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원욱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1984년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학생회장을 지냈다. 이후 새정치국민회의 당직자, 열린우리당 전자정당실장 등을 역임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제19대, 20대, 21대 국회의원(경기 화성시 을)을 지냈으며,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024년에는 개혁신당에 합류하여 최고위원, 인재영입위원회 부위원장, 전당대회 의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빈 대학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회의원 재임 기간 동안 국토교통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 등에서 활동했다. 주요 논란으로는 마스크 무상 배급 제안, 검찰총장 비하 발언, 국정감사 중 막말 논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미아초등학교 동문 - 함지훈
함지훈은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에서 뛰는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로, 경복고와 중앙대를 졸업 후 2007년 드래프트에서 지명되어 입단, 대학 시절 센터로 포지션을 변경하여 팀의 우승을 이끌고 MVP를 수상했으며, 프로 입단 후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주장을 맡고 있다. - 서울미아초등학교 동문 - 김경순
김경순은 1988년 서울 올림픽 유도 금메달리스트 김재엽과 결혼하여 1990년에 딸 김지민을 출산하였다. -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동문 - 주진형
주진형은 1959년생으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경제 전문가,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세계은행 컨설턴트, 한화투자증권 대표이사 등을 역임하고 더불어민주당, 열린민주당에서 활동했다. -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동문 - 홍성국
홍성국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금융 전문가로서, 대우증권 및 미래에셋대우의 주요 직책을 거쳐 대표이사 사장을 지냈으며, 제21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활동하며 더불어민주당의 주요 당직을 역임했고, 경제 관련 저술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동문 - 박진성 (시인)
2001년 《현대시》로 등단한 대한민국의 시인 박진성은 여러 수상 경력과 작품 활동에도 불구하고 미성년자 성희롱 의혹, 명예훼손, 자살 암시 글 게시 등 여러 논란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으며, 특히 성희롱 피해 폭로 여성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로 법정 구속되었다.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동문 - 김성원 (정치인)
김성원은 고려대학교 환경공학 박사 출신으로 국회의장 정무비서관을 역임하고, 제20대, 21대, 22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국정감사 우수의원으로 선정되는 등 의정활동을 펼쳤으나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이원욱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원욱 |
국적 | 대한민국 |
![]() | |
출생일 | 1963년 03월 20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충청남도 보령군 주산면 |
학력 |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학사 |
직업 | 정치인 |
종교 | 불교 |
군복무 | 소집면제(수형) |
배우자 | 인미화(印美花) |
자녀 | 슬하 1남 1녀 |
본관 | 전주 |
경력 | |
주요 경력 | 노무현재단 기획위원 |
정당 | |
소속 정당 | 개혁신당 |
지역구 | |
지역구 | 경기 화성시 을(19·20·21) |
의정 활동 | |
의원 선수 | 3 |
의원 대수 | 19·20·21 |
당내 직책 | 인재영입위원회 부위원장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국회의원 이원욱 블로그 |
아버지 | 이두호(李斗浩) |
2. 학력
- 1970년 ~ 1976년 서울미아국민학교 졸업
- 1976년 ~ 1979년 보성중학교 졸업
- 1979년 ~ 1982년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졸업
- 1982년 ~ 1990년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학사
3. 생애 및 정치 경력
忠淸南道|충청남도중국어 보령 출신으로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1980년대 전두환 군사정권 시기에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여 옥고를 치렀다.
1997년 15대 대통령 선거에 참여하며 민주당 당직자 생활을 시작했다. 열린우리당, 통합민주당 등에서 10년 넘게 중앙당 당직자로 근무했다. 2008년 총선에 출마하고 2010년 지방선거에서 경기도당 공천심사위원을 역임하는 등 정치 경력을 쌓았다. 민주당 화성을 지역위원장, 경기도당 운영위원, 중앙당 정책위 부의장 등을 역임했다. 2012년 총선에서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다.
이 밖에도 노무현재단 기획위원, 독도수호국제연대 대외협력위원장, 한국청소년운동연합 화성시지회 대표를 맡았다.[1] 조계종 중앙신도회 문화재환수위원회 기획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조선왕실의궤 환수에 참여했다.[1] 경기도교육청 경기교육자치협의회 위원, 경기도 노인일자리지원센터 자문위원, 화성시 충청연합회 자문위원, 화성시 어울림봉사단 고문이기도 하다.[1]
3. 1. 학생 운동 및 민주화 운동 참여 (1980년대)
忠淸南道|충청남도중국어 보령 출신으로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이원욱이 대학을 다니던 1980년대는 전두환 대통령이 군사쿠데타를 일으키고, 광주시민을 학살하며 정권을 잡고 있었던 때로, 이원욱은 "전두환 군사정권 타도"와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화염병 투척과 도심테러를 중심으로 하는 학생운동에 뛰어들었고, 1985년 11월, 민정당 중앙정치연수원 점거농성 사건으로 구속되어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아 옥고를 치렀다.[1]3. 2. 민주당 당직자 활동 (1997년 ~ 2011년)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에 참여하며 새정치국민회의 당직자 생활을 시작해 열린우리당, 통합민주당을 거쳐 10년 넘게 중앙당에서 근무했다.[1] 2008년 4월 총선 때 경기도 화성시 을 지역구에 통합민주당 후보로 출마했으며,[1] 2010년 지방선거 때는 경기도당 공천심사위원으로 일했다.[1] 더불어민주당 화성시 을 지역위원장과 경기도당 운영위원을 역임하고, 중앙당 정책위원회 부의장으로도 활동하였다.[1]3. 3. 국회의원 활동 (2012년 ~ 2024년)
충청남도 보령 출신으로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이원욱이 대학을 다니던 1980년대는 전두환 대통령이 군사쿠데타를 일으키고, 광주시민을 학살하며 정권을 잡고 있었던 때로, "전두환 군사정권 타도"와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학생운동에 뛰어들었다. 1985년 11월, 민정당 중앙정치연수원 점거농성 사건으로 구속되어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아 옥고를 치렀다.1997년 15대 대통령 선거에 참여하며 민주당 당직자 생활을 시작해 열린우리당, 통합민주당을 거쳐 10년 넘게 중앙당에서 근무했다. 2008년 총선 때 경기도 화성시 을 지역 민주당 후보로 출마했으며, 2010년 지방선거 때는 경기도당 공천심사위원으로 일했다. 민주당 화성을 지역위원장과 경기도당 운영위원을 역임하고, 중앙당 정책위 부의장으로도 활동하였다. 2012년 총선을 통해 민주통합당 경기 화성을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3. 3. 1. 제20대 국회 (2016년 ~ 2020년)
이원욱은 1980년대 전두환 군사정권에 맞서 학생운동을 하였고, 1985년 민정당 중앙정치연수원 점거 농성 사건으로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1]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통해 민주당 당직자로 정치 생활을 시작하여, 열린우리당, 통합민주당을 거치며 10년 이상 중앙당에서 근무했다.[1]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기도 화성시 을 지역구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했고, 2010년 지방선거에서는 경기도당 공천심사위원을 맡았다.[1] 이후 민주통합당 경기 화성시 을 지역위원장, 경기도당 운영위원, 중앙당 정책위 부의장 등을 역임했다.[1]이 외에도 노무현재단 기획위원, 독도수호국제연대 대외협력위원장, 한국청소년운동연합 화성시지회 대표를 맡고 있다.[1] 조계종 중앙신도회 문화재환수위원회 기획위원장으로서 조선왕실의궤 환수에 참여했다.[1] 경기도교육청 경기교육자치협의회 위원, 경기도 노인일자리지원센터 자문위원, 화성시 충청연합회 자문위원, 화성시 어울림봉사단 고문으로도 활동했다.[1]
3. 3. 2. 제21대 국회 (2020년 ~ 2024년)
이원욱은 1980년대 전두환 군사정권에 맞서 학생운동에 참여했으며, 1985년 민정당 중앙정치연수원 점거 농성 사건으로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1]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통해 민주당 당직자 생활을 시작,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기 전까지 10년 이상 중앙당에서 근무했다.[1]3. 4. 개혁신당 합류 및 탈당 (2024년)
2024년, 이원욱은 개혁신당에 합류했다가 탈당했다.4. 논란
이원욱 의원은 2020년 3월 마스크 무상 배급을 제안했고,[4] 같은 해 8월에는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을 '개'에 비유하는 발언을 해 논란이 되었다.[1] 10월에는 국정감사 도중 박성중 의원과 막말을 주고받아 논란이 되기도 했다.[1]
4. 1. 마스크 무상 배급 제안
2020년 3월 3일, 이원욱 의원은 국회 대정부 질의에서 "무상급식, 무상교복도 했는데 무상 마스크라고 못할 이유 없다"라며 정부에 마스크 무상 공급을 제안했다.[4]4. 2. 검찰총장 비하 발언 논란
2020년 8월 16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온라인 합동연설회에서 이원욱은 "임명받은 권력이 선출 권력을 이기려고 한다. 개가 주인을 무는 꼴"이라며 "권력을 탐하는 윤석열을 끌어내리고 검찰 개혁을 완수해야 한다. 정치하려면 옷을 벗고 해야 한다"고 발언했다.[1] 이 발언은 검찰총장과 대통령을 '개'와 '주인'의 관계에 비유하여, 검찰이 '정권의 개' 노릇을 하라는 뜻으로 해석되어 논란이 되었다.[1]그러나 이러한 비판은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선출 권력인 대통령은 국민 주권을 대리하는 사람이므로, '개가 주인을 문다'는 표현은 국민의 주권을 부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반론이다.
4. 3. 국정감사 중 막말 논란
2020년 10월 23일,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발언 시간을 둘러싼 여야 간 논쟁이 발생했다. 국민의힘 소속 박성중 의원이 이원욱 위원장을 "당신"이라고 지칭하자, 이원욱 위원장은 "얻다 대고 당신이냐. 여기 위원장이야", "질문하세요, 질문해"라고 반말로 받아치며 논쟁이 시작되었다. 흥분한 이원욱 위원장이 자리에서 일어나 박성중 의원 바로 앞으로 다가가자, 박성중 의원은 "한 대 쳐볼까"라고 반응했다. 이에 이원욱 위원장은 "야! 박성중"이라고 소리쳤고, 박성중 의원은 "나이 어린 XX가 건방지게..."라고 말했다. 이후 이원욱 위원장은 정회를 선포하며 의사봉을 바닥에 집어던지는 행동으로 논란을 일으켰다.[1]5. 경력
- 1984년: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학생회장
- 1998년: 새정치국민회의 공채 당직자
- 2004년: 열린우리당 전자정당실장
-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성동구 갑 열린우리당 국회의원 예비후보
- 2005년: 열린우리당 운영지원실장
- 2006년~2007년: 열린우리당 총무팀장
- 2006년 9월: 독도수호국제연대 대외협력위원장
- 안양대학교 객원교수
- 2010년 10월: 조선왕실의궤환수위원회 실행위원회 위원
- 2011년 5월~: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기획위원회 위원
- 2011년~2013년: 민주통합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 2012년 4월 11일: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경기 화성시 을, 민주통합당, 초선)
- 2012년 4월~2024년 1월: 민주통합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화성시 을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4년 5월~: 사단법인 행동하는 양심 사무총장, 이사
- 2016년 4월 13일: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경기 화성시 을, 더불어민주당, 재선)
- 2016년 9월~2016년 12월: 더불어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
- 2017년 11월~2018년 9월: 더불어민주당 제4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
- 2018년 9월~2019년 5월: 더불어민주당 제3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
- 2019년 5월~2020년 1월: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
- 민주연구원 이사
- 2020년 4월 15일: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경기 화성시 을, 더불어민주당, 3선)
- 2021년 5월~2024년 1월: 더불어민주당 반도체기술특별위원회 고문
- 2024년 1월~2024년 2월: 미래대연합 창당준비위원장 겸 사무총장
- 2024년 2월~2024년 2월: 개혁신당 최고위원
- 2024년 2월~: 개혁신당 인재영입위원회 부위원장
- 2024년 4월~2024년 5월: 개혁신당 전당대회 의장
- 2024년 5월~: 개혁신당 경기도당 화성시 정 조직위원회 위원장
- 2024년~: 빈 대학교 연구교수
이 외에 노무현재단 기획위원, 독도수호국제연대 대외협력위원장, 한국청소년운동연합 화성시지회 대표를 맡고 있다. 조계종 중앙신도회문화재환수위원회 기획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일본에 약탈당한 조선왕실의궤 환수에도 참여했다. 경기도교육청 경기교육자치협의회 위원, 경기도 노인일자리지원센터 자문위원, 화성시 충청연합회 자문위원, 화성시 어울림봉사단 고문을 역임했다.
6. 의정 활동
임기 | 정당 | 소속 위원회 |
---|---|---|
제19대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민주통합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 |
제20대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더불어민주당 | |
제21대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 더불어민주당→무소속→개혁신당 |
7.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2008년 | 제18대 총선 | 통합민주당 | 19,748표 (36.39%) | 2위 | 낙선 | |
2012년 | 제19대 총선 | 민주통합당 | 57,004표 (55.62%) | 1위 | 당선 (초선) | |
2016년 | 제20대 총선 | 더불어민주당 | 43,798표 (52.54%) | 1위 | 당선 (재선) | |
2020년 | 제21대 총선 | 더불어민주당 | 98,612표 (64.53%) | 1위 | 당선 (3선) | |
2024년 | 제22대 총선 | 개혁신당 | 10,344표 (9.22%) | 3위 | 낙선 |
참조
[1]
웹인용
이원욱 국회의원(민주당 화성을)@ewon33 오후 6:43 · 2016년 4월 1일 게시
https://twitter.com/[...]
2023-02-06
[2]
웹인용
image hosted at ImgBB
https://ibb.co/fkmTK[...]
2023-02-06
[3]
웹인용
전과기록증명에 관한 제출서
http://info.nec.go.k[...]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0-03-26
[4]
웹인용
이원욱 "무상급식, 무상교복했는데 무상마스크 못 할 이유 없다"
https://www.joongang[...]
2020-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