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신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혁신당은 2023년 12월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의 탈당 및 신당 창당 선언으로 시작되었다. 2024년 1월 창당대회를 통해 이준석을 당대표로 선출하고, 한국의희망과의 합당, 새로운미래 등과의 합당 시도를 거쳤으나 결별했다. 2024년 4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역구 1석, 비례대표 2석을 얻어 원내 진입에 성공했다. 당 내에는 중도우파, 중도주의, 중도좌파 등 다양한 이념 스펙트럼의 인사들이 공존하며,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 폐지, 여성 군복무 의무화 등 정책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 원내정당 - 조국혁신당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주도하여 창당된 조국혁신당은 검찰 독재 저지를 목표로 2024년 제22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전략을 통해 12석을 확보, 원내 제3당이 되었으며 윤석열 탄핵에 찬성하는 입장을 표명하고 자유주의적 진보 성향을 표방하며 경제적 진보주의, 정부 주도의 경제 개입, 북한과의 평화적 협력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조국 대표의 유죄 판결 확정 이후 김선민이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고 있다.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 원내정당 - 진보당 (2017년 대한민국)
진보당은 2017년 새민중정당과 민중연합당의 합당으로 창당되어 통합진보당의 계승 정당으로 여겨지며, 반미·반일 성향과 진보적인 경제·사회 정책을 표방하고 친북 논란 등 여러 논란에 직면해 왔으나, 2023년 재보궐선거에서 승리하며 원내 진출 후 2024년 총선에서 1석을 확보한 대한민국 정당이다. - 2024년 설립된 정당 - 조국혁신당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주도하여 창당된 조국혁신당은 검찰 독재 저지를 목표로 2024년 제22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전략을 통해 12석을 확보, 원내 제3당이 되었으며 윤석열 탄핵에 찬성하는 입장을 표명하고 자유주의적 진보 성향을 표방하며 경제적 진보주의, 정부 주도의 경제 개입, 북한과의 평화적 협력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조국 대표의 유죄 판결 확정 이후 김선민이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고 있다. - 2024년 설립된 정당 - 대한상공인당
대한상공인당은 소상공인, 중소기업, 스타트업 종사자 등 상공인의 권익을 대변하고 경제·사회적 약자의 지위 향상을 추구하는 정당으로, 과거 창당 후 해산되었으나 2024년 재창당되어 선거에 참여했다.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 원내정당 - 정의당 (대한민국)
정의당은 2013년 창당된 대한민국 정당으로, 사회민주주의를 지향하며 경제 민주화, 복지 국가 건설, 환경 보호, 소수자 인권 보호 등을 주장한다.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 원내정당 - 조국혁신당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주도하여 창당된 조국혁신당은 검찰 독재 저지를 목표로 2024년 제22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전략을 통해 12석을 확보, 원내 제3당이 되었으며 윤석열 탄핵에 찬성하는 입장을 표명하고 자유주의적 진보 성향을 표방하며 경제적 진보주의, 정부 주도의 경제 개입, 북한과의 평화적 협력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조국 대표의 유죄 판결 확정 이후 김선민이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고 있다.
개혁신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해산 | |
주요 인물 | |
이념 및 정치 성향 | |
의석 현황 | |
2. 역사
국민의힘 당대표를 지냈던 이준석은 2023년 12월 27일 국민의힘을 탈당하고 신당 창당을 선언했으며,[11][12] 천하람, 허은아, 이기인 등이 합류하였다.[13][14][15] 2024년 1월 12일에는 김용남 전 의원이 입당하였다.[16]
1월 20일 창당대회를 열어 당대표로 이준석이 선출되고, 주요 당직자들이 임명되었다.[17] 1월 24일에는 양향자 의원이 창당한 한국의희망과의 합당을 발표했다.[20] 2월 6일에는 이태환 전 세종시의회 의장을 영입했다.[24]
2월 9일, 이낙연 대표의 새로운미래, 새로운선택, 원칙과상식 (이원욱, 조응천 의원)과 합당하여 이낙연, 이준석이 공동대표를 맡기로 선언한다.[25][26] 양정숙 의원도 입당했다.[27] 그러나 정식 합당 절차가 지연되면서, 통합 정당인 개혁신당에 먼저 입당하고 나중에 합당을 마무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2월 20일, 새로운미래의 이낙연과의 갈등으로 이낙연과 김종민은 새로운미래로 복귀한다고 발표했다.[28] 이로써 개혁신당은 다시 4석으로 줄었다.
2. 1. 창당 배경 및 과정
국민의힘 당대표를 지냈던 이준석은 2023년 12월 27일 서울 노원구 상계동의 한 갈비집에서 국민의힘을 탈당하고 신당 창당을 선언했다.[11][12] 이후 천하람 전 국민의힘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 당협위원장,[13] 허은아 전직 의원,[14] 이기인 경기도의원[15]이 합류했고, 2024년 1월 12일 김용남 전 의원이 입당했다.[16]2024년 1월 20일 창당대회를 열어 이준석이 당대표로 선출되었고, 정책위의장에 김용남, 최고위원에 이기인·허은아·천하람, 사무총장에 김철근이 지명되었다.[17] 창당대회에서 개혁신당을 포함한 “제3세력”을 만들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에 맞서 싸우겠다는 의지를 밝혔다.[3]
1월 24일, 2차 가해 의혹으로 더불어민주당에서 제명 처분을 받고[18] 자진 탈당한[19] 양향자 의원이 창당한 한국의희망과 합당을 발표했다.[20][4]
2월 6일에는 가족 토지와 맞닿은 땅에 도로를 건설했다는 의혹으로 더불어민주당에서 당원 자격 정지 1년 6개월의 징계를 받고,[21] 감사원으로부터 징계요구를 받은[22][23] 이태환 전 세종시의회 의장을 영입했다.[24]
2월 9일, 이낙연 대표의 새로운미래, 새로운선택, 원칙과 상식(이원욱, 조응천 의원)과 합당하여 이낙연, 이준석이 공동대표를 맡기로 선언했다.[25][26][5]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부동산 실명제 위반과 명의신탁 의혹 등으로 제명된 무소속 양정숙 의원이 입당했다.[27] 다만, 정식 합당에 시간이 걸려 국회의원과 당직자들이 통합 정당인 개혁신당에 사전 입당하고 합당을 나중에 마무리하는 형식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2월 20일, 새로운미래의 이낙연과 갈등이 불거져 이낙연과 김종민은 새로운미래로 돌아간다고 발표했다.[28][6] 이로써 개혁신당은 다시 4석이 되었다.
2. 2. 합당과 결별
국민의힘 당대표를 지냈던 이준석은 2023년 12월 27일 국민의힘을 탈당하고 신당 창당을 선언했으며,[11][12] 천하람, 허은아, 이기인 등이 합류하였다.[13][14][15] 2024년 1월 12일에는 김용남 전 의원이 입당하였다.[16] 1월 20일 창당대회를 열어 당대표로 이준석이 선출되고, 주요 당직자들이 임명되었다.[17] 1월 24일에는 양향자 의원이 창당한 한국의희망과의 합당을 발표했다.[20] 2월 6일에는 이태환 전 세종시의회 의장을 영입했다.[24]2월 9일, 이낙연 대표의 새로운미래, 새로운선택, 원칙과상식 (이원욱, 조응천 의원)과 합당하여 이낙연, 이준석 공동대표 체제를 선언한다.[25][26] 양정숙 의원도 입당했다.[27] 그러나 정식 합당 절차가 지연되면서, 통합 정당인 개혁신당에 먼저 입당하고 나중에 합당을 마무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2월 20일, 새로운미래의 이낙연과의 갈등으로 이낙연과 김종민은 새로운미래로 복귀한다고 발표했다.[28] 이로써 개혁신당은 다시 4석으로 줄었다.
2. 3. 2024년 총선 이후
국민의힘 당대표를 지냈던 이준석은 2023년 12월 27일 서울 노원구 상계동에서 국민의힘을 탈당하고 신당 창당을 선언했으며,[11][12] 천하람 전 국민의힘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 당협위원장,[13] 허은아 전직 의원,[14] 이기인 경기도의원,[15] 2024년 1월 12일 김용남 전 의원이 합류하였다.[16] 1월 20일 창당대회를 열어 당대표로 이준석이 선출되고, 정책위의장에 김용남, 최고위원에 이기인·허은아·천하람, 사무총장에 김철근이 지명되었다.[17] 1월 24일 양향자 의원이 2차 가해 의혹으로 더불어민주당에서 제명 처분을 받고[18] 자진탈당한[19] 후 창당한 한국의희망과 합당을 발표했다.[20] 2월 6일 가족 토지와 맞닿은 땅에 도로를 건설했다는 의혹으로 더불어민주당에서 당원 자격 정지 1년 6개월 징계를 받고,[21] 감사원으로부터 징계요구를 결정받은[22][23] 이태환 전 세종시의회 의장을 영입했다.[24]2월 9일 이낙연 대표의 새로운미래, 새로운선택, 원칙과 상식(이원욱, 조응천 의원)과 합당해 이낙연, 이준석이 공동대표를 맡기로 선언한다.[25][26]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부동산 실명제 위반과 명의신탁 의혹 등으로 제명된 양정숙 의원이 입당했다.[27] 다만 정식 합당에 시간이 걸려 국회의원과 당직자들이 통합정당인 개혁신당에 사전 입당하고 합당을 나중에 마무리짓는 형식으로 합당하기로 하였다. 2월 20일 새로운미래의 이낙연과 갈등이 불거져 이낙연과 김종민은 새로운미래로 돌아간다고 발표했다.[28] 이로써 개혁신당은 다시 4석이 되었다.
3. 이념 및 정책
개혁신당은 제3지대 빅텐트의 성격을 띄고 있다. 당 내부에는 중도우파, 중도주의, 중도좌파 성향의 계파들이 혼재되어 있다.
초기에는 국민의힘을 중심으로 이준석을 중심으로 한 온건 보수파가 주축이었고, 바른미래당 출신 중도파들이 합류하였다.[7] 정의당의 중도좌파 당원들 중 녹색당과의 선거 연대를 거부한 당원들도 탈당하여 선거 연대에 참여했는데, 전 의원 류호정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다른 정당 및 당파와의 연이은 합병 이후, 다양한 배경의 당원들로 구성된 거대 정당으로 변모하였다.
2024년 대한민국 총선을 앞두고 다양한 당파가 중도 진영을 형성하기 위해 합쳐졌기 때문에, 당원들은 여전히 이념적 갈등을 보이고 있다.[8]
본 당은 권위주의와 국가주의에 반대하며 자유를 보호하고자 한다고 주장한다.[9][10]
3. 1. 주요 정책
개혁신당은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공약으로 노인 대상 지하철 무임승차 폐지[29], 경찰관 및 소방관 지원, 여성 군복무 의무화[30], 민간 저가 고속철 도입[31]을 발표했으며, 정부의 의과대학 입학 정원 증원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32]4. 역대 지도부
개혁신당의 역대 지도부는 다음과 같다.
'''2024. 1. 25.~2024. 2. 9.'''
직책 | 이름 |
---|---|
당대표 | 이준석 |
당대표 비서실장 | 조영환 |
당대표 정무실장 | 구혁모 |
최고위원 | 이기인, 천하람, 허은아 |
정책위의장 | 김용남 |
정무특보단장 | 김두수 |
정강정책위원장 | 이준석 |
전략기획위원장 | 김용남 → 정보경 |
인재영입위원장 | 이준석, 허은아 |
국민통합위원장 | 문병호 |
사무총장 | 김철근 |
당무본부장 | 조영환 |
조직본부장 | 김성열 |
정책본부장 | 김경한 |
홍보본부장 | 윤형건 |
후원회장 | 정형호 |
정책위원회 부의장 | 황영헌, 이경선, 천강정, 권상기, 조동운, 유지훈, 최현수, 황세연 |
정무특보 | 김구영, 이은창, 안만규, 이재웅, 이영랑, 류성호 |
정책특보 | 성수희, 배기석, 임병성, 정승우, 이주복, 원용수 |
법률특보 | [https://www.youtube.com/@kijeongkim7458 김기정] |
공보특보 | 남윤중 |
홍보특보 | 윤형건 |
전략기획위원회 부위원장 | 남윤중 |
인재영입 부위원장 | 김숙향 |
수석대변인 | 이기인 |
수석부대변인 | 주이삭 |
상근대변인 | 김영호 |
정책대변인 | 문성호 |
부대변인 | 김양곤 |
'''2024. 2. 9.~2024. 2. 19.'''
직책 | 이름 |
---|---|
공동대표 | 이준석, 이낙연 |
최고위원 | 금태섭, 조응천, 김종민 |
정책위원회 공동의장 | 김용남, 김만흠 |
사무총장 | 김철근 |
전략기획부총장 | 이훈 |
조직부총장 | 김성열 |
홍보부총장 | 윤형건 |
수석대변인 | 허은아 |
대변인 | 이기인, 김효은, 곽대중, 양소영 |
'''2024. 2. 20.~2024. 5. 19.'''
직책 | 이름 |
---|---|
당대표 | 이준석 |
지명직 최고위원 | 금태섭, 조응천 |
사무총장 | 김철근 |
사무부총장 | 이태환 |
비서실장 | 조영환 |
정무실장 | 구혁모 |
정책위 의장 | 김용남 |
인재영입위원회 공동 위원장 | 이준석, 허은아 |
국민통합위원장 | 문병호 |
공천관리위원장 직무대행 | 이원욱 |
공동 혁신위원장 직무대행 | 양정숙, 류호정 |
정강정책위원장 | 이준석 |
홍보부총장 | 정보경 |
조직부총장 | 김성열 |
전략기획부총장 | 김범준 |
정책위원회 부의장 | 황영헌, 이경선, 천강정, 권상기, 조동운, 최현수, 황세연, 이혜숙, 송재열, 김기수, 최인철 |
인재영입위원회 부위원장 | 김숙향 |
수석대변인 | 허은아 |
대변인 | 이기인, 곽대중 |
상근부대변인 | 주이삭 |
부대변인 | 김양곤, 이재랑, 정채연 |
정무특보단장 | 김두수 |
정무특보 | 김구영, 이은창, 안만규, 이재웅, 이영랑, 류성호, 정승우, 김원갑 |
정책특보 | 성수희, 배기석, 임병성, 정승우, 이주복, 원용수, 왕현민, 정희윤, 김기영, 장도국(청년) |
법률특보 | 김기정 |
공보특보 | 남윤중 |
홍보특보 | 윤형건 |
'''2024. 5. 19.~ '''
2024년 4월 19일, 개혁신당 전당대회 준비위원회는 지도부 선출 방식을 결정했다. 당원 투표 50%, 여론조사 25%, 대학생 평가단 20%, 언론인 평가단 5%를 반영하여 1인 2표제로 통합 선출하고, 1위가 당대표, 2~4위가 최고위원을 맡는 방식이었다. 이준석 대표, 양향자, 조응천 의원 등이 불출마하면서, 당대표는 허은아 전 의원과 이기인 전 경기도의원의 대결로 좁혀졌다.
순위 | 기호 | 이름 | 당원(50%) | 여론조사(25%) | 대학생 평가단(20%) | 언론인 평가단(5%) | 합산 | 비고 |
---|---|---|---|---|---|---|---|---|
득표율 | 득표율 | 득표율 | 득표율 | 득표율 | ||||
1 | 4 | 43.46% | 35.56% | 30.51% | 33.33% | 38.38% | 당대표 | |
2 | 3 | 42.69% | 21.48% | 35.65% | 30.22% | 35.34% | 최고위원 | |
3 | 5 | 3.60% | 19.22% | 19.23% | 20.83% | 11.48% | 최고위원 | |
4 | 1 | 7.17% | 13.01% | 12.30% | 11.45% | 9.86% | 최고위원 | |
5 | 2 | 3.08% | 10.72% | 2.30% | 4.16% | 4.88% | ||
합계 | style="text-align: left;"| | style="text-align: left;"| | style="text-align: left;"| | style="text-align: left;"| | style="text-align: left;"| | - |
5월 19일, 개혁신당 전당대회에서 허은아 후보가 당대표로, 이기인, 조대원, 전성균 후보가 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직책 | 이름 |
---|---|
사무총장 | (공석) |
전략기획부총장 | (공석) |
조직부총장 | (공석) |
홍보부총장 | 김민 |
당대표 비서실장 | (공석) |
당대표 비서실 부실장 | 김미정 |
당대표 비서실 수행실장 | 허용 |
개혁연구원 원장 | 이준석 |
인사위원회 위원장 | 김철근 |
인재영입위원회 위원장 | 이준석, 허은아 |
인재영입위원회 부위원장 | 이원욱 |
총괄특보단장 | 조응천 |
정무특보단장 | 양정숙 |
정책특보 | 곽노성, 문지숙, 박경애 |
조직특보 | 최인철 |
공보특보 | 김양곤 |
법률특보 | 김미정, 김영호 |
소상공인위원장 | 신민철 |
디지털특별위원장 | 정보경 |
교육문화특별위원장 | 송재열 |
미래특별위원장 | 송명배 |
지방자치특별위원장 | 천강정 |
미래희망위원장 | 전성균 |
자본시장선진화특별위원장 | 김용남 |
국제관계특별위원장 | 박경애 |
정책자문위원장 | 성수희 |
홍보위원장 | 이성진 |
수석대변인 | 김정철 |
선임대변인 | 문성호[33] |
대변인 | 김민규, 이은창, 하헌휘 |
부대변인 | 이혜숙[34], 이유원, 정국진 |
4. 1. 역대 당대표
대수 | 역대 당대표 | 직함 | 임기 | 비고 |
---|---|---|---|---|
1 | 이준석 | 당대표 | 2024년 1월 25일 ~ 2024년 5월 19일 | 이낙연 전 문재인 정부 초대 국무총리는 2024년 2월 9일부터 2024년 2월 19일까지 개혁신당 공동대표 직을 잠시 지내다가 피치 못할 갈등으로 인해 대표 사퇴 및 탈당.[37] |
2 | 허은아 | 당대표 | 2024년 5월 19일 ~ | 개혁신당 제1차 전당대회에서 선출[37][38] |
4. 2. 역대 원내대표
4. 3. 창당준비위원회 (2023년 12월 27일 ~ 2024년 1월 24일)
국민의힘 당대표를 지냈던 이준석은 2023년 12월 27일 서울 노원구 상계동의 한 갈빗집에서 국민의힘을 탈당하고 신당 창당을 선언했으며,[11][12] 천하람 전 국민의힘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 당협위원장,[13] 허은아 전 의원,[14] 이기인 경기도의원[15]이 합류하였다. 2024년 1월 12일에는 김용남 전 의원이 입당하였다.[16]2024년 1월 20일 창당대회를 열어 당대표로 이준석이 선출되었고, 정책위의장에 김용남, 최고위원에 이기인·허은아·천하람, 사무총장에 김철근이 지명되었다.[17] 1월 24일에는 양향자 의원이 한국의희망과의 합당을 발표했다.[20] 양향자 의원은 2차 가해 의혹으로 더불어민주당에서 제명 처분을 받고[18] 자진 탈당한 후[19] 한국의희망을 창당했었다.
창당준비위원회 주요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직책 | 이름 |
---|---|
공동창당준비위원장 | 천하람, 이기인, 허은아 |
정강정책위원장 | 이준석 |
전략기획위원장 | 김용남 |
전략기획위원회 부위원장 | 남윤중 |
사무총장 | 김철근 |
조직본부장 | 김성열 |
정책본부장 | 김경한 |
당무본부장 | 조영환 |
홍보본부장 | 윤형건 |
대변인 | 김영호 |
정책대변인 | 문성호 |
후원회장 | 정형호 |
4. 4. 1기 지도부 (2024년 1월 25일 ~ 2024년 5월 19일)
국민의힘 당대표를 지냈던 이준석이 2024년 1월 20일 창당대회를 통해 개혁신당 당대표로 선출되었고, 김용남 정책위의장, 이기인·허은아·천하람 최고위원, 김철근 사무총장이 임명되었다.[17] 이후 한국의희망과의 합당을 발표했다.[20]2월 9일에는 새로운미래, 새로운선택, 원칙과 상식과 합당하여 이낙연, 이준석 공동대표 체제가 되었다.[25][26] 그러나 2월 20일 새로운미래와의 갈등으로 합당이 결렬되었다.[28]
개혁신당 1기 지도부의 시기별 구성은 다음과 같다.
기간 | 주요 구성원 |
---|---|
2024년 1월 25일 ~ 2024년 2월 9일 | |
2024년 2월 9일 ~ 2024년 2월 19일 | |
2024년 2월 20일 ~ 2024년 5월 19일 |
4. 5. 2기 지도부 (2024년 5월 19일 ~ 현재)
- 당대표: 허은아
- 최고위원
- * 당연직 최고위원
- ** 원내대표 겸 당연직 최고위원: 천하람
- ** 정책위원회 의장 겸 당연직 최고위원: 이주영
- * 선출직 최고위원: 이기인(수석최고위원), 조대원, 전성균
- 사무총장: (공석)
- 부총장
- * 전략기획부총장: (공석)
- * 조직부총장: (공석)
- * 홍보부총장: 김민
- 당대표 비서실
- * 비서실장: (공석)
- * 부실장: 김미정
- * 수행실장: 허용
- 개혁연구원 원장: 이준석
- 대변인단
- * 수석대변인: 김정철
- * 선임대변인: 문성호[33]
- * 대변인: 김민규, 이은창, 하헌휘
- * 부대변인: 이혜숙[34], 이유원, 정국진
- 인사위원회 위원장: 김철근
- 인재영입위원회
- * 위원장: 이준석, 허은아
- * 부위원장: 이원욱
- 총괄특보단장: 조응천
- 정무특보단장: 양정숙
- 특별보좌역
- * 정책특보: 곽노성, 문지숙, 박경애
- * 조직특보: 최인철
- * 공보특보: 김양곤
- * 법률득보: 김미정, 김영호
- 위원장
- * 소상공인위원장: 신민철
- * 디지털특별위원장: 정보경
- * 교육문화특별위원장: 송재열
- * 미래특별위원장: 송명배
- * 지방자치특별위원장: 천강정
- * 미래희망위원장: 전성균
- * 자본시장선진화특별위원장: 김용남
- * 국제관계특별위원장: 박경애
- * 정책자문위원장: 성수희
- * 홍보위원장: 이성진
5. 주요 선거 결과
개혁신당은 2024년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역구 1석(경기 화성시 을 이준석)과 비례대표 2석(천하람, 이주영)을 얻어 원내정당이 되었다.[35][36]
5. 1.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2024년)
2024년 4월 10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개혁신당은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에서 당선자를 배출하였다.[35][36]선거 | 대표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 수 | 순위 | 상태 | |||||||
---|---|---|---|---|---|---|---|---|---|---|---|---|---|
득표수 | % | 의석 수 | +/- | 득표수 | % | 의석 수 | +/- | 총 의석 수 | +/- | ||||
2024년 | 이준석 | 195,147 | 0.68 | 1 | 신규 | 1,025,775 | 3.62 | 2 | 신규 | 3 | 신규 | 4위 | 야당 |
참조
[1]
웹사이트
개혁신당, 당명 그대로 유지한다
https://www.hankyung[...]
2024-03-26
[2]
웹사이트
New political party launched in S.Korea ahead of April's general election
https://www3.nhk.or.[...]
2024-02-14
[3]
웹사이트
New Reform Party Launches with Former PPP Chief Lee Jun-seok as its Chief
http://world.kbs.co.[...]
2024-02-14
[4]
웹사이트
이준석 개혁신당-양향자 한국의희망 '합당'…제3지대 연대 본격화
https://www.donga.co[...]
2024-01-24
[5]
웹사이트
Smaller political powers agree to merge into new party ahead of general elections
https://www.koreaher[...]
2024-02-09
[6]
웹사이트
[바로이뉴스] "다시 새로운미래로 돌아간다"…11일 만에 결별 선언한 이낙연
https://v.daum.net/v[...]
2024-02-21
[7]
웹사이트
여야 정치인 12명, 5일 개혁신당 합류…지원사격 나선 양향자
https://www.sedaily.[...]
2024-01-04
[8]
웹사이트
Doubts remain over 'big tent' party's ability to work together.
https://www.koreatim[...]
2024-02-12
[9]
웹사이트
천하람, "당 내부 권위주의 배격…권력에 기생하지 않겠다"
https://www.khan.co.[...]
2023-12-29
[10]
웹사이트
이준석 "개혁신당, 보수주의 아닌 자유주의 표방해야"
https://www.mt.co.kr[...]
2024-02-13
[11]
뉴스
이준석 與탈당·'개혁신당' 창당…"총선 전 與와 재결합 안해"
https://www.segye.co[...]
연합뉴스
2024-02-13
[12]
뉴스
[전문]이준석, 국민의힘 전격 탈당…"변화없는 정치판 기다릴 수 없다"
https://view.asiae.c[...]
2024-02-13
[13]
뉴스
천하람, '이준석 신당' 합류..."국민의힘 근본적 개혁 어렵다"
https://www.ytn.co.k[...]
2024-02-13
[14]
뉴스
허은아 “국힘 인테리어 바꿔도 본질 안 바뀌어”…이준석 신당으로 [영상]
https://www.hani.co.[...]
2024-02-13
[15]
뉴스
천하람·이기인, 국민의힘 탈당...'이준석 신당' 합류
https://www.ytn.co.k[...]
2024-02-13
[16]
뉴스
尹 대선특보 출신 김용남, 국민의힘 탈당·개혁신당 입당
https://www.yna.co.k[...]
2024-02-13
[17]
뉴스
개혁신당 공식출범, 당대표는 이준석
https://www.chosun.c[...]
2024-04-12
[18]
뉴스
보좌관 성폭력 ‘2차 가해’ 논란…민주당, 양향자 의원 제명 결정
https://www.hani.co.[...]
2024-01-09
[19]
뉴스
양향자 의원 탈당..제명 절차 없이 마무리
https://www.ikbc.co.[...]
2024-02-13
[20]
뉴스
이준석·양향자 신당, 합당 선언...“비전·가치에 동의”
https://www.chosun.c[...]
2024-02-13
[21]
뉴스
민주당, 이태환 세종시의회 의장 당원 자격정지 1년6개월 확정
https://news.kbs.co.[...]
2024-02-05
[22]
뉴스
땅투기 의혹 세종시 현직 시의원 2명… 감사원 '징계요구' 결정
https://www.joongdo.[...]
[23]
웹인용
시의원 부동산투기 의혹 관련 세종특별자치시 도로개설 예산편성·심의과정의 적정성
https://www.bai.go.k[...]
2024-02-13
[24]
뉴스
‘민주 탈당’ 이태환 전 세종시의장, 개혁신당 영입인사로
https://www.hani.co.[...]
2024-02-13
[25]
뉴스
제3지대 '개혁신당'으로 합당‥이낙연·이준석 공동대표
https://imnews.imbc.[...]
2024-02-13
[26]
뉴스
제3 지대 '개혁신당'으로 통합...이낙연·이준석 공동대표 체제
https://www.ytn.co.k[...]
2024-02-13
[27]
뉴스
민주당 출신 양정숙, 개혁신당 합류‥개혁신당 현역의원 5명으로
https://imnews.imbc.[...]
2024-02-14
[28]
웹사이트
https://v.daum.net/v[...]
[29]
뉴스
이준석 "지하철 무상이용 폐지… 전국 노년층에 12만원 교통카드"
https://www.hankooki[...]
2024-02-13
[30]
뉴스
이준석 “2030년부터 경찰-소방 지원하는 여성도 군복무 의무화”
https://www.donga.co[...]
2024-02-13
[31]
뉴스
국힘·민주 이어 이준석도 ‘철도’…“좌석 좁힌 3만원대 고속철 도입”
https://www.hani.co.[...]
2024-02-13
[32]
뉴스
의대 증원 결정에…이준석 "전투기는 누가 만들고 반도체는 누가 설계하나"
https://www.ajunews.[...]
2024-02-13
[33]
문서
사퇴
[34]
문서
사퇴
[35]
뉴스
개혁신당 선택 '신보수' 누구…2030男 국힘서 대거 이탈
https://www.news1.kr[...]
2024-05-19
[36]
뉴스
엇갈린 제3 지대...조국 "檢 개혁", 녹색정의 '침통'
https://www.ytn.co.k[...]
2024-04-11
[37]
뉴스
개혁신당 신임 당대표 허은아‥"2027년 젊은 대통령 탄생시킬 것"
https://imnews.imbc.[...]
2024-05-19
[38]
뉴스
허은아 신임 개혁신당 대표 "대통령 탄생시킬 것"(종합)
https://www.newsis.c[...]
2024-05-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이준석 "13조 현금 살포 대신, 디지털 인프라 구축하자"
이 대통령 국정 수행 지지도 52.0%…3주 연속 하락
나경원·주진우 "윤호중 행안부장관 경질해야"…개혁신당도 목소리
국힘 "국정자원 화재·전산망 붕괴는 인재…행안장관 경질해야"
국회, 정부조직법 개정안 통과…검찰청, 78년 만에 역사 속으로
환율 1400원 돌파에 입 연 이준석 "불투명 외교가 부른 위기"
천하람 "민주당 내란전담재판부는 위헌…윤석열 100% 석방"
이 대통령 지지율 55%, 취임 후 최저···민주당도 38% 최저[한국갤럽]
천하람 “내란재판부법 통과땐 윤석열 100% 석방…추미애가 일등공신”
[전문] 천하람 "민주당, 윤석열 특급 도우미 역할"
‘민간업자 뇌물 수수’ 혐의 경기도의원 3명 기소
이준석 "미 조지아 단속은 투자 신뢰 흔드는 악수"
국힘 지지층 10명 중 4명 ‘극우’…극우 성향은 민주의 1.8배
이 대통령 지지율 53.0%, 2주 연속 하락···민주 44.2%·국힘 38.6%[리얼미터]
[인터뷰] 천하람 "민주, 사법부 장악으로 장기집권 속내…장동혁, 막다른 길로 질주 중"
이 대통령 지지율 2주 하락 53%…"삼권분립 침해 논란 등 영향"│리얼미터
김어준 방송 나온 국회의원 119명···강유정·김민석·정청래 ‘상위권’ [팬덤 권력]
이 대통령 지지율 63%…민주 41% 국힘 24%ㅣ한국갤럽
이준석, 안철수에 이어 오세훈 연대 가능성도…"거의 한 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