편찬의 기준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4. 1. 강희자전체
고증학에 따른 《설문해자》 연구를 바탕으로 한 복고주의 경향에 따라 《강희자전》에서 정자(正字)로 채택된 글자들은, 《설문해자》의 소전(小篆) 자체를 해서(楷書)로 고쳐 만든 글자도 포함한다. 이러한 자체는 '강희자전체'라고 불리며, 현대 한자 자체의 표준으로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해서체 필사에서는 "俞", "喻", "輸" 자형이 주로 쓰였고 인쇄체도 이를 따랐지만, 《강희자전》은 "兪", "喩", "輸" 자형을 채택했다.[9]하지만 황제의 이름을 피휘(避諱)하여 획을 생략하는 글자(예: 玄[현]→16px[10])가 있는 등 자체의 불통일 문제가 존재한다. 이를 수정한 자체를 '소위 강희자전체'라고 부른다. 본문에 사용된 자체는 문자학 전통에 따라 선행 자서의 자체를 계승하고, 특히 《정자통》(正字通)의 영향을 크게 받아, 소전을 해서 자체로 복원한 것으로, 널리 쓰이던 해서 기반 명조체(明朝體) 자체와는 다르다.
《강희자전》 출간 후 금속 활자가 개발되면서 이 사전이 정자의 기준으로 쓰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자체가 '소위 강희자전체'에 가까워지는 경향을 보인다. 현재 일본에서 구자체(舊字體)라고 부르는 것은 대부분 '소위 강희자전체'이다.
5. 판본
청나라 내무부에서 찍어낸 초판은 '내부본(內府本)'이라고 불린다. 일본에서는 1780년(안에이 9년)에 '일본 번각 강희자전(日本飜刻康熙字典)'으로 번각된 판이 최초이며, '안에이본(安永本)'이라고 불린다. 모두 목판으로 인쇄되었다.
6. 오류 및 수정
왕인지(王引之)가 지은 《자전고증(字典考證)》, 왕력(王力)이 지은 《강희자전 음독 정오(康熙字典音讀訂誤)》 등에서 《강희자전》의 오류를 지적하고 수정하였다.[6]
《강희자전》은 황제의 칙령에 따라 5년이라는 짧은 기간 내에 완성해야 했기 때문에 오류가 불가피했다. 황제는 서문에서 "각 정의는 자세히 제시되고 모든 발음이 제공된다"라고 하였지만,[2][3] 실제로는 그렇지 못했다. 학자 관리 왕희후(王希侯)는 자신의 사전 서문에서 《강희자전》을 비판하기도 했다.[4]
후대의 도광제는 왕인지(王引之)와 검토 위원회를 임명하여 《강희자전》의 공식 보충판을 편찬하도록 했다. 1831년에 출판된 《》은 인용 및 인용구에서 발견된 2,588개의 오류를 수정하였다.[6]
《강희자전》의 교정 및 보완 작업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저서 | 저자 | 내용 | 비고 |
---|---|---|---|
《字典考証》 (12권) | 왕인지(王引之) 등 | 『康熙字典』 전문 재검토, 도광판(道光版)과 초판인 내부본(內府本)의 차이점 기록 | 1831년 완성, 중화서국(中華書局)판 권말 첨부 |
「字典琢屑」 | 도가정종(都賀庭鐘) | 《字典考証》에 앞선 교정 시도 | 일본 안영본(安永本) (1778년 간행) 수록 |
《康熙字典校異正誤》 | 와타나베 온(渡部温) | 1만 건 이상 교정 | 1887년 간행, 『標註訂正康熙字典』 란외 및 상해고적출판사(上海古籍出版社) 왕인지(王引之) 교정본 권말 수록 |
《康熙字典音讀訂誤》 | 왕력(王力) | 『康熙字典』 자음(字音) 교정 | 1988년 간행 |
7. 현대적 의의 및 영향
《강희자전》은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편찬된 한자 사전의 기준이 되었다. 예를 들어 현대 일본의 많은 한자사전에서는 강희자전의 214부수 체계를 그대로 채용하거나 약간 변경하는[8] 정도이다. 정보화 시대에는 유니코드 내의 한자 코드 배열 순서에도 사용되고 있다. CJK 통합 한자 URO(초기부터 있던 블록)와 CJK 통합 한자 확장 A, CJK 통합 한자 확장 B를 합치면 강희자전의 글자가 모두 있다고 여겨지며, 강희자전에 기반한 부수(Kangxi Radicals, U+2F00-2FDF)도 수록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重啟康熙字典字頭校對工作 - 康熙字典論壇 - 康熙字典与倉頡之友 - Powered by Discuz!
https://www.chinesec[...]
2023-03-28
[2]
서적
Tr. Creamer 1992
[3]
서적
Mair 1998
[4]
서적
Creamer 1992
[5]
문서
李雪涛《一位传教士记载的王锡侯〈字贯〉案》
[6]
서적
Teng and Biggerstaff 1971
[7]
웹사이트
《康熙字典》總閲官、纂修官行歷考實
http://www2.sass.org[...]
2018-08-20
[8]
문서
例えば、[[匚部]]と[[匸部]]、[[夂部]]と[[夊部]]、[[日部]]と[[曰部]]の3組について、1つの部首に統合したり、[[ツ部]]などのような新部首を設けたりするような場合もしばしばある。
[9]
웹사이트
漢字字体規範史データセット
http://www.hng-data.[...]
漢字字体規範史データセット保存会
2020-06-20
[10]
문서
U+248E5
[11]
서적
解説字体辞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